소녀시대/활동 역사/2007년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소녀시대/활동 역사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 화이트.svg



[ 전 멤버 ]
[ 한국 음반 ]
파일:다시 만난 세계.jpg
파일:485C29F0-5D41-4FA8-9FBF-54AFF3044D3E.jpg
파일:5211A92C-4A7F-4DAF-ADED-BE1CEB5BDB69.jpg
파일:FAE8E2DC-0EDB-4A23-A826-84893A6C938F.png
다시 만난 세계
싱글

2007. 08. 03.
소녀시대
정규 1집

2007. 11. 01.
Baby Baby
정규 1집 리패키지

2008. 03. 13.
Gee
미니 1집

2009. 01. 05.
파일:소원을 말해봐 (Genie).jpg
파일:Oh!.jpg
파일:Run Devil Run.jpg
파일:훗 (Hoot).jpg
소원을 말해봐
미니 2집

2009. 06. 29.
Oh!
정규 2집

2010. 01. 28.
Run Devil Run
정규 2집 리패키지

2010. 03. 22.

미니 3집

2010. 10. 25.
파일:external/image.melon.co.kr/1123351_org.jpg
파일:The Boys 앨범 아트.jpg
파일:MR.TAXI 앨범 아트.jpg
파일:attachment/I GOT A BOY/Example.jpg
Into The New World
라이브 1집

2010. 12. 30.
The Boys
정규 3집 Version No.1

2011. 10. 19.
MR.TAXI
정규 3집 Version No.2

2011. 12. 08.
Dancing Queen
정규 4집 선공개

2012. 12. 21.
파일:I GOT A BOY 앨범 아트.jpg
파일:소녀시대 라이브 2집.jpg
파일:소녀시대 Mr.Mr..jpg
파일:Catch Me If You Can 앨범 아트.jpg
I GOT A BOY
정규 4집

2013. 01. 01.
라이브 2집

2013. 04. 11.
Mr.Mr.
미니 4집

2014. 02. 24.
Catch Me If You Can
디지털 싱글

2015. 04. 10.
파일:PARTY(소녀시대) 앨범 아트.jpg
파일:Lion Heart 앨범 아트.jpg
파일:그 여름 (0805) 앨범 아트.jpg
파일:소녀시대 Holiday Night.jpg
PARTY
정규 5집 선공개

2015. 07. 07.
Lion Heart
정규 5집

2015. 08. 18.
그 여름 (0805)
스페셜 싱글

2016. 08. 05.
Holiday Night
정규 6집

2017. 08. 04.
파일:FOREVER 1.jpg
파일:iScreaM Vol.19 : FOREVER 1 Remixes.jpg
FOREVER 1
정규 7집

2022. 08. 05.
FOREVER 1 (Remixes)
디지털 싱글

2022. 11. 17.
[ 일본 음반 ]
파일:359C7BB5-6610-4F8B-AD86-4BBD48A244E8.jpg
파일:2167E5C9-761E-4C02-A741-B4FB82E89013.png
파일:MR.TAXI / Run Devil Run.jpg
파일:GIRLS' GENERATION.jpg
GENIE
1번째 싱글

2010. 09. 08.
Gee
2번째 싱글

2010. 10. 20.
MR.TAXI / Run Devil Run
3번째 싱글

2011. 04. 27.
정규 1집

2011. 06. 01.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20686.jpg
파일:external/is5.mzstatic.com/12UMGIM33588.1500x1500-75.jpg
파일:attachment/Oh!/Example.jpg
파일:external/1.bp.blogspot.com/snsd+flower+power+album+cover.jpg
The Boys
정규 1집 리패키지

2011. 12. 28.
PAPARAZZI
4번째 싱글

2012. 06. 27.
Oh!
5번째 싱글

2012. 09. 26.
Flower Power
6번째 싱글

2012. 11. 14.
파일:Girls & Peace 앨범 아트.jpg
파일:2678792A-E36B-40E1-AF41-655226AF14A3.jpg
파일:F2A66EAD-6C85-4CFA-A32D-B75363A2D343.png
파일:Love & Peace 앨범 아트.jpg
정규 2집

2012. 11. 28.
LOVE & GIRLS
7번째 싱글

2013. 06. 19.
Galaxy Supernova
8번째 싱글

2013. 09. 18.
Love & Peace
정규 3집

2013. 12. 11.
파일:external/is5.mzstatic.com/14UMGIM27972.1500x1500-75.jpg
파일:external/is5.mzstatic.com/14UMGIM41975.1500x1500-75.jpg
파일:Catch Me If You Can 앨범 아트.jpg
THE BEST
베스트 앨범

2014. 07. 23.
THE BEST ~New Edition~
베스트 앨범 리패키지

2014. 10. 15.
Catch Me If You Can
9번째 싱글

2015. 04. 22.


파일:소녀시대 Holiday Night 로고.svg

소녀시대 2007년 활동 역사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소녀시대 Holiday Night 로고.svg
국내 데뷔 6168일차 &
19개의 싱글 및 앨범 발매
일본 데뷔 5038일차 &
15개의 싱글 및 앨범 발매

[ 펼치기 · 접기 ]



파일:소녀시대 Holiday Night 로고.svg

소녀시대의 2007년 주요 시상식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골든디스크 시상식_로고.png
Anycall 인기상
{{{#ffffff 소녀시대}}}
(2007)

1. 개요
1.1. 상세


1. 개요[편집]


소녀시대/활동 역사 중 2007년을 다룬 문서.


1.1. 상세[편집]


파일:external/49.media.tumblr.com/tumblr_lz3iprh3NK1qdi4yuo1_500.gif
<다시 만난 세계 (Into The New World)> 뮤직비디오(2007. 8. 3.)[1]
<다시 만난 세계 (Into The New World)> - ‘SBS 인기가요’(2007. 8. 5.)

전설의 시작


8월 5일, 싱글 1집의 타이틀곡 <다시 만난 세계 (Into The New World)>로 데뷔했다.[2] 밝은 콘셉트의 걸그룹 타이틀곡이라기엔 가사가 꽤나 서정적인데, 팬덤 내에선 그러한 가사 덕에 더욱 감동적인 노래라고 평한다.

소녀시대의 꿈을 향한 몇 년간의 노력이 무대에 잘 드러났고, 곡의 퀄리티 또한 좋았던 덕에 평단의 대호평을 받았다. 특히 이 곡의 경우, 멤버들이 1년간 안무와 라이브 연습을 했다고 한다. 지금까지도 S♡NE에게 가장 압도적인 지지와 사랑을 받는 타이틀곡.[3]

소녀 콘셉트를 살리기 위해 연한 화장을 한 것이 좋은 평을 받았으며, 당시 티파니의 단발이 무대에서 존재감을 드러내 다수의 남성팬들을 확보했다. 데뷔 싱글로 몇 만장의 음반 판매고를 이뤄냈으니, 팬덤은 그 당시에도 호조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여담으로 <다시 만난 세계 (Into The New World)>의 Remix ver.은 시간이 많이 흐른 지금까지도 ‘개념 리믹스’라는 평을 들을 정도로 상당히 좋다.[4]

<소녀시대 (Girls’ Generation)> 뮤직비디오(2007. 11. 1.)[5]

11월 1일, 정규 앨범 1집 <소녀시대>가 발매되었다. 어려운 안무의 <다시 만난 세계 (Into The New World)>와는 달리 비교적 쉬운 안무와 대중적으로 인지도 높았던 원곡과 당시 소녀시대 컨셉과 잘 맞았던 가사 등 여러요소들이 잘 겹쳐서 대중들의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12년, 일본에서 했던 뮤직비디오 코멘터리 영상에서도 이 노래 덕분에 좀 더 많은 대중들에게 어필할 수 있었던 것 같다고 평했다.

해당 앨범은 몇 년간 노력하고 철저하게 준비한 정규 앨범이었고 소녀시대의 초반 콘셉트와 가장 잘 맞는 앨범이었기에, 현재까지도 역대 소녀시대의 앨범 중에서 전문가와 팬들, 모두가 인정하는 최고의 명반으로 손꼽힌다.[6]
[1] 유튜브에서는 SM TOWN 채널에서 2011년 6월 3일에 재업로드되었다.[2] 이 노래는 사실 밀크의 2집 타이틀곡으로 만들어졌었는데, 밀크가 안 좋은 상황에 이르게 되면서 소녀시대의 첫 타이틀곡이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전설의 곡이 되는데[3] 도쿄돔에서 발라드 버전으로 편곡해 부르면서 더욱 의미가 깊어졌는데, 현재까지 유튜브에서 한 S♡NE이 업로드한 DVD 영상이 1000만뷰를 돌파하며 큰 호응을 받고 있다.#[4] 사실 이 Remix ver.에 대한 소문으로 ‘본래 원곡은 이 리믹스 버전이였는데, 당시 내부 유출로 인해 달달하게 편곡한 곡으로 다시 만들었다’는 데뷔 초 팬의 증언이 있었다. 게다가 이 원곡으로 알려진 리믹스 버전의 주인이 바로 밀크라는 이야기도 있다. 그러나 정확한 자료는 남아 있지 않다.[5] 유튜브에서는 SM TOWN 채널에서 2011년 6월 3일에 재업로드되었다.[6] 2019년, 멜론 내에서 명반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소녀시대에게는 <Baby Baby> 이후 두 번째 지정으로, 이는 아이돌로서는 굉장히 드문 사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소녀시대/활동 역사 문서의 r28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소녀시대/활동 역사 문서의 r28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0:42:39에 나무위키 소녀시대/활동 역사/2007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