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진산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감독쩡타오
Maizijian
코치셰단
Eimy
분석왕얀
Gossamer
| 꽁티엔쯔
Phoenix
로스터
파일:TOP_icon_white.png
TOP
파일:중국 국기.svg 팡자웨이
Garvey
파일:중국 국기.svg 천궈지
fearness
파일:JGL_icon_white.png
JGL
파일:중국 국기.svg 딩즈하오
Kui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자오즈창
shad0w
파일:MID_icon_white.png
MID
파일:ADC_icon_white.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하종훈
Kramer
파일:SUP_icon_white.png
SPT
파일:중국 국기.svg 페이퍄오
Chance
파일:중국 국기.svg 링쉬
Mark
LPL 참가팀 로스터



셰진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LPL_2020_white1.png{{{-1 LPL
주장}}}
''' ||



파일:LPL_2020_white1.png 1000킬 달성 선수 일람
[ 펼치기 · 접기 ]

이름 / ID당시 소속팀현 소속 팀포지션달성일자
젠쯔하오
Uzi
파일:273px-Oh_My_God_allmode.pn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파일:ADC_icon_100.png
ADC
2015.04.17
위자쥔
Cool
파일:273px-Oh_My_God_allmode.png은퇴파일:MID_icon_100.png
MID
2015.07.03
거얀
Kid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은퇴파일:ADC_icon_100.png
ADC
2015.07.17
주지아웬
NaMei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RNG.png은퇴파일:ADC_icon_100.png
ADC
2016.04.09
류즈하오
Zz1tai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은퇴파일:TOP_icon_100.png
TOP
2016.06.05
밍카이
Clearlove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은퇴파일:JGL_icon_100.png
JGL
2016.07.17
김혁규
Deft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ADC_icon_100.png
ADC
2016.08.14
웨이전
GODV
파일:external/2bfdfe55bcc5a0fb795764fad05bb44e05e05ee62a798ccfcda9bb158bc78e8e.png은퇴파일:MID_icon_100.png
MID
2017.03.18
구승빈
imp
파일:external/2bfdfe55bcc5a0fb795764fad05bb44e05e05ee62a798ccfcda9bb158bc78e8e.png은퇴파일:ADC_icon_100.png
ADC
2017.04.01
송의진
Rookie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파일:TES 로고 2019.svg파일:MID_icon_100.png
MID
2017.04.13
한진
Smlz
파일:273px-Oh_My_God_allmode.pngN/A파일:ADC_icon_100.png
ADC
2017.07.20
진성준
Mystic
파일:Team_WE.png은퇴파일:ADC_icon_100.png
ADC
2017.07.22
리위안하오
Xiaohu
파일:RNG 로고 2017.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파일:MID_icon_100.png
MID
2017.08.20
쑤한웨이
xiye
파일:Team_WE.pngN/A파일:MID_icon_100.png
MID
2017.08.25
이예찬
Scout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파일:MID_icon_100.png
MID
2019.01.18
김태상
Doinb
파일:FPX_LoL_new_logo.pngN/A파일:MID_icon_100.png
MID
2019.02.17
리쉬안쥔
Flandre
파일:SNAKE_ESPORTS_LOGO.pngN/A파일:TOP_icon_100.png
TOP
2019.03.22
셰톈위
icon
파일:273px-Oh_My_God_allmode.pngN/A파일:MID_icon_100.png
MID
2019.03.24
셰진산
Jinjiao
파일:Bilibili_Gaming.png파일:LGD_Gamingnewlogo.png[[파일:LGD_Gamingnewlogo_white.png파일:ADC_icon_100.png
BOT
2019.06.24
린웨이샹
Lwx
파일:FPX_LoL_new_logo.png파일:FPX 로고 2021.svg파일:ADC_icon_100.png
BOT
2019.07.24
이동욱
LokeN
파일:JD_Gaming.png파일:Sengoku_Gaming_2023_Logo.png파일:ADC_icon_100.png
BOT
2020.07.06
위원보
JackeyLove
파일:TES 로고 2019.svg파일:ADC_icon_100.png
BOT
2020.07.11
후셴자오
iBoy
파일:Rare_Atomlogo_square.png파일:Anyones_Legendlogo_square.png파일:ADC_icon_100.png
BOT
2020.08.07
줘딩
knight
파일:TES 로고 2019.svg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파일:MID_icon_100.png
MID
2020.08.08
쩡치
Yagao
파일:JD_Gaming.png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 심플.svg파일:MID_icon_100.png
MID
2021.02.26
레꽝주이
SofM
파일:Suninglogo_square.pngN/A파일:JGL_icon_100.png
JGL
2021.06.11
천웨이
GALA
파일:RNG 로고 2017.svg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파일:ADC_icon_100.png
BOT
2022.01.23
훙하오쉬안
Karsa
파일:Victory_Five.pn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파일:JGL_icon_100.png
JGL
2022.02.21
강승록
TheShy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파일:TOP_icon_100.png
TOP
2022.02.26
자오자하오
Elk
파일:Ultra_Primelogo.png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 심플.svg파일:ADC_icon_100.png
BOT
2022.03.11
상타오
Angel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파일:NIP_심볼_NeonYellow.svg파일:MID_icon_100.png
MID
2022.06.10
탕환펑
huanfeng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파일:TT_%28Chinese_Team%29logo_square.png파일:ADC_icon_100.png
BOT
2022.06.21
가오톈량
Tian
파일:TES 로고 2019.svg파일:JGL_icon_100.png
JGL
2022.07.02
서진혁
Kanavi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파일:JGL_icon_100.png
JGL
2022.07.18
왕광위
Light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파일:ADC_icon_100.png
BOT
2022.08.17
바이자하오
369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파일:TOP_icon_100.png
TOP
2023.02.02
천천
Breathe
파일:RNG 로고 2017.svg파일:TOP_icon_100.png
TOP
2023.02.12
왕제
Hope
파일:Team_WE.png파일:ADC_icon_100.png
BOT
2023.02.28
천쩌빈
Bin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 심플.svg파일:TOP_icon_100.png
TOP
2023.06.01
가오전닝
Ning
파일:Ultra_Primelogo.png파일:JGL_icon_100.png
JGL
2023.06.12
옌양웨이
Wei
파일:RNG 로고 2017.svg파일:JGL_icon_100.png
JGL
2023.06.13
주쥔란
FoFo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MID_icon_100.png
MID
2023.06.21
다이즈춘
Able
파일:Oh_My_Godlogo.png 파일:ADC_icon_100.png
BOT
2023.07.22
후자러
Ale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TOP_icon_100.png
TOP
2023.07.22
ID
: 현 LPL 소속

ID
: 현 LCK 소속

ID
: 현 LJL 소속

☆ : 1500킬 달성 선수
★ : 2000킬 달성 선수




파일:LGD_Jinjiao_2023_Split_2.png
LGD Gaming
C

Jinjiao
셰진산 (谢金山 | Xie Jinshan)
출생1998년 6월 15일 (26세)
국적
파일:중국 국기.svg

포지션서포터[1]
소속AcFun e-Sports Club
(2014.02.13 ~ 2015.01.??)
AD Gaming
(2015.01.?? ~ 2015.05.??)
Edward Gaming
(2015.05.?? ~ 2015.12.25)
I May
(2015.12.25 ~ 2017.12.17)
BiliBili Gaming
(2017.12.22 ~ 2020.12.16)
Suning
(2020.12.16 ~ 2021.05.25)
LGD Gaming
(2021.12.15 ~ 2023.11.21예정)
1. 개요
2. 행적
3. 여담



1. 개요[편집]


중국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PLLGD Gaming 소속 서포터.


2. 행적[편집]


원거리 딜러. 2015 서머 시즌 7주차 스네이크전에 데프트 대신 등판하여 드레이븐으로 슈퍼 하드캐리를 보여줌으로써 깊은 인상을 남겼다. 2016년 스프링 시즌부터 LSPL행.

1주차 폼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IM의 에이스.원래 한국 IM도 2팀체제 시절에는 명가 IM의 팀컬러는 구 형제팀 EDG와 비슷하게 운영과 후반한타를 지향하는데, 원딜의 개인기량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선택. 데프트만큼의 개인기량을 보여준 것은 아니지만 배미, 아테나와의 불협화음이 심했던 데프트와 달리 이들과의 조화가 매우 훌륭하다.

우지와 미스틱 등 중체원 라인 원딜러들에게 메카닉에서 다소 밀리는 모습을 보였지만, CS를 뒤지다가도 약점을 찔러 맞라인 킬을 따는 등 잠재력이 뛰어나고 무엇보다 한타 딜링이 아주 뛰어난 원딜러다. 특히 진쟈오와 대조적으로 중국의 파일럿이라 불리는 Snake의 Martin을 만나자 진쟈오의 장점이 똑똑히 드러났다.

롤드컵에서는 원딜을 키워줘야 할 로드와 어보이드리스가 예상대로 같이 맛이 가면서 힘을 못쓰고 있고 아테나에게 숟가락만 얹는 중.

하지만 FW 2차전은 시비르 알리스타로 죽어라 갱까지 당하는데도 CS 20개 정도만 버리고 왕귀해서 무서운 킬 캐치 능력으로 다 쓸어담았다.

2017년에는 로드가 나오건 스타라이트가 나오건 라인전에서 펑펑 터져나가는 것이 특징인데, 그래도 한타 딜링능력은 데프트가 사라진 LPL에서 우지 미스틱 다음으로 꼽아줄 수 있는 굉장히 뛰어난 원딜러다. 하지만 라인전 약세를 전부 서폿 탓으로만 돌리기에는 그 약세가 해도 너무하다는 것이 단점. 드레이븐 잡고 잘나가던 서브 시절이나 그 로드 데리고 버티던 2016 서머에 비하면 뭔가 아쉽다.

그러나 사이노드래곤이 원딜 하나 잘해서 BLG를 제치는 시점 진쟈오를 더이상 LPL A+급 원딜러라 부르기에는 분명 하드웨어와 종합적 스펙 쪽이 아쉬운 것 같다...

19~20시즌 시점에서 진쟈오는 용병 슬롯을 먹지 않을 뿐 크레이머와 로컨의 하위호환인 원딜러다. 한때 한국에서도 무시무시한 모습을 보여줬고 중국에서도 에이스놀이 했던 크레이머와 로컨도 갈수록 중국 최상위권 원딜러들의 메카닉을 감당하기가 힘든데, 라인전도 더 약할 뿐만 아니라 전성기에조차 아테나, 쿠로 등에 많이 의존했고 팀의 한타 1옵션이었던 빈도가 낮은 진쟈오 입장에선 더 곤란하다. 분명 팀이 진쟈오의 약점을 커버해주면 한타 1인분은 하는데 거기까지다.

어쨋든 로드 이탈 이후 팀내 한타콜을 담당하는것도 있고 그래서였는지 서포터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하지만 시즌 후 원딜로 다시 전향한거보면 서포터 전향은 실패로 돌아간 듯하다. 비시즌에 터진 폭로로 환펑에 대한 신뢰가 급락하고, 소드아트의 북미행으로 샷콜러의 부재가 생긴 Suning으로 이적을 확정지었다. 다만 진자오와 환펑의 기량차는 도저히 메꿀 수 없는 정도였고, 데마시아컵에만 땜빵으로 나오고 다시는 출전하지 못했다.

이후 자리를 찾을 수 없을 줄 알았으나 탱킹 로스터를 꾸리는 LGD로 이적했다. 이와 동시에 다시 서포터로 포변하였다. 의외로 한타 각보는 능력에 치중된 고전적 원딜러라 서포터에게 필요한 오더 능력이나 거시적인 시야가 부족한데다, 22년 기준 98년생으로 나이도 많은데다 원딜 시절에도 메카닉이 장점이 아니었다 보니 그 메카닉마저 꺾인 뒤로는 서포터로서 처참한 평가를 받고 있다.


3. 여담[편집]


  • 2016년에 롤러와에 출연한 손대영 감독의 증언에 따르면 닭갈비를 매우 좋아한다고 한다. 한판 시켜놓으면 다 먹고 볶음밥까지 먹는다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LG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 문서의 r74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LG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 문서의 r7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0 22:32:18에 나무위키 셰진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바텀 → 서포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