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버스 두루타버스

덤프버전 : r20200302 (♥ 0)

||


파일:GROK_ICON.png 대한민국 승합차 노선버스 운행노선
[ 그랜드 스타렉스 - 펼치기 · 접기 ]

서울특별시성북05
세종특별자치시두루타버스
화성시7-122-4
양평군청운행복버스YP서종행복버스
김해시도시형1
양산시도시형버스 2번
구미시수점동 마을버스
양구군양구군 마을버스
홍천군내면 자운지역 공공형버스
포항시죽장 희망버스
횡성군청일면 마을버스춘당권역 마을버스
서천군문산희망버스
논산시동고동락 행복버스
완도군도청-권덕도청-진산
완주군부릉부릉 마을버스
남원시 무주군장수군정읍시진안군
수요응답형 교통

}}}
[ 그랜드 스타렉스 이외 - 펼치기 · 접기 ]



파일:두루타버스.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Seal_of_sejong_little.png 세종특별자치시 수요응답형버스 두루타버스(장군면)
[ 지도 노선도 보기 ]
운영 업체세종도시교통공사
기점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도계리(장군면사무소)
도계리(장군면복지회관)
종점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김종서장군묘)
대교리(약수사(토골))
산학리(대전공원묘원)
송정리(세종요양병원)[1]
이용가능시간장군면사무소 기준 07:00~20:00
이용문의콜센터 1644-8255
1시간 전 예약 필요
운행대수3대[2]
노선* 공통구간: 장군면사무소(장군-1)/장군면복지회관(장군-2)-
* 노선1[3] : 대교1리(밤실입구)(장군-10)-대교리(장군-11)-대교1리마을회관(장군-12)-대교리노인회관(장군-13)-김종서장군묘(장군-14)
* 노선2[4] : 대교리(구세골마을)(장군-20)-대교3리노인회관(장군-21)-대교2리마을회관(장군-22)-해피타운(전원주택단지)(장군-23)-약수사(토골)(장군-24)
* 노선3[5] : 산학리(큰골, 작은골)(장군-30)-산학리효재동마을회관(장군-31)-영평사(장군-32)-대전공원묘원(장군-33), 일요일에는 마을택시 대신 하봉리와 송정리도 운행한다.[6]
* 노선4 : 하봉저수지(장군-40)-송정리(세종요양병원)(장군-41)


2. 개요[편집]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운행하는 수요 응답형 버스이다. 즉, DRT의 개념을 가지는 노선이다.


3. 역사[편집]


  • 2019년 DRT 시범 운행지역으로 장군면이 지정되면서 차량과 통신 시설등 기반 시설을 갖추는 작업을 시작했었다.
  • 2019년 12월에 DRT 시스템을 세종시가 도입하면서 12월 20일 장군면행정복지센터에서 개통식을 열고 12월 21일부터 두루타버스 운행을 개시했다. 이와 동시에 기존 마을버스 일부 노선을 폐지했다.


4. 특징[편집]


파일:두루타노선도 19년 12월 기준.jpg
  • 기존 버스가 들어오기 힘들었던 약수사 등 대교리, 산학리 일부 지역에도 주민들의 요청에 따라 버스가 들어올 수 있어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이 높아졌다.

  • 두루타버스가 들어오면서 기존에 하루 2~5회만 운행하던 51번54번 버스가 버스개편 때 폐지하게 되었다. 또한 기존 마을택시가 맡던 일부 마을연계노선 역할을 대신 맡게되었다.

  • 차량 운용은 스타렉스 롱바디 개조차량 2대와 뒷면을 개조한 레스타 1대로 운행한다. 전 차량 한정면허다.

  • 이용요금은 1인 당 500원이며, 공주 시내버스와는 물론, 세종시 시내버스와도 환승이 되지 않는다.

  • 1회 운행시 최대 7인까지 동시 탑승이 가능하다.

  • 수요응답형이므로, 고정된 시간표가 없고, 콜센터를 통한 이용 요청이 있을시에만 운행한다.
    • 해당 노선을 이용할 시 최소 1시간 전에 미리 콜센터로 전화해야한다. 번호는 1644-8255이다.
    • 본 노선은 예약을 통해 이용 가능하나, 07:00~20:00 사이 시간대에만 이용 가능하다.

  • 이름이 두루타로 선정된 이유는 두루타를 영어로 나타내면 DuRuTa가 되는데, 이는 DRT의 이니셜을 보여주면서 순우리말로는 교통소외지역 주민들도 두루두루 대중교통을 탈 수 있게 도와준다는 의미로도 통용될 수 있는 이름이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장군면 바로 옆 고운동에는 두루유치원, 두루초, 두루중, 두루고등학교가 있다. 이 이름이 그 곳으로 통학하는 학생들 타라는 의미 일 수도 다만 그 학교들로 두루타가 가는건 아니다.



5. 연계 철도역[편집]


없음.

[1] 여기는 일요일 한정 운행한다.[2] 스타렉스 2대 + 레스타 1대[3] 구 51번 노선과 동일하다.[4] 구 54번 대교리 구간에서 연장한 것이다.[5] 장군면 마을버스 52, 53번이 완전히 커버하지 못하는 지역을 이어준다.[6] 구 54번 송정리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