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버스 0

덤프버전 : (♥ 0)

||



1. 노선정보
2. 개요
3. 특징
4. 노선 목록
4.1. 용암 방면
4.2. 송계, 수륜, 백운동 방면
4.3. 선남, 도흥 방면
4.4. 금수 방면
4.5. 초전 방면
4.6. 칠산, 용흥 방면
4.7. 벽진 방면
5. 시간표
5.1. 대구 방면
5.2. 초전 방면
5.3. 벽진 방면
5.4. 금수 방면
6. 연계 철도역



1. 노선정보[편집]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농어촌버스 0번
기점종점
성주버스정류장성주군내 전 지역(가천면 용사리, 마수리 제외)
문양역(대구)
증산(김천)
가천버스정류장가천면 용사리, 마수리
금수면 은적리
증산(김천)

2. 개요[편집]


성주군내 및 성주-용암-문양역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이며, 경일교통에서 운행한다.

가천, 금수 일부 지역에 한해 지간선제를 운영중이며, 성주까지 가는 노선이 있되 가천까지만 가는 노선도 있다.

2006년에 대구MBC에서 칠곡, 성주 0번과 청도 0번을 주제로 하는 "0번 버스 이야기"라는 다큐멘터리를 방영하기도 했다. 1부, 2부 2013년 6월 29일 칠곡군만 번호가 도입되었고 성주군은 아직 0번이다.[1]

안동 0번, 청도 0번, 칠곡 0번과 함께 나무위키에 등록된 0번 노선 4개 중 하나였다. 공교롭게도 모두 경상도에만 있다. 2022년 안동 시내버스 개편으로 안동 0번이 순환1번으로 변경함에 따라 지금은 칠곡군, 청도군과 더불어 전국적으로 3곳뿐이였으나 경남 고성군이 추가로 000번을 부여하면서 다시 4곳으로 늘었다.

3. 특징[편집]


군청 소재지에서 면 지역으로 가는 버스만큼 여느 군 지역의 농어촌버스와 동일하다.

아침 시간대 일부 차량은 250번 차량으로 운행한다.

시간표는 다운로드할 것. 만약에 한글과컴퓨터가 없다면 이 시간표를 참고하면 되나 군청 홈페이지에 올라와있는 시간표는 성주에서 각 면으로 가는 시간표만 있고 각면지역에서 성주로 가는 버스 시간표는 없으니 주의.

4. 노선 목록[편집]



4.1. 용암 방면[편집]



4.2. 송계, 수륜, 백운동 방면[편집]



4.3. 선남, 도흥 방면[편집]



4.4. 금수 방면[편집]



4.5. 초전 방면[편집]



4.6. 칠산, 용흥 방면[편집]



4.7. 벽진 방면[편집]



5. 시간표[편집]



5.1. 대구 방면[편집]



5.2. 초전 방면[편집]


김천버스는 시간에서 제외. 김천버스는 김천방면 성주에서 08:20, 14:50, 19:40 / 초전에서 08:30, 15:00, 19:50 이고, 성주방면 김천에서 07:17, 13:30, 18:25 / 초전에서 08:07, 14:20, 19:15 이다.

용성, 문덕경유의 경우, 성주방향만 초전을 거치므로 성주방향에만 넣었다.

성주발 10:10, 12:00, 15:20, 19:30차, 초전에서 성주행 10:50, 12:30, 20:10 차는 초전농협에서 승하차 해야 하며, 초전중으로 가지 않는다.

성주방면의 경우, 늦게 출발한 차가 초전에 먼저 온다고 해도 종점 출발 시간 기준으로 순번을 정했으므로 주의할 것.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농어촌버스 0번(성주→초전방면)출처(성주군 배차(22쪽 63번))
성주초전경유지종점시간목적지
106:20106:30어산 06:35, 인촌 06:4006:45모방[A]
206:30206:40소성 06:5007:00달밭
307:10307:20용봉 07:2507:30소성
407:25407:35부상 07:50, 김천(구미)역 08:0508:25김천
508:00508:10용봉 08:1508:20소성
608:10608:20고산정 08:23, 유곡 08:2608:30자양
710:10710:20장산 10:23, 지방 10:27, 인촌 10:3010:35선석사[A]
812:00812:10장산 12:13, 지방 12:1712:20인촌[A]
913:30913:40고산정 13:43, 유곡 13:4613:50홈실
1013:451013:55부상 14:10, 김천(구미)역 14:2514:40김천
1114:201114:30소성 14:4014:50달밭
1215:201215:30장산 15:3315:35보암
1316:051316:15부상 16:30, 김천(구미)역 16:4517:05김천
1416:201416:30문덕 16:3516:40벽진
1416:301416:40용봉 16:4516:50소성
1517:001517:10어산 17:15, 인촌 17:2017:25선석사[A]
1618:251618:35용봉 18:4018:45소성
1719:101719:20소성 19:3019:40달밭
1819:201819:30장산 19:33, 지방 19:37, 인촌 19:4019:45모방[A]
1920:101920:20동포 20:2520:30홈실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농어촌버스 0번(초전→성주방면)출처(성주군 배차(22쪽 63번))
순번출발지출발시간경유지초전성주
1모방[A]06:45지방 06:49, 장산 06:5307:0007:10
2달밭06:50홈실 06:55, 동포 07:0007:05[B]보암 07:10, 월항 07:15
성주 07:25
3소성07:30용봉 07:3507:4007:50
4소성08:20용봉 08:2508:3008:40
5자양08:35고산 08:4208:45보암 08:50, 월항 08:55[B]
성주 09:05
6김천08:55김천(구미)역 09:15, 부상 09:3009:4509:55
7선석사[A]10:35인촌 10:40, 지방 10:43, 장산 10:4710:5011:00
8용봉10:45봉정 10:47, 어산, 인촌11:0011:10
9인촌[A]12:20지방 12:23, 장산 12:2712:3012:40
10홈실13:50동포 13:5514:0014:10
11달밭14:50소성 15:0015:1015:20
12김천[2]14:55김천(구미)역 15:15, 부상 15:3015:4515:55
13소성16:50용봉 16:5517:0017:10
14김천17:15김천(구미)역 17:35, 부상 17:5018:0518:15
15선석사[A]17:25인촌 17:30, 어산 17:3517:4017:50
16소성18:45용봉 18:5018:5519:05
17달밭19:40홈실 19:45, 동포 19:5019:5520:05
18모방[A]19:45인촌 19:50, 지방 19:53, 장산 19:5720:0020:10
19홈실20:30동포 20:3520:4020:50

5.3. 벽진 방면[편집]


1일 3회는 벽진면소재지로 들어가지 않으며, 1일 2회는 벽진에서 성주가 아닌 초전을 거쳐 성주로 간다.

금수행이나 별미령행의 경우 각각 동계기간 폭설이 내릴 때는 별미령 및 금수 쪽의 경사도를 오를 수 없으므로, 폭설 상태에 따라 각각 달창 및 매수에서 종착한다.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농어촌버스 0번(성주→벽진방면)출처(성주군 배차(22쪽 63번))
성주벽진경유지종점시간목적지
106:40106:5006:55봉계
207:30207:40봉학 07:45, 달창 07:5808:00별미령
308:50309:00봉학 09:05, 달창 09:1009:15별미령
409:00[C]4용산 09:0509:10용성
509:10509:20봉학 09:2509:30달창
610:20610:30문덕 10:35, 초전 10:4010:45용봉[D]
711:20711:30집실 11:3511:40명천
812:00712:10매수 12:15, 금수 12:2012:25봉두[E]
912:20[C]9용산 12:2512:30용성
1013:401013:50봉학 13:55, 달창 14:0014:05별미령
1114:501115:00가곡 15:0515:10명천
1216:101216:20봉학 16:25, 달창 16:3016:35별미령
1417:101417:20봉학 17:25, 중리 17:3017:35점복
1517:301517:40봉학 17:45, 달창 17:5017:55별미령
1618:201618:30매수 18:3518:40금수
1719:201719:30봉학 19:35, 달창 19:4019:45별미령
1820:001820:10봉학 20:15, 중리 20:2020:25점복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농어촌버스 0번(벽진→성주방면)출처(성주군 배차(22쪽 63번))
순번출발지출발시간경유지벽진성주
1봉계06:5507:0007:10
2별미령07:55달창 08:05, 중리 08:10, 봉학 08:1508:2008:30
3별미령09:15달창 09:20, 봉학 09:2509:3009:40
4용성09:10[C]용산 09:1509:20
5달창09:30점복 09:43, 중리 09:50, 봉학 09:5510:0010:10
6명천11:40집실 11:4511:5012:00
6봉두[E]12:25금수 12:30, 매수 12:3512:4012:50
7용성12:20용산 12:3512:40
8별미령14:05달창 14:10, 봉학 14:1514:2014:30
9명천15:10가곡 15:1515:2015:30
10별미령16:35달창 16:40, 봉학 16:4516:5017:00
11벽진16:40용성 16:48성주 16:55
12점복17:35중리 17:40, 봉학 17:4517:5018:00
13별미령17:30달창 17:35, 봉학 17:4017:4517:55
14금수18:40매수 18:4518:5019:00
15별미령19:45달창 19:50, 봉학 19:5520:0020:10
16점복20:25중리 20:30, 봉학 20:3520:4020:50

5.4. 금수 방면[편집]



6.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0:55:11에 나무위키 성주 버스 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0번 버스를 소재로 한 연극인 "똥글뱅이 버스"가 만들어져 공연되기도 했다.[A] A B C D E F G H I J 월항면에 있다.[B] A B 굴곡 노선.[2] 서울-부산 시내버스 여행을 할 때 꼭 타는 차다.[C] A B C 벽진면소재지로 안 간다. 주의할 것.[D] 초전면에 있다.[E] A B 금수면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