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먼 먼슨

덤프버전 : (♥ 0)

서먼 먼슨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191919,#ffffff ||<-5><table width=100%><bgcolor=#132448> '''{{{#ffffff 1965년 ~}}}''' || ||<width=20%> {{{-1 1965}}}[br][[빌 버박]][br]{{{-2 투수 / 전체 19번}}} ||<width=20%> {{{-1 1966}}}[br][[짐 라이틀]][br]{{{-2 외야수 / 전체 10번}}} ||<width=20%> {{{-1 1967}}}[br][[론 블롬버그]][br]{{{-2 1루수 / 전체 1번}}} ||<width=20%> {{{-1 1968}}}[br][[서먼 먼슨]][br]{{{-2 포수 / 전체 4번}}} ||<width=20%> {{{-1 1969}}}[br][[찰리 스파이크스]][br]{{{-2 3루수 / 전체 11번}}} || || {{{-1 1970}}}[br][[데이브 채들]][br]{{{-2 투수 / 전체 12번}}} || {{{-1 1971}}}[br][[테리 휘트필드]][br]{{{-2 외야수 / 전체 19번}}} || {{{-1 1972}}}[br][[스캇 맥그레거(1954)|스캇 맥그레거]][br]{{{-2 투수 / 전체 14번}}} || {{{-1 1973}}}[br]더그 헤이놀드[br]{{{-2 투수 / 전체 13번}}} || {{{-1 1974}}}[br][[데니스 셰릴]][br]{{{-2 유격수 / 전체 12번}}} || || {{{-1 1975}}}[br]짐 맥도널드[br]{{{-2 1루수 / 전체 19번}}} || {{{-1 1976}}}[br][[팻 타블러]][br]{{{-2 외야수 / 전체 16번}}} || {{{-1 1977}}}[br]스티브 테일러[br]{{{-2 투수 / 전체 23번}}} || {{{-1 1978[* FA [[론 블롬버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렉스 허들러]][br]{{{-2 유격수 / 전체 18번}}} || {{{-1 1978[* FA [[마이크 토레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맷 윈터스]][br]{{{-2 외야수 / 전체 24번}}} || || {{{-1 1978}}}[br]브라이언 라이더[br]{{{-2 투수 / 전체 26번}}} || --{{{-1 1979}}}--[br]{{{-2 FA [[토미 존]]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1980}}}--[br]{{{-2 FA [[루디 메이]]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1981}}}--[br]{{{-2 FA [[데이브 윈필드]]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1982}}}--[br]{{{-2 FA [[데이브 콜린스]]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 --{{{-1 1983}}}--[br]{{{-2 FA [[스티브 켐프]]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1984}}}[br]제프 프라이스[br]{{{-2 투수 / 전체 22번}}} || {{{-1 1985[* [[팀 벨처]]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릭 발라본[br]{{{-2 투수 / 전체 28번}}} || --{{{-1 1985}}}--[br]{{{-2 FA [[에드 윗슨]]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1986}}}--[br]{{{-2 FA [[알 홀랜드]]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 --{{{-1 1987}}}--[br]{{{-2 FA [[게리 워드]]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1988}}}--[br]{{{-2 FA [[잭 클락]]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1989}}}--[br]{{{-2 FA [[스티브 색스]]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1990}}}[br][[칼 에버렛]][br]{{{-2 외야수 / 전체 10번}}} || {{{-1 1991}}}[br]브라이엔 테일러[br]{{{-2 투수 / 전체 1번}}} || || {{{-1 1992}}}[br][[데릭 지터]][br]{{{-2 유격수 / 전체 6번}}} || {{{-1 1993}}}[br]맷 드류스[br]{{{-2 투수 / 전체 13번}}} || {{{-1 1994}}}[br][[브라이언 뷰캐넌]][br]{{{-2 1루수 / 전체 24번}}} || {{{-1 1995}}}[br]셰이 모렌즈[br]{{{-2 외야수 / 전체 27번}}} || {{{-1 1996[* FA [[랜디 벨라르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에릭 밀튼]][br]{{{-2 투수 / 전체 20번}}} || || --{{{-1 1996}}}--[br]{{{-2 FA [[케니 로저스(야구선수)|케니 로저스]]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1997[* FA [[존 웨틀랜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타이렐 갓윈]]--[br]{{{-2 외야수 / 전체 24번}}} || {{{-1 1997[*5]}}}[br][[라이언 브래들리]][br]{{{-2 투수 / 전체 40번}}} || --{{{-1 1997}}}--[br]{{{-2 FA [[데이비드 웰스]]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1998}}}[br]앤디 브라운[br]{{{-2 외야수 / 전체 24번}}} || || {{{-1 1998[* [[타이렐 갓윈]]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br]--[[마크 프라이어]]--[br]{{{-2 투수 / 전체 43번}}} || {{{-1 1999}}}[br]데이브 월링[br]{{{-2 투수 / 전체 27번}}} || {{{-1 2000}}}[br]데이브 패리시[br]{{{-2 포수 / 전체 28번}}} || {{{-1 2001[* FA [[제프 넬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존-포드 그리핀]][br]{{{-2 외야수 / 전체 23번}}} || {{{-1 2001[* FA [[데니 니글]]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브론슨 샤디나]][br]{{{-2 유격수 / 전체 34번}}} || || {{{-1 2001[*8]}}}[br]존 스캑스[br]{{{-2 투수 / 전체 42번}}} || --{{{-1 2001}}}--[br]{{{-2 FA [[마이크 무시나]]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2002}}}--[br]{{{-2 FA [[제이슨 지암비]]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2003}}}[br]에릭 던칸[br]{{{-2 3루수 / 전체 27번}}} || {{{-1 2004[* FA [[앤디 페티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필 휴즈]][br]{{{-2 투수 / 전체 23번}}} || || {{{-1 2004[*11]}}}[br]존 포터슨[br]{{{-2 포수 / 전체 37번}}} || {{{-1 2004[* FA [[데이비드 웰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제프 마르케즈]][br]{{{-2 투수 / 전체 41번}}} || --{{{-1 2004}}}--[br]{{{-2 FA [[폴 콴트릴]]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2005[* FA [[존 리버]]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C.J. 헨리[br]{{{-2 유격수 / 전체 17번}}} || --{{{-1 2005}}}--[br]{{{-2 FA [[칼 파바노]]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 {{{-1 2006[* FA [[톰 고든]]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이안 케네디]][br]{{{-2 투수 / 전체 21번}}} || {{{-1 2006[*15]}}}[br][[조바 체임벌린]][br]{{{-2 투수 / 전체 41번}}} || --{{{-1 2006}}}--[br]{{{-2 FA [[조니 데이먼]]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2007}}}[br][[앤드류 브랙맨]][br]{{{-2 투수 / 전체 30번}}} || {{{-1 2008}}}[br]--[[게릿 콜]]--[br]{{{-2 투수 / 전체 28번}}} || || {{{-1 2008[* FA [[루이스 비스카이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제레미 블라이시]][br]{{{-2 투수 / 전체 44번}}} || {{{-1 2009[* [[게릿 콜]]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br][[슬레이드 히치콕]][br]{{{-2 중견수 / 전체 29번}}} || --{{{-1 2009}}}--[br]{{{-2 FA [[마크 테셰이라]]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2010}}}[br]키토 컬버[br]{{{-2 투수 / 전체 32번}}} || {{{-1 2011[* FA [[하비에르 바스케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단테 비솃 주니어]][br]{{{-2 3루수 / 전체 51번}}} || || --{{{-1 2011}}}--[br]{{{-2 FA [[라파엘 소리아노]]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2012}}}[br]타이 헨슬리[br]{{{-2 투수 / 전체 30번}}} || {{{-1 2013}}}[br]에릭 자길로[br]{{{-2 3루수 / 전체 26번}}} || {{{-1 2013[* FA [[닉 스위셔]]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애런 저지]][br]{{{-2 중견수 / 전체 32번}}} || {{{-1 2013[* FA [[라파엘 소리아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이안 클라킨[br]{{{-2 투수 / 전체 33번}}} || || --{{{-1 2014}}}--[br]{{{-2 FA [[브라이언 맥캔]], [[자코비 엘스버리]], [[카를로스 벨트란]]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2015}}}[br][[제임스 카프렐리안]][br]{{{-2 투수 / 전체 16번}}} || {{{-1 2015[* FA [[데이비드 로버트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카일 홀더[br]{{{-2 유격수 / 전체 30번}}} || {{{-1 2016}}}[br][[블레이크 러더포드]][br]{{{-2 외야수 / 전체 18번}}} || {{{-1 2017}}}[br][[클라크 슈미트]][br]{{{-2 투수 / 전체 16번}}} || || {{{-1 2018}}}[br]애런 시글러[br]{{{-2 포수 / 전체 23번}}} || {{{-1 2019}}}[br][[앤서니 볼피]][br]{{{-2 유격수 / 전체 30번}}} || {{{-1 2019[*CBA][* CBA 지명권 ↔ [[소니 그레이]], [[레이베르 산마르틴]] 트레이드]}}}[br]T.J. 시케마[br]{{{-2 투수 / 전체 38번}}} || {{{-1 2020}}}[br][[오스틴 웰스]][br]{{{-2 포수 / 전체 28번}}} || {{{-1 2021}}}[br][[트레이 스위니]][br]{{{-2 유격수 / 전체 20번}}} || || {{{-1 2022}}}[br][[스펜서 존스]][br]{{{-2 외야수 / 전체 25번}}} || {{{-1 2023}}}[br]조지 롬바드[br]{{{-2 유격수 / 전체 26번}}} ||<-3> [[뉴욕 양키스|[[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width=70]]]] || ||<-5> * {{{-2 --취소선-- 처리된 선수는 양키스 구단과 계약하지 않은 선수[br][각주]}}} ||



||



||
[ 펼치기 · 접기 ]

#191919,#ffffff ||<table width=100%><width=20%><rowbgcolor=#132448> '''[[밀러 허긴스|{{{#ffffff 밀러 허긴스}}}]]''' ||<width=20%> '''[[루 게릭|{{{#ffffff 루 게릭}}}]]''' ||<width=20%> '''[[제이콥 루퍼트|{{{#ffffff 제이콥 루퍼트}}}]]''' ||<width=20%> '''[[베이브 루스|{{{#ffffff 베이브 루스}}}]]''' ||<width=20%> '''[[에드 바로우|{{{#ffffff 에드 바로우}}}]]''' || ||<rowbgcolor=#132448> '''[[조 디마지오|{{{#ffffff 조 디마지오}}}]]''' || '''[[미키 맨틀|{{{#ffffff 미키 맨틀}}}]]''' || '''[[조 맥카시|{{{#ffffff 조 맥카시}}}]]''' || '''[[케이시 스텡겔|{{{#ffffff 케이시 스텡겔}}}]]''' || '''[[서먼 먼슨|{{{#ffffff 서먼 먼슨}}}]]''' || ||<rowbgcolor=#132448> '''[[엘스턴 하워드|{{{#ffffff 엘스턴 하워드}}}]]''' || '''[[로저 매리스|{{{#ffffff 로저 매리스}}}]]''' || '''[[필 리주토|{{{#ffffff 필 리주토}}}]]''' || '''[[빌리 마틴|{{{#ffffff 빌리 마틴}}}]]''' || '''[[레프티 고메즈|{{{#ffffff 레프티 고메즈}}}]]''' || ||<rowbgcolor=#132448> '''[[화이티 포드|{{{#ffffff 화이티 포드}}}]]''' || '''[[빌 디키|{{{#ffffff 빌 디키}}}]]''' || '''[[요기 베라|{{{#ffffff 요기 베라}}}]]''' || '''[[앨리 레이놀즈|{{{#ffffff 앨리 레이놀즈}}}]]''' || '''[[돈 매팅리|{{{#ffffff 돈 매팅리}}}]]''' || ||<rowbgcolor=#132448> '''[[멜 앨런|{{{#ffffff 멜 앨런}}}]]''' || '''[[밥 셰퍼드|{{{#ffffff 밥 셰퍼드}}}]]''' || '''[[레지 잭슨|{{{#ffffff 레지 잭슨}}}]]''' || '''[[론 기드리|{{{#ffffff 론 기드리}}}]]''' || '''[[레드 러핑|{{{#ffffff 레드 러핑}}}]]''' || ||<rowbgcolor=#132448> '''[[재키 로빈슨|{{{#ffffff 재키 로빈슨}}}]]''' || '''[[조지 스타인브레너|{{{#ffffff 조지 스타인브레너}}}]]''' || '''[[마리아노 리베라|{{{#ffffff 마리아노 리베라}}}]]''' || '''[[티노 마르티네스|{{{#ffffff 티노 마르티네스}}}]]''' || '''[[구스 고시지|{{{#ffffff 구스 고시지}}}]]''' || ||<rowbgcolor=#132448> '''[[폴 오닐|{{{#ffffff 폴 오닐}}}]]''' || '''[[조 토레|{{{#ffffff 조 토레}}}]]''' || '''[[버니 윌리엄스|{{{#ffffff 버니 윌리엄스}}}]]''' || '''[[윌리 랜돌프|{{{#ffffff 윌리 랜돌프}}}]]''' || '''[[멜 스토틀마이어|{{{#ffffff 멜 스토틀마이어}}}]]''' || ||<rowbgcolor=#132448> '''[[호르헤 포사다|{{{#ffffff 호르헤 포사다}}}]]''' || '''[[앤디 페티트|{{{#ffffff 앤디 페티트}}}]]''' || '''[[데릭 지터|{{{#ffffff 데릭 지터}}}]]''' || '''[[|{{{#ffffff }}}]]''' || '''[[|{{{#ffffff }}}]]''' ||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1976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MVP
프레드 린
(보스턴 레드삭스)
서먼 먼슨
(뉴욕 양키스)
로드 커류
(미네소타 트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1970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
루 피넬라
(캔자스시티 로열스)
서먼 먼슨
(뉴욕 양키스)
크리스 챔블리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1973년 ~ 1975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포수 부문 골드 글러브
칼튼 피스크
(보스턴 레드삭스)
서먼 먼슨
(뉴욕 양키스)
짐 선드버그
(텍사스 레인저스)

||
[ 펼치기 · 접기 ]

#191919,#ffffff ||<table width=100%><width=20%><rowbgcolor=#132448><rowcolor=#ffffff> '''1903~1905''' ||<width=20%> '''1906~1907''' ||<width=20%> '''1908~1909''' ||<width=20%> '''1910~1912''' ||<width=20%> '''1913''' || || [[클락 그리피스]] || [[키드 엘버펠드]] || [[윌리 킬러]] || [[할 체이스]] || [[프랭크 찬스]] || ||<rowbgcolor=#132448><rowcolor=#ffffff> '''1914~1921''' || '''1922''' || '''1922~1925''' || '''1935~1939''' || '''1976~1979''' || || [[로저 페킨포]] || [[베이브 루스]] || [[에버렛 스캇]] || [[루 게릭]] || [[서먼 먼슨]] || ||<rowbgcolor=#132448><rowcolor=#ffffff> '''1982~1984''' || '''1986~1988''' || '''1991~1995''' || '''2003~2014''' || '''2023~''' || || [[그렉 네틀즈]] || [[윌리 랜돌프]][br][[론 기드리]] || [[돈 매팅리]] || [[데릭 지터]] || [[애런 저지]] || ||<-5>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New_York_Yankees_captains#Captains|#]] ||




뉴욕 양키스 등번호 15번
톰 트레시
(1961~1969)
서먼 먼슨
(1969~1979)
영구결번

파일:Thurman Munson.jpg
뉴욕 양키스 No. 15
서먼 리 먼슨
Thurman Lee Munson
출생1947년 6월 7일
사망1979년 8월 2일 (향년 32세)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출신지오하이오 애크런
학력레만 고등학교 - 켄트 주립대학교
신체180cm / 86kg
포지션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1968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4번 (NYY)
소속팀뉴욕 양키스 (1969~1979)

1. 개요
2. 아마추어 시절
3. 루 게릭을 잇다
4. 죽음
5. 연도별 성적
6. 이야깃거리
6.1. 피스크와의 악연
6.2. 기타



1. 개요[편집]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로 뉴욕 양키스에서 10년 동안 포수로 활동했다.


2. 아마추어 시절[편집]


고교 시절에는 다재다능한 만능 스포츠맨으로 활약했다.[1] 고교 1학년 때 주로 소화했던 포지션은 유격수였는데, 투수 친구를 위해 2학년 때부터 포수로 전향했다고 한다. 이후 장학금을 받고 켄트 주립대학에 입학한다.

1967년 먼슨은 케이프 코드 리그[2]에서 4할 2푼을 치며 소속팀 역사상 최초의 우승을 이끌었고, 이후 케이프 코드 리그에는 먼슨의 기록을 기념하여 그 해 타격왕에게 서먼 먼슨 상을 수여하게 된다.

1968년 드래프트에 나온 먼슨은 뉴욕 양키스의 전체 4번 지명을 받아 양키스에 입단하게 되었다.


3. 루 게릭을 잇다[편집]


1970년 신인왕에 뽑힌 것을 시작으로, 프로 커리어 11년 동안 7차례나 올스타에 뽑혔으며 양키스의 주장이라는 프리미엄을 감안한다 해도 우수한 성적이 뒷받침된 선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76년에는 아메리칸 리그 MVP 타이틀을 따기도 했다. 양키스 입장으로는 13년만의 MVP였다.

통산 타율 2할 9푼 2리에 전성기 시점인 1972년부터는 매 해 140~150경기 가까이를 꾸준히 소화하며 강력한 공격력을 갖춘 포수로 각광을 받았다. 최고 전성기라 할 수 있을 1975년부터 1978년까지의 4년 동안 서먼 먼슨은 157경기/152경기/149경기/154경기를 소화했다. MVP를 수상한 1976년의 성적은 17홈런 105타점에 14도루(11실패는 애교로 넘어가자), 3할 2리의 타율을 기록했다. 4년간 53홈런 378타점을 기록했는데, 연평균을 내면 13홈런 94타점을 매 해 올린 셈이다. 그것도 체력 부담이 막심하다는 포수 포지션을 소화하면서.

타격 스타일은 매우 공격적인 편으로 그 덕분에 볼넷이 적은 것은 아쉬운 일이지만[3] 삼진도 볼넷을 따라서 적고, 좋은 컨택과 집중력으로 안타를 쏟아내는, 파워가 좀 더 좋고 발이 느린 스즈키 이치로를 연상할 수 있을 스타일이다.

센터라인의 핵심이랄 수 이는 포수로서의 역할도 잘 해냈는데, 통산 도루 저지율이 이반 로드리게스 (.456)에 이은 2위 (.445)를 기록할 정도로 강한 어깨를 갖추고 있었다. 데뷔 시즌부터 도루 저지율이 52퍼센트에 육박했으며, 73년부터 75년까지 3년 연속 골드글러브를 수상하기도 할 정도로 수비에서도 정평이 나 있는, 포수로서도 뛰어난 선수였다.

먼슨은 또한 불같은 승부욕과 각별한 리더십으로 팀을 이끄는 훌륭한 클럽하우스의 리더이기도 했다. 그리고 그런 그는 루 게릭 이후 30여 년이 지나서야 탄생한 양키스의 공식 주장이었다.[4] 양키스의 6대 주장이 된 먼슨은 주장을 맡은 다음 해인 1977년과 1978년의 2연패를 이끌었다.


4. 죽음[편집]


그러나 먼슨은 한창 주장으로서 주가를 올리던 중이던 1979년 8월 2일 비행기 추락사고로 안타깝게 생을 마감해야 했다. 그리고 이 시기 팀의 구심점이던 먼슨을 잃고, 우수한 클로저였던 구스 고시지까지 떠나보낸 양키스는 괴짜 보스가 저지른 실수들과 함께 추락하면서 최악의 암흑기를 보낸다. 그의 등번호이던 15번은 영구결번으로 처리되었다.


5. 연도별 성적[편집]


파일:MLB 로고.svg 셔먼 먼슨의 역대 MLB 기록
연도GPAH2B3BHRRRBISBBBSOAVGOBPSLGOPSfWARbWAR
1969NYY2697221216901010.256.330.349.6790,50.3
19701325261372546595355756.302.386.415.8015.05.5
197112551711315410714265265.251.335.368.7033.54.1
19721405681431637544664758.280.343.464.7073.53.5
197314757615629420807444864.301.362.487.8496.67.2
197414457113519213646024466.261.316.381.6972.33.0
1975157661190243128310234552.318.366.429.7855.66.6
19761526651862711779105142938.302.337.432.7694.65.3
1977149638183283188510053955.308.351.462.8134.44.9
19781546671832716737123570.297.332.373.7053.03.3
1979974191101833423913237.288.340.374.7142.02.4
MLB 통산
(11시즌)
1423590515582293211369670148438571.292.346.410.75640.946.1



6. 이야깃거리[편집]



6.1. 피스크와의 악연[편집]


파일:external/www.baseball-almanac.com/Fisk_Munson_Fight_19730801.jpg

1970년대 칼튼 피스크와 먼슨 사이의 치열한 악연은 뉴욕 양키스보스턴 레드삭스 간의 살벌한 라이벌 관계를 보여주는 하나의 예로 남아 있다.

피스크와 먼슨은 툭하면 쌈박질을 일삼았는데, 같은 포지션인데다 두 팀이 전통적인 라이벌이기에 그랬던 것도 있지만, 먼슨은 자신보다 잘생긴 얼굴을 가지고 있던 피스크를 질투했었다고 한다. 왜냐하면 피스크는 잘생긴 얼굴 덕분에 올스타 팬투표도 먼슨을 압도했고 본인보다 먼저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의 커버를 두번이나 장식했으며 수많은 광고 제의가 들어왔기 때문이다. 나중에 먼슨도 광고를 찍을때 본인이 못생겼다면서 자기 디스를 시전한다. 1973년 8월 1일 경기에서는 홈으로 들어올 때 피스크가 일부러 먼슨과 부딪쳤고, 그 뒤로 먼슨과 피스크가 서로 신나게 두들겨 패면서 벤치 클리어링이 일어났다. 위의 사진은 바로 그 장면.[5]

다만 먼슨이 비행기 사고로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가장 먼저 눈물을 흘린 사람도 피스크였다고.


6.2. 기타[편집]


상당히 가정적인 인물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집이 오하이오 주에 있는지라 시즌후 아니면 원정경기때나 집을 찾았는데 당시 어린 아들이 자지않고 칭얼대면 잘 타일러서 자게 했다고. 그래서 양키스와의 계약이 끝나면 가족과 가까이 있을려고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서 뛰기를 원했지만 양키스가 끈질기게 구애를 하는 바람에 결국 무산되었다.

레지 잭슨의 별명인 '10월의 사나이'라는 별명을 지은 사람이기도 하다. 단 이건 칭찬이 아니라 비꼬는 의미로 한 말인데 양키스가 월드 시리즈에 올라간 이후 2연패를 할동안 부진한 레지 잭슨을 비꼬아서 말한 별명이지만 이후로 폭발했다. 그 뒤로도 정규시즌도 잘했지만 가을시즌이면 폭발하면서 말 그대로 '10월의 사나이'가 되었다.

루 게릭과 마찬가지로 서먼 먼슨 또한 명예의 전당 입후보 당시 5년 유예가 면제된 케이스인데, 루 게릭과는 다르게 서먼 먼슨은 15수 끝에 1995년에도 입후보하지 못하고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지 못했다.[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1:48:12에 나무위키 서먼 먼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상당수의 메이저리거들이 다재다능한 만능 스포츠맨으로 커리어를 시작하긴 한다. 조 마우어농구주전 가드/미식축구의 슈퍼스타 쿼터백/최고의 포수 세 자리를 차지했을 정도니까. 그리고 먼슨도 풋볼에서는 하프백, 야구에서는 주로 유격수, 농구에서는 가드를 봤는데 3종목 모두 주장을 맡았고, 실력은 캔튼은 물론 오하이오 주 전체에서, 그리고 3종목 모두에서 최고였다.[2] 전미 최고의 대학 유망주들이 참여하는 리그로, 나무 배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카우트들이 주목한다.[3] 1976년에는 3할 2리를 쳤는데 출루율은 3할 3푼 7리였다. 이 해 얻은 볼넷은 29개. 프로 초년에는 4~50개 가량을 얻어냈는데, 커리어 중반으로 가면서 볼넷과 타율을 바꾼 인상을 줄 정도.[4] 양키스는 공식 주장을 두는 데 인색한 편이다. 게릭 역시 전 주장 에버렛 스캇 이후 10년만에 탄생한 공식 주장이었고, 데릭 지터가 공식 주장이 된 것도 돈 매팅리가 은퇴한 1995년으로부터 8년이 지난 후였다.[5] 근데 먼슨은 체격도 그렇고 생김새가 이대호와 정말 많이 닮았다! 단 먼슨은 키가 1미터 80센티, 이대호가 1미터 94센티라는 차이가 있다.[6] 마찬가지로 비행기 사고로 사망한 로베르토 클레멘테 또한 5년 유예가 면제되고 첫 턴에 입성한 케이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