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시 시내버스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동해 방면
시내권
근덕, 원덕 방면
풍곡 방면
미로, 노곡 방면
신기, 환선굴, 도계 방면
도계 지선
하장 방면
공공형 버스
문서가 없는 노선은 삼척시 시내버스 참고.




파일:21-1(삼척).png파일:24(삼척).png
강원여객 소속 일반버스 차량.강원여객 소속 좌석버스 차량.

1. 개요
2. 운임과 사용가능한 교통카드
3. 문제점
4. 노선정보
4.1. 시내권 및 통학버스
4.2. 미로, 신기, 도계 방면 (내륙)
4.3. 호산 방면 (남행)
4.4. 태백터미널 출발
4.5. 동해시 방면



1. 개요[편집]


삼척시 시내버스는 강원여객, 영암고속, 화성고속, 굿프랜드투어[1] 4개 업체가 운영하고 있다.


2. 운임과 사용가능한 교통카드[편집]


기본 운임은 다음과 같다.
종류일반인청소년어린이
시내(현금)1,400원1,120원700원
시내(교통카드)1,260원1,010원630원
좌석(현금)2,000원1,600원1,000원
좌석(교통카드)1,860원1,490원930원

시계외 구간요금은 다음과 같다.
파일: 동해삼척 인상요금표.png

선불 버스카드로는 티머니, 캐시비, 이비카드, 마이비카드, 하나로카드, 한페이, 레일플러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후불 버스카드로KB국민카드, 비씨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NH농협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2]가 사용되고 있다. 환승 제도는 2011년 1월 1일 교통카드 도입과 함께 시행된 제도로, 하차 기준으로 1시간 이내 삼척시 소속 다른 노선의 버스를 이용할 경우 1회 무료로 환승이 가능하다. 교통카드를 사용해야 하며,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대어야 한다. 환승시 교통카드 잔액이 0원이어도 환승이 된다.

삼척-동해간 광역환승제는 2016년 7월 동해시 시내버스 개편과 동시에 시행되었다. 그러나 초반에는 동해상사 소속 버스와는 환승이 되지 않았으나, 8월 후반(추정)부터 동해상사 소속버스간에도 환승이 가능해졌다.


3. 문제점[편집]


일부 운전기사들의 난폭운전이 다소 심한 편이다. 동해시 구간으로 넘어오면 앞뒤차 간격을 무시한 채 정해진 시간보다 조발하는 건 일상이며, 삼척시 구간에서도 손님이 없으면 빠른 속도로 운행한다.

간혹가다 몇몇 정류장에 보이는 버스 시간표는 믿지 않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배차 간격이 바뀌는 빈도에 비해 시간표 최신화가 굉장히 느리다. 삼척시청 홈페이지의 노선 시간표를 보는 것이 비교적 정확한 편이다.

그러나 시청 홈페이지의 시간표 역시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대로 멋대로 일찍 출발하거나, 늦게 출발하는 경우가 가끔 있으므로 표기된 시간보다 3~5분 정도 일찍 타러가는 것이 좋다.

4. 노선정보[편집]


삼척시청 버스시간표

파일:삼척시내버스.png
삼척시 지역과 읍면 지역을 비롯하여 동해시 지역까지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태백터미널에서 출발하여 하장면 방면으로 운행하는 버스도 있다.

삼척에서 출발하는 노선은 모두 삼척종합버스정류장 주차장 옆쪽에 위치한 곳에 시간에 맞춰 버스가 들어온다.

2013년 기준 노선수요 조사서, 2018년 기준 노선수요 조사서

2023년 3월 1일 전면 개편이 시행되었다. 노선 변경 안내 3월 1일 기준 시간표. 개편 이후 3개월 간은 미세조정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하니 맹신하지 말 것.
  • 동해시처럼 노선번호가 3자릿수 위주로 변경되었다. 시내 노선은 100번대, 6번 국도 노선은 200번대, 38번 국도 노선은 300번대로 변경된다. 단 동해행 21번대와 영암화성 노선은 노선번호가 유지된다.
  • 시내 노선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운행횟수로 증편되었다.
  • 근덕면 노선 일부 편수가 근덕면사무소 기준으로 분할된다.
  • 동해행 21번대가 약 30% 감편되었다. 삼척 면허 21번대는 고정 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이후로도 시간표 곳곳에 배차 조정이 있었다. 삼척시청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시내버스 시간표를 보는 것이 좋다.이 문단 아래의 노선 정보는 (구)노선으로 버려두어야 할 정도.

4.1. 시내권 및 통학버스[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운행 횟수
100삼척터미널삼척병원, 한국전력, 정라주공, 삼척온천, 중앙시장, 삼척중학교삼척터미널1회
10삼척터미널중앙시장, 교동굴다리, e편한세상, 지월아파트, 신동아아파트, 삼척보건소, 중앙시장, 건지주공삼척터미널4회
10-1삼척터미널중앙시장, 교동굴다리, 삼척온천, 정라주공, 이사부광장, 삼척역, 삼척여고, 중앙시장, 홈플러스팰리스호텔2회
10-2삼척터미널홈플러스, 중앙시장, 삼척여고, 삼척역, 이사부광장, 정라주공, 삼척온천, 교동굴다리, 중앙시장, 삼척중학교팰리스호텔1회
10-3삼척터미널중앙시장, 교동굴다리, 신동아아파트, 정라주공, 이사부광장, 정라항팰리스호텔6회
10-4삼척터미널중앙시장, 교동굴다리, 삼척온천, 정라주공아파트, 이사부광장, 정라항팰리스호텔9회
111삼척터미널중앙시장, 삼척해수욕장, 후진, 이사부사자공원, 후진, 후진민박촌, 종합운동장, 중앙시장삼척터미널4회
15-1삼척터미널홈플러스, 중앙시장, 삼척여고, 삼척역, 삼척서부초등학교, 죽서정입구, 조비1리조비2리2회
15-2삼척터미널홈플러스, 중앙시장, 삼척여고, 삼척역, 삼척서부초등학교, 죽서정입구, 조비1리, 조비2리여삼리3회



4.2. 미로, 신기, 도계 방면 (내륙)[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운행 횟수
30삼척터미널홈플러스, 중앙시장, 마평[3], 도경리, 내미로입구, 사둔리, 내미로리, 천은사조지전2회
30삼척터미널홈플러스, 중앙시장, 도경리, 내미로입구, 사둔리, 내미로리천은사2회
30-1삼척터미널미로, 고천입구, 상정, 하사전고천, 하사전5회
31-1삼척터미널홈플러스, 상공회의소, 중앙시장, 죽서루앞, 자원동, 도경리, 무사리, 미로면사무소, 상정리, 노곡입구, 활기리활기종점3회
31-2삼척터미널홈플러스, 상공회의소, 중앙시장, 죽서루앞, 자원동, 도경리, 미로면사무소, 상정리, 노곡입구, 활기리, 신기터미널, 안의리대평리2회
31-2삼척터미널홈플러스, 상공회의소, 중앙시장, 죽서루앞, 자원동, 도경리, 미로면사무소, 상정리, 노곡입구, 활기리, 신기터미널신기역2회
32삼척터미널홈플러스, 상공회의소, 중앙시장, 죽서루앞, 자원동, 도경리, 미로면사무소, 상정리, 노곡입구, 천기리, 상천기리, 여삼입구, 노곡면사무소[4], 하월산리, 상월산리, 하군천리, 상군천리둔달리종점3회
60삼척터미널홈플러스, 중앙시장, 미로, 신기, 고무릉리, 대기입구, 대이리환선굴6회
70삼척터미널죽서루앞, 자원동, 도경리, 미로면사무소, 상정리, 노곡입구, 활기리, 신기터미널, 마차역, 고사리, 마교리도계터미널4회
80도계터미널마교리, 하고사리, 고사리, 발이리, 마차역, 대평리, 신기터미널, 고무릉리, 대기입구, 대이리환선굴4회
90삼척터미널죽서루, 도경리, 미로면사무소, 하장입구, 도마평, 미로저수지, 삼거리, 상사전리, 댓재, 숙암리, 번천리하장면사무소3회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운행 횟수
점리(아침)도계터미널38국도, 점리, 소방도, 고려의원앞, 제1교밑도계터미널1회
황조(아침)도계터미널국민은행, 협동아파트, 황조, 흥전초등학교, 구동사택, 상사택, 흥전초등학교도계터미널1회
흥전항도계터미널구동사택흥전항2회
황조(도원관)도계터미널단위농협뒤, 읍사무소앞, 38국도, 농협경제사업장, 도원관황조1회
점리(오전)도계터미널단위농협뒤, 읍사무소앞, 38국도, 보건소앞점리1회
황조(도계캠퍼스)도계터미널단위농협뒤, 읍사무소앞, 38국도, 도원관, 황조도계캠퍼스3회
도원동도계터미널상사택, 단위농협뒤, 읍사무소앞, 38국도구종점 농협경제사업장(도원동)2회
황조도계터미널단위농협뒤, 읍사무소앞, 38국도, 경제사업장황조2회
점리(저녁)도계터미널단위농협뒤, 읍사무소앞, 38국도, 보건소앞, 점리, 38국도, 경제사업장, 고려의원도계터미널1회
※매월 4,9,14,19,24,29일 도계장날에는 도원동,황조,도계캠퍼스,점리행 차량은 38국도로 우회운행한다.(도계역앞-38국도-경제사업장)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운행 횟수
무번호도원관황조도계캠퍼스수시


4.3. 호산 방면 (남행)[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운행 횟수
20-1삼척터미널홈플러스, 중앙시장, 진주초교, 삼척역, 오분동, 맹방, 근덕농협, 교곡1리, 노곡면사무소, 하월산, 상월산, 하군천, 상군천둔달종점3회
20-2삼척터미널홈플러스, 중앙시장, 삼척병원, 삼척역, 오분동, 맹방리, 근덕농협, 교곡1리교곡2리2회
21삼척터미널홈플러스, 중앙시장, 삼척병원, 삼척역, 오분동, 맹방, 근덕농협, 광태, 동막, 내평, 하마읍, 중마읍상마읍(독가촌)1회
21-4삼척터미널홈플러스, 중앙시장, 삼척병원, 삼척역, 오분동, 맹방, 근덕농협, 광태, 동막, 내평, 하마읍, 주지[5], 중마읍상마읍(독가촌)1회
21-5삼척터미널홈플러스, 중앙시장, 삼척병원, 삼척역, 오분동, 맹방, 근덕농협, 광태, 동막, 내평, 하마읍, 주지[6], 중마읍상마읍(독가촌)1회
220삼척터미널홈플러스, 중앙시장, 진주초교, 삼척역, 오분동, 맹방, 근덕농협, 근덕면사무소, 근덕농협, 상맹방2리금계2회
23삼척터미널홈플러스, 중앙시장, 삼척병원, 삼척역, 오분동, 맹방, 근덕농협, 덕산, 부남, 대진, 궁촌, 매원구마(영은사)5회
240삼척터미널홈플러스, 중앙시장, 삼척병원, 삼척역, 오분동, 맹방, 근덕농협, 동막, 궁촌레일바이크, 초곡, 황영조기념공원, 용화, 장호항, 갈남, 신남, 임원항, 노곡, 작진,호산터미널13회
51호산터미널노경, 산양리, 기곡리, 탕곡리, 오저리풍곡[7]2회
노경, 산양리, 기곡리, 탕곡리, 오저리, 풍곡리연화[8]4회
동활1회


4.4. 태백터미널 출발[편집]


태백시 시내버스지만 삼척시에 독점 구간이 있기에 기재한다.

번호(태백)출발지주요 경유지종점운행 횟수
1330태백터미널피재, 상사미, 조탄, 숙암, 하장면사무소, 장전, 갈전, 토산덕암1회
1340 / 1350피재, 상사미, 조탄, 숙암, 하장면사무소, 장전, 추동, 역둔, 백전, 어리[9]판문2회


4.5. 동해시 방면[편집]


동해시 시내버스 업체인 동해상사와 공동 배차하여 운행중이다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및 회수
21-1(강원여객 삼척영업소)사문재발한, 시외버스터미널, 천곡, 동해시청, 주공4차아파트, 효가사거리, 동해역, 북평, 증산,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삼척터미널38회, 37회[가]
21-1(동해상사)노봉사문재, 발한삼거리, 묵호역, 고속버스터미널, 주공6차아파트, 시외버스터미널.천곡동, 동해시청, 주공4차아파트, 효가사거리, 동해역, 북평, 증산,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삼척터미널12회, 16회[가]
21-2(강원여객 삼척영업소)사문재발한, 향로동, 고속버스터미널, 주공6차아파트, 천곡, 동해시청, 주공4차아파트, 효가사거리, 대동아파트, 북평, 증산,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삼척터미널4회
21-2(동해상사)노봉[10]발한삼거리, 묵호역, 시외버스터미널, 양지마을, 북평중학교, 동해시청,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삼척의료원삼척터미널4회
21-3(강원여객 삼척영업소)[나]사문재발한삼거리, 묵호역, 고속버스터미널, 엘리시아아파트, 시외버스터미널, 천곡동, 동해시청, 주공4차아파트, 효가사거리, 북평동,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삼척터미널18회,20회[가]
21-4(동해상사)[나]노봉대진[11], 발한삼거리, 묵호역, 고속버스터미널, 엘리시아아파트, 시외버스터미널, 천곡동, 동해시청, 주공4차아파트, 효가사거리, 북평동,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삼척터미널14회,9회[가]
112(강원여객 삼척영업소)동해동해항, 북평, 추암, 쏠비치삼척, 후진,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삼척터미널4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9:46:24에 나무위키 삼척시 시내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오랍드리버스. 좌석형 시내버스 한정면허다.[2] 롯데카드, 현대카드는 T형 아니면 MT형만 사용 가능.[3] 오전에는 복로에, 오후에는 왕로에 경유한다.[4] 막차는 노곡회차[5] 하행시 경유[6] 상행시 경유[7] 1회 오목리 경유[8] 2회 고적,사곡,산양서원 경유, 1회 오목리 경유[9] 막차만 손님이 있을시 경유[가] A B C D 삼척방면, 동해방면 순서[10] 일부 대진,묵호등대 경유[나] A B 동해역 미경유[11] 부분 묵호등대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