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이타마현 제1구

덤프버전 :


기타칸토 지방 국회의원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 중의원 의원 ]

이바라키 1구이바라키 2구이바라키 3구이바라키 4구이바라키 5구
후쿠시마 노부유키누카가 후쿠시로하나시 야스히로가지야마 히로시아사노 사토시
이바라키 6구이바라키 7구도치기 1구도치기 2구도치기 3구
구니미쓰 아야노나가오카 게이코후나다 하지메후쿠다 아키오야나 가즈오
도치기 4구도치기 5구군마 1구군마 2구군마 3구
사토 쓰토무모테기 도시미쓰나카소네 야스타카이노 도시로사사가와 히로요시
군마 4구군마 5구사이타마 1구사이타마 2구사이타마 3구
후쿠다 다쓰오오부치 유코무라이 히데키신도 요시타카기카와다 히토시
사이타마 4구사이타마 5구사이타마 6구사이타마 7구사이타마 8구
호사카 야스시에다노 유키오오시마 아쓰시나카노 히데유키시바야마 마사히코
사이타마 9구사이타마 10구사이타마 11구사이타마 12구사이타마 13구
오쓰카 다쿠야마구치 스스무고이즈미 류지모리타 도시카즈쓰치야 시나코
사이타마 14구사이타마 15구사이타마 16구
미쓰바야시 히로미다나카 료세이공석1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오미 아사코후지오카 다카오노나카 아쓰시이시이 게이이치마키하라 히데키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나카무라 기시로사와다 료다도코로 요시노리고미야마 야스코시오카와 데쓰야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이시카와 아키마사고시미즈 게이이치이가라시 기요시사카모토 유노스케나카네 가즈유키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
다카하시 히데아키스즈키 요시히로아오야마 야마토후쿠시게 다카히로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사이타마현 제1구
埼玉県第1区
||
파일:shuinsen_Saitama1.svg
선거인 수382,839명 (2022)
상위 도도부현사이타마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무라이 히데키




1. 개요[편집]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의 옛 우라와시 생활권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현재는 사이타마시의 옛 우라와시 지역 일부[1]+옛 오미야시 지역 일부[2]+옛 이와츠키시 지역[3] 전체를 관할하는 일본중의원 선거구다. 1구 선거구답게 사이타마현의 핵심지를 관할하는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무라이 히데키.


2. 상세[편집]


나카소네 야스히로, 가이후 도시키, 오부치 게이조내각에서 각료를 맡았던 자민당의 중진 마쓰나가 히카루가 소선거구제 도입이후 처음 당선되었으나, 이는 공산당으로 표가 많이 갈린 영향이었고, 두 번째 선거에서 마쓰시타 정경숙 출신인 민주당 다케마사 고이치 후보에게 일격을 당한 이후 민주당의 우세 선거구가 되었다.

하지만 민주당 정권이 몰락한 제46회 총선 이후 다시 자민당 우세 지역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갈수록 자민당 무라이 히데키 후보와 야당 후보인 다케마사 고이치와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다케마사 고이치는 48회 총선에서는 석패율 제도로도 구제받지 못하고 7선 도전에 실패했다.

이후 민주당에서 비교적 보수적인 성향을 가진 다케마사 고이치 전 의원은 공산당과의 야권 표 분열이 당선 실패의 가장 큰 요인이라고 생각했는지, 낙선 직후 예상대로 중도 정당인 국민민주당이 아니라 공산당과의 연대를 추진한 중도좌파 정당인 입헌민주당에 입당했고 정치성향도 약간 왼쪽으로 이동했다. 하지만 야권연대가 큰 인기를 얻지 못했고, 2021년 제49회 총선에서 다시 패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사이타마현 제1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마쓰나가 히카루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다케마사 고이치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무라이 히데키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1구
우라와시, 와라비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츠나가 히카루85,109표1위


38.96%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하마다 다쿠지로79,930표2위


36.5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토미즈카 렌조46,243표3위


21.17%낙선
파일:덕주회.png나카고리 사토시7,177표4위

자유연합

3.27%낙선
유효표 수198,680표투표율
54.40%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1구
우라와시, 와라비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케마사 고이치105,783표1위


42.6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츠나가 히카루87,358표2위


35.2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요시노 료지34,973표3위


14.10%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아마타츠 타케오19,887표4위


8.02%낙선
유효표 수220,149표투표율
58.17%
선거인 수

현역 의원인 자민당 마츠나가 히카루 후보가 패배하면서, 장인인 마츠나가 도우 전 중의원의장 시절부터 68년간 이어온 마츠나가 가문의 의원직 승계도 마침내 끝난다. 마츠나가 히카루는 이후 지역구를 새로 신설된 사이타마현 제15구로 옮기지만, 그 선거구에서도 패배하는 바람에 정계를 은퇴한다.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1구
사이타마시 미누마구, 우라와구, 미도리구, 이와츠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케마사 고이치117,587표1위


56.27%당선
파일:보수신당 로고.png가네코 젠지로59,910표2위


28.6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토 가쿠16,257표3위


7.78%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아마타츠 타케오8,960표4위


4.29%낙선
,ニュディ,야마구치 세츠오6,237표5위
뉴딜모임

2.98%낙선
유효표 수212,541표투표율
53.56%
선거인 수

초선인 민주당 다케마사 고이치 의원이, 과반의 득표율로 무난히 당선되었다. 자민당은 자당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고, 대신 보수신당 가네코 젠지로 후보를 지원했다.

가네코 젠지로는 지난 총선에서 민주당 소속 비례대표 의원으로 처음 당선되었으나 이후 탈당해 보수신당에 합류했다. 사실 보수신당은, 기존 자민당과의 연립정당인 보수당은 지난 총선에 후보를 냈기에 비례대표 의원이 입당하면 의원직을 잃으며, 이를 피하기 위한 꼼수용으로 재창당을 했다.

아무래도 보수신당 재창당을 비롯해 가네코 후보 본인과 주변의 정치행보가 바람직스럽지 않았고, 또 자민당 후보가 직접 출마하지 않았기에, 민주당 다케마사 후보가 압승했다. 한편 3위로 낙선한 공산당 이토 가쿠 후보는 참의원 선거로 눈을 돌려, 3번의 낙선 끝에 2019년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사이타마현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1구
사이타마시 미누마구, 우라와구, 미도리구, 이와츠키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케마사 고이치115,262표1위


44.2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네코 젠지로112,340표2위


43.08%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토 가쿠19,319표3위
7.41%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이케다 마사요13,869표4위
5.32%낙선
유효표 수209,846표투표율
65.29%
선거인 수405,970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1구
사이타마시 미누마구, 우라와구, 미도리구, 이와츠키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케마사 고이치163,973표1위
60.9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네코 젠지로77,988표2위
[4]28.9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토 가쿠23,623표3위
8.78%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우츠미 히로유키3,615표4위
1.34%낙선
유효표 수185,603표투표율
65.31%
선거인 수419,401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1구
사이타마시 미누마구, 우라와구, 미도리구, 이와츠키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무라이 히데키96,242표1위
[5]39.74%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케마사 고이치76,583표2위
[6]31.62%비례당선
파일:다함께당 로고.png히이로 타카요시42,451표3위
[7]17.5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오야기 신지18,503표4위
7.64%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가와카미 야스마사8,396표5위
3.47%낙선
유효표 수150,855표투표율
58.13%
선거인 수428,119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1구
사이타마시 미누마구, 우라와구, 미도리구, 이와츠키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무라이 히데키105,760표1위
[8]46.9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케마사 고이치82,857표2위
36.77%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마츠무라 토시오28,259표3위
12.54%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마츠모토 쇼8,492표4위
3.77%낙선
유효표 수150,855표투표율
53.23%
선거인 수435,352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1구
사이타마시 미누마구 일부, 우라와구, 미도리구, 이와츠키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무라이 히데키106,699표1위
[9]46.88%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다케마사 고이치75,716표2위
33.2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도바 메구미33,593표3위
14.76%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고히야마 기요토11,577표4위
5.09%낙선
유효표 수227,585표투표율
51.85%
선거인 수449,270인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1구
사이타마시 미누마구 일부, 우라와구, 미도리구, 이와츠키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무라이 히데키120,856표1위
[10]47.58% 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다케마사 고이치96,690표2위
38.07%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요시무라 고스케23,670표3위
9.32%낙선
사토 마나미11,540표4위
4.54%낙선
나카지마 도쿠지1,234표5위
0.49%낙선
유효표 수253,990표투표율
55.48%
선거인 수465,306인

현역 자민당 무라이 히데키 의원과 입헌민주당 다케마사 고이치 전 의원이 재대결한다. 이번이 4번째 대결이다. 지난 3번의 대결은 무라이 의원이 모두 이겼다.

지난 총선에서 후보를 낸 공산당은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다. 일본 유신회는 요시무라 코스케 전 와코시의회 의원을 공천했다. 요시무라 후보는 가장 최근까지는 참의원의원 비서를 지냈다.

이 외에도 여성 디자이너인 사토 마나미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한다.# 회사원 출신인 나카지마 도쿠지 후보도 무소속으로 출마한다.

투표 결과 자민당 무라이 히데키 후보가 승리, 4연승을 거두었다. 입헌민주당 다케마사 고이치 후보는 이번에도 패배, 국회 복귀가 좌절되었다. 자민당 무라이 후보의 득표율은 지난 총선과 비교해 별 차이가 없었으나, 그 대신 입헌민주당 다케마사 후보가 유신회 후보의 출마등으로 인해 지난 총선처럼 야권표를 제대로 결집시키지 못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의 중의원 선거구가 1개 늘어나면서 관할 구역이 조정되었다. 이와츠키구가 신설되는 16구로 넘어갔으며, 5구에 속하던 미누마구 일부를 넘겨받으며 구 경계 분할을 해소했다.

자민당에서는 무라이 히데키 의원의 5선 도전이 예상된다.

입헌민주당에서는 다케마사 고이치 전 의원이 지난 선거 이후에도 계속 지부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7선 도전이 예상된다. 다만 이번에 패배하면 지역구에서 5번 연속으로 패하는 것이고, 또 지난 두 번의 총선에서는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도 중의원에 복귀하지 못하고 있어 이번 선거가 아주 절실하다.

유신회에서는 후보를 교체했다. 아사노메 요시히데 전 사이타마현의회 현의원(4선)이 출마한다. 참정당에서는 사이토 히로미 후보가 공인을 받았다.

[1] 우라와구, 미도리구. 옛 우라와시에 속하는 또다른 지역인 미나미구, 사쿠라구는 사이타마현 제15구에 속한다.[2] 미누마구. 일부 지역은 옛 오미야시 지역 대부분을 관할하는 사이타마현 제5구에 속한다.[3] 지금의 이와츠키구[4] 추천[5] 추천[6] 추천[7] 추천[8] 추천[9] 추천[10]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