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점바드 킹덤 브루넬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100 Greatest Britons
※ 2002년 영국 BBC 방송이 영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영국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2위3위4위5위
윈스턴 처칠이점바드 킹덤 브루넬다이애나 스펜서찰스 다윈윌리엄 셰익스피어
6위7위8위9위10위
아이작 뉴턴엘리자베스 1세존 레논호레이쇼 넬슨올리버 크롬웰
11위~100위
[ 펼치기 · 접기 ]

11위12위13위14위15위
어니스트 섀클턴제임스 쿡로버트 베이든 파월알프레드 대왕아서 웰즐리
16위17위18위19위20위
마거릿 대처마이클 크로포드빅토리아 여왕폴 매카트니알렉산더 플레밍
21위22위23위24위25위
앨런 튜링마이클 패러데이오와인 글린두르엘리자베스 2세스티븐 호킹
26위27위28위29위30위
윌리엄 틴들에멀린 팽크허스트윌리엄 윌버포스데이비드 보위가이 포크스
31위32위33위34위35위
레오나르드 체셔에릭 모어캠브데이비드 베컴토머스 페인부디카
36위37위38위39위40위
스티브 레드그레이브토머스 모어윌리엄 블레이크존 해리슨헨리 8세
41위42위43위44위45위
찰스 디킨스프랭크 휘틀존 필존 로지 베어드어나이린 베번
46위47위48위49위50위
보이 조지더글러스 베이더윌리엄 월레스프랜시스 드레이크존 웨슬리
51위52위53위54위55위
아서 왕플로렌스 나이팅게일토머스 에드워드 로렌스로버트 스콧이넉 파월
56위57위58위59위60위
클리프 리처드알렉산더 그레이엄 벨프레디 머큐리줄리 앤드류스에드워드 엘가
61위62위63위64위65위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조지 해리슨데이비드 애튼버러제임스 코널리조지 스티븐슨
66위67위68위69위70위
찰리 채플린토니 블레어윌리엄 캑스턴바비 무어제인 오스틴
71위72위73위74위75위
윌리엄 부스헨리 5세알레이스터 크로울리로버트 1세밥 겔도프 (아일랜드인)
76위77위78위79위80위
무명용사로비 윌리엄스에드워드 제너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찰스 배비지
81위82위83위84위85위
제프리 초서리처드 3세J. K. 롤링제임스 와트리처드 브랜슨
86위87위88위89위90위
보노 (아일랜드인)존 라이든버나드 로 몽고메리도날드 캠벨헨리 2세
91위92위93위94위95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J. R. R. 톨킨월터 롤리에드워드 1세반스 월리스
96위97위98위99위100위
리처드 버튼토니 벤데이비드 리빙스턴팀 버너스리마리 스톱스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FRS MInstCE
이점바드 킹덤 브루넬
Isambard Kingdom Brunel
파일:502px-Robert_Howlett_(Isambard_Kingdom_Brunel_Standing_Before_the_Launching_Chains_of_the_Great_Eastern),_The_Metropolitan_Museum_of_Art_(cropped).jpg
출생1806년 4월 9일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햄프셔주 포츠머스
사망1859년 9월 15일 (향년 53세)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
직업공학자
신장152cm[1]
학력앙리 4세 고등학교
캉 노르망디 대학교
배우자메리 엘리자베스 호슬리 (1836년 결혼 / 1813–81)
자녀이점바드 브루넬 주니어 (1837–1902)
헨리 마크 브루넬 (1842–1903)
플로렌스 메리 브루넬 (1848–1876)
성명미상 1녀 (?–? / 요절)
서명파일:이점바드 킹덤 브루넬 서명.svg

1. 개요
2. 업적
2.1. 토목왕
2.2. 기계왕
3. 기타



1. 개요[편집]


프랑스 혁명 당시 혁명정부의 탄압을 피해 영국으로 망명한 TBM의 개발자이기도 한 마크 이점바드 브루넬(Marc Isambard Brunel, 1769–1849)[2]의 아들로, 영국의 가장 위대한 공학자로 손꼽히는 인물이다. 영국에서는 단순한 공학자 수준이 아니라 그가 엘리자베스 1세, 윌리엄 셰익스피어보다 더 위대하게 꼽힌다는 설문조사가 있다. 즉, BBC가 조사한 가장 위대한 영국인 중 2위를 차지한다. 영국은 산업 혁명의 시초인 나라인만큼 공학자도 매우 명예롭게 여길 수 있기 때문이다.

폭약을 이용한 터널 개발을 최초로 주도했고, 최초로 대서양을 횡단한 기선을 설계했고, 광궤 철도를 만들었으며[3], 현수교(클리프턴 현수교)를 처음으로 설계했다.


2. 업적[편집]



2.1. 토목왕[편집]


토목공학에서 그의 가장 큰 업적은 복스 터널과 메이든헤드 다리[4], 쳅스토 & 살타시(로열 앨버트) 다리, 위에서 언급된 클리프턴 현수교이고, 모두 잉글랜드에 있다. 또한 다리의 교각기초를 가라앉히기 위해서 압축공기 잠함을 사용함으로써 수중이나 지하건축물에서 압축공기 기술이 받아들여지는 데 이바지했다.

런던 패딩턴 역에 그의 동상이 있으며, 런던–브리스톨 간을 잇는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는 그가 놓았던 사철이다. 불과 27세의 나이에 책임자가 되어 공사를 완료시켰다. 그가 생애 동안 놓은 철도는 총 연장 3200 km라고 한다. 하지만 이쪽으로는 업적에 비해 유명세가 낮은 편인데, 그보다 한 발 앞서서 "철도"라는 근대적인 교통수단을 창조하다시피 한 조지 스티븐슨이 있기 때문이다. 브루넬도 이쪽에 끼친 업적이 적지 않지만 조지 스티븐슨의 업적이 워낙에 대단해서 밀린 케이스.


2.2. 기계왕[편집]


기계공학에서 그의 가장 큰 업적은 역시 증기기관선 건조다. 그의 3부작은 그레이트 웨스턴호(1837), 그레이트 브리튼호(1843), 그레이트 이스턴호(1858)로, 3척 모두 진수할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배였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oseph_Walter_-_The_'Great_Western'.jpg
  • 목제 외륜증기선인 그레이트 웨스턴호는 정기적으로 대서양 횡단 운항을 한 최초의 기선.

파일:external/www.ssgreatbritain.org/1843.jpg
  • 강철선체 기선인 그레이트 브리튼호는 스크류 프로펠러로 움직이는 최초의 대형선박이었다. 하지만 대서양 이상의 항로에서는 연료를 추가 공급 받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파일:external/www.ikbrunel.org.uk/GreatEasternengraving.jpg
  • 그레이트 이스턴호는 외륜과 스크루로 추진되었으며, 2중 강철선체로 된 최초의 선박이었다.[5] 진수(進水)할 당시 이 배는 배수량 18,914t, 길이 211m를 자랑하는 세계 최대의 선박이었다. 속력을 14.5Kn(노트:시속 27㎞)까지 올리고 추진장치들을 번갈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해 외륜 엔진 2개와 스크루 엔진 2개, 돛대 6개를 달았다. 1889년 해체되었으나 1898년까지 40년간 가장 큰 선박[6]이었던 그레이트 이스턴은 뉴욕-런던(리버풀), 런던-인도를 오갔다. 특히 파리 만국 박람회를 위해 대서양을 오간 1867년의 항해는 유명해서, SF 소설가 쥘 베른도 이 배를 탑승하고 "떠 있는 도시(Une Ville flottante)"라는 글을 썼다. 사실 이 배는 당시 너무 큰 배수량에 인한 적자운용으로 여객선으로는 성공하지 못했지만[7], 1874년 전신을 위한 대서양 해저 케이블을 성공적으로 설치하여 명성을 얻었다. 현재 그레이트 이스턴호의 톱 마스트는 1891년 FC 리버풀이 창설될때 그들의 깃대로 사용되고 있다.

그 외에도 크림 전쟁에서 대포를 개량하고, 조립식 병동이나 장갑거룻배(장갑함)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3. 기타[편집]


  • 파리의 한 교량을 보고 "물고기 밥이 되기 싫다면 저 다리를 건널 시도 따위는 하지 마라." 라고 말했고, 며칠 뒤 그 교량은 스스로 붕괴했다는 설화가 존재한다. 그만큼 뛰어난 공학자임을 증명하는 일화다.

  • 키가 152cm로 매우 작았다. 자신의 작은 키에 콤플렉스가 있는지 20cm 짜리의 모자를 쓰고 다녔다.


[1] Pamela Parkes, "Isambard Kingdom Brunel: The engineering giant with 'short man syndrome'", 「BBC」, 2018.3.23.[2] 런던 지하철에서 아직도 이용되고 있는 템스강하저터널을 지은 사람이다.[3] 물론 생전에 표준궤에 밀렸다.[4] 세계에서 가장 평평한 벽돌 아치다.[5] 이스턴 해운회사와 그레이트 선박회사의 배.[6] 당시 두번째로 큰 선박보다 4배나 커서 중간 급유가 필요 없었다고 한다.[7] 이 배가 해체된 이후 세계에서 가장 큰 여객선 타이틀을 가져온 시티 오브 뉴욕호의 배수량은 10,500t에 불과했다. 길이로 봤을 땐 1899년 진수된 오셔닉 호가 약 4m 길었지만 배수량은 1700t 가량 적었으며, 배수량까지 포함하면 1901년 진수된 켈틱 호까지 와서야 그레이트 이스턴호의 크기를 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