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FC 1995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구단의 2023 시즌에 대한 내용은 부천 FC 1995/2023년 문서
부천 FC 1995/2023년번 문단을
부천 FC 1995/2023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구단의 20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부천 FC 1995/2024년 문서
부천 FC 1995/2024년번 문단을
부천 FC 1995/2024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파일:부천 FC 1995 워드마크(국문/화이트).svg
파일:부천 FC 1995 워드마크(영문/화이트).svg
정식 명칭파일:부천 FC 1995 워드마크(국문/컬러).svg
영문 명칭파일:부천 FC 1995 워드마크(영문/컬러).svg (BFC)
법인명㈜부천에프씨1995
창단2007년 12월 1일(16주년)
구단 형태사회적 협동조합
소속 리그
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svg
연고지경기도 부천시
홈구장부천종합운동장 (34,456석)
라이벌 - 032 더비
- 연고 이전 더비
구단주조용익 (부천시장)
대표이사정해춘[1]
단장김성남
감독이영민
주장김호남
부주장김준형, 이주현
셔츠 프린팅BUCHEON
상징색빨간색, 암적색, 검은색, 금색
마스코트파일:헤르(마스코트).png 파일:보라(마스코트).png
헤르, 보라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2]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3]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4]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팬 커뮤니티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구단 기록
[ 펼치기 · 접기 ]

최고 이적료 영임- (-년, From , 원)
최고 이적료 방출- (-년, To , 원)
최다 출장닐손주니어 (142경기)[1]
최다 득점닐손 주니어 (27득점)
최다 도움문기한 (25도움)
최다 공격 포인트진창수 (36포인트)

[1] 2023년 3월 4일 성남 FC전에서 달성.
구단 수상
[ 펼치기 · 접기 ]

2016 3차(31R~44R) 팬 프렌들리 클럽
2017 1차(1R~12R) 팬 프렌들리 클럽
2019 K리그 사랑 나눔상

개인 수상
[ 펼치기 · 접기 ]
유소년 체계
[ 펼치기 · 접기 ]

18세 이하
(U-18)
부천 FC 1995 U-18
15세 이하
(U-15)
부천 FC 1995 U-15
12세 이하
(U-12)
부천 FC 1995 U-12


2021 시즌 유니폼
파일:150757791_264159958672800_3837249404468248934_n.jpg
파일:150329040_934390423980924_4444502049649676756_n.jpg
파일:149858270_1166180343836631_108003090332460750_n.jpg
파일:149937663_114653603943004_6358490578593609398_n.jpg
어웨이GK 홈GK 어웨이
2021 시즌 스폰서
메인 스폰서전면 스폰서후면 스폰서용품 스폰서
파일:부천시 BI.svg파일:external/www.sc.or.kr/logo.png파일:onSemiconductor.png파일:카파(브랜드) 로고 세로형.svg

The Reds Pride!
파일:Bucheonfc1995_Catchphrase_2023.jpg

1. 개요
2. 시즌별 일람
3. 역사
4. 색상 일람
5. 코칭 스태프 명단
6. 선수 명단
7. 타 구단과의 관계
8. 역대 감독
9. 역대 주장
10. 유니폼
11. 50경기 이상 출장 선수
12. 팬덤
12.1. 서포터즈 - 헤르메스
12.2. 팬 사이트 - BFC팬페이지
14. 마스코트
15. 사건사고
16. 여담
1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07년경기도 부천시를 연고로 창단한 K리그2 소속의 프로 축구단이다. FC 안양과 함께 K리그2 창설부터 현재까지 줄곧 자리를 지키고 있는 K리그2 원년 구단이다.

2006년 2월 2일 부천 SK가 뜬금없이 제주도로 연고지를 이전하자 부천 서포터즈헤르메스가 주축이 되어 만든 축구단으로 2008년 K3리그 참가, 2013년에는 K리그2에 입성했다. 팬들이 중심이 되어 창단한 구단이 프로 입성에 성공한 재미있는 사례. 이웃나라 일본의 J리그에도 요코하마 FC 같은 비슷한 곳이 있다. 구단명에 붙어있는 1995는 부천 SK의 전신인 유공 코끼리 구단의 팬들이 응원을 위해 최초로 뭉친 해인 1995년을 뜻한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의 지나친 상업화를 우려한 팬들이 만든 FC 유나이티드 오브 맨체스터(당시 7부 리그)[5]SK텔레콤의 후원으로 친선 경기를 가져 2만여 명의 관중이 들어차기도 했다. 사실 FC 유나이티드보다 부천 FC와 가까운 잉글랜드 구단은 비슷한 이유로 연고지 구단잃어버린 AFC 윔블던.[6]

K리그 구단 중 거의 유일하게 협동조합 체제를 갖추고 있다.[7] 인가는 2015년 9월에 났고 본격적 개시는 2016년이었다.#


2. 시즌별 일람[편집]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부천 FC 1995
시즌별 일람
||
시즌리그FA컵ACLCWC
디비전리그순위경기승점
20083부K3리그133087154353-1031---
2009챌린저스 리그43217966237+2560---
2010챌린저스 리그72514475035+15462라운드--
2011챌린저스 리그8228593731+6291라운드--
2012챌린저스 리그82512585229+23411라운드--
20132부K리그 챌린지73589184561-16332라운드--
2014K리그 챌린지103669213352-192732강--
2015K리그 챌린지5401510154345-25532강--
2016K리그 챌린지4411910125035+15674강--
2017K리그 챌린지536157145046+45216강--
2018K리그2836116193750-13393라운드--
2019K리그24371410135052-2513라운드--
2020K리그282775151936-17262라운드--
2021K리그21036910173253-21373라운드--
2022K리그25411710145447+7618강--
2023K리그2-37-------2라운드--


3.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부천 FC 1995/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색상 일람[편집]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부천 FC 1995 색상 일람
상징색PantoneCMYKRGB
RedPantone 2347 C C0 M99 Y100 K0 R204 G0 B0
Dark RedPantone 2350 C C20 M97 Y96 K11 R153 G51 B51
GoldPantone 871 C C20 M25 Y60 K25 R153 G153 B102
BlackPantone Black 6 C K100 R0 G0 B0


5. 코칭 스태프 명단[편집]


직책한글 성명로마자 성명국적생년월일
감독이영민Lee Young-Mi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3년 12월 20일
수석코치민영기Min Yong-Ki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6년 3월 28일
골키퍼 코치김지운Kim Jee Woo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6년 11월 13일
피지컬 코치김형록Kim Hyeong-Ro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12월 6일
플레잉 코치고경민Ko Kyung-Mi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7년 4월 11일
스카우트조범석Cho Beom-Seo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0년 1월 9일
전력분석관박성동Park Seong-Do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0년 6월 17일
팀매니저조용훈Cho Yong-H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5년 11월 28일
통역강샛별Kang Saet-Byeol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3년 7월 13일
의무트레이너최환석Choi Hwan-Seo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12월 28일
의무트레이너박순호Park Sun-Ho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6년 5월 31일
의무트레이너유호준You Ho-J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8년 3월 14일




6. 선수 명단[편집]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 조건비고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이주현Lee Ju-hyun1998년 12월 6일188cm, 78kg부주장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재우Park Jae-woo1998년 3월 6일174cm, 69kg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동희Lee Dong-Hee2000년 2월 7일186cm, 82kg
5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용혁Lee Yong-Hyeok1996년 8월 3일188cm, 85kg
6파일:브라질 국기.svgMF닐손주니어Nilson Júnior1989년 3월 31일185cm, 85kg
7파일:브라질 국기.svgMF하모스Gabriel Ramos1996년 3월 20일184cm, 74kg
8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준형Kim Joon-Hyung1996년 4월 5일177cm, 73kg부주장
9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보용Kim Bo-yong1997년 7월 15일177cm, 74kg
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조수철Cho Soo-chul1990년 10월 30일180cm, 71kg
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안재준An Jae-Jun2001년 4월 3일180cm, 71kg
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김현엽Kim Hyeon-Yeob2001년 8월 22일187cm, 82kg
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최재영Choi Jae-young1998년 3월 18일181cm, 73kg
15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송진규Song Jin-Kyu1997년 7월 12일176cm, 72kg
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추정호Chu Jung-ho1997년 12월 9일182cm, 73kg
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김규민Kim Kyu-Min2000년 1월 20일174cm, 70kg
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이의형Lee Eui-Hyeong1998년 3월 3일183cm, 72kg
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호남Kim Honam1989년 6월 14일178cm, 72kg주장
20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서명관Seo Myeong-Kwan2002년 11월 23일186cm, 77kg[a]
21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형진PARK Hyung-jin1990년 6월 24일182cm, 75kg
22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한지호Han Ji-ho1988년 12월 15일180cm, 74kg
23파일:일본 국기.svgMF카즈Takahashi Kazuki1996년 10월 6일178cm, 73kg
24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홍성욱Hong Sung-Wook2002년 9월 17일187cm, 77kg[a]
25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이범수Lee Bum-Soo1990년 12월 10일190cm, 85kg
27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규민Kim Kyu-min2003년 3월 15일171cm, 63kg[a]
28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현기Lee Hyun-Ki2003년 11월 21일181cm, 74kg[a]
29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정희웅Jeong Hee-Woong1995년 5월 18일175cm, 67kg
37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선호Kim Sun-Ho2001년 3월 29일180cm, 70kg
40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남현욱Nam Hyun-wook2004년 2월 23일189cm, 79kg[a]
42파일:포르투갈 국기.svgFW루페타Jucie Lupeta1993년 3월 24일188cm, 84kg
44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정수환Jeong Su-Hwan2001년 10월 26일188cm, 80kg
66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유승현Yu Seung-Hyun2003년 6월 4일176cm, 70kg[a]
77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강재우Kang Jae-Woo2000년 5월 30일180cm, 72kg
87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고경민Ko Kyung-Min1987년 4월 11일177cm, 73kg플레잉코치
88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정빈Lee Jeong-Bin1995년 1월 11일173cm, 63kg
99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박호민Park Ho-Min2001년 10월 9일191cm, 85k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조윤형Jo Yoon-hyeong1996년 6월 2일178cm, 70k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최병찬Choi Byung Chan1996년 4월 4일178cm, 74kg
구단 정보
대표이사: 정해춘 / 감독: 이영민 / 홈구장: 부천종합운동장
출처: 부천 FC 1995 홈페이지


임대구단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 조건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정호근Jeong Hogeun1999년 3월 17일190cm, 83kg2024년 3월 소집 해제
당진시민축구단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박창준Park Chang-jun1996년 12월 23일176cm, 66kg2025년 소집 해제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동건Lee Dong-Geon2002년 7월 22일175cm, 73kg임대
경주 한국수력원자력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풍연Lee Pung-yeon2000년 5월 4일189cm, 83kg임대




7. 타 구단과의 관계[편집]


부천 FC 1995의 2부 리그 입성이 확정되자 팬들은 더비 매치를 기대했다. 자세한 내용은 K리그/더비 매치 항목을 참조.


7.1. 제주 유나이티드 FC - 연고 이전 더비[편집]


무엇보다도 더 박 터지는 싸움은 부천 팬들의 가슴에 대못을 꽂은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경기로 제주는 부천에게 있어서는 그야말로 불구대천지원수다.

2019년 제주가 K리그1 12위로 다이렉트 강등을 당하고 부천이 K리그2 준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하면서 2020 시즌에 K리그2에서 부천과 제주의 첫 더비 매치가 성사됐다.

이 더비가 성사되자 장덕천 부천시장부터 본인 페이스북에 "반드시 이겨야 합니다. 팬들의 성원이 클겁니다. 함께 노력합시다."라는 메시지를 올렸고 부천 서포터즈 대표는 지옥을 보여주겠다전의를 불태우고 있다.

이렇게 민관이 아름답게 뭉쳐 살기를 피워 올리는 이유가 SK에너지의 야반도주가 그만큼 치졸했기 때문이다. 부천종합운동장 이용료 문제로 징징대다 시의회에서 깎아주니 날랐고, 서포터들에겐 연고를 이전하지 않을 것처럼 레플리카 재고 털이하고 튀었다. 부천 1995 출범할 때 SK의 지원이 있어 북패만큼은 아니라고 주장하는 측도 있지만 이는 '새로운 부천 축구클럽 창단 시민모임'과 서포터 헤르메스에서 SK를 압박하여 받아낸 것으로 SK의 자발적 지원이 아니었다. 또한, SK 측은 연고 이전 초기 여론이 굉장히 험악해지자 창단 지원금 지급에 구두 합의했다가 여론이 수그러들자 창단 지원금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취해 다시 서포터 헤르메스가 시위를 하는 등 다시 시끄러워질 기미가 보이자 어쩔 수 없이 지원금을 지급했다. 그리고 2020년 1월 2일 부주장이던 임동혁이 라이벌 제주로 갔다.

첫 번째 대결은 K리그2 2라운드인 2020년 3월 7일 오후 3시 제주에서 열리며 5월 5일 오후 3시에 부천에서 두 번째 경기가 열릴(10라운드)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며 K리그 개막 연기가 확정되는 바람에 첫 맞대결은 날아갔다. 이후 K리그2 2020 시즌 일정이 확정되면서 4R가 2020년 5월 26일 오후 7시 부천에서 열리게 된다.

허나 첫 경기는 후반 45분 주민규의 결승 골로 인해 0:1 석패를 당했다.

그리고 8월 26일 오후 7시 30분 태풍이 오는 환경 속에서도 승리를 부르짖으며 떠난 제주 원정에서 이동률에게 데뷔골을 내준 것을 시작으로 내리 3골을 내주며 4:0으로 썰렸다. 단축시즌으로 시즌 마지막 맞대결이었던 9월 19일 3차전에서도 0:2로 패하면서 단 한 골도 넣지 못하고 3전 전패했다. 그리고 제주가 1년 만에 승격하며 더비는 다시 기약이 없어졌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2020년 제주와의 홈경기는 코로나 19로 모두 무관중으로 치렀는데 부천의 서포터즈 헤르메스상대 선수단 버스를 가로 막는 등 강성한 것으로 악명이 높은 집단인 만큼 만일 코로나 인한 무관중 경기만 아니었다면 제주전에서 분노와 흥분을 참지 못한 팬들로 인해 뉴스에나 나올 법한 대형 사고가 터졌을지도 모른다.

이후 2021년 12월 6일 부천에 있던 안태현이 제주로 바로 이적하며 많은 부천 팬이 분노했다.


7.2. 인천 유나이티드 FC - 032 더비[편집]


바로 옆에 있는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032 더비가 눈길이 간다. 또한 부천 SK가 야반도주하는 바람에 2004년, 2005년 단 2년만 존재했던 더비였으나, 당초 부천팬층의 한축이던 인천 거주 부천팬들[8]이 대거 인천 유나이티드로 넘어가면서 인천 유나이티드에 대한 감정이 그리 좋지 않았고, 인천 유나이티드가 창단 시절 송내역에 경기 안내 홍보 포스터로 부천 팬들의 어그로를 이끌었던 적이 있다. 2005 시즌에는 부천 SK와 인천 유나이티드가 상위권 순위 경쟁을 하기도 하였으며 서포터간 충돌이 있기도 하였다.


7.3. FC 안양[편집]


부천 FC 1995와 FC 안양 모두 연고지 이전이라는 아픔을 공유하는 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 부천 SK와 안양 LG 시절 서포터즈 간의 잦은 충돌로 인해 현재의 서포터즈에 이르기까지 사이가 좋지 못한 팀이다.

K리그2가 개설된 2013년 이후 두 팀은 항상 K리그2의 터줏 대감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2019년 승격을 향한 준플레이오프에서 만난 이후 그들의 라이벌리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

또한 부천과 안양이 나름 가까운 거리이고, 두 팀의 서포터즈 역시 K리그2에서 많은 편에 속해 각자의 경기장에서 많은 원정팬을 볼 수 있다.

또 부천 감독이 안양 감독을 역임했던 이영민이고, 그의 아들이 안양의 서포터즈라는 점이 재밌다.

7.4. 경남 FC[편집]


2022년 4월, 당시 코로나 19가 기승을 부릴 때였는데, 경남의 골키퍼 4명 중 3명이 코로나에 걸렸고, 나머지 한명은 장기 부상 중이어서 경남은 골키퍼가 특수 포지션이라 경기 연기를 신청했지만, 한국프로축구연맹은 규정을 앞세워 그대로 경기를 진행시켰고, 결국 필드 플레이어 이우혁이 골키퍼 장갑을 꼈고, 결과는 부천의 3대2 승리로 마무리됐다.

경남은 연맹의 결정에 아쉬움을 드러내면서도, 부천 역시 연기에 동조하지 않았다며 볼멘 소리를 했고, 이를 기점으로 두 구단의 악연은 시작되었다.

그로부터 한 달 뒤, 이번엔 부천 홈에서 맞대결을 펼쳤고, 이날은 경남의 1대0 승리로 마무리됐는데, 경기 후 양 팀 코칭스태프가 몸싸움을 일어나며 구설수에 올랐다.

경기 후 설기현 경남 감독 대신 수석코치가 부천 벤치로 인사를 하러 왔고, 이에 대해 부천 벤치에서 "지난 경기의 앙금이냐"며 불만을 표출하며, 양 팀 벤치가 충돌했다. 이영민 부천 감독이 퇴장을 당했고, 홍준형 경남 수석코치가 경고를 받았다.

양 팀의 신경전은 시즌 내내 이어졌고, 공교롭게도 해당 시즌 부천이 리그 4위, 경남이 리그 5위에 오르며 준플레이오프(PO)에서 만나게 됐다. 경기 내내 역전을 반복하다가 경남이 티아고의 추가시간 득점으로 극적인 승리를 거두며 부천은 홈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2023년 두 팀은 또 다시 준플레이오프에서 만나게 되었다. 이번에는 2022 시즌과 달리 경남 홈에서 치뤄졌고, 결과는 0:0 무승부로 부천이 또 다시 탈락하며 2년 연속 경남에게 고베를 마시고 말았다.

8. 역대 감독[편집]


||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3대
곽창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9)
감독 대행
박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곽경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3)
감독 대행
윤정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최진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2015)
3대4대5대6대
감독 대행
송선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
송선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6)
정갑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2018)
감독 대행
조민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송선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20)
7대파일:부천 FC 1995 워드마크.svg
이영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
: K리그1 우승 / : K리그2 우승 / : FA컵 우승 / :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부천 FC 1995 역대 감독
국적이름기간
1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곽창규2007 ~ 2009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영수2010 ~ 2011
2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곽경근2012 ~ 2013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윤정춘2014
3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진한2014 ~ 2015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송선호2015
4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송선호2015 ~ 2016
5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정갑석2016 ~ 2018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민혁2018
6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송선호2018 ~ 2020
7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영민2021 ~


9. 역대 주장[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b40404>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width=20%><rowbgcolor=#ffffff,#191919> 이태권
(2008) ||<width=20%> 박문기
(2009~2012) ||<width=20%> 한종우
(2013) ||<width=20%> 김태영
(2014) ||<width=20%> 강지용
(2015~2016) ||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width=20%><rowbgcolor=#ffffff,#191919> 문기한
(2017~2018) ||<width=20%> 김영남
(2019) ||<width=20%> 박건
(2019) ||<width=20%> 김영남
(2020) ||<width=20%> 조수철
(2021~2022) ||
|| 11대 ||<|2><-4><#ffffff><:> 파일:부천 FC 1995 워드마크.svg ||
||<width=20%><bgcolor=#e0ffdb,#073300> 김호남
(2023~ ) ||





10. 유니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부천 FC 1995/유니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 50경기 이상 출장 선수[편집]


프로화 이후 기준.


12. 팬덤[편집]



12.1. 서포터즈 - 헤르메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헤르메스(서포터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부천 FC 1995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헤르메스의 존재를 아는것은 좋든 싫든 필수적이다. 앞서 역사 문단에서도 볼 수 있듯, 팀의 창단과정에서 큰 영향을 준 조직중 하나이기 때문. 부천SK가 제주로 연고지를 옮기고 한동안 잠잠했다가 2007년 시민구단 형태로 재창단을 했고 K3에 머물다가 2013년 K리그 2부에 진입을 성공한다. 시민구단으로 창단한 이후에 1부리그에 승격한 적이 단 한번도 없지만 관중 수가 적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2016년부터는 홈 평균관중이 계속해서 2천명을 넘고 있고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부천SK의 인기가 어마어마 했기 때문에 그 팬덤이 현재 부천FC를 응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023년 7월 1일 김천 상무와의 홈경기에서는 가변석 전좌석이 매진이 되었고 종합운동장 W석도 대부분 팔리면서 6천 103명이 경기장을 찾았다. 이는 부천FC 창단이후 K리그에서의 역대 최다관중이다.[9]

붉은 악마의 응원가 중 잘 알려진 <오 필승 코리아>는 부천 FC의 서포터즈 헤르메스응원가를 개사한 것이다. 참고로 부천 SK 시절과 지금의 가사가 다른데 부천 SK 시절에도 헤르메스는 부천 SK가 아니라 부천 FC라고 불렀었다! 응원가 도입 당시에는 오~ 부천 에프씨!(x3) 오오레오레~ 였으며 가사 수정을 거쳐 현재는 오~ 나의 부천!(x3) 영원히 함께해! 라고 부른다.[10]


12.2. 팬 사이트 - BFC팬페이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BFC팬페이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4fb1766e48e66dadb373d7b4e91d4900.png
BFC Fan Page - 부천FC 팬페이지
종류인터넷 커뮤니티
주소링크


13. 응원가[편집]


헤르메스 공식 홈페이지에 응원가가 올라와있다. 링크

부천 FC 1995/응원가 문서 참조.


14. 마스코트[편집]


파일:헤르(마스코트) 소개.jpg
파일:헤르(마스코트) 설명.jpg
파일:보라(마스코트) 소개.jpg
파일:보라(마스코트) 설명.jpg
2022년 4월 21일, K리그 마스코트 반장선거를 앞두고 부천 FC 1995의 마스코트 헤르보라가 리뉴얼되었다.


15. 사건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부천 FC 1995/사건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6. 여담[편집]






파일:external/www.bucheonfc.net/fae8d226714b5cc1c342de29dd8590b4.png
문제는 김덕수 선수의 프로필이 포털에 등록이 되지 않아 검색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임창균 선수는 동명이인이 적어서 그런지 바로 인물정보가 뜨지만 김덕수 선수는 사물놀이 김덕수 선생이 먼저 뜨는데다 프로필 자체가 등록이 되지 않아 동명이인에도 뜨지 않는 상황이다.
파일:attachment/부천 FC 1995/kimdeoksu_on_naver.png







17. 둘러보기[편집]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


파일:external/s20.postimg.org/K3leaguelogo.png舊 K3리그
과거 참가 구단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5:13:20에 나무위키 부천 FC 199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부천 서포터 출신으로 유니폼 메인 스폰서인 "덕산파이프"의 대표다.[2] 2014.06.25 이후 운영 중단.[3] 마스코트 인스타그램.[4] 유소년 구단 인스타그램.[5] 20-21 기준 7부 리그인 노던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 디비전 소속.[6] 당초 AFC 윔블던과 친선 경기를 진행하려고 했으나 윔블던 구단 일정으로 인해 성사되지 못했고 윔블던 측에서 FC 유나이티드 오브 맨체스터를 소개해 친선 경기가 성사됐다. AFC 윔블던과 부천 FC는 자매 결연 관계다.[7] 프로가 아닌 구단까지 치면 지금은 청주 시티 FC가 된 천안 FC가 2013년 사회적협동조합을 출범시킨 게 최초다.[8] 부천 팬층은 크게 부천, 서울 서남부, 인천 동부에 있었다.[9] 유료관중 기준. 과거 관중 수 집계에 무료입장 관중이 포함되던 시절에는 1만명 이상의 머릿수를 기록한 적도 있긴 하다.[10] 제주 유나이티드 항목에 자세히 설명됐듯이 모기업에서 축구단을 계륵처럼 여겼었다. 부천으로 연고지를 이동한 순간부터 해체 명분을 찾고 있었는데 그 첫 번째가 부천에 경기장이 없다는 것. 이건 부천시에서 지어주겠다고 나서는 바람에 실패. 이어서 시도한게 구단에 대한 지원을 끊으면서 단장이라는 인간이 선수단 미팅 자리에서 대놓고 "다른 팀한테 져줘라. 굳이 이겨서 회사 욕 먹이지 말고","니들이 이렇게 뛰어봐야 주유소 하나보다 못하다"는 헛소리를 해대며 선수단 사기를 꺾어놓는 것이었다. 그래서 헤르메스와 구단 프런트 사이는 일촉즉발이었고 결국 연고 이전을 하면서 정점을 찍어버린다. 비단 응원가 뿐만 아니라 헤르메스에서 자신들의 지지 구단을 칭할 때는 무조건 부천FC라고 칭했으며 SK를 입에 올리는 일은 부정적인 경우밖에 없었다.[11] 왜 한국만화박물관이 부천 FC 1995를 주제로 그렸는지 의아한 분들도 있을텐데, 한국만화박물관이 현 위치(부천영상단지)로 이전하기 전에는 부천종합운동장 1층에 있었다. 지금도 경기장 주변에 그 흔적들이 남아있다.[12] 다음 만화속세상 연재한 만화, 시즌1 완결.[13] 2004년 U-19 대표팀 주전 골키퍼였으나 선천성 신부전증으로 잠시 선수생활을 중단해야만 했다. 그리고 차기석을 대신한 이가 바로 정성룡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