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랑으로부영

덤프버전 :

대한민국의 아파트 브랜드
[ 펼치기 · 접기 ]

시공능력평가순위(도급순위)가 산정되는 민간 건설사의 브랜드
파일:래미안 BI.svg파일:힐스테이트 BI_상하.svg파일:푸르지오 심볼(2019.3).svg파일:자이 심볼.svg파일:e편한세상 BI.svg
파일:더샵 BI_2020.svg파일:롯데캐슬 BI_상하.svg파일:SK뷰 BI_2010.svg파일:호반써밋 영문 BI(2019).svg파일:아이파크 BI_2021.svg
파일:포레나 BI.svg파일:디에트르 로고.svg파일:중흥S-클래스 심볼.svg파일:데시앙 로고.svg파일:풍경채 BI.svg
파일:엘리프 BI_2021.svg파일:코오롱하늘채 BI_2018.svg파일:서희스타힐스 BI_상하.svg파일:어울림 BI.svg파일:센트레빌 BI_상하.svg
파일:스위첸 BI.svg파일:우미 린 심볼.svg파일:한신더휴 BI.svg파일:쌍용 더 플래티넘 BI.svg파일:한라비발디 국문 BI(2012).svg
파일:동원로얄듀크 BI_상하.svg파일:빌리브 국문 BI.svg파일:더리브 BI.svg파일:두산위브 BI.svg파일:파라곤 BI.svg
파일:해모로 BI(2022.03~).png파일:수자인 BI.svg파일:금강펜테리움 심볼.svg파일:이지더원 BI.svg파일:해링턴플레이스 심볼.svg

공기업의 브랜드
파일:안단테 BI.svg파일:자연앤 BI.png





파일:사랑으로부영 BI(상하)_2015.svg




1. 개요[편집]


브랜드 홍보 영상

사랑으로 지은 집
사랑으로 가득한 집

『사랑으로』부영(SARANGEURO BOOYOUNG)부영아파트 브랜드이다.

괴상한 외래어가 난무하는 대한민국 아파트 브랜드 사이에서 몇 안남은 순우리말 아파트 브랜드[1]이며, 말 그대로 "사랑으로 지은 집", "사랑으로 가득한 집"을 의미한다고 한다. 너무나도 정직한 브랜드 네임과 촌스러운 로고, 폰트 때문에 만들어진지 아주 오래된 것 같지만 놀랍게도 2006년에 선보인 브랜드이다.[2] 같은 순우리말 브랜드이자 5년 더 앞서 2001년에 런칭한 한화의 꿈에그린, 2003년에 런칭한 금호의 어울림과 비교하면 디자인이 상당히 뒤쳐진다.

부영의 또 다른 브랜드로는 애시앙(AESIANG)이 있으며, 사랑으로가 아파트 브랜드라고 하기엔 이름이 촌스럽기도 하고, 여러가지 이유로 아파트 이름을 애시앙(愛翅鴦)[3]으로 바꿔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4] 다만 바꾼 애시앙도 태영 데시앙의 짝퉁 같다는 혹평도 정말 많다. 그래서 부영아파트 입주민들은 부영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아파트 시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우려해서 아예 자체적으로 새 브랜드를 만들어 버리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5] 대표적으로 위례신도시의 위례더힐55(구 위례55단지 부영사랑으로)가 있다.

부영 내에서도 소비자들이 '사랑으로'를 기피하는 걸 의식하고 있는건지 2020년대 들어서는 사랑으로보다 애시앙을 더 많이 쓰고 수식어도 적극 사용한다.[6]

숫자 4를 기피하는 풍습이 아직도 남아 있어 대부분의 아파트 단지에 4차가 없다.[7] 그러나 동번호, 층에서까지 4를 생략하진 않는 듯 하다.


2. BI/전용 색상[편집]


e좋은집 BI
(2002. 11.~2006. 1.)
초기 BI
(2006. 1.)
1차 수정 BI
(2006~2015)
2차 수정 BI
(2015~)
파일:e좋은집 로고.jpg파일:사랑으로부영 BI (2006).png파일:사랑으로부영 BI(상하)_(2006-2015).svg파일:사랑으로부영 BI(상하)_2015.svg
뭐가 바뀐거지
#f15f22
#2484c6
#ee3d96

3. 특징[편집]


파일:FlatAPT.jpg
사랑으로부영 조감도
대부분이 느끼는 가장 큰 특징점은 아파트 외관이 촌스럽고 구시대적인 설계의 건축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사진들을 보면 알 것이다. 이게 21세기에 분양되는 아파트인지 1990년대에 분양했던 아파트인지 구별이 안 갈 정도. 다만 특유의 디자인 센스 덕인지 노년층들 한정으로는 예쁘다는 평가가 나온다. 부영만의 이 같은 전략이 아마 중산층 노년층을 집중 공략하려는 의도일 수도 있다. 또한 2005년을 기점으로 많은 건설사들이 각 동과 지하주차장을 엘리베이터로 직통 연결하기 시작했는데, 부영은 2008년까지도 연결이 안 되게 짓기도 했다.

이런 스타일을 2000년대 초반에 확립해서 2010년대 초반까지 쭉 고수해왔다. 10년 넘게 같은 디자인으로 짓는다는게 과연 말이 되는건가 싶겠지만 2000년에 지어진 부영아파트와 2013년에 지어진 사랑으로부영을 비교해보면 베이지톤과 갈색계열의 외벽 페인트 색부터 시작해서 박공지붕[8], 비율을 무시한 어마어마한 크기의 원앙 로고, 타일로 마감된 80년대st 단지내 상가, 아파트 입구에 벽돌 혹은 벽돌색 타일로 마감된 입간판에 금빛 스카시로 적혀있는 'OO n차 부영아파트' 'OO마을 n단지 사랑으로'[9] 등등이 데칼코마니처럼 똑같다. 그나마 2015년부터는 드디어 분양단지에 한해 문주를 도입하는 변화가 있었지만[10] 전체적으로 올드한 느낌은 여전했다.

파일:동탄더레이크시티.jpg
동탄더레이크시티부영
그러나 2018년 입주한 동탄2신도시 더레이크시티 부영에서 완전히 새로운 디자인을 선보였다. 격자 무늬 패턴 디자인에 옅은 하늘색과 연두색, 주황색을 메인 컬러로 사용하여 각 단지마다 컬러를 다르게 칠했다. 원래 사용하던 디자인이 워낙 구려서 그런지 전반적으로 좋은 반응을 얻었다. 심지어는 '부영이 아닌거 같다', '예쁘다' 같은 반응도 나왔다.

그렇게 2019년부터 새로운 디자인을 본격적으로 사용한다.

파일:월영애시앙조감도.jpg
창원 월영 마린애시앙부영의 조감도
파일:창원마린애시앙.jpg
창원 월영 마린애시앙부영
분양을 앞둔 창원 마린애시앙부영에서는 동탄더레이크시티부영 아파트와는 전혀 다른 진한 색감의 페인트로 마감했다. 그러자 '한국에서 가장 촌스러운 도색'이라는 제목으로 마린애시앙부영의 사진들이 인터넷뉴스 기사와 각종 커뮤니티에 퍼지게 되었고 이에 대한 반응은 '촌스럽다', '주변이랑 안 어울린다', '북한 아파트 같다' 등등 불호가 대다수였다. 그리고 전국에 새로 입주하는 곳은 물론이고 임대 운영중인 부영아파트들도 새 디자인으로 하나 둘씩 도색을 거치면서 불호의 반응은 더욱 늘어나고 있다. 오죽하면 '차라리 원래 도색이 수수하니 더 낫다'라는 반응까지 나올 정도. 그나마 새로 리뉴얼된 디자인에서 아파트입구 문주나 각동 출입구같은 부분에서 큰 형상이 있었다.[11]

구시대적인 설계 외에도, BI 디자인과 '사랑으로'라는 브랜드 네이밍 센스가 구려서 입주자들에게 악평을 듣고 있다. 관련 기사 심지어 위례신도시 부영아파트 입주자들은 아예 입주자 80% 이상의 동의를 받아 2018년 12월 위례 더힐로 아파트 네이밍을 변경하였다.

입주민들의 생각과 달리 부영 측에서는 순우리말 브랜드를 유지한다는 자부심이 상당한 듯 하다. 그런데 부영의 사랑으로 말고도 코오롱글로벌하늘채, 금호건설어울림 등과 공기업 건설사인 LH뜨란채, 천년나무 등 순우리말 브랜드가 몇몇 더 있으며, 심지어 대한민국 5대 건설사에 속하는 대림산업e편한세상대우건설푸르지오도 사실상 순우리말에 가까운 브랜드이다. 그러나 이런 쪽에서는 이름이 촌스럽다는 지적이 안 나오는 걸 보면, '사랑으로'가 순우리말이라서 촌스러운게 아니라 단어 선택의 센스와 디자인과 관련된 문제라고 해야할 듯하다. 예를 들어 굳이 사랑을 넣는다면 부영 '사랑채'만 되었어도 덜 촌스러워지는 것처럼 말이다.

또한 독특한 아파트 로고 디자인에 대해 부영 측에서는 원앙이라고 하지만, 이나 비둘기잘못 알고있는 사람이 많으며, 심지어 촌스러운 외관을 하고있는 아파트에 닭 모양의 로고가 박혀있다고 닭장 느낌이 난다는 사람도 있다.

애초에 브랜드 이미지 관리에 전혀 관심을 갖지 않았기 때문에 이렇게까지 치달은 셈이다.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아파트 브랜드를 지속적인 리뉴얼을 통해 개선해 나가는 반면, 부영은 2006년 브랜드 런칭 이후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동향 출신에 같은 임대아파트 건설사에서 지금은 전국구 기업으로 성장한 호반건설만 보더라도 리젠시빌에서 베르디움, 최근엔 호반써밋 등 로고 리뉴얼과 고급 브랜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으며 메이저 건설사의 건설 방식을 최대한 많이 수용하는 등 이미지 개선에 상당히 성공했다. 서울에도 최근 신반포 15차 재건축에서 수주는 실패했지만 5대 건설사인 대림산업을 꺾고 2위에 오르는 모습도 보였다.

분양시 임시로 건설하는 모델하우스의 외관도 1980년대 느낌이라던가 북한식 스타일이라는 의견이 많은데, 나름 웅장한 느낌을 주려한듯 하지만 대부분의 의견은 촌스럽다는 의견이다. #

부영의 홈페이지 역시 2000년대 초반을 연상시키는 촌스러운 디자인으로 유명했다. 아카이브이 홈페이지는 무려 2016년까지 유지되었으나 개편되어서 그나마 평범한 디자인이 되었다.

이런 촌스러운 분위기의 고수는 아파트단지내 상가에도 절대 예외가 아니다. 제주삼화사랑으로부영6차 아파트 상가의 모습이다. 2013년 입주한 단지인데 상가 건물에다가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잘 쓰이지도 않는 타일 마감을 적용시켜 놓았다. 그나마 요즘 들어서는 상가 외벽을 석재마감으로 세련되게 시공하긴 하지만, 옛스러운 건축물 양식은 변하지 않아서 그리 다르지 않다.

아파트 분양 방식이 특이한 편인데, 처음부터 아파트를 분양, 매각하는 형태가 아니다. 부지를 저렴하게 사들인 후 임대아파트를 지어 입주율을 높이고,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분양전환을 하여 비용을 회수한다. 단지 주변 활성화로 인한 이익증대는 덤. 기업의 입장에서는 준공 즉시 분양하는 경우에 비해 일정기간 자금이 묶이게 되지만 미분양 자체의 위험성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며, 이런 형태의 분양은 부영주택이 알짜기업이 되는데 기여하였다.

1990년대 후반, 부영은 김해의 장유신도시에 임대아파트 대단지를 여러 개 지었다. 이 때 이 지역에 지어진 아파트 10 중에 8은 부영이었고, 부영은 아주 성공적으로 돈을 끌어모았다. 그러나 2000년대 중후반, 장유신도시의 거의 모든 부영아파트의 입주자들이 단지 별로 모여 '부당이득 반환소'를 걸었다. 시간이 흐르고 흘러 이 소송은 대법원에 가 있는 상황이다.

부실시공 논란이 다른 아파트보다 유독 많은 아파트 중 하나이며, 특히 욕실이나 지하주차장의 물이 새는 문제가 다른 아파트들보다 유독 심한 편이다.

화성시 지역에 새로 입주할 예정인 부영아파트의 부실시공이 논란이 되고 있다.#[12][13] 2017년 국정감사 국토교통위원회에는 최양환 부영주택 대표이사가 불려나와 부실시공 책임 등으로 국회의원들에게 질책을 받았다. 그러나 최 대표는 시공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날림시공이 아니냐는 질문에 자사의 노하우가 있다거나 하는 황당한 답변을 내놓고, 입주자대표자와 합의를 끝냈다고 위증한 것을 직접 입주자대표자와 주고받은 문자를 공개하여 반박당하는 등 그야말로 탈탈 털렸다.# 게다가 기존에 요청한 증인인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이 고령 및 대한노인회 대구행사 참가를 이유로 불참사유서를 제출했고[14] 이를 자유한국당에서 받아들여 출석을 피했다.#

여수시 웅천아파트도 욕실 타일이 스스로 떨어지는 부실시공으로 뭇매를 맞았다.# 이 외에도 동탄 사랑으로 아파트에서 문짝이 안열리고 지하주차장에 물이 새는 등 부실공사로 논란이 거세자 어영부영 지어서 부영아파트 아니냐는 말까지 나왔다. 최근에는 웅천 부영 1차에 이어 2차와 3차 아파트 분양가 폭리와 하자문제등으로 인해 지금도 현지 입주민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7대 광역시 중에서 대전광역시만 유일하게 부영아파트가 없다.[15] 그러나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의 부영아파트가 철거되면서 유일하게 없는 것은 아니게 되었다.[16] 심지어 세종특별자치시에도 부영아파트가 한 군데도 없다.


4. 지역별 단지 현황[편집]


전국에 있는 사랑으로부영아파트의 전 세대는 276,106세대이다.

4.1. 서울특별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등촌 부영아파트서울특별시 강서구 등촌동712세대1994년 12월
목동 부영그린타운1차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72세대1999년 5월
목동 부영그린타운2차240세대2000년 5월
목동 부영그린타운3차276세대2000년 11월
뚝섬부영 복합빌딩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340세대미정
아세아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3가969세대미정


4.2. 인천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삼산 부영아파트[17]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280세대1984년 8월


4.3. 부산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부산신호 사랑으로부영 1차[18]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1,064세대2014년 1월
부산신호 사랑으로부영 2차1,388세대2014년 7월
부산신호 사랑으로부영 3차1,278세대2014년 12월
부산신호 사랑으로부영 5차1,109세대2014년 12월
부산전포 사랑으로부영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500세대2018년 9월
더 힐 시그니처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1,210세대2019년 2월


4.4. 대구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칠곡 부영아파트 1단지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900세대2002년 4월
칠곡 부영아파트 3단지644세대2002년 6월
칠곡 부영아파트 6단지536세대2002년 6월
칠곡 부영아파트 5단지746세대2003년 1월
칠곡 부영아파트 7단지592세대2003년 5월
동천 부영 e그린타운대구광역시 북구 동천동1,194세대2003년 7월


4.5. 광주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두암동 부영맨션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828세대1988년 1월
하남부영아파트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곡동820세대1992년 12월
마재마을 풍암부영1차아파트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718세대2000년 7월
신암마을 풍암부영2차아파트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984세대2000년 7월
풍영리버빌[19]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1,268세대2001년 5월
첨단1차 부영아파트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월동1,198세대2003년 11월
첨단2차 부영아파트600세대2004년 6월
첨단3차 부영아파트492세대2005년 5월
첨단 부영그린타운384세대2005년 10월
첨단6차 부영사랑으로720세대2006년 11월
첨단7차 부영사랑으로644세대2007년 1월
신창부영아파트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20]780세대2005년 1월
신창2차 부영아파트1,344세대2005년 9월
신창3차 부영사랑으로1,792세대2006년 8월
신창5차 부영사랑으로540세대2006년 11월
신창6차 부영사랑으로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동494세대2006년 11월
신창7차 부영사랑으로662세대2006년 12월
광주 양산 부영사랑으로광주광역시 북구 본촌동530세대2007년 1월
장덕마을 부영 애시앙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430세대2008년 11월
수완루아채[21]449세대2008년 11월
광주 하남3차 부영사랑으로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동840세대2009년 5월
광주 하남2차 부영 애시앙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동957세대2009년 12월
산정 셀트리움[22]576세대2009년 12월
첨단2지구 사랑으로부영광주광역시 북구 신용동1,772세대2013년 1월

4.6. 울산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문수 애시앙[23]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1,093세대[24]2014년 3월


4.7. 경기도[편집]



4.7.1. 고양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문촌마을 15단지 부영아파트고양시 일산서구 주엽동547세대1993년 10월
무원마을 1단지 부영아파트고양시 덕양구 행신동662세대1995년 5월
소만마을 9단지 부영아파트960세대1995년 5월
탄현마을 3단지 부영아파트고양시 일산서구 탄현동475세대1995년 5월
탄현마을 7단지 부영아파트726세대1995년 5월
별빛마을 8단지 부영아파트고양시 덕양구 화정동1,232세대1995년 11월
옥빛마을 14단지 부영아파트720세대1995년 11월
소만마을 1단지 부영아파트고양시 덕양구 행신동835세대1995년 12월
은빛마을 11단지 부영아파트고양시 덕양구 화정동1,350세대1996년 4월
은빛마을 6단지 부영아파트1,320세대1996년 4월
달빛마을 2단지 부영아파트1,391세대1996년 7월


4.7.2. 남양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플루리움 1단지남양주시 다산동[25]1,086세대2001년 10월
플루리움 2단지1,484세대2002년 2월
플루리움 3단지1,114세대2001년 5월
플루리움 4,5단지[26]2,042세대2000년 10월
부영사랑으로[27]86세대2007년 6월
부영사랑으로7단지317세대2013년 12월
도농 부영애시앙[28]364세대2008년 5월
진접 부영사랑으로남양주시 진접읍1,080세대2009년 9월
월산 사랑으로 부영 1단지남양주시 화도읍1,997세대2015년 10월
월산 사랑으로 부영 2단지937세대


4.7.3. 동두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동두천 부영아파트 3단지동두천시 지행동380세대2003년 7월
동두천 부영아파트 6단지동두천시 생연동419세대2003년 7월
동두천 부영아파트 9단지동두천시 지행동298세대2004년 7월
동두천 부영아파트 5단지동두천시 생연동668세대2004년 9월
동두천 부영아파트 1단지938세대2004년 10월


4.7.4. 성남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산운마을 8단지 사랑으로성남시 분당구 운중동371세대2009년 1월
위례더힐55[29]성남시 수정구 창곡동1,380세대2015년 12월
위례 58단지 포레스트 부영566세대2019년 4월


4.7.5. 안성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안성 사랑으로부영안성시 공도읍788세대2001년 8월


4.7.6. 안양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초원마을 7단지 부영아파트안양시 동안구 평촌동1,743세대1992년 10월
공작마을 3단지 부영아파트안양시 동안구 관양동1,710세대1993년 3월
관악부영아파트[30]안양시 동안구 비산동796세대1993년 10월


4.7.7. 여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점봉 부영아파트여주시 점봉동810세대2000년 10월


4.7.8. 평택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세교 부영아파트평택시 세교동1,590세대1996년 5월
이충 부영아파트 1단지평택시 이충동400세대1996년 5월
이충 부영아파트 2단지550세대1996년 5월
이충 부영아파트 3단지600세대1996년 5월
부영 원앙아파트평택시 세교동780세대2000년 12월
청북 부영사랑으로 1차평택시 청북읍1,031세대2011년 9월
청북 부영사랑으로 2차1,138세대2011년 10월
청북 부영사랑으로 3차400세대2012년 7월
청북 부영사랑으로 5차741세대2012년 12월


4.7.9. 화성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향남2지구 3단지 서봉마을 사랑으로부영화성시 향남읍1,122세대2015년 6월
향남2지구 6단지 서봉마을 사랑으로부영1,005세대2018년 7월
향남2지구 7단지 서봉마을 사랑으로부영948세대2016년 8월
향남2지구 9단지 오색마을 사랑으로부영684세대2014년 11월
향남2지구 10단지 오색마을 사랑으로부영980세대2014년 11월
향남2지구 11단지 오색마을 사랑으로부영1,124세대2014년 11월
향남2지구 17단지 언덕마을 사랑으로부영942세대2017년 9월
동탄 에듀밸리 사랑으로부영화성시 영천동1,316세대2017년 2월
청계숲 사랑으로부영718세대2017년 2월
더레이크시티 부영 1차화성시 산척동641세대2018년 9월
더레이크시티 부영 2차522세대2018년 9월
더레이크시티 부영 4차1,086세대2019년 2월
더레이크시티 부영 3차706세대2018년 9월
더레이크시티 부영 5차868세대2018년 9월
더레이크시티 부영 6차818세대2018년 9월


4.7.10. 하남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창우 부영아파트하남시 창우동2,055세대1994년 12월
미사강변 사랑으로부영하남시 망월동1,104세대2017년 11월


4.8. 강원특별자치도[편집]



4.8.1. 강릉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교동 부영아파트 1차강릉시 교동495세대1999년 9월
교동 부영아파트 2차917세대1999년 9월
교동 부영아파트 3차468세대2001년 9월
교동 부영아파트 5차240세대2001년 12월
교동 부영아파트 6차418세대2003년 4월
연곡 부영사랑으로 1차강릉시 연곡면173세대2007년 3월
연곡 부영사랑으로 2차371세대2005년 12월
연곡 부영사랑으로 3차356세대2008년 11월


4.8.2. 춘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석사3지구 부영아파트춘천시 석사동515세대1998년 5월
춘천 거두 부영아파트춘천시 동내면868세대2003년 4월
칠전 사랑으로부영춘천시 칠전동369세대2012년 9월
장학 사랑으로부영춘천시 동면370세대2015년 9월


4.8.3. 원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문막 부영아파트원주시 문막읍1,538세대2000년 10월
무실 사랑으로부영원주시 무실동639세대2012년 7월
원주혁신도시 부영사랑으로 8단지원주시 반곡동920세대2015년 9월
원주혁신도시 부영사랑으로 1단지626세대2015년 12월
원주 봉화산 메이플밸리 부영원주시 단계동798세대2019년 10월


4.8.4. 속초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조양 부영아파트 1단지속초시 조양동120세대1998년 11월
조양 부영아파트 5단지1,030세대1995년 7월
조양 부영아파트 6단지440세대
조양 부영아파트 9단지440세대
조양 부영아파트 3단지1,320세대1996년 10월
조양 부영아파트 2단지220세대1997년 10월


4.8.5. 태백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태백 포레스트 애시앙 1단지태백시 황지동
[31]
650세대2023년 8월
태백 포레스트 애시앙 2단지576세대2023년 8월

4.8.6. 동해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쇄운 부영아파트동해시 북삼동2,180세대2000년 9월
해안 부영아파트동해시 천곡동484세대2013년 6월


4.9. 충청북도[편집]



4.9.1. 청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용암 부영아파트청주시 상당구 용암동979세대1996년 11월
중흥마을 2단지 부영아파트620세대2001년 9월
장자마을 7단지 부영아파트청주시 상당구 금천동725세대2001년 11월
중흥마을 6단지 부영아파트청주시 상당구 용암동280세대2002년 1월
장자마을 8단지 부영아파트청주시 상당구 금천동663세대2002년 12월
장자마을 9단지 부영아파트456세대2002년 8월
장자마을 10단지 부영아파트330세대2002년 8월
장자마을 5단지 부영아파트379세대2003년 4월
가좌마을 부영그린타운 1차청주시 상당구 용담동380세대2003년 7월
가좌마을 2단지 부영아파트570세대2003년 7월
장자마을 3단지 부영아파트청주시 상당구 금천동370세대2003년 9월
중흥마을 1단지 부영아파트청주시 상당구 용암동752세대2003년 10월
장자마을 1단지 부영아파트청주시 상당구 금천동284세대2004년 6월
가좌마을 5단지 부영아파트청주시 상당구 용담동437세대2004년 6월
장자마을 6단지 부영그린타운청주시 상당구 금천동320세대2005년 11월
중흥마을 3단지 부영그린타운 아파트청주시 상당구 용암동326세대2005년 11월
산남 사랑으로부영청주시 서원구 산남동985세대2007년 4월
오창 사랑으로부영 1차청주시 청원구 오창읍1,016세대2014년 4월
오창 사랑으로부영 2차892세대2014년 9월
오창산업단지 사랑으로 부영1,192세대[32]2015년 10월


4.9.2. 충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충주기업도시 6블록 공동주택충주시 중앙탑면711세대미정
충주기업도시 3-2블록 공동주택577세대미정


4.9.3. 제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제천 사랑으로 부영제천시 신월동401세대2006년 11월


4.9.4. 음성군[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대소 사랑으로부영음성군 대소면392세대2006년 11월


4.9.5. 진천군[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장관 사랑으로부영 1차진천군 진천읍570세대2013년 6월
장관 사랑으로부영 2차694세대2013년 6월


4.10. 충청남도[편집]



4.10.1. 논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논산 강산 부영아파트논산시 강산동1,281세대1995년 11월


4.10.2. 아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아산 득산 부영아파트아산시 득산동1,163세대1998년 5월


4.10.3. 천안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성환 부영아파트천안시 서북구 성환읍802세대1998년 6월
직산 부영아파트천안시 서북구 직산읍852세대1998년 4월
원앙마을 1단지 부영아파트천안시 동남구 목천읍1833세대1999년 12월
원앙마을 2단지 부영아파트847세대1999년 12월
성환 부영아파트 2차천안시 서북구 성환읍414세대2005년 5월
성환 사랑으로부영 3차151세대2006년 12월
산운마을 부영사랑으로천안시 동남구 청당동449세대2011년 9월


4.10.4. 서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서산 읍내 부영아파트서산시 읍내동1,093세대1996년 2월


4.10.5. 홍성군[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홍성 월산 부영1차아파트홍성군 홍성읍684세대2003년 5월
홍성 월산 부영2차아파트684세대2004년 8월


4.11. 경상북도[편집]



4.11.1. 구미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옥계 부영아파트 1차구미시 옥계동896세대1999년 5월
옥계 부영아파트 2차723세대
구평 부영아파트 1단지구미시 구평동708세대2001년 5월
구평 부영아파트 5단지750세대2001년 4월
구평 부영아파트 2단지552세대2001년 9월
구평 부영아파트 6단지546세대2002년 8월
구평 부영아파트 3단지708세대2002년 11월
구평 부영아파트 8단지426세대2003년 11월
구평 부영아파트 7단지1,002세대2004년 6월


4.11.2. 김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김천혁신도시 사랑으로부영김천시 율곡동916세대2017년 3월
경북드림밸리 AB1768세대미정


4.11.3. 경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외동 사랑으로부영 2단지경주시 외동읍1,450세대2018년 1월
외동 사랑으로부영 1단지1,780세대2018년 3월


4.11.4. 포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오천 사랑으로 부영 1차포항시 남구 오천읍616세대2007년 3월
오천 사랑으로 부영 2차2,030세대2008년 12월
오천 사랑으로 부영 3차778세대2013년 12월
오천 사랑으로 부영 5차843세대2015년 11월


4.11.5. 경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사동 부영아파트 1차경산시 사동640세대2001년 11월
사동 부영아파트 2차720세대2001년 12월
사동 부영아파트 3차340세대2003년 1월
사동 부영 그린마을아파트758세대2003년 12월
사동 사랑으로부영 6차[33]1,395세대2013년 3월
초록마을 부영아파트경산시 백천동872세대2004년 11월
부영 조은마을아파트경산시 옥곡동688세대2004년 4월
부영 우리마을아파트510세대2005년 7월
두리마을 부영사랑으로966세대2006년 6월
신대 팰리스 1차[34]경산시 압량읍440세대2011년 9월
신대부적 부영사랑으로 2차440세대
팰리스부영 1단지경산시 사동630세대2019년 10월
팰리스부영 2단지1,028세대2020년 8월


4.11.6. 영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가흥 사랑으로부영영주시 가흥동1,564세대2016년 9월


4.11.7. 칠곡군[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3공단 부영아파트칠곡군 석적읍2,635세대2000년 5월


4.12. 경상남도[편집]



4.12.1. 창원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용원 부영아파트 1차창원시 진해구 용원동906세대2002년 1월
용원 부영아파트 2차440세대2002년 5월
용원 부영아파트 3차1,275세대2003년 2월
가포 부영사랑으로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동946세대2016년 10월
부산신항 사랑으로부영 2단지창원시 진해구 용원동647세대2018년 8월
부산신항 사랑으로부영 8단지1,250세대2017년 9월
부산신항 사랑으로부영 13단지780세대2017년 9월
부산신항 사랑으로부영 3단지606세대2019년 1월
부산신항 사랑으로부영 4단지762세대2019년 1월
부산신항 사랑으로부영 5단지302세대2019년 9월
부산신항 사랑으로부영 6단지539세대2019년 6월
부산신항 마린 애시앙484세대2023년 9월
마린애시앙부영창원시 마산합포구 월영동4,298세대2019년 12월


4.12.2. 김해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월산마을 6단지 부영아파트김해시 부곡동576세대2001년 12월
월산마을 12단지 부영아파트335세대2001년 12월
월산마을 9단지 부영아파트328세대2002년 3월
석봉마을 9단지 부영아파트김해시 무계동1,578세대2002년 5월
갑오마을 4단지 부영아파트김해시 대청동760세대2002년 7월
갑오마을 6단지 부영아파트606세대2002년 7월
갑오마을 5단지 부영아파트400세대2002년 8월
젤미마을 1단지 부영아파트김해시 삼문동1,530세대2002년 8월
화정마을 3단지 부영아파트김해시 삼계동454세대2002년 8월
화정마을 5단지 부영아파트534세대2002년 8월
갑오마을 7단지 부영아파트김해시 대청동730세대2002년 9월
월산마을 1단지 부영아파트김해시 부곡동[[734세대2002년 9월
화정마을 2단지 부영아파트김해시 삼계동570세대2002년 9월
월산마을 2단지 부영아파트김해시 부곡동284세대2002년 10월
월산마을 3단지 부영아파트680세대2002년 10월
화정마을 1단지 부영아파트김해시 삼계동612세대2003년 6월
갑오마을 10단지 부영e-그린타운김해시 삼문동446세대2003년 8월
갑오마을 11단지 부영e-그린타운324세대2003년 9월
석봉마을 8단지 부영아파트김해시 부곡동660세대2003년 9월
석봉마을 4단지 부영아파트1,010세대2004년 2월
석봉마을 7단지 부영아파트808세대2004년 2월
월산마을 8단지 부영아파트570세대2004년 2월
젤미마을 7단지 부영e-그린타운김해시 삼문동372세대2004년 5월
팔판마을 3단지 부영e-그린타운김해시 관동동1,304세대2004년 5월
월산마을 4단지 부영18차아파트김해시 부곡동332세대2004년 8월
월산마을 4단지 부영19차아파트434세대2004년 9월
젤미마을 4단지 부영e-그린타운김해시 삼문동516세대2004년 10월
젤미마을 9단지 부영e-그린타운394세대2004년 10월
팔판마을 2단지 부영e-그린타운김해시 관동동224세대2005년 2월
분성마을 2단지 부영아파트김해시 삼계동952세대2005년 3월
팔판마을 1단지 부영e-그린타운김해시 관동동794세대2005년 6월
(가칭) 골든루트1단지 부영아파트김해시 주촌면702세대미정
(가칭) 골든루트2단지 부영아파트1,492세대미정


4.12.3. 양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물금 사랑으로부영 1단지양산시 물금읍712세대2015년 12월
물금 사랑으로부영 2단지양산시 물금읍657세대2015년 12월


4.12.4. 진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진주 포레스트 부영진주시 충무공동840세대2020년 6월


4.13. 전라북도[편집]



4.13.1. 익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어양 부영아파트 1차익산시 어양동1,185세대1998년 5월
어양 부영아파트 2차1,035세대1998년 5월
영등 부영아파트 3차익산시 영등동1,110세대1998년 8월
부송 부영아파트 5차익산시 부송동727세대2001년 6월
배산 사랑으로부영 1차익산시 모현동1가1,044세대2012년 11월
배산 사랑으로부영 2차824세대2015년 10월


4.13.2. 완주군[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이서 부영아파트완주군 이서면 이문리209세대1999년 2월


4.13.3. 전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진버들마을 부영아파트 1차전주시 덕진구 인후동1가934세대1999년 9월
인후꿈마을 부영아파트 2차1,335세대1999년 9월
아중마을 부영아파트 5차618세대1999년 9월
아중마을 부영아파트 3차960세대1999년 10월
아중마을 부영아파트 6차800세대2003년 9월
전주하가 사랑으로부영전주시 덕진구 덕진동2가860세대2014년 10월


4.13.4. 정읍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정읍 부영1차아파트정읍시 수성동1,277세대2000년 5월
정읍 부영2차아파트정읍시 수성동1,260세대2000년 11월


4.13.5. 김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검산 부영아파트 1차김제시 검산동922세대1995년 9월
검산 부영아파트 2차450세대1998년 4월
신풍 부영아파트 3차김제시 신풍동1,242세대2000년 7월


4.13.6. 남원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남원 부영아파트 1차남원시 도통동1,032세대1995년 11월
남원 부영아파트 5차564세대2001년 12월
남원 부영아파트 2차남원시 월락동686세대2001년 3월
남원 부영아파트 3차410세대2001년 3월


4.13.7. 무주군[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무주 읍내리 사랑으로부영무주군 무주읍180세대2016년 7월


4.14. 전라남도[편집]



4.14.1. 목포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목포 부영아파트 1차목포시 옥암동560세대1995년 5월
목포 부영아파트 2차1,280세대1994년 12월
목포 부영아파트 3차1,300세대1995년 10월
목포 부영아파트 5차480세대1995년 10월
부영애시앙 1단지292세대2007년 3월
부영애시앙 2단지678세대2007년 4월

4.14.2. 순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연향 부영아파트 1차순천시 연향동1,245세대1991년 12월
연향 부영아파트 2차1,210세대1992년 12월
금당 부영아파트 3차순천시 해룡면1,242세대1994년 10월
금당 부영아파트 5차순천시 조례동690세대1995년 2월
금당 부영아파트 6차순천시 해룡면414세대1995년 4월
정원에코힐아파트[35]300세대1996년 11월
금당 부영아파트 8차순천시 조례동547세대1997년 12월
금당 부영아파트 9차순천시 해룡면270세대1997년 12월
금당그리안[36]329세대1999년 7월
왕지아파트[37]순천시 조례동322세대1999년 7월
율산에코지오[38]순천시 연향동442세대2004년 04월
순천 오천 사랑으로부영순천시 오천동349세대2017년 9월


4.14.3. 여수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여수 부영아파트 3차여수시 오림동570세대1987년 1월
여천 부영아파트 2차여수시 안산동876세대1988년 12월
여천 부영아파트 3차여수시 신기동1,463세대1989년 11월
여수 부영아파트 5차여수시 여서동536세대1989년 9월
여수 부영아파트 6차1,530세대1991년 5월
여수 부영아파트 7차1,280세대1992년 8월
원앙파크맨션[39]여수시 문수동780세대1994년 4월
여수 부영아파트 9차여수시 문수동1,910세대1996년 4월
여수 부영아파트 10차396세대1999년 2월
문수 그린아파트[40]483세대2002년 3월
여천 부영아파트 5차여수시 안산동784세대2004년 12월
여천 부영아파트 1차[41]416세대2005년 2월
죽림 사랑으로부영 1차여수시 소라면1,340세대2014년 1월
죽림 사랑으로부영 2차866세대2014년 2월
여수 웅천 사랑으로부영 1차여수시 웅천동424세대2015년 4월
여수 웅천 사랑으로부영 2차1,080세대2015년 4월
여수 웅천 사랑으로부영 3차580세대2015년 4월
여수 웅천 사랑으로부영 5차218세대2017년 11월
웅천 포레스트 부영 1차662세대2021년 11월
웅천 포레스트 부영 2차738세대2021년 11월
여수 웅천 더 마린파크 애시앙 1단지608세대2022년 4월
여수 웅천 더 마린파크 애시앙 2단지446세대2022년 4월
여수 안산동 마린뷰 애시앙 1단지여수시 안산동604세대미정
여수 안산동 마린뷰 애시앙 2단지287세대미정
여수 문수동 B-1블록여수시 문수동148세대미정
여수 문수동 B-2블록140세대미정


4.14.4. 광양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태인 부영아파트광양시 태인동270세대1987년 4월
광양 부영아파트광양시 광양읍590세대1987년 5월
구 광영 부영아파트광양시 광영동930세대1988년 5월
중동 부영아파트 1차광양시 중동400세대1990년 11월
중동 부영아파트 2차1,466세대1992년 3월
신 광영 사랑으로부영 1차[42]광양시 광영동246세대2013년 7월
신 광영 사랑으로부영 2차[43]498세대2013년 7월
광양 목성지구 파크뷰 부영 1단지광양시 광양읍724세대2023년 4월
광양 목성지구 파크뷰 부영 2단지766세대2023년 4월
광양목성 A-3블록702세대미정
광양목성 B-1블록1,514세대미정
광양목성 B-2블록640세대미정
광양목성 B-3블록762세대미정
광양목성 B-4블록665세대미정
광양목성 B-5블록817세대미정


4.14.5. 나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삼영 부영아파트나주시 삼영동1,026세대1998년 8월
송월 부영아파트나주시 송월동1,204세대2000년 6월
루멘하임[44]나주시 빛가람동946세대2015년 9월
빛가람 사랑으로부영 2단지702세대2016년 2월
빛가람 사랑으로부영 3단지1,558세대2017년 12월
이노시티애시앙 1단지1,478세대2020년 9월
이노시티애시앙 B7블록760세대미정
전남혁신도시 C6블록729세대미정
전남혁신도시 C7블록797세대미정
부영CC 부지 공동주택5,328세대미정


4.14.6. 화순군[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화순 부영아파트화순군 화순읍840세대1990년
화순 부영2차아파트453세대1995년 9월
화순3차 부영아파트1,244세대1997년 12월
화순5차 부영아파트1,026세대
화순6차 부영아파트1,485세대1998년 10월
.

4.14.7. 무안군[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부영애시앙무안군 삼향읍610세대2007년 9월


4.15. 제주특별자치도[편집]



4.15.1. 제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외도 사랑으로부영 1차제주시 외도일동1,012세대2000년 5월
외도 사랑으로부영 2차892세대2001년 1월
노형 사랑으로부영 1차제주시 노형동438세대2001년 1월
노형 사랑으로부영 2차710세대2001년 1월
노형 사랑으로부영 3차240세대2001년 5월
노형 사랑으로부영 5차384세대2001년 6월
삼화 사랑으로부영 1차제주시 도련이동324세대2013년 1월
삼화 사랑으로부영 2차제주시 화북이동448세대2013년 1월
삼화 사랑으로부영 3차제주시 삼양이동524세대2013년 8월
삼화 사랑으로부영 5차610세대2013년 12월
삼화 사랑으로부영 6차제주시 도련일동504세대2013년 12월
삼화 사랑으로부영 7차360세대2015년 12월
삼화 사랑으로부영 8차380세대2016년 7월


5. 외부 링크[편집]




6. 관련 문서[편집]



[1] 코오롱글로벌하늘채, 금호건설어울림, 한화의 꿈에그린 정도가 순우리말 브랜드이다. LH의 뜨란채도 있었다. 합성어까지 범위를 넓히면 e편한세상, 푸르지오도 우리말을 살린 브랜드로 볼 수 있다.[2] 충격적이게도 현대건설힐스테이트와 동갑내기이다. 디자인의 중요성 다만 원앙 로고는 그보다 훨씬 이전부터 사용했다.[3] 사랑 애, 날개 시, 원앙 앙. 한자는 실제 표기에 반영하지는 않는다.[4] 실제로 울산광역시의 문수 애시앙은 원래 '범서 부영 사랑으로'였으나, 입주민들이 이름이 촌스럽다는 이유로 문수 애시앙으로 바꿔버린 사례가 있다.[5] 하지만 부영을 기피하는 가장 큰 이유가 부영의 악명높은 부실공사 때문인지라 이름은 바꿔도 부실하게 지어진 건물은 바뀌지 않으니 기피현상은 크게 나아지지 않는다.[6] 포레스트, 마린, 마린파크, 팰리스, 이노시티, 파크 등등[7] 그러나 어느 한 지구/마을의 ○○단지에서의 4단지는 바꾸거나 건너뛸수가 없어, 어쩔 수 없이 4를 넣는다. 예시로 부산신항 4단지 사랑으로 부영, 석봉마을 4단지 부영아파트 등이 있다.[8] 흔히 경사지붕, 뾰족지붕으로 불리는 그것이다.[9] 건설사는 물론이고 모든 회사들이 브랜드를 만들면 최대한 통일성을 강조하기 마련이다. 반면 부영은 외벽에는 '사랑으로', 아파트 입구 간판에는 '부영아파트'처럼 따로 논다. 심지어 아파트 등기이름도 사랑으로부영이 아니라 부영아파트로 등록하기도 한다. 애시앙 역시 아파트 이름은 '애시앙'으로 해놓고 외벽에는 '사랑으로' 로고를 붙여놓는다. 현대건설로 따지면 THE H힐스테이트 로고를 박아놓는 것과 같은 짓이다. [10] 타 건설사들은 이미 2000년대 중반부터 문주라는 개념이 자리잡혔었다.[11] 실제로 부영의 공급예정단지 아파트들의 디자인을 보면 2010년대에 지어진 루원 e편한세상 하늘채, 상무 힐스테이트, 둔촌푸르지오가 부영의 공급예정단지 아파트보다 훨씬 낫다. [12] 기사에는 자세히 나와있지는 않지만 동영상 안을 자세히 보면 원앙새 로고와 밑에 사랑으로가 써 있다.[13] 그 부실시공한 아파트는 동탄에듀밸리사랑으로부영이다. 언론에 보도되었다.[14] 이 회장 본인이 대한노인회 회장이기도 하다. 그리고 노인회 본부가 부영에서 인수한 구 삼성생명본관인 부영태평빌딩에 위치하고 있다.[15] 다만, 대전 서남쪽 유성구 진잠동에 있는 옛 충남방적 공장부지로 나름 알려진 폐건물인 충일여고도 같이있는 곳이 부영그룹 소유라서 도안신도시 2, 3단계 개발즈음에는 부영아파트가 들어 올 가능성이 있다.[16] 대전과 마찬가지로 인천 송도유원지 부지가 부영그룹 소유라서 부지를 팔지않는 이상 인천에 다시 부영아파트가 들어 올 가능성이 있다.[17] 부평 삼산 신원아침도시로 재건축 되었다.[18] 현재는 폐기물처리장의 문제로 많이 거론되고 있다[19] 원래 ‘신가부영아파트’였으나 자체 브랜드로 명칭을 변경했다.[20] 신창부영아파트는 단지를 전부 합치면 총 5,612세대로 엄청난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다.[21] 원래 ‘고실마을 부영 애시앙’이였으나 자체 브랜드로 명칭을 변경했다.[22] 원래 ‘하남1차 부영 애시앙’였으나 자체 브랜드로 명칭을 변경했다.[23] 현진에버빌로 알려진 (주)현진에서 짓던 아파트였으나, 아파트 외벽 도색까지 거의 다 마친 상태에서 현진이 부도가 나고 몇 년간 방치되었다. 그 후 부영에서 아파트 공사를 다시 진행하며, 재도색을 마친 후 분양하였다. 분양 초기에는 '사랑으로 부영'을 순서만 바꿔 '울산 범서 부영 사랑으로'라고 홍보했지만, 이후 이름이 촌스럽다는 입주민들이 애시앙 브랜드로 이름까지 바꿨다.[24] 1단지 821세대 + 2단지 134세대 + 3단지 138세대[25] 원진레이온 공장이 있던 부지에 건설한 것이다.[26] 여담으로 플루리움 상가 옆 부지에 부영주택 주상복합 건설현장이라고 적혀있다.아마 부영 8단지를 지으려고 했으나 어떤 사정으로 무산된듯[27] 통칭 부영 6단지[28] 통칭 부영 9단지, 2021년 4월에 상가 화재로 지하 이마트를 제외한 상가 전체가 폐쇄되었다.[29] 구 위례 55단지 사랑으로 부영[30] 부영아파트 치곤 매우 디자인이 깔끔한 편이다. 게다가 지은 시기를 생각해보면 당시에는 다른 아파트들보다 디자인적인 요소가 더 발전해 있었다고 할 수 있다.[31] 올해 3월 입주 예정인 황지동 부영아파트는 부영아파트 중 유일하게 임대에서 분양으로 바꾸었고 다시 분양에서 임대로 바꾼다는 얘기가 있다. 그럴거면 분양으로 왜 바꿨는지는 모르겠다. 원래 1단지는 2022년 7월, 2단지는 2022년 5월에 입주될 예정이었으나 2022년 10월로 미뤄졌다가 2023년 3월로 또 미뤄졌다. 그리고 내부문제로 인해 올해 3월 입주도 불가피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4월 기사에서 내부문제로 인해 2022년 10월 말 입주일정을 변경할 전망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2023년 4월로 미뤄졌다. 그리고 2023년 내로 입주가 가능할 것인지가 관건이다. 그리고 또 2023년 8월로 준공예정일이 미뤄졌다. 그리고 현재로써는 입주날짜가 14개월 이상 미뤄진 상태다. 준공예정일은 2023년 8월 준공 예정이다. 그리고 곧 준공 예정인 황지동 부영아파트는 포레스트 애시앙이라는 명칭이 더해졌다.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드디어 이 아파트가 공급중단지에 위치해있어 입주가 시작되었다는 걸 알 수 있다. [32] 5블럭 658 + 8블럭 534[33] 우여곡절이 많은 단지이다. 원래 대동다숲에서 건설 중이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건설이 중단이 되었고 한동안 방치하다가 부영에서 나머지 부분을 공사하여 지금의 6차가 되었다.[34] 신대부적 부영사랑으로 1차[35] 구 금당 부영아파트 7차[36] 구 금당 부영아파트 10차[37] 구 조례 부영아파트 11차. 정원에코힐, 금당그리안, 율산에코지오 아파트와는 다르게 여기는 아예 11차에서 단독 단지로 변경되었다.[38] 구 연향 부영아파트 12차[39] 구 여수 부영아파트 8차[40] 구 여수 부영아파트 2차[41] 여수지역에서 최초로 재개발 아파트단지.[42] 광양시 최초의 재건축 단지이다[43] 1단지와 마찬가지로 같은 부지이며 1988년 5월 입주한 광영부영이 전신이다.[44] 구. 빛가람 사랑으로부영 1단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3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3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2:50:38에 나무위키 사랑으로부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