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슨급 구축함

덤프버전 : (♥ 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제2차 세계 대전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 펼치기 · 접기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해군 군함
구잠함(PC)PC급 구잠함
초계함(PG)더뷰크급, 이리급
호위함(FF)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호위구축함(DE)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구축함(DD)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계획 1919 향도, 패러것급, 포터급, 머핸급, 그리들리급, 배글리급, 소머즈급, 벤험급, 심즈급, 벤슨급, 글리브스급, 플레처급, 알렌 M. 섬너급, 기어링급
잠수함(SS)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경순양함(CL)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프로젝트 A, 프로젝트 CL-154급, 우스터급A
중순양함(CA)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프로젝트 CA-B, 오리건시티급A, 디모인급A
대형순양함(CB)알래스카급, 프로젝트 CA2-D, 프로젝트 CA2-F
순양전함(CC)렉싱턴급
전함(BB)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최대 전함, 펜실베이니아급, 뉴멕시코급, 테네시급, 콜로라도급, 사우스다코타급(1920), 노스캐롤라이나급, 프로젝트 1058, 사우스다코타급(1939), 아이오와급, 몬태나급
호위항공모함(CVE)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경항공모함(CVL)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정규항공모함(CV)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수상기모함(AV)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병원선(AH)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잠수함모함(AS)풀턴급
구축함모함(AD)딕시급
소해함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어뢰정PT 보트
공격수송함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연습항공모함울버린급, 세이블급
지휘함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기타 함선USS QUARTZ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A: 전후 완공, 윗첨자UK: 영국으로부터 대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S_Benson_DD-421_01.jpg

1. 개요
2. 제원
3. 상세
4. 운용사
5. 자매함 목록
6. 매체에서의 등장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Benson-class destroyer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심즈급 구축함의 후계 함급으로 건조된 미합중국 해군구축함.


2. 제원[편집]


벤슨급 구축함
Benson-class destroyer
이전급심즈급
다음급글리브스급
표준배수량1,620톤
만재배수량2,474톤
전장106.12m
전폭11m
흘수만재 시 5.41m
승조원208명[1]
출력50,000SHP
최고 속력37.5노트 (약 69.5km/h)
항속거리12노트 (약 22km/h) 순항 시 12,000km
동력기관밥콕 & 윌콕스 보일러 4기
베슬리헴 스틸 증기 터빈 2기
추진2축 프로펠러
무장주포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5문[2]
부포2연장 보포스 40mm 포 2기[라피]
오리콘 20mm 기관포 7문[라피]
대잠5연장 21인치 어뢰 발사관 2기[3]
폭뢰 거치대 2기
K-건 폭뢰 발사대 4 ~ 6기[라피]
기타M2 브라우닝 중기관총 6정

3. 상세[편집]


벤슨급은 구축함의 경우로는 대형으로, 기존 구축함과 비교하여 병기에서 훨씬 낫고 더 효율적인 포가(砲架)를 채용하고 참신한 5연장 어뢰발사관을 탑재했었다.


4. 운용사[편집]


총 30척이 1938년부터 1942년까지 건조된 후 운용되었으며 이 중 3척[4]이 전쟁 중 손실되었다. 종전 이후에는 맥시코와 타이완에 생존 함선들이 양도되기도 하였다.


5. 자매함 목록[편집]


함번함명함명 유래취역일자퇴역일자최후
DD-421USS 벤슨(USS Benson)윌리엄 S. 벤슨1940/7/251946/3/18중화민국에 양도되어 뤄양(洛陽)으로 활동
1974년 해체
DD-422USS 마요(USS Mayo)헨리 T. 마요1940/9/181946/3/181972년 스크랩 처리
DD-425USS 매디슨(USS Maddison)제임스 J. 매디슨1940/8/61946/3/131949년 표적함으로 소모
DD-426USS 랜스데일(USS Landsdale)필립 V. H. 랜스데일1940/9/171944년 상선 호위 중 독일군 폭격기의 뇌격으로 격침
DD-427USS 힐러리 P. 존스(USS Hilary P. Jones)힐러리 P. 존스 주니어1940/9/61947/2/6중화민국에 양도되어 한양(漢陽)으로 활동
?
DD-428USS 찰스 F. 휴즈(USS Charles F. Hughes)찰스 F. 휴즈1940/9/51946/3/181969년 표적함으로 소모
DD-459USS 래피(USS Laffey)바틀렛 래피[5]1942/3/311942년 과달카날 해전에서 히에이의 포격으로 격침
DD-460USS 우드워스(USS Woodworth)셀림 E. 우드워스1942/4/301951/1/14이탈리아에 양도되어 아르티질레레(Artigilere)로 활동
1971년 해체
DD-491USS 파렌홀트(USS Farenholt)아서 W. 파렌홀트1942/4/21946/4/261972년 스크랩 처리
DD-492USS 베일리(USS Bailey)시어도어러스 베일리1942/5/111946/5/21969년 표적함으로 소모
DD-598USS 밴크로프트(USS Bancroft)조지 밴크로프트1942/4/301946/5/181973년 해체
DD-599USS 바튼(USS Barton)존 K. 바튼1942/5/291942년 과달카날 해전에서 아마츠카제의 뇌격으로 격침
DD-600USS 보일(USS Boyle)토머스 보일1942/8/151946/3/291973년 표적함으로 소모
DD-601USS 챔플린(USS Champlin)스티븐 챔플린1942/9/121947/1/311972년 해체
DD-602USS 미드(USS Meade)리처드 W. 미드 3세
로버트 L. 미드
1942/6/221946/6/171973년 표적함으로 소모
DD-603USS 머피(USS Murphy)존 M. 머피1942/7/251946/3/91972년 스크랩 처리
DD-604USS 파커(USS Parker)폭스홀 A. 파커 주니어1942/8/311947/1/311973년 스크랩 처리
DD-605USS 칼드웰(USS Caldwell)제임스 R. 칼드웰1942/6/101946/4/24?
DD-606USS 코글런(USS Coghlan)조셉 B. 코글런1942/7/101947/3/31?
DD-607USS 프래지어(USS Frazier)대니얼 프래지어1942/7/301946/4/30?
DD-608USS 갠스부트(USS Gansevoort)게르트 갠스부트1942/8/251946/2/1?
DD-609USS 길레스피(USS Gillespie)아치볼드 H. 길레스피1942/8/181946/4/17?
DD-610USS 호비(USS Hobby)제임스 H. 호비1942/11/181946/2/11972년 표적함으로 소모
DD-611USS 칼크(USS Kalk)스탠튼 F. 칼크[6]1942/10/171946/5/31969년 표적함으로 소모
DD-612USS 켄드릭(USS Kendrick)찰스 S. 켄드릭1942/9/121947/3/31시험용으로 소모
DD-613USS 롭(USS Laub)헨리 롭1942/4/281946/2/2?
DD-614USS 맥켄지(USS MacKenzie)알렉산더 S. 맥켄지1942/11/211946/2/4?
DD-615USS 맥래나한(USS McLanahan)테넌트 맥래나한1942/12/191946/2/2?
DD-616USS 닐즈(USS Nields)헨리 C. 닐즈[7]1943/1/151946/3/251972년 해체
DD-617USS 오드로노(USS Ordronaux)존 오드로노1943/2/13??


6. 매체에서의 등장[편집]


파일:external/wiki.gcdn.co/Benson_wows_main.jpg
파일:external/wiki.gcdn.co/Lo_Yang_wows_main.jpg
  • 월드 오브 워쉽에서 미국 구축함 8티어로 나온다. 또한 중화민국(대만)에 넘어간 형식인 뤄양 역시 8티어 프리미엄 함선으로 나왔다.
  • 콘솔버전인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에서는 미국 구축함 6티어로 나온다. 어뢰사거리가 늘어서 본격적으로 어뢰전도 해볼만해진다.

  • 월드 오브 워플레인에서 대공강화 개수를 받지 않은 사양으로 추축군뭐? 해상 타겟으로 등장한다. 파괴 시 전술점수는 16점이며, 상대방은 제공권의 최대 16%를 잃는다.



  • 지금은 서버가 종료된 대만의 모바일 게임 강철소녀에 벤슨이 등장했다. 개장시 뤄양으로 변경되었다.

파일:Naval Creed 벤슨.png
파일:Naval Creed 래피.png.jpg
파일:Naval Creed 뤄양.jpg


7. 둘러보기[편집]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현대의 이탈리아 해군 함선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정플루토급RM/R, 아차이오급RM/R, 타졸리급R, 토리첼리급R,
가자나 프리아로자급R, 리비오 피오마르타급R, 엔리코 토티급R, 사우로급, 토다로급
어뢰정MS472급R, 스피카급RM/R, PT 보트R
고속정풀미네급R, 프레시아급R, 폴고레급R, 람포급R, 에스플로라토레급
미사일 고속정스파르비에로급R
원양초계함시리오급, 카시오페아급, 코만단티급
초계함가비아노급RM/R 피에트로 드 크리스토파로급R,
알바트로스급R, 미네르바급R, 타온 디 레벨(PPA)급
호위구축함알데바란급R
호위함경호위함루포급
대잠호위함첸타우로급R, 카를로 베르가미니급(1962)R, 알피노급R, 마에스트랄레급
방공호위함카를로 베르가미니급
구축함구축함산 조르지오급RM/R 임페투오소급R, 판테급R, 아르티에르급R, 아비에르급R
방공구축함임파비도급R, 아우다체급R, 뒤랑 드 라펜급, 오리존테급, {DDX}
순양함두카 델리 아브루지급RM/R, 안드레아 도리아급R, 비토리오 베네토급R,
상륙정MTP(LCVP)R, MTM(LCM)-2/3/6급R, SR.N6급 호버크래프트R
MTP96급, MTM217급, LCM62급
상륙함LPH산 조르지오급, 트리에스테급
LST안테오R, 에트나R, 안드레아 바필레R,
그라도급R, 콰트로급R
소해함레리치급, 가에타급
수송함폰자급, 고르고나급
군수지원함스테로페R, 에트나급, 스트롬볼리급, 파네레아급, 불카노급
정보수집/연구함스테뻬타R, 오스티아R, 바르바라R, 아미랄료 마나기,
알리안스, 레오나르도, 로세티급, 니페급, 일레트라급
경항공모함주세페 가리발디급, 콘테 디 카보우르급
훈련함아메리고 베스푸치, 아라고스타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RM: 이탈리아 왕립해군(Regina Marina)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파일:대만 국기.svg 현대의 대만 해군 함선 파일:대만 해군 깃발.pn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
(SS)
하이신급, 하이룽급, 하이쿤급
구잠함추장급R, 춰장급R, 칭장급R, 추지안급R
고속정
(PC)
PCA급, PCL급
미사일 고속정
(PG)
하이우급R, 룽장급, 광화 6호급
초계함
(FF)
정안급M/R, 가오안급M/R, 린안급M/R, 핑준급R, 진장급, 퉈장급
호위구축함
(DE)
중정급R 타이호급R, 타이캉급R, 타이위안급R
호위함
(FF)
신양급R, 후이양급R, 지양급M/R, 밍추안/펑지아M, 쳉쿵급, 캉딩급, {경호위함}
구축함구축함
(DD)
프로젝트 T.306.5 설계안R, 린푸R, 단양급R, 뤄양급R, 선양급R, 안양급R, 샹양급R, 차오양급R
방공 구축함
(DDG)
지룽급
상륙정허샨급R, 허펑급R, LCI, LCVP, LCM-6
상륙함LPD위산급
LSD둥하이급R, 전하이급R 중정(애쉬랜드)급R, 쑤하이급
LST중정급R, 충호급, 충하이급
LSM메이전급R
LSSL리안지급R
소해함융진급, 융양급, 융촨급
수송함윈펑급
군수지원함우이급, 판시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해상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1] 전시엔 276명[2] 라피는 4문[라피] A B C [3] 라피는 1기[4] 과달카날 해전에서 래피, 바톤이 격침당했고 랜스데일은 1944년 독일 공군에 의해 격침되었다.[5] 남북전쟁 당시 북부군 수병. 증기선 USS 마모라 소속으로 근무했다. 야주 시티 전투 당시 동료 승조원 두명과 함께 12파운드 함포를 가지고 상륙, 포격을 가해 남부군을 몰아냈다. 이 공로로 동료들과 함께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6] 제1차 세계대전 당시 해군 장교. 1917년 자신이 복무하던 USS 제이콥 존스(DD-61)이 독일 잠수함의 뇌격으로 격침될 때 승조원들이 탈출할 시간을 벌기 위해 노력하다 저체온증과 탈진으로 사망하였다. 이 희생을 기려 사후 해군수훈장이 수여되었다.[7] 남북전쟁 당시 북부군 해군 장교. 아군 모니터함 USS 테쿰셰가 기뢰와 접촉해 격침되자 보트를 타고 가서 10명의 승조원을 구출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벤슨 문서의 r2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벤슨 문서의 r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3:42:05에 나무위키 벤슨급 구축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