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디(붕괴: 스타레일)

최근 편집일시 : (♥ 0)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붕괴 스타레일 로고.png
플레이어블 캐릭터
[ 속성별 ]
## 물리 속성
파일:호요랩_물리.png | 물리
## 구분선
[[개척자(붕괴: 스타레일)/물리·파멸|
파일:호요랩_파멸척자 남.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개척자·파멸
✦✦✦✦✦
파일:호요랩_파멸척자 여.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개척자·파멸
✦✦✦✦✦
]][[클라라(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클라라.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클라라
✦✦✦✦✦
]][[나타샤(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나타샤.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풍요 운명의 길.png

나타샤
✦✦✦✦
]][[소상(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소상.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

소상
✦✦✦✦
]][[루카(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루카.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루카
✦✦✦✦
]][[아젠티|
파일:호요랩_아젠티.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

아젠티
✦✦✦✦✦
]][[한아|
파일:호요랩_한아.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한아
✦✦✦✦
]][[로빈(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로빈.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로빈
✦✦✦✦✦
]][[부트힐|
파일:호요랩_부트힐.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

부트힐
✦✦✦✦✦
]][[운리|
파일:호요랩_빈 이미지.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운리
✦✦✦✦✦
]]
파일:호요랩_화염.png | 화염
## 구분선
[[개척자(붕괴: 스타레일)/화염·보존|
파일:호요랩_보존척자 남.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보존 운명의 길.png

개척자·보존
✦✦✦✦✦
파일:호요랩_보존척자 여.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보존 운명의 길.png

개척자·보존
✦✦✦✦✦
]][[히메코(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히메코.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

히메코
✦✦✦✦✦
]][[아스타(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아스타.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아스타
✦✦✦✦
]][[후크(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후크.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후크
✦✦✦✦
]][[토파즈&복순이|
파일:호요랩_토파즈.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

토파즈&복순이
✦✦✦✦✦
]][[계네빈|
파일:호요랩_계네빈.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계네빈
✦✦✦✦
]][[갤러거(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갤러거.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풍요 운명의 길.png

갤러거
✦✦✦✦
]][[반디(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반디.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반디
✦✦✦✦✦
]]
파일:호요랩_얼음.png | 얼음
## 구분선
[[게파드(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게파드.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파일:보존 운명의 길.png

게파드
✦✦✦✦✦
]][[연경(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연경.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

연경
✦✦✦✦✦
]][[Mar. 7th|
파일:호요랩_Mar. 7th.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파일:보존 운명의 길.png

Mar. 7th
✦✦✦✦
]][[헤르타(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헤르타.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

헤르타
✦✦✦✦
]][[페라|
파일:호요랩_페라.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페라
✦✦✦✦
]][[경류|
파일:호요랩_경류.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경류
✦✦✦✦✦
]][[완·매|
파일:호요랩_완매.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완·매
✦✦✦✦✦
]][[미샤(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미샤.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미샤
✦✦✦✦
]]
파일:호요랩_번개.png | 번개
## 구분선
[[백로(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백로.png
파일:호요랩_번개.png
파일:풍요 운명의 길.png

백로
✦✦✦✦✦
]][[아를란|
파일:호요랩_아를란.png
파일:호요랩_번개.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아를란
✦✦✦✦
]][[서벌(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서벌.png
파일:호요랩_번개.png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

서벌
✦✦✦✦
]][[정운(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정운.png
파일:호요랩_번개.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정운
✦✦✦✦
]][[경원(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경원.png
파일:호요랩_번개.png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

경원
✦✦✦✦✦
]][[카프카(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카프카.png
파일:호요랩_번개.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카프카
✦✦✦✦✦
]][[아케론(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아케론.png
파일:호요랩_번개.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아케론
✦✦✦✦✦
]]
파일:호요랩_바람.png | 바람
[[브로냐(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브로냐.png
파일:호요랩_바람.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브로냐
✦✦✦✦✦
]][[단항|
파일:호요랩_단항.png
파일:호요랩_바람.png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

단항
✦✦✦✦
]][[삼포(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삼포.png
파일:호요랩_바람.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삼포
✦✦✦✦
]][[블레이드(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블레이드.png
파일:호요랩_바람.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블레이드
✦✦✦✦✦
]][[곽향(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곽향.png
파일:호요랩_바람.png
파일:풍요 운명의 길.png

곽향
✦✦✦✦✦
]][[블랙 스완(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블랙 스완.png
파일:호요랩_바람.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블랙 스완
✦✦✦✦✦
]]
파일:호요랩_양자.png | 양자
[[청작|
파일:호요랩_청작.png
파일:호요랩_양자.png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

청작
✦✦✦✦
]][[제레(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제레.png
파일:호요랩_양자.png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

제레
✦✦✦✦✦
]][[은랑|
파일:호요랩_은랑.png
파일:호요랩_양자.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은랑
✦✦✦✦✦
]][[부현(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부현.png
파일:호요랩_양자.png
파일:보존 운명의 길.png

부현
✦✦✦✦✦
]][[링스(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링스.png
파일:호요랩_양자.png
파일:풍요 운명의 길.png

링스
✦✦✦✦
]][[설의|
파일:호요랩_설의.png
파일:호요랩_양자.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설의
✦✦✦✦
]][[스파클(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스파클.png
파일:호요랩_양자.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스파클
✦✦✦✦✦
]][[제이드(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제이드.png
파일:호요랩_양자.png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

제이드
✦✦✦✦✦
]]
파일:호요랩_허수.png | 허수
[[개척자(붕괴: 스타레일)/허수·화합|
파일:호요랩_화합척자 남.png{{{#!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 100%; margin-left: -100%; padding:1px;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파일:호요랩_허수.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개척자·화합
✦✦✦✦✦
{{{#!wiki style="padding:1.5px; 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596px / 7);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iki style="background:#292D34; vertical-align: top; color:#dbc291; font-size:0.8em; letter-spacing: -1.2px;" {{{#!wiki style="padding:1px; width: 100%;" {{{#!wiki style="padding:1px; border:1px solid #707274;" {{{#!wiki style="margin-bottom:3px;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35d55, #d0aa6e);" 파일:호요랩_화합척자 여.png{{{#!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 100%; margin-left: -100%; padding:1px;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파일:호요랩_허수.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개척자·화합
✦✦✦✦✦
}}}}}}}}}}}}]][[웰트(붕괴: 스타레일)|{{{#!wiki style="padding:1.5px; 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596px / 7);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iki style="background:#292D34; vertical-align: top; color:#dbc291; font-size:0.8em; letter-spacing: -1.2px;" {{{#!wiki style="padding:1px; width: 100%;" {{{#!wiki style="padding:1px; border:1px solid #707274;" {{{#!wiki style="margin-bottom:3px;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35d55, #d0aa6e);" 파일:호요랩_웰트.png{{{#!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 100%; margin-left: -100%; padding:1px;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파일:호요랩_허수.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웰트
✦✦✦✦✦
}}}}}}}}}}}}]][[나찰(붕괴: 스타레일)|{{{#!wiki style="padding:1.5px; 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596px / 7);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iki style="background:#292D34; vertical-align: top; color:#dbc291; font-size:0.8em; letter-spacing: -1.2px;" {{{#!wiki style="padding:1px; width: 100%;" {{{#!wiki style="padding:1px; border:1px solid #707274;" {{{#!wiki style="margin-bottom:3px;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35d55, #d0aa6e);" 파일:호요랩_나찰.png{{{#!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 100%; margin-left: -100%; padding:1px;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파일:호요랩_허수.png
파일:풍요 운명의 길.png}}}}}}나찰
✦✦✦✦✦
}}}}}}}}}}}}]][[어공|{{{#!wiki style="padding:1.5px; 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596px / 7);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iki style="background:#292D34; vertical-align: top; color:#dbc291; font-size:0.8em; letter-spacing: -1.2px;" {{{#!wiki style="padding:1px; width: 100%;" {{{#!wiki style="padding:1px; border:1px solid #707274;" {{{#!wiki style="margin-bottom:3px;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f4064, #9c65d7);" 파일:호요랩_어공.png{{{#!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 100%; margin-left: -100%; padding:1px;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파일:호요랩_허수.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어공
✦✦✦✦
}}}}}}}}}}}}]][[단항·음월|{{{#!wiki style="padding:1.5px; 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596px / 7);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iki style="background:#292D34; vertical-align: top; color:#dbc291; font-size:0.8em; letter-spacing: -1.2px;" {{{#!wiki style="padding:1px; width: 100%;" {{{#!wiki style="padding:1px; border:1px solid #707274;" {{{#!wiki style="margin-bottom:3px;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35d55, #d0aa6e);" 파일:호요랩_음월.png{{{#!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 100%; margin-left: -100%; padding:1px;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파일:호요랩_허수.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단항·음월
✦✦✦✦✦
}}}}}}}}}}}}]][[Dr. 레이시오|{{{#!wiki style="padding:1.5px; 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596px / 7);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iki style="background:#292D34; vertical-align: top; color:#dbc291; font-size:0.8em; letter-spacing: -1.2px;" {{{#!wiki style="padding:1px; width: 100%;" {{{#!wiki style="padding:1px; border:1px solid #707274;" {{{#!wiki style="margin-bottom:3px;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35d55, #d0aa6e);" 파일:호요랩_레이시오.png{{{#!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 100%; margin-left: -100%; padding:1px;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파일:호요랩_허수.png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Dr. 레이시오
✦✦✦✦✦
}}}}}}}}}}}}]][[어벤츄린|{{{#!wiki style="padding:1.5px; 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596px / 7);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iki style="background:#292D34; vertical-align: top; color:#dbc291; font-size:0.8em; letter-spacing: -1.2px;" {{{#!wiki style="padding:1px; width: 100%;" {{{#!wiki style="padding:1px; border:1px solid #707274;" {{{#!wiki style="margin-bottom:3px;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35d55, #d0aa6e);" 파일:호요랩_어벤츄린.png{{{#!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 100%; margin-left: -100%; padding:1px;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파일:호요랩_허수.png
파일:보존 운명의 길.png}}}}}}어벤츄린
✦✦✦✦✦
}}}}}}}}}}}}]]

[ 운명의 길별 ]
## 파멸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 파멸
## 구분선
[[개척자(붕괴: 스타레일)/물리·파멸|
파일:호요랩_파멸척자 남.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개척자·파멸
✦✦✦✦✦
파일:호요랩_파멸척자 여.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개척자·파멸
✦✦✦✦✦
]][[클라라(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클라라.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클라라
✦✦✦✦✦
]][[아를란|
파일:호요랩_아를란.png
파일:호요랩_번개.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아를란
✦✦✦✦
]][[후크(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후크.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후크
✦✦✦✦
]][[블레이드(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블레이드.png
파일:호요랩_바람.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블레이드
✦✦✦✦✦
]][[단항·음월|
파일:호요랩_음월.png
파일:호요랩_허수.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단항·음월
✦✦✦✦✦
]][[경류|
파일:호요랩_경류.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경류
✦✦✦✦✦
]][[설의|
파일:호요랩_설의.png
파일:호요랩_양자.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설의
✦✦✦✦
]][[미샤(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미샤.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미샤
✦✦✦✦
]][[반디(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반디.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반디
✦✦✦✦✦
]][[운리|
파일:호요랩_빈 이미지.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운리
✦✦✦✦✦
]]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 | 수렵
## 구분선
[[연경(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연경.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

연경
✦✦✦✦✦
]][[단항|
파일:호요랩_단항.png
파일:호요랩_바람.png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

단항
✦✦✦✦
]][[소상(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소상.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

소상
✦✦✦✦
]][[제레(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제레.png
파일:호요랩_양자.png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

제레
✦✦✦✦✦
]][[토파즈&복순이|
파일:호요랩_토파즈.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

토파즈&복순이
✦✦✦✦✦
]][[Dr. 레이시오|
파일:호요랩_레이시오.png
파일:호요랩_허수.png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

Dr. 레이시오
✦✦✦✦✦
]][[부트힐|
파일:호요랩_부트힐.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

부트힐
✦✦✦✦✦
]]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 | 지식
## 구분선
[[히메코(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히메코.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

히메코
✦✦✦✦✦
]][[헤르타(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헤르타.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

헤르타
✦✦✦✦
]][[서벌(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서벌.png
파일:호요랩_번개.png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

서벌
✦✦✦✦
]][[청작|
파일:호요랩_청작.png
파일:호요랩_양자.png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

청작
✦✦✦✦
]][[경원(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경원.png
파일:호요랩_번개.png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

경원
✦✦✦✦✦
]][[아젠티|
파일:호요랩_아젠티.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

아젠티
✦✦✦✦✦
]][[제이드(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제이드.png
파일:호요랩_양자.png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

제이드
✦✦✦✦✦
]]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 화합
## 구분선
[[개척자(붕괴: 스타레일)/허수·화합|
파일:호요랩_화합척자 남.png
파일:호요랩_허수.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개척자·화합
✦✦✦✦✦
파일:호요랩_화합척자 여.png
파일:호요랩_허수.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개척자·화합
✦✦✦✦✦
]][[브로냐(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브로냐.png
파일:호요랩_바람.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브로냐
✦✦✦✦✦
]][[아스타(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아스타.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아스타
✦✦✦✦
]][[정운(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정운.png
파일:호요랩_번개.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정운
✦✦✦✦
]][[어공|
파일:호요랩_어공.png
파일:호요랩_허수.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어공
✦✦✦✦
]][[한아|
파일:호요랩_한아.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한아
✦✦✦✦
]][[완·매|
파일:호요랩_완매.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완·매
✦✦✦✦✦
]][[스파클(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스파클.png
파일:호요랩_양자.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스파클
✦✦✦✦✦
]][[로빈(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로빈.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로빈
✦✦✦✦✦
]]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 공허
[[웰트(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웰트.png
파일:호요랩_허수.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웰트
✦✦✦✦✦
]][[페라|
파일:호요랩_페라.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페라
✦✦✦✦
]][[삼포(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삼포.png
파일:호요랩_바람.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삼포
✦✦✦✦
]][[은랑|
파일:호요랩_은랑.png
파일:호요랩_양자.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은랑
✦✦✦✦✦
]][[카프카(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카프카.png
파일:호요랩_번개.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카프카
✦✦✦✦✦
]][[루카(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루카.png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루카
✦✦✦✦
]][[계네빈|
파일:호요랩_계네빈.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계네빈
✦✦✦✦
]][[블랙 스완(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블랙 스완.png
파일:호요랩_바람.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블랙 스완
✦✦✦✦✦
]][[아케론(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아케론.png
파일:호요랩_번개.png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아케론
✦✦✦✦✦
]]
파일:보존 운명의 길.png | 보존
## 구분선
[[개척자(붕괴: 스타레일)/화염·보존|
파일:호요랩_보존척자 남.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보존 운명의 길.png

개척자·보존
✦✦✦✦✦
파일:호요랩_보존척자 여.png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보존 운명의 길.png

개척자·보존
✦✦✦✦✦
]][[게파드(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게파드.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파일:보존 운명의 길.png

게파드
✦✦✦✦✦
]][[Mar. 7th|
파일:호요랩_Mar. 7th.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파일:보존 운명의 길.png

Mar. 7th
✦✦✦✦
]][[부현(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부현.png
파일:호요랩_양자.png
파일:보존 운명의 길.png

부현
✦✦✦✦✦
]][[어벤츄린|
파일:호요랩_어벤츄린.png
파일:호요랩_허수.png
파일:보존 운명의 길.png

어벤츄린
✦✦✦✦✦
]]
파일:풍요 운명의 길.png | 풍요
## 구분선
[[백로(붕괴: 스타레일)|
{{{#!wiki style="padding:1px; width: 100%;"
{{{#!wiki style="padding:1px; border:1px solid #707274;" {{{#!wiki style="margin-bottom:3px;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35d55, #d0aa6e);" 파일:호요랩_백로.png{{{#!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 100%; margin-left: -100%; padding:1px;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파일:호요랩_번개.png
파일:풍요 운명의 길.png}}}}}}백로
✦✦✦✦✦
}}}}}}
]][[나타샤(붕괴: 스타레일)|{{{#!wiki style="padding:1.5px; 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596px / 7);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iki style="background:#292D34; vertical-align: top; color:#dbc291; font-size:0.8em; letter-spacing: -1.2px;" {{{#!wiki style="padding:1px; width: 100%;" {{{#!wiki style="padding:1px; border:1px solid #707274;" {{{#!wiki style="margin-bottom:3px;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f4064, #9c65d7);" 파일:호요랩_나타샤.png{{{#!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 100%; margin-left: -100%; padding:1px;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파일:호요랩_물리.png
파일:풍요 운명의 길.png}}}}}}나타샤
✦✦✦✦
}}}}}}}}}}}}]][[나찰(붕괴: 스타레일)|{{{#!wiki style="padding:1.5px; 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596px / 7);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iki style="background:#292D34; vertical-align: top; color:#dbc291; font-size:0.8em; letter-spacing: -1.2px;" {{{#!wiki style="padding:1px; width: 100%;" {{{#!wiki style="padding:1px; border:1px solid #707274;" {{{#!wiki style="margin-bottom:3px;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35d55, #d0aa6e);" 파일:호요랩_나찰.png{{{#!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 100%; margin-left: -100%; padding:1px;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파일:호요랩_허수.png
파일:풍요 운명의 길.png}}}}}}나찰
✦✦✦✦✦
}}}}}}}}}}}}]][[링스(붕괴: 스타레일)|{{{#!wiki style="padding:1.5px; 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596px / 7);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iki style="background:#292D34; vertical-align: top; color:#dbc291; font-size:0.8em; letter-spacing: -1.2px;" {{{#!wiki style="padding:1px; width: 100%;" {{{#!wiki style="padding:1px; border:1px solid #707274;" {{{#!wiki style="margin-bottom:3px;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f4064, #9c65d7);" 파일:호요랩_링스.png{{{#!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 100%; margin-left: -100%; padding:1px;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파일:호요랩_양자.png
파일:풍요 운명의 길.png}}}}}}링스
✦✦✦✦
}}}}}}}}}}}}]][[곽향(붕괴: 스타레일)|{{{#!wiki style="padding:1.5px; 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596px / 7);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iki style="background:#292D34; vertical-align: top; color:#dbc291; font-size:0.8em; letter-spacing: -1.2px;" {{{#!wiki style="padding:1px; width: 100%;" {{{#!wiki style="padding:1px; border:1px solid #707274;" {{{#!wiki style="margin-bottom:3px;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35d55, #d0aa6e);" 파일:호요랩_곽향.png{{{#!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 100%; margin-left: -100%; padding:1px;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파일:호요랩_바람.png
파일:풍요 운명의 길.png}}}}}}곽향
✦✦✦✦✦
}}}}}}}}}}}}]][[갤러거(붕괴: 스타레일)|{{{#!wiki style="padding:1.5px; 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596px / 7);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wiki style="background:#292D34; vertical-align: top; color:#dbc291; font-size:0.8em; letter-spacing: -1.2px;" {{{#!wiki style="padding:1px; width: 100%;" {{{#!wiki style="padding:1px; border:1px solid #707274;" {{{#!wiki style="margin-bottom:3px; display: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f4064, #9c65d7);" 파일:호요랩_갤러거.png{{{#!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 100%; margin-left: -100%; padding:1px;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파일:호요랩_화염.png
파일:풍요 운명의 길.png}}}}}}갤러거
✦✦✦✦
}}}}}}}}}}}}]]

[ 지역별 ]
## 은하열차
## 구분선
[[개척자(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파멸척자 남.png

카일루스
파일:호요랩_파멸척자 여.png

스텔레
]][[히메코(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히메코.png

히메코
]][[웰트(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웰트.png

웰트
]][[Mar. 7th|
파일:호요랩_Mar. 7th.png

Mar. 7th
]][[단항|
파일:호요랩_단항.png

단항
]]
## 구분선
[[은랑|
파일:호요랩_은랑.png

은랑
]][[블레이드(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블레이드.png

블레이드
]][[카프카(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카프카.png

카프카
]][[반디(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반디.png

반디
]]
## 구분선
[[아를란|
파일:호요랩_아를란.png

아를란
]][[아스타(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아스타.png

아스타
]][[헤르타(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헤르타.png

헤르타
]][[완·매|
파일:호요랩_완매.png

완·매
]]
## 구분선
[[브로냐(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브로냐.png

브로냐
]][[게파드(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게파드.png

게파드
]][[클라라(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클라라.png

클라라
]][[서벌(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서벌.png

서벌
]][[나타샤(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나타샤.png

나타샤
]][[페라|
파일:호요랩_페라.png

페라
]][[삼포(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삼포.png

삼포
]][[후크(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후크.png

후크
]][[제레(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제레.png

제레
]][[루카(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루카.png

루카
]][[링스(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링스.png

링스
]]
## 구분선
[[연경(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연경.png

연경
]][[백로(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백로.png

백로
]][[청작|
파일:호요랩_청작.png

청작
]][[정운(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정운.png

정운
]][[소상(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소상.png

소상
]][[경원(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경원.png

경원
]][[나찰(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나찰.png

나찰
]][[어공|
파일:호요랩_어공.png

어공
]][[단항·음월|
파일:호요랩_음월.png

단항·음월
]][[부현(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부현.png

부현
]][[경류|
파일:호요랩_경류.png

경류
]][[계네빈|
파일:호요랩_계네빈.png

계네빈
]][[곽향(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곽향.png

곽향
]][[한아|
파일:호요랩_한아.png

한아
]][[설의|
파일:호요랩_설의.png

설의
]][[운리|
파일:호요랩_빈 이미지.png

운리
]]
## 구분선
[[토파즈&복순이|
파일:호요랩_토파즈.png

토파즈&복순이
]][[어벤츄린|
파일:호요랩_어벤츄린.png

어벤츄린
]][[제이드(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제이드.png

제이드
]]
## 구분선
[[블랙 스완(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블랙 스완.png

블랙 스완
]][[미샤(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미샤.png

미샤
]][[스파클(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스파클.png

스파클
]][[갤러거(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갤러거.png

갤러거
]][[로빈(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로빈.png

로빈
]][[부트힐|
파일:호요랩_부트힐.png

부트힐
]]
## 구분선
[[아젠티|
파일:호요랩_아젠티.png

아젠티
]][[Dr. 레이시오|
파일:호요랩_레이시오.png

Dr. 레이시오
]][[아케론(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아케론.png

아케론
]]

취소선
: 출시 예정 캐릭터 |
지역별
클릭 시 스포일러 주의



파일:붕괴 스타레일 로고.png
현재 진행중인 캐릭터 이벤트 워프 대상

「매화꽃 화음」 / 「길 잃은 영혼」 (12/27 11:00 - 01/17 12:59)
## 구분선
[[완·매|
파일:호요랩_완매.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완·매
New
]][[블레이드(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블레이드.png
파일:호요랩_바람.png
블레이드
파일:투명.png
]][[설의(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설의.png
파일:호요랩_양자.png
설의
New
]][[Mar. 7th|
파일:호요랩_Mar. 7th.png
파일:호요랩_얼음.png
Mar. 7th
파일:투명.png
]][[정운(붕괴: 스타레일)|
파일:호요랩_정운.png
파일:호요랩_번개.png
정운
파일:투명.png
]]


반디
Firefly
파일:스타레일 반디.png
이름반디
본명AR-26710[1]
이명[2]
성별여성
소속페나코니
그라모스 철기군
스텔라론 헌터
현상금97억 2300만 크레딧
속성ta-hash-start=w-cd7c61ef36c7ef4733b4f88fa19f403e[[파일:화염 속성.png
화염
운명의 길ta-hash-start=w-a2f85694da56232b78977a73c590cd5b[[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파멸
언어별 표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반디
파일:미국 국기.svg

Firefly
파일:중국 국기.svg

流萤(liú yíng
파일:일본 국기.svg

ホタル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혜지[3]
파일:미국 국기.svg

아날리사 피셔[4]
파일:중국 국기.svg

송위엔위엔[5]
파일:일본 국기.svg

쿠스노키 토모리
의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서화
파일:미국 국기.svg

에이딘 러드
파일:중국 국기.svg

간쯔치
파일:일본 국기.svg

카사마 쥰

1. 개요
2. 관련 매체
2.1. HoYoLAB
2.2. 소개 동영상
3. 인게임 정보
3.1. 속성
3.1.1. 승급 재료
3.2. 행적
3.2.1. 일반 공격: 지령-폭연 추진
3.2.1.1. 반딧불이 Type-IV·뇌관 참격
3.2.2. 전투 스킬: 지령-천공 포격
3.2.2.1. 반딧불이 Type-IV·데스 스타 과부하
3.2.3. 필살기: 반딧불이 Type-IV·완전 연소
3.2.4. 특성: 고치형 원초 화염 중추
3.2.5. 비술: Δ지령-초토화 운석 폭격
3.2.6. 추가 능력
3.3. 성혼
3.4. 정보
3.4.1. 음성
3.4.2. 이야기
4. 운용
4.1. 광추
4.2. 유물
4.2.1. 터널 유물
4.2.2. 차원 장신구
4.3. 파티 구성
5. 평가
7. 인간관계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반디 캐릭터 카드.jpg

「반딧불이는 참 신기한 생물이지? 불을 향해 날아들고, 갑자기 노화하기도 해. 하지만 그렇게 될 때까지 그들은 매일 밤 별보다 눈부신 빛을 뿜어내」
스텔라론 헌터 멤버로 기계 갑옷 「」을 걸친 소녀.
병기의 신분으로 태어나 유전자 개조로 인해 「엔트로피 상실증」의 고통을 겪는다.
생명의 의미를 찾기 위해 스텔라론 헌터가 되었고 운명을 거스르는 방법을 끊임없이 추구하고 있다.

붕괴: 스타레일》 공식 홈페이지 캐릭터 소개

붕괴: 스타레일》에 등장하는 플레이어블 캐릭터. 스텔라론 헌터의 일원으로 현상금은 97억 2300만 크레딧.


2. 관련 매체[편집]



2.1. HoYoLAB[편집]




2.2. 소개 동영상[편집]


반디 캐릭터 PV——「고치 속 반딧불이」
「반딧불이는 참 신기한 생물이지? 불을 향해 날아들고, 갑자기 노화하기도 해. 하지만 그렇게 될 때까지 그들은 매일 밤 별보다 눈부신 빛을 뿜어내」
[ JP ]


[ CN ]


[ EN ]



은하탐구생활——「반디: 해양 화재 예방 대책 시급」
스텔라론 헌터의 가장 무서운 위험인물은 바로 %&*#%# 안녕 난 은랑이야. 이번 편 잘 만들었네, 칭찬할게. 프로그램이 이 퀄리티를 유지할 수 있길 바라. 스텔라론 헌터에 대해 안 좋은 얘기는 함부로 하지 말고. 새 아저씨, 다음에 봐. &*$^#!#@특별 게스트 웰트 씨와 함께 스텔라론 헌터 「샘」의 폭발적인 삶에 대해 알아보시죠!
[ JP ]


[ CN ]


[ EN ]




3. 인게임 정보[편집]


파일:스타레일 반디.png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인게임 정보,
5성=,
화염=,
파멸=,
캐릭터=반디,
문서명=반디(붕괴: 스타레일),
소속=스텔라론 헌터,
출시=2024/06/19,
한정=,
캐릭터 소개=스텔라론 헌터 멤버의 일원으로\, 기계 기갑 「샘」을 입고 전투를 벌인다. 임무에 충실하고 완고한 성격이다.<br>곤충 떼를 물리치기 위한 무기로 태어나 성장 속도는 일반인과 다르지만\, 수명이 매우 짧다.<br>「삶」의 기회를 찾기 위해 스텔라론 헌터에 합류하여 운명을 거스를 방법을 찾고 있다,
)]


3.1. 속성[편집]






3.1.1. 승급 재료[편집]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육성 재료, 승급=, 5성=,
승급재료=격분한 심장, 강화재료1=생각의 가루, 강화재료2=인상의 파편, 강화재료3=욕망의 거울 조각)]


3.2. 행적[편집]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육성 재료, 행적=, 5성=,
행적고급재료=공동의 염원의 유음, 강화재료1=생각의 가루, 강화재료2=인상의 파편, 강화재료3=욕망의 거울 조각, 행적재료1=보리인의 송곳니, 행적재료2=늑대 독 송곳니, 행적재료3=달의 광기 이빨,
추가능력1=α모듈-안티랙 아웃버스트, 추가능력2=β모듈-자기 제어 기갑, 추가능력3=γ모듈-과부하 코어)]


3.2.1. 일반 공격: 지령-폭연 추진[편집]


일반 공격
파일:반디_일반 공격.png
지령-폭연 추진
[단일 공격] | 강인성 감소 수치: 10
지정된 단일 적에게 기갑 「샘」 공격력 n%만큼의 화염 속성 피해를 가한다

레벨일반 공격 피해
Lv.150%
Lv.260%
Lv.370%
Lv.480%
Lv.590%
Lv.6100%
Lv.7110%

지령-폭연 추진 / 반딧불이 Type-IV·뇌관 참격



3.2.1.1. 반딧불이 Type-IV·뇌관 참격[편집]

일반 공격
파일:반디_일반 공격 강화.png
반딧불이 Type-IV·뇌관 참격
[단일 공격] | 강인성 감소 수치 15
자신의 HP 최대치의 20%만큼 HP를 회복한다. 지정된 단일 적에게 기갑 「샘」의 공격력의 n%만큼 화염 속성 피해를 가한다

레벨일반 공격 피해
Lv.1100%
Lv.2120%
Lv.3140%
Lv.4160%
Lv.5180%
Lv.6200%
Lv.7220%

작전4,점화



3.2.2. 전투 스킬: 지령-천공 포격[편집]


전투 스킬
파일:반디_전투 스킬.png
지령-천공 포격
[단일 공격] | 강인성 감소 수치: 20
전투 스킬 포인트 소모
자신의 HP 최대치 40%만큼 HP를 소모해 자신의 에너지 최대치 n%만큼의 에너지를 고정적으로 회복한다. 지정된 단일 적에게 기갑 「샘」 공격력의 n%만큼 화염 속성 피해를 가한다. 현재 HP가 부족하면 전투 스킬 발동 시 기갑 「샘」의 현재 HP가 1pt로 감소한다. 자신의 다음번 행동 게이지를 25% 증가시킨다.

레벨에너지 회복량스킬 피해
Lv.150%100%
Lv.251%110%
Lv.352%120%
Lv.453%130%
Lv.554%140%
Lv.655%150%
Lv.756.25%162.5%
Lv.857.5%175%
Lv.958.75%187.5%
Lv.1060%200%
Lv.1161%210%
Lv.1262%220%

지령-천공 포격 / 반딧불이 Type-IV·데스 스타 과부하

공격,개시!

준비,기폭!

공격! (배속)

기폭! (배속)



3.2.2.1. 반딧불이 Type-IV·데스 스타 과부하[편집]

전투 스킬
파일:반디_전투 스킬 강화.png
반딧불이 Type-IV·데스 스타 과부하
[확산] | 강인성 감소 수치: 30
전투 스킬 포인트 소모
자신의 HP 최대치의 25%만큼 HP를 회복한다. 지정된 단일 적이 화염 속성 약점이 없을 시 해당 적에게 화염 속성 약점을 부여한다, 지속 시간: 2턴. 해당 목표에게 기갑 「샘」 공격력의(0.2x격파 특수효과+n%)만큼 화염 속성 피해를 가하고, 인접한 목표에게 기갑 「샘」 공격력의 (0.10x격파 특수효과+n%)만큼 화염 속성 피해를 가한다. 격파 특수효과는 최대 360% 계산한다

레벨단일 목표 피해인접 목표 피해
Lv.1100%50%
Lv.2110%55%
Lv.3120%60%
Lv.4130%65%
Lv.5140%70%
Lv.6150%75%
Lv.7162.5%81.25%
Lv.8175%87.5%
Lv.9187.5%93.75%
Lv.10200%100%
Lv.11210%105%
Lv.12220%110%

별바다를 불태우리

싸우기 위해 살고, 살기 위해 싸운다!

살기 위해 싸운다!(배속)



3.2.3. 필살기: 반딧불이 Type-IV·완전 연소[편집]


필살기
파일:반디_필살기.png
반딧불이 Type-IV·완전 연소
[강화]
에너지 소모
240
「완전연소」 상태에 진입하고 자신의 행동 게이지가 100% 증가하며, 일반 공격 강화 및 전투 스킬 강화를 획득한다. 「완전연소」 상태에서는 속도가 npt 증가한다. 또한, 강화된 일반 공격 및 강화된 전투 스킬을 발동하면 자신의 약점 격파 효율이 50% 증가하고, 적이 받는 격파 피해가 n% 증가하며, 이번 공격이 끝날 때까지 지속된다.
행동 서열에 「완전연소」 카운트다운이 나타나고, 카운트다운 턴 시작 시 기갑 「샘」이 「완전연소」 상태를 해제한다. 카운트다운이 보유한 고정 속도는 70이다.
기갑 「샘」은 「완전연소」 상태에서 필살기를 발동할 수 없다

레벨속도 증가받는 피해 증가
Lv.13010%
Lv.23311%
Lv.33612%
Lv.43913%
Lv.54214%
Lv.64515%
Lv.748.7516.25%
Lv.852.517.5%
Lv.956.2518.25%
Lv.106020%
Lv.116321%
Lv.126622%

반딧불이 Type-IV·완전 연소

반딧불이는 생명을 불태워 빛을 내지 (활성화)


나는 나를 위해 싸울 거야, 모든 것을 불태울 때까지! (발동)

모든 게 불타버릴 때까지! (배속)


스킬 사용 후 반디의 턴에서 반디가 대사를 말할때 오른쪽 상단에 홀로그램이 뜬다. 또한 전투병기 샘이 아닌 인간 반디로써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각성한 폼이기 때문인지 샘과 반디의 목소리가 섞여나오던 변신 전과 달리 변신 후에는 반디의 목소리만 나온다.


3.2.4. 특성: 고치형 원초 화염 중추[편집]


특성
파일:반디_특성.png
고치형 원초 화염 중추
[방어]
HP가 낮을수록 받는 피해가 감소한다. HP가 20% 이하일 경우 피해 감소 효과가 최대치에 도달하며, 최대 n% 감소한다. 「완전연소」 상태에서는 피해 감소 효과가 최대치에 유지되며, 효과 저항이 n% 증가한다.
전투 시작 시 에너지가 50% 미만일 경우 에너지를 50%까지 회복한다. 에너지가 최대치까지 회복되면 자신의 모든 디버프 효과가 해제된다

레벨받는 피해 감소효과 저항 증가
Lv.120%10%
Lv.222%12%
Lv.324%14%
Lv.426%16%
Lv.528%18%
Lv.630%20%
Lv.732%22.25%
Lv.835%25%
Lv.938%27.5%
Lv.1040%30%
Lv.1142%32%
Lv.1244%34%



3.2.5. 비술: Δ지령-초토화 운석 폭격[편집]


비술
파일:반디_비술.png
Δ지령-초토화 운석 폭격
강인성 감소 수치: 20
공중으로 도약해 5초 동안 자유롭게 이동하며, 이때 낙하 공격을 발동하면 지속 시간을 조기 종료한다. 지속 시간이 종료되면 착지해 즉시 일정 범위 내의 모든 적을 공격하고, 매 웨이브 시작 시 모든 적에게 화염 속성 약점을 추가한다, 지속 시간: 2턴. 이후 모든 적에게 기갑 「샘」 공격력의 200%만큼 화염 속성 피해를 가한다

Δ지령-초토화 운석 폭격

반딧불이 Type-IV 가동!

필드 위의 적들에게 카프카의 비술처럼 단체 광역 데미지를 입히고 추가로 맞은 적에게 화염 속성 약점을 부여하는 기술. 격파를 주딜로 하는 딜러답게 은랑의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 보인다. 어공이나 음월처럼 이동기로서도 훌륭한 비술이다.

성능 외적으로는, 지금껏 경공술이나 등반은 고사하고 점프조차 없었던 스타레일에서 최초로 낙하 공격 기능을 탑재했다는 의의가 있다. 유저들 사이에서는 둠피스트가 연상된다는 말이 나오는 중이다.파멸의 일격


3.2.6. 추가 능력[편집]


파일:반디_추가 능력1.pngα모듈-안티랙 아웃버스트
[추가 능력]
「완전연소」 상태에서 화염 속성 약점이 없는 적을 공격해도 강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효과는 기존 스킬 강인성 감소 수치의 55%만큼이다.

파일:반디_추가 능력2.pngβ모듈-자기 제어 기갑
[추가 능력]
「완전연소」 상태에서 기갑 「샘」의 격파 특수효과가 200%/360% 이상일 시, 약점 격파 상태의 적을 공격하면 강인성 감소 수치가 30%/50%의 슈퍼 격파 피해로 전환된다.

파일:반디_추가 능력3.pngγ모듈-과부하 코어
[추가 능력]
기갑 「샘」의 공격력이 1,800pt보다 높으면 공격력이 10pt 초과할 때마다 격파 특수효과가 0.8% 상승한다.


3.3. 성혼[편집]


파일:반디_성혼1.png
1


나는 잠들었네, 붉은 고치 안에서
파일:반디_성혼2.png
2


부서진 하늘에서 추락해
파일:반디_성혼3.png
3


고요한 성하에 깊이 잠들고
파일:반디_성혼4.png

나는 보리라, 반딧불이의 불빛을
파일:반디_성혼5.png

꿈 없는 긴밤에서 비추며
파일:반디_성혼6.png

종극의 내일에 피어나리

성혼 1
파일:반디_돌파1.png
나는 잠들었네, 붉은 고치 안에서
강화된 전투 스킬 발동 시 목표의 방어력 15%를 무시하고, 강화된 전투 스킬은 전투 스킬 포인트를 소모하지 않는다
성혼 2
파일:반디_돌파2.png
부서진 하늘에서 추락해
「완전연소」 상태에서 강화된 일반 공격, 강화된 전투 스킬을 발동해 적을 처치하거나 적을 약점 격파 상태에 빠트릴 시 기갑 「샘」이 즉시 보너스 턴 1개를 획득한다. 해당 효과는 1턴 후 다시 발동할 수 있다
성혼 3
파일:반디_돌파3.png
고요한 성하에 깊이 잠들고
전투 스킬 레벨+2, 최대 Lv.15. 일반 공격 레벨+1, 최대 Lv.10
성혼 4
파일:반디_돌파4.png
나는 보리라, 반딧불이의 불빛을
「완전연소」 상태일 때 기갑 「샘」의 효과 저항이 50% 증가한다
성혼 5
파일:반디_돌파5.png
꿈 없는 긴밤에서 비추며
필살기 레벨+2, 최대 Lv.15. 특성 레벨+2, 최대 Lv.15
성혼 6
파일:반디_돌파6.png
종극의 내일에 피어나리
「완전연소」 상태에서 기갑 「샘」의 화염 속성 저항 관통이 20% 증가한다. 강화된 일반 공격, 강화된 전투 스킬 발동 시 약점 격파 효율이 50% 증가한다

  • 성혼 1 - 나는 잠들었네, 붉은 고치 안에서
방어력 무시를 증가시켜주고 완전연소 상태에서 전투 스킬 포인트를 사용하지 않고 전투 스킬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성혼. 다만 완척갤 조합으로 파티가 고정되는 반디에게는 완매와 갤러거의 높은 SP 수급력으로 명함 운영에 SP가 특별히 부족하지 않고, 이외의 조합을 사용할 메리트가 적기 때문에[6] 갤러거를 육성했다면 성혼 1의 요구도는 낮은 편이다. 현 시점에서는 고효율의 2성혼을 위해 거쳐가는 성혼 정도로 평가되지만, 추후 SP를 소모하는 5성 격파 풍요/보존이 출시될 경우 활용도가 늘어날 수 있는 미래시적 옵션인 셈. 한편 시뮬레이션 우주라면 이야기가 달라지는데, 재행동 계열 축복을 획득했을 때 SP 소모가 없어 그야말로 스킬을 난사할 수 있게 된다.

  • 성혼 2 - 부서진 하늘에서 추락해
완전연소 상태에서 적을 격파하거나 처치 시 추가 턴을 얻는 성혼. 1턴의 쿨타임이 있으나 격파가 매우 빠른 반디 특성상 쿨마다 거의 항상 격파나 처치를 할 수 있기에 행동 수가 1.5배 늘어나는 것과 거의 차이가 없는 수준의 매우 고효율 성혼이다. 비슷하게 턴을 추가로 가져가는 단항·음월의 성혼 2와는 다르게 행동 게이지 100% 증가가 아닌 추가 턴이므로 자기 턴마다 지속 시간이 줄어드는 버프도 더 잘 받을 수 있다.

  • 성혼 4 - 나는 보리라, 반딧불이의 불빛을
완전연소 상태에서 효과 저항이 50% 증가하는 성혼. 대부분 스타레일의 성혼 4는 애매한 성능에 성혼 6을 위해 거쳐가는 단계 정도로 평가받는 경우가 많고 반디의 성혼 4 역시 마찬가지이다. 반디의 자체 효과 저항까지 포함하면 완전연소 중 100%의 효과 저항을 달성해 모든 디버프에 완전 저항은 할 수 있으나 이미 성혼 2를 찍은 반디는 격파 메커니즘 특성상 피격당할 일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 성혼 6 - 종극의 내일에 피어나리
완전연소 상태에서 화염 저항 관통이 20% 증가하고 약점 격파 효율이 50% 증가하는 성혼. 약점 격파 효율은 합연산이므로 완·매와 같이 사용한다면 2.25배가 아닌 2배의 약점 격파 효율을 받게 된다.

3.4. 정보[편집]



3.4.1. 음성[편집]



음성
[ 상호작용 ]

첫 만남대사
인사대사
작별대사
자신에 대해대사
잡담대사
취미대사
고민대사
공유대사
견문대사
에 대해대사
성혼 활성화대사
캐릭터 승급대사
캐릭터 최고 레벨대사
행적 활성화대사
파티 편성 · 대사

[ 전투 ]

전투 시작 · 약점 격파대사
전투 시작 · 위험 경보대사
턴 시작 · 1대사
턴 시작 · 2대사
턴 대기대사
일반 공격대사
일반 공격 강화대사
전투 스킬 · 1대사
전투 스킬 · 2대사
약공격 피격대사
강공격 피격대사
필살기 · 활성화대사
필살기 · 발동 · 1대사
대사 [⏩]
필살기 · 발동 · 2대사
필살기 · 발동 · 3대사
특성 · 1대사
특성 · 2대사
특성 · 3대사
전투 불능대사
전투 복귀대사
HP 회복대사
비술대사
전투 승리대사
전리품 오픈 · 1대사
전리품 오픈 · 2대사
진귀한 전리품 오픈대사
수수께끼 풀이 성공 · 1대사
수수께끼 풀이 성공 · 2대사
적 발견대사
도시로 복귀대사

[⏩] 배속



3.4.2. 이야기[편집]


이야기
[ 캐릭터 상세 ]

스텔라론 헌터의 멤버로, 기갑 「샘」을 입고 전투를 벌인다. 임무에 충실하고 강인한 성격을 가졌다.
곤충 떼를 물리치기 위한 병기로 태어났으며, 성장 속도가 평범한 사람보다 빠르지만 수명이 매우 짧다.
「삶」의 기회를 찾기 위해 스텔라론 헌터에 합류하여 운명을 거스를 방법을 찾고 있다

[ 캐릭터 스토리 · 1 ]

캐릭터 레벨 Lv.20 개방
투명한 배양 캡슐에서 그녀는 차가운 인공 양수에 잠긴 채 흰 알에 싸여 있었다.
용기가 흔들리자, 부유하던 그녀는 본능적으로 차갑고 부드러운 가장자리로 이동해 벽에 달라붙어 몸을 웅크렸다. 마치 이렇게 하면 몸이 온기를 더 느낄 수 있는 듯 말이다.
그녀는 거대한 물체가 떨어지는 소리, 금속이 부딪치는 소리를 들었다. 다급한 발소리가 간간이 울려 퍼지고, 배양 캡슐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전사들이여, 일어날 시간이다……」
「여황 폐하를 위하여……」
한 쌍의 기계손이 그녀를 들어 올리고, 눈부신 빛이 세계를 찢었다. 그녀는 우는 것을 잊었다.
「태어난 것을 영광으로 여겨라…」
「여황 폐하를 위하여…」
그녀는 눈을 떴지만 말하는 사람을 볼 수 없었다.
그녀는 일어서서 두꺼운 장막을 지나 궁전 깊은 곳으로 걸어갔다.
「너희들의 영광과 운명을 받아들여라……」
「여황 폐하를 위하여……」
일사불란한 발소리가 텅 빈 궁전에 울려 퍼졌다.
그녀는 황량하고 거대한 화원을 지나, 거대한 곤충의 사체를 거쳐, 부화 장치를 하나씩 통과해… 마지막으로 빛나는 의사당으로 들어갔다. 그곳에는 얼굴이 흐릿한 여인이 왕좌에 앉아 지친 듯 손을 늘어뜨리고 있었다.
「고개를 들지 마라」
누군가 그녀에게 다가와 부드럽게 말했다. 그 사람의 몸에는 AR-26702라는 인식표가 달려 있었다——저게 뭐지?
그녀는 자신을 봤다. AR-26710.
「이리 오렴… 내 아이야……」
아득한 소리가 마음 깊은 곳에서 들려왔다. 알 수 없는 광기가 그녀의 마음속을 삼켰다.
그녀는 다가가 무릎을 꿇고 여황제의 손끝에 입을 맞췄다.
여황제의 손은 얼음처럼 차가웠고, 그녀는 광기 속에서 잠깐 정신이 혼미해졌다.
「그라모스의 미래를 위해 활활 타오르거라…」
「여황 폐하를 위하여…」

[ 캐릭터 스토리 · 2 ]

캐릭터 레벨 Lv.40 개방
별하늘 깊은 곳에서 곤충 떼가 날아올랐다. 여느 때처럼 날카로운 경보음이 짧은 휴식을 방해했다.
그녀는 기갑을 활성화하고 전투태세에 들어갔지만, 이번에는 그들의 기세가 유난히 맹렬했다.
「평… 평범한 습격이 아닙니다! 이건 곤충 파도… 곤충 파도입니다!」
통신 속 목소리가 미세하게 떨렸다. 점점 더 많은 철기가 하늘로 솟구쳤지만, 이내 폭발하여 희미한 불티가 되어 어둠에 묻혔다.
「방어선을 사수하고 계속 포위를 뚫는다!」
수많은 철기가 그녀의 눈앞에서 쓰러졌다.
그들 중 전에 자신에게 말을 걸었던 자가 있나? 그녀는 처음으로 이 문제를 의식했다.
——원래… 사람은 저마다 다른 건가?
마침내 곤충 떼에 틈이 생겼고, 그 틈의 끝에서 모충이 천천히 기어 나왔다.
그녀는 한 줄기 빛처럼 빽빽한 곤충 떼를 뚫고 다른 철기들과 함께 거대한 은빛 칩충의 입을 향해 달려들었다. 모충에게 잡아먹히기 직전, 그녀는 눈을 감고 행성 하나를 파멸시킬 정도로 강력한 화폭탄을 터뜨렸다.
눈이 멀 것 같은 빛이 모충을 중심으로 분출했고 그 순간 모든 것이 고요해졌다.
그녀는 실이 끊어진 연처럼 거대한 충격에 튕겨 날아갔다. 지면으로 추락하면서 잊을 수 없는 기억이 그녀의 눈앞에 번쩍였다……
반딧불이들이 춤추는 물가에서 그녀는 기갑을 벗어던지고 서늘한 밤바람을 만끽한다.
그녀는 손등에 내려앉아 날개를 팔락이는 반딧불이를 바라보았다.
「…보잘것없는 생명이지만 별보다 더 눈부셔」
어둠이 그녀를 삼켰다.
곤충 떼의 잔해와 부서진 갑옷은 먼지가 되어 우주에 내리는 소리 없는 눈처럼 뭇별 위에 쌓였다

[ 캐릭터 스토리 · 3 ]

캐릭터 레벨 Lv.60 개방
혼수상태에서 깨어나 보니 낯선 은하계였다.
은하에서 부유하는 빛을 내는 생물들이 그녀에게 이끌려 주변에서 춤을 추듯 날았다.
그녀는 멀리 날아가는 부유 생물들을 바라봤지만, 자신의 끝은 어디인지 알 수 없었다.
「무엇을 위해 죽는 것일까?」
「무엇을 위해 사는 것일까?」
꿈은 여전히 그녀에게 너무 멀다. 그녀는 끝없는 어둠을 멍하니 바라봤지만, 답을 찾을 수 없었다.
……
「그렇게 그라모스 공화국은 멸망하고, 철기 군단에 대한 소문만 남았어」
기갑이 무언가에 포착되면서 그녀는 경계하기 시작했다.
「공화국 최강의 무기를 통제하기 위해 철기는 전부 유전자 편집된 아기야. 그 아이들은 삶의 어느 순간 노화와 죽음을 가속하는 선천적 결함을 가지고 있어……」
발소리가 가까워지면서 여인의 목소리는 더욱 선명해졌다.
「정해진 결말… 우리와 비슷하네, 안 그래?」
우주선 문이 열렸다.
그녀의 몸에서 화염이 일면서 불꽃 기사의 기갑이 형성되려 했다.
「누구냐?」
그 여인은 오랜만에 옛 친구를 만난 것처럼 미소를 지었다.
「운명을 믿어? 같은 길을 가는 사람은 결국 어딘가에서 만나지. 우리는 지금… 만났네」

[ 캐릭터 스토리 · 4 ]

캐릭터 레벨 Lv.80 개방
또 다른 어느 조용한 밤, 그녀는 늘 그랬던 것처럼 높은 곳에 앉아서 새벽이 올 때까지 등불이 꺼졌다가 켜지고, 배들이 공중 부두를 드나드는 모습을 지켜봤다.
은랑이 하품을 하며 곁으로 걸어왔다.
「잠이 안 와?」 그녀는 몸을 움직이며 자리를 내주었다.
「이상한 꿈을 꿨어. 펑크 로드에 전자 악마가 침입해서 내가 뛰어다니며 풍선껌으로 바이러스를 붙이다가 깼어」
「꿈이라……」
「페나코니로 떠나는 거야?」
「응. 내 꿈이… 거기 있을지도 몰라」
「하지만 꿈을 꾸지 못하는 사람이 공감각 꿈세계에 들어가려면 『죽음』과 맞먹는 대가를 치러야 해」
「알아. 내 의식은 기억 물질 무게에 짓눌려 산산이 부서지고, 특수한 방법으로 재구성되어야 꿈의 나라에 들어갈 수 있어…. 하지만 죽음은 전혀 두렵지 않아. 이미 익숙하거든」
「…휴, 그래. 그럼 행운을 빌게. 가서 은하열차에 안부 전해줘」
……
그녀는 아스다나 은하계의 가장자리에 도착했다. 기억의 바다는 거대한 파도를 일으켰고, 그녀는 폭풍 속에서 언제 꺼질지 모르는 불꽃 같았다.
그녀는 도약해 기억의 영역으로 뛰어들었다.
중압감이 사방에서 밀려와 시야가 서서히 흐려지고, 몸은 걷잡을 수 없이 기억의 영역 심부로 떨어졌다.
농밀한 기억 물질 속에 감춰져 있던 감정들이 환영이 된 듯 귓가를 맴돌며 속삭였다.
——「그라모스의 미래를 위해 활활 타오르거라…」
——「여황 폐하를 위하여…」
——「보잘것없는 생명이지만 별보다 더 눈부셔…」
——「무엇을 위해 죽는 것일까?」
——「무엇을 위해 사는 것일까?」
……
얼마나 시간이 흘렀을까, 사납게 솟구치던 기억 물질이 가라앉았다.
눈을 떠 보니 페나코니는 진주처럼 아련한 빛을 발하고 있었다. 눈물이 뺨을 타고 흘러내렸다——
「이게 바로… 꿈?」



4. 운용[편집]



4.1. 광추[편집]


반디의 전용 광추. 높은 격파 특수효과 증가에 적이 받는 격파 피해 증가 디버프와 속도 20% 감소를 거는 광추로 격특 딜러인 반디에게 잘 맞는 광추다. 광추 스킬로 받는 격파 피해 증가 24%를 제공하는데, 반디는 일반적인 가하는 피해 증가/화염 속성 피해 증가 옵션이 전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7] 효율이 매우 높아 실질적으로는 최종 데미지에 준하는 딜 상승이 이루어지는 핵심 옵션이다.[8] 적 속도 감소 옵션은 격파 타임이 곧 딜타임이 되는 반디에게 간헐적으로 딜타임을 연장시켜주는 효과가 있다.[9]
반디는 추가 능력을 통해 공격력이 1800을 넘을 경우 초과 분의 수치를 격파 특수효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공격력을 많이 올려주는 이 광추와 잘 어울린다. 헤르타 상점에서 판매하는 광추라 획득 난이도가 낮은 것도 장점. 단, 해당 광추 착용 후 약점 격파시 얻을 수 있는 "가하는 피해 증가" 옵션은 격파 기반 딜러인 반디에게 사실상 무의미하다.

반디의 전용 광추를 제외하면 옵션에 격파 특수효과가 달려있는 유일한 광추.
장착하기만 해도 공격력을 올려주는 광추. 다른 4성 광추들과 기초 공격력도 같으면서 워프가 아닌 곳에서 5중첩까지 획득할 수 있는 광추이기에 접근성이 가장 좋다.

4.2. 유물[편집]


권장 유물 속성
+
메인 속성
파일:붕괴: 스타레일-유물 머리.png 머리
파일:붕괴: 스타레일-유물 핸드.png
파일:붕괴: 스타레일-유물 바디.png 몸통
파일:붕괴: 스타레일-유물 신발.png 다리
파일:붕괴: 스타레일-차원 구체.png 차원 구체
파일:붕괴: 스타레일-연결 매듭.png 연결 매듭
+
보조 속성

반디는 격파 특수효과 기반의 딜러인데, 격파 피해는 가하는 피해 증가나 치명타 관련 수치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 따라서 주옵과 부옵은 주로 격파 특수효과와 속도를 챙기면 된다.

그리고 반디에게는 공격력이 1,800을 넘을 경우 그 초과분의 일정량을 격파 특수효과로 바꿔주는 추가 능력이 있다. 따라서 주 옵션으로 격파 특수효과나 속도가 나오지 않는 몸통과 구체의 주 옵션은 공격력으로 세팅하면 된다. 부옵 공퍼의 경우는 격파 특수효과의 절반 정도의 효율이 나오므로 붙으면 좋긴 하나 굳이 나서서 챙길 필요는 없다.

필살기의 에너지 요구 수치가 무려 240으로 모든 캐릭터 중 가장 높지만, 특성과 전투 스킬의 에너지 % 고정 회복 효과로 인해 1~2회 행동으로 필살기 에너지를 전부 채울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회복 관련 옵션은 무의미하다.

4.2.1. 터널 유물[편집]


2세트 옵션으로 격파 특수효과를 올려주고, 4세트 옵션은 장착 캐릭터의 격파 특수효과 수치에 따라 격파 피해와 슈퍼 격파 피해에 방어력 무시 효과를 주는 유물로 반디의 종결 유물이다.

  • 격파 특수효과 증가 16% 유물 2세트[10] + 가상공간을 누비는 메신저 2세트
격파 특수효과 16%와 속도 6% 증가를 챙기는 유물 세트. 곤충 재앙을 잠재우는 철기군을 세팅하기 전 거쳐가는데 사용할 수 있다. 메신저 없이 격특 유물 두개를 장착해 속도 6% 대신 격특 16%를 챙기는 세팅 또한 가능하다.

4.2.2. 차원 장신구[편집]


장착 캐릭터의 속도를 올려주고 화염 약점을 가진 적을 공격할 시 격파 특수효과 보너스를 주는 장신구. 반디는 자체적으로 적에게 화염 약점을 부여하는 격파 특수효과 기반 딜러기 때문에 이 유물이 주는 모든 효과를 온전히 누릴 수 있는 최적의 캐릭터 중 하나다.

격파 특수효과를 올려주고 일정 속도 이상을 달성하면 추가로 격파 특수효과를 더 올려주는 장신구. 연마궁과 달리 화염 약점이 부여되지 않은 적을 공격할 때도 격파 특수효과 버프를 받을 수 있지만 제공해주는 버프 수치가 연마궁에 비해 낮다. 게다가 반디는 상기했듯이 화염 약점을 부여할 수 있는 캐릭터기 때문에 탈리아는 중간에 잠시 거쳐가는 용도로 사용된다.


4.3. 파티 구성[편집]


얼핏 보면 예능에 가까운 파티 구성이라 볼 수 있지만, 신규 컨텐츠인 종말의 환영에서 꽤 높은 성능을 보여준다. 풍요나 보존을 포기하고 완매 + 화합척자로 0라클을 노려볼 수 있다.

  •   | 지식

사실상 고정적으로 편성해야 하는 캐릭터. 화합 개척자가 없는 반디는 딜이 두세배가량 하락한다. 2.3버전 스페셜 프리뷰 프로그램에서 반디가 본인은 약점 격파에 유리한 캐릭터이니 슈퍼 격파를 가진 캐릭터와 함께 파티를 편성하면 좋다고 말하며 개척자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였다.
반디는 피해량이나 치명타 계열의 버프를 전혀 받을 수 없어 어울리는 버퍼 캐릭터가 사실상 완매밖에 없다. 완매는 속도, 약점 격파 효율, 격파 특수효과, 격파 시 추가 피해 등 각종 종합 세트 버프를 주는 격파 파티의 핵심 멤버답게 당연히 0순위로 파티에 채용해야 하는 캐릭터로 꼽힌다. 격파 딜러인 만큼 여태까지 나온 캐릭터들 중에서도 완·매의 의존도가 매우 높다.
궁극기로 방깎을 걸 수 있다. 다만 반디 자체가 스킬 포인트가 크게 모자란 딜러가 아니기에 페라의 적은 전투 스킬 의존도가 장점을 발휘하기 쉽지 않다.


격파 특수효과 기반 힐러라는 유니크한 포지션이기 때문에 격파 파티를 구성해야 하는 반디에게 가장 이상적인 풍요 캐릭터이다. 갤러거는 단순 힐러가 아니라 반디와 같은 화염 속성이면서 평궁평을 통해 순식간에 강인도를 깎아낼 수 있기 때문에 반디의 딜타임을 직접적으로 확보하는 역할을 하며, 평타를 2회 사용하기 때문에 SP를 다량으로 수급할 수 있다. 사이클 측면에서도 등가교환의 장착을 통해 에너지 수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디의 현자타임을 최소화하는데도 기여한다.
반디는 공격력 일부를 격파 특수 효과로 변환해준다. 또한, 반디는 딜을 넣기 위해 궁극기를 가동해야 하고, 궁극기 가동을 위해 전투 스킬을 통해 체력을 소모해야 하기 때문에 피치 못하게 죽을 상황 자체를 없애줄 수 있다.


5. 평가[편집]


  • 장점
    • 뛰어난 누킹 능력
반디는 경류와 비슷하게 현자타임이 있는 누커형 캐릭터로, 필살기를 발동하여 완전연소 상태에 진입해서 딜링을 시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리스크의 대가로 강력한 누킹 능력을 보이며, 완전연소가 꺼지더라도 약점만 격파되어 있다면 화합 개척자의 슈퍼 격파 효과로 일정 수준의 딜링은 보장된다.[11]
  • 높은 저점
격파 피해와 슈퍼 격파 피해의 경우 공격력, 치명타, 가하는 피해 증가가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고 캐릭터의 스탯 중에서 오로지 격파 특수효과와 캐릭터의 레벨만이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유물의 부옵과 관계없이 캐릭터의 레벨만 높다면 준수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
  • 뛰어난 격파 능력
강화 전투 스킬로 자체적으로 약점 부여도 가능하고 필살기 사용시 약점 격파 효율 증가가 있기 때문에 격파 능력이 뛰어나다. 심지어 약점이 붙어있지 않은 적에게도 일부 강인성 소모가 가능하여 잡몹들의 경우에는 따로 타겟팅하지 않아도 격파가 가능하다.
  • 자유로운 약점 부여
같은 격파 딜러인 부트힐의 경우 비술, 궁극기 두 경우에만 약점을 부여한다.[12] 그러나 반디는 비술, 강화 전투 스킬 등으로 약점을 부여하기 때문에 사실상 약점이 없어 격파를 못하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13] 이를 통해 화염 속성 캐릭터[14]와 조합하여 추가적으로 강인도를 깎는 조합도 고려할 수 있다.
  • 높은 생존력
특성 덕분에 체력이 낮으면 낮을수록 받는 피해가 낮아지고 「완전연소」에서는 받는 피해 감소 효과가 최대치로 유지되기 때문에 잘 죽지 않는다. 심지어 「완전연소」에서 전투 스킬 사용시 체력을 회복하므로 더더욱 죽지 않는다. 다만 일반 모드에서 전투 스킬 사용시 체력이 뭉텅이로 깎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 높은 성혼 효율
반디의 2성혼은 1턴마다 「완전연소」에서 적 약점 격파 또는 적 처치시 보너스 턴을 얻게 해줘 화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한다. 6돌파는 속성 저항과 약점 격파 효율 증가로 여느 캐릭과 같이 화력을 크게 높여주는 성혼이다. 2성혼 효율이 특히 높아 저돌파에서도 단항·음월이나 아케론처럼 독보적으로 강력한 모습을 보인다.
  • 낮은 파티 코스트
반디의 출시 버전인 2.3버전 기준 반디의 조합은 완·매 + 화합 개척자 + 갤러거가 대표적인데, 화합 개척자는 아무 조건 없이 명함을 지급하고, 게임을 플레이함에 따라 성혼 6까지 전부 개방할 수 있다. 갤러거 역시 4성으로 습득 난이도가 낮은 편이라[15] 5성 완·매만 뽑는다면 간단하게 고점 파티를 구성할 수 있다.[16] 특히 최근 캐릭터들은 완성에 5성 캐릭이 3명 이상, 심할 경우 4명 모두 필요한 캐릭터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당한 장점.

  • 단점
    •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딜로스
반디는 필살기로 완전 연소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제 성능을 발휘하며, 반디의 피해량은 격파 상태의 적에게 온전히 들어가는 설계를 가지고 있다. 즉, 필살기가 켜지고 적이 격파된 상태가 중첩되어야 비로소 딜타임이 시작된다. 완전 연소 상태이더라도 적의 격파가 회복되면 다시 격파하기까지 턴 로스가 발생하며,[17] 적이 격파되어 있더라도 에너지가 차 있지 못하면 딜타임에 진입할 수 없다.[18]
  • 약점 잠금 상태의 적에게 무력함
격특 딜러들의 공통적인 단점 1. 부트힐과 마찬가지로 약점을 잠그는 기믹을 가진 적을 상대로는 대미지 기댓값이 수직하락한다. 일부 기믹들의 경우 반디의 빠른 속도와 강인도 감쇄력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이를 놓칠 경우 적이 스스로 기믹을 해제하지 않는 한 이를 잡는게 사실상 불가능하다.
  • 경직된 파티 구성
격특 딜러들의 공통적인 단점 2. 장점에 있는 내용과 같이 반디의 고점 파티는 완·매를 제외하면 습득 난이도가 낮다. 다만 이와 별개로 이 파티 이외에는 효율이 매우 떨어져 사실상 완척갤로 불리는 격특 조합을 제외하면 다른 조합이 없다시피 하다. 격특 딜러들의 완·매 의존도가 높은 건 당연하고, 특히 갤러거의 경우 반디와 함께 사용시 화염 약점 격파에 기여하며, 상술된 에너지 문제도 반디는 일반적인 에너지 회복 서포터를 채용할 수 없어 에너지 회복 수단이 사실상 등가교환 갤러거로 한정된다.[19] 현재까지 나온 격특 딜러들은 모두 공통적으로 완·매의 의존도가 매우 높았지만, 반디는 완·매 이외의 다른 두 명까지 의존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20]


  • 종합
부트힐에 이은 2번째 5성 격특 딜러. 격특 딜러답게 적을 격파한 후 화합 개척자 및 완매와의 시너지로 강력한 슈퍼 격파 피해를 꽃아넣을 수 있는 딜러다.

부트힐과 비교하면 비술이 훨씬 강력하고 완전연소 상태라면 필살기가 아닌 전투 스킬로 약점 부여가 가능, 파멸 캐릭터라 광역으로 강력한 대미지를 가하는 등 딜링 편의성이 높고 운용은 더욱 편리하지만, 어느 정도 치명타 세팅이 가능한 부트힐과 다르게 반디는 치명타 세팅이 사실상 봉인된 수준이라 파티 조합 경직도가 매우 높다는 약점도 있다.

시뮬레이션 우주에서는 파멸 운명의 길이 잘 어울리는 편이다.[21] 파티 특성상 보존 캐릭터가 없어 파멸 축복들의 받는 피해 감소와 방어력 증가가 소중한 옵션이고, 궁극기를 발동하지 않은 상태의 반디는 전투 스킬을 사용하며 체력이 뭉탱이로 까이고, 궁극기를 발동하면 강화 전투 스킬로 회복하기를 반복해 파멸 축복을 발동시키기 좋으며, 다른 운명의 길과 비교했을 때 반디가 활용하기 힘든 치명타 옵션보다 공격력을 더 많이 주기 때문이다. 그 외에 차분화 우주에선 아예 격파 딜링 관련 축복들과 운명의 길들이 있어서 더 효과적으로 이들을 활용 할 수 있다. 그럼에도 기본적으로 광역 딜링에 공격력 계수라는 점 덕분에 다른 운명의 길의 축복들도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들이 많다.

6. 작중 행적[편집]





7. 인간관계[편집]


곤란한 상황에 빠져있던 반디를 개척자가 구해주면서 인연이 시작된다. 반디의 제안에 따라 둘이 함께 페나코니를 둘러보게 되고, 서로간에 끌림이 있었는지 금세 가까워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후 반디의 아지트에서 낭만적인 분위기를 공유하기도 하고, 반디의 일에 개척자가 크게 동요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등 길지 않은 만남이었지만 개척자에게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반디 역시 꿈세계에서 잔뜩 경계하고 있다가 다가오는 인물이 개척자임을 알고 온화한 미소를 짓기도 하는 등 호감을 보인다.
스포일러 ▼
개척 임무 1막 이후 꿈 건축 경계 옥상에 가보면 반디의 꿈 스티커를 얻을 수 있고, 옥상 난간을 조사하면 개척자는 그녀와 만나서 함께 보냈던 시간과 그녀가 살해당하기까지의 기억을 돌아보며, 그녀가 당할 때 어째서 '미안하다' 라고 했는지, 일행들이 조금만 더 빨랐더라면 그녀는 죽지 않았을 터인지 곱씹으며 씁쓸함과 분노의 감정을 느낀다. 이후 분노와 슬픔 톱니바퀴를 얻게 된다.

개척 임무 2막 이후에는 꿈 건축 경계 옥상의 난간을 조사하면 개척자는 반디가 스텔라론 헌터 샘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이후여서 그런지 대사가 바뀌는데, 그녀의 이전 모습은 위장된 모습인지, 괴물에게 찔렸을때 흘린 눈물은 거짓이였는지, 몸을 불태우며 싸우는 샘의 모습이 진정한 그녀인지 고뇌한다. 1막 종료~2막 사이 시점에 옥상을 조사하지 않았다면 이때 분노와 슬픔 톱니바퀴를 얻는데, 반디에게 꽤나 배신감을 느낀 듯 하다.[1] 다만 반디 본인은 개척자를 꽤나 믿고 있거나 호감이 진심인 것으로 보이는데 개척자를 믿거나 호감이 있지 않다면 샘의 모습으로 있는 상태에서 굳이 자신의 정체를 드러낼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스텔라론 헌터로서의 관계는 의 인간관계 참조.

3막을 마쳐 페나코니의 모든 사건이 종료된 뒤 다시금 난간을 조사하면 비록 그녀와 잠시 떨어져 있어도 결국 다시 만날 거라고 재회를 고대하며 무탈해하길 빈다. 3막에서 배신감은 사라진 것으로 보이며, 호감이 다시금 강해진 것으로 보인다.

반디PV, 2.3PV, SGF 참가 영상부터 해서 그간 스토리에서 있었던 일을 감안하면 호요버스에서 아예 공식 커플로 인정해준 셈이다.

[1] 3막을 끝낸뒤에 처음 조사해도 분노와 슬픔 톱니바퀴를 얻는다.


상호 경계 관계로, 반디가 숨기고 있던 사실들을 진작에 눈치채고 있었던 인물들이다. 이번 4막에서 스파클과의 관계와 명확해질 것이다.

개척자와 반디가 꿈세계의 마수에게 고전하고 있을 때 블랙 스완이 도와주었다. 다만 블랙 스완은 처음부터 반디를 의심하고 있었기에 신뢰하는 관계는 아니다. 반디가 블랙 스완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불명.

페나코니에서 임시로 협력한 관계. 페나코니에서 함께한 반디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호의적이다. 스스로 비밀을 털어놓고 도움을 줬을 뿐만 아니라, 반디의 사상이 무명객과 맞는 부분이 많다보니 그런 것으로 보인다.

  • 스텔라론 헌터들과의 관계 ▼
    스텔라론 헌터의 수장. 헌터들은 다들 엘리오와 거래를 했다고 언급되었기에 반디 또한 엘리오와 거래를 하였다. 거래의 내용은 짧은 수명을 가진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것. 그 과정은 반디 스스로가 찾는 것이며 엘리오는 그것을 깨닫는데 약간의 도움만 줄 것을 약속했다고 한다. 반디 또한 살아가면서 스텔라론 헌터로서의 모습평범한 소녀를 병행하며 삶의 이유를 찾기 위해 노력한다.

    카프카는 날 엄청 챙겨주고 종종 속마음을 나누기도 해. 자신의 과거는 잘 언급하지 않는데, 난 사실... 카프카에 대해 아무것도 몰라.

    동료. 스텔라론 헌터로서의 경력은 카프카와 함께 최고참으로 보인다. PV에서도 합을 능숙히 맞추는 등 오래 함께한 분위기를 풍기지만, 카프카의 변덕을 그닥 마음에 안 들어하는 듯. 그래도 우주에 좌초된 그녀를 구해준 은인이기에 좋게 평가한다.

    블레이드는 말하는 걸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대부분의 교류가 「각본」에만 머물지만... 생명과 관련된 주제로 얘기할 땐 평소보다 입담이 좋은 것 같아. 내 착각일지도 모르지만.

    동료. 카프카와 함께 블레이드를 스텔라론 헌터에 가입시키러 만나러 갔었고, 그 과정에서 블레이드와 싸워 그를 제압하였다. 블레이드 쪽에서도 샘은 지옥을 잘 만든다는 말로 전투력을 고평가한다. 예페라 형제회를 치러 갈 때 반디를 인솔한 것이 블레이드였는데, 이 때 둘의 대화를 보면 여러모로 둘은 상반된 캐릭터성을 가지고 있어서 그런지 서로가 서로를 동정하는 관계인 것으로 묘사된다.[1] 그리고 이 말을 끝내고 평소처럼 더 이상 대화를 하지않고, 침묵을 유지했다는 묘사가 있는 것을 보면 사실상 블레이드의 과묵한 성격 탓에 스텔라론 헌터 멤버 중에선 제일 어색한 사이인 듯 하다.[2] 당장 다른 멤버들인 카프카, 은랑과는 다르게 블레이드의 경우에는 당신이라고 호칭하는 것부터 상당히 어색한 관계성이 드러난다.[3]

    은랑은 여러가지 신기한 것들을 경험하게 해줘. 젊은 사람들이 따르는 우주 유행, 요즘 가장 인기 있는 전자오락... 내 플레이 방식이 본인과는 다르다고 늘 말하긴 하지만.

    동료. 은랑이 먼저 말하지 않아도 게임을 같이 해준다는 등, 언급된 내용들로 볼 때 꽤 친하게 지내는 듯 하다. 페나코니 4막이 끝나고 받는 문자 메세지로는 은랑이 스파클에게 각본 내용을 넘겨주는 조건으로 반디의 절대적 안전을 보장하라고 당부한걸 보면 꽤나 유별난 사이인듯.
    • 그라모스 철기군 AR 시리즈
    오로지 군용 목적을 위해서만 만들어진 클론들이었지만 의외로 서로 간의 전우애와 유대감도 꽤 있었던 것으로 묘사된다. 별무리 기행 PV 지금 이 순간, 같은 별 하늘 아래에서 나오는 모습은 군용 수트를 착용했다는 점만 제외하면 청춘 영화에서 평범한 10대들이 담소를 나누는 장면과 다름없을 정도.
    [1] 반디는 태어날 때부터 병기로서 태어나 인간으로서의 삶을 바라는 반면, 블레이드는 인간으로 태어나 병기를 만들어내는 장인으로서 살았으나 끝내 자신의 몸 자체를 검이라는 병기로 삼는 삶을 살게 되었으며, 반디는 유전자 조작으로 태어나 태어날 때부터 수명이 짧지만 블레이드는 풍요 사도의 저주와 육신을 뒤집어쓰고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되었다. 또한 반디는 '삶'을 갈망하지만 블레이드는 '죽음'을 갈망한다. 여러모로 대척점에 서있는 셈. 이 때문에 블레이드는 샘의 각본에 죽음이 있다는 것을 알고 그 각본이 자신한테 있었어야 했다며 한탄하는 한편, 페나코니에서의 여정으로 반디가 원하는 안식을 찾을 수 있길 바란다며 행운을 빌어주었다.[2] 다만 이건 비단 반디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 자체가 스텔라론 헌터 중에서 그나마 자신의 마각을 통제해주는 카프카를 제외하면 다 어색하게 지내는 탓이 크다. 스텔라론 헌터 중에서 반디 이상으로 사교성이 높은 것으로 묘사되는 은랑도 파티 가입 대사에서 "제발 말 좀 해, 각본에 말하면 안 된단 내용은 없었잖아"라고 따질 정도이다.[3] 하지만 이후엔, 카프카, 은랑처럼 블레이드의 핸드폰을 빌려 개척자에게 문자를 걸며 장난을 치기도 했던 모습을 보면. 어쩌면 예페라 사건 이후에는 어느정도 친밀해졌을 가능성도 남아있다.


8. 여담[편집]





9. 둘러보기[편집]




-2
||<-5><table width=600><tablealign=center><bgcolor=#010101><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010101> [[붕괴: 스타레일|[[파일:붕괴 스타레일 로고.png|width=80]]]] || ||<-5><color=#fff>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fff 업데이트 버전별}}}]] 신규 캐릭터'''
|| ||<^|1><width=28%><rowbgcolor=#010101>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2.2|{{{#B19872 {{{-1 2.2}}}[br]눈물은 잠에서 깬 후에}}}]] ||<|3><bgcolor=#1A1D23><nopad> [[파일:스타레일 화살표.png|width=40%]] ||<^|1><width=28%>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2.3|{{{#B19872 {{{-1 2.3}}}[br]안녕, 페나코니}}}]] ||<|3><bgcolor=#1A1D23><nopad> [[파일:스타레일 화살표.png|width=40%]] ||<^|1><width=28%>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2.4|{{{#B19872 {{{-1 2.4}}}[br]???}}}]] || ||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2.2|
[[파일:스타레일-2.2.jpg|width=100%]]
]] ||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2.3|
[[파일:스타레일-2.3.png|width=100%]]
]] ||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2.4|
[[파일:스타레일-2.4.jpg|width=100%]]
]] || ||<^|1>
## 이전 버전 신규 캐릭터 시작 ▼ [[로빈(붕괴: 스타레일)|
||<table width=100%><width=4%><table bgcolor=#fff,#1c1d1f><tablecolor=#B68C61><bgcolor=#b2adad><nopad>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width=24]] ||
로빈
||
]] [[부트힐|
||<table width=100%><width=4%><table bgcolor=#fff,#1c1d1f><tablecolor=#B68C61><bgcolor=#b2adad><nopad>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width=24]] ||
부트힐
||
]] [[개척자(붕괴: 스타레일)/허수·화합|
||<table width=100%><width=4%><table bgcolor=#fff,#1c1d1f><tablecolor=#B68C61><bgcolor=#c6a529><nopad>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width=24]] ||
개척자·화합
||
]] ## 이전 버전 신규 캐릭터 끝 ▲
||<^|1>
## 기준 버전 신규 캐릭터 시작 ▼ [[반디(붕괴: 스타레일)|
||<table width=100%><width=4%><table bgcolor=#fff,#1c1d1f><tablecolor=#B68C61><bgcolor=#f84f36><nopad>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width=24]] ||
반디
||
]] [[제이드(붕괴: 스타레일)|
||<table width=100%><width=4%><table bgcolor=#fff,#1c1d1f><tablecolor=#B68C61><bgcolor=#8880ff><nopad>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width=24]] ||
제이드
||
]] ## 기준 버전 신규 캐릭터 끝 ▲
||<^|1>
## 다음 버전 신규 캐릭터 시작 ▼ [[운리|
||<table width=100%><width=4%><table bgcolor=#fff,#1c1d1f><tablecolor=#B68C61><bgcolor=#b2adad><nopad>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width=24]] ||
운리
||
]] [[초구(붕괴: 스타레일)|
||<table width=100%><width=4%><table bgcolor=#fff,#1c1d1f><tablecolor=#B68C61><bgcolor=#f84f36><nopad>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width=24]] ||
초구
||
]] [[Mar. 7th/허수·수렵|
||<table width=100%><width=4%><table bgcolor=#fff,#1c1d1f><tablecolor=#8B65C6><bgcolor=#c6a529><nopad>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width=24]] ||
Mar. 7th·수렵
||
]] ## 다음 버전 신규 캐릭터 끝 ▲
||




[1] 그라모스 철기군 시절의 이름.[2] 반디가 입는 기갑의 이름으로, 전략 강습 기갑(Strategic Assault Mech)의 약자. 기종은 반딧불이 Type-IV.[3] 원신요요를 담당함.[4] 원신의 사이몬 에리를 담당함.[5] 같은 제작사의 게임 붕괴3rd시구레 키라, 원신바바라를 담당함.[6] 부트힐의 경우 브로냐를 넣기도 하지만, 반디에게는 갤러거가 화염 속성 격파 요원이면서 등가교환으로 현자타임을 줄여주는 등 다양한 서포팅 역할을 함께 수행하고 있기에 상대적으로 대체하기가 어려운 편이다.[7] 적용받을 수 있는 피해량 옵션으로는 사실상 유이한 옵션이다. 나머지 하나는 갤러거의 만취 디버프로 12레벨 기준 13.2%를 제공한다.[8] 성혼과의 비교 시 2성혼이 목적이라면 2성혼+대체 광추쪽의 효율이 높고, 그 아래에서는 명함+전용 광추 쪽의 효율이 높다. 물론 완매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면 완매의 픽업이 우선된다.[9] 턴의 차이가 발생하는 옵션이기 때문에 단순히 계산되는 대체 광추 효율과 별개로 작용한다. 적에 따라 가변적인 옵션이므로 적과의 턴이 잘 맞물리는 경우 대체 광추와 차이가 크게 발생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 차이가 전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10] 곤충 재앙을 잠재우는 철기군, 유성을 쫓는 괴도, 꿈을 조작하는 시계공[11] 다만 경류는 삭망 스택에 따라 현자타임이 결정되지만, 반디는 로빈과 비슷하게 행동 서열에 「완전연소」 카운트다운이 생기므로 이를 잘 조절해서 웨이브를 클리어하면 행동 게이지가 초기화되어 「완전연소」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12] 또한 비술의 경우 1회성이며 단일 적에게만 부여할 수 있다.[13] 부트힐과 다르게 비술은 매 라운드마다 갱신되며 모든 적에게 약점 부여와 함께 강인도 피해를 입힌다.[14] 다만 조합상 갤러거 이외에는 선택지가 없다.[15] 당장 2.3 버전 반디, 완·매 픽업에 같이 픽업되는 데다 동버전 이벤트에서 4성 선택권으로 1장 얻을 수 있다.[16] 심지어 5성인 완·매도 범용성이 매우 높고 장점이 많은 캐릭터이기에 반디 파티 이외에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파티 구성에 있어 부담감을 줄여준다.[17] 이 때문에 전용 광추에 적의 격파 회복을 늦춰줄 수 있도록 속도 감소 옵션이 달려서 출시되었다. 바꿔 말하면 전용 광추가 아니라면 간헐적으로 딜타임이 더 줄어든다.[18] 그나마 격파를 해놓은 상태에서 화합 개척자와 함께 사용한다면 슈퍼 격파로 약간이나마 딜링을 기대할 수 있다.[19] 물론 곽향을 써도 되지만 고점과는 멀어진다.[20] 이는 반디가 부트힐과 다르게 기초 피해량이 0에 수렴하기 때문이다. 부트힐의 경우 브로냐 3화합 조합을 통해 고점 성능을 높일 수 있으나, 반디는 브로냐와 같은 치명타/피해량 계열 버프를 전혀 누릴 수 없어 브로냐와 같은 버퍼 기반 조합의 효율이 떨어진다.[21] 이는 생각보다 의미가 큰데, 같은 운명의 길 딜러인 경류, 블레이드, 음월이 전반적으로 파멸 운명의 길과의 궁합이 별로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