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혁(독립운동가)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단장
김원봉
고문
김대지황상규
단원
강세우강인수고인덕곽재기
권정필권준김광추김기득
김방우김병현김상옥김상윤
김성숙김시현김익상김지섭
김철호나석주남정각박문희
박자혜박재혁박차정박희광
배동선배중세배치문서상락
송천흠신악신영삼신채호
신철휴오성륜변절유자명윤세주
윤치형이구연이병철이병희
이성우이수택이육사이종암
이태준정이소최수봉황옥불확실
최용덕한봉근한봉인홍가륵
공약 10조
① 천하의 정의의 사(事)를 맹렬히 실행하기로 함.
② 조선의 독립과 세계의 평등을 위하여 신명을 희생하기로 함.
③ 충의의 기백과 희생의 정신이 확고한 자라 함.
④ 단의(團義)에 선(先)히 하고 단원의 의(義)에 급히 함.
⑤ 의백(義伯) 1인을 선출하여 단체를 대표함.
⑥ 하시(何時) 하지(何地)에서나 매월 1차씩 사정을 보고함.
⑦ 하시 하지에서나 매 초회(招會)에 필응함.
⑧ 피사(被死)치 아니하여 단의에 진(盡)함.
⑨ 1이 9를 위하여 9가 1을 위하여 헌신함.
⑩ 단의에 배반한 자는 처살(處殺)함이다.
5파괴
조선총독부
동양척식회사
매일신보사
④ 각 경찰서
⑤ 기타 왜적 중요기관
7가살
조선총독 이하 고관
② 군부 수뇌
대만총독
④ 매국노
⑤ 친일파 거두
적탐(밀정)
⑦ 반민족적 토호열신(土豪劣紳)
조선혁명선언 황옥 경부 폭탄사건 이승만 대통령 암살 미수 사건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박재혁
朴載赫 | Park Jae-hyuk
파일:박재혁 의사.png
출생1895년 5월 17일
조선 경상도 동래군 동면 범일동리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사망1921년 5월 27일 (향년 26세)
경상북도 대구형무소
학력부산개성중학교 (졸업)
부산개성고등학교 (졸업)
서훈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한국의열단 출신 독립운동가.


2. 생애[편집]


1895년 5월 17일 지금의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서 태어났다. 학생 시절부터 항일 단체를 조직하는 등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부산공립상업학교 졸업 후에는 무역상 일을 하다가 중국 상하이로 건너갔다.

당시 의열단에서는 일명 '진영사건(進永事件)'에 독립운동가들이 연루되어 계속 부산경찰서에 붙잡혀 고문 및 투옥되자 하시모토 슈헤이(橋本秀平) 부산경찰서장을 암살하기로 계획하였다. 마침 의열단에 가입했던 박재혁을 눈여겨 본 의열단장 김원봉의 권유로 부산경찰서[1] 폭파 의거를 결정하였다. 싱가포르에 체류 중이던 박재혁은 김원봉의 호출을 받아 상하이에서 지시를 받고 일본 나가사키대마도를 거쳐 부산에 잠입하였다. 1920년 9월 14일 박재혁은 하시모토 서장의 취미가 고서적 수집이라는 것을 알아내고 중국인 고서적 상인을 가장하여 부산경찰서를 찾아갔다. 예상대로 하시모토 서장은 면회를 승낙하였고 박재혁은 그 자리에서 폭탄을 던졌는데 하시모토 서장은 중상을 입은 뒤 사망하였고 경찰서 건물 일부가 파괴되었으며 일본인 경찰관 2명이 부상을 입었지만 박재혁도 폭탄의 파편에 맞아 중상을 입고 체포되었다. 박재혁은 사형을 선고받았는데 이전에 경찰의 고문과 파편에 입은 상처로 고통받았다. 그래서 옥중에서 자결하기 위해 단식했는데 이 과정에서 폐병에 걸려 사형이 집행되기도 전인 1921년 5월 27일 대구형무소에서 순국했다. 이때 그의 나이 26세였다.

어제 나가사키에 무사히 도착했습니다.

형편이 뜻대로 되어가니, 이 모든것이 그대가 염려해 준 덕분인듯 합니다.

좋은 일이 있을 것 같습니다.

몸과 마음이 모두 즐겁습니다.

그대의 얼굴을 다시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김원봉에게 보낸 마지막 편지



3. 기타[편집]


  •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2012년 7월 부산광역시 동구청에서는 그의 생가가 있는 조방로 630m 구간을 '박재혁거리'로 명명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1:26:19에 나무위키 박재혁(독립운동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부산경찰서는 지금의 중구 동광동2가 10-5 소재. 폭파 의거 후인 1924년 지금의 대창동 부산중부경찰서 자리로 이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