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흐탄그 5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타오-클라제티 공작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아쇼트 1세바그라트 1세(타오-클라제티)아다르나세 2세과람
타오 공작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다비트 1세구르겐 1세(타오)아다르나세 3세아쇼트 2세
타오 공작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구르겐 2세바그라트 1세아쇼트 3세아다르나세 4세
타오 공작
제9대제10대제11대-
바그라트 2세(타오)다비트 3세바그라트 3세-
클라제티 공작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숨바트 1세(클라제티)다비트 1세(클라제티)바그라트 1세(클라제티)숨바트 2세
클라제티 공작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다비트 2세(클라제티)바그라트 2세(클라제티)숨바트 3세바그라트 3세(클라제티)
이베리아 국왕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아다르나세다비트 2세숨바트 1세바그라트 2세
이베리아 국왕
제5대---
구르겐 1세---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바그라트 3세기오르기 1세바그라트 4세기오르기 2세
조지아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다비트 4세데메트리우스 1세다비트 5세데메트리우스 1세
조지아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기오르기 3세타마르기오르기 4세루수단
조지아 왕국
제13대제14대--
다비트 6세다비트 6세
다비트 7세
--
서부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다비트 6세콘스탄틴 1세(서부 조지아)미켈(서부 조지아)바그라트 1세(서부 조지아)
동부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다비트 7세데메트리우스 2세바흐탄그 2세다비트 8세
동부 조지아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기오르기 5세바흐탄그 3세다비트 8세기오르기 6세
동부 조지아 왕국
제9대---
기오르기 5세---
1차 통합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
기오르기 5세다비트 9세바그라트 5세-
1차 이메레티 왕국
초대제2대제3대-
알렉산드레 1세(이메레티)기오르기 1세(이메레티)콘스탄틴 2세(이메레티)-
2차 동부 조지아 왕국
초대2대--
바그라트 5세기오르기 7세--
2차 통합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기오르기 7세콘스탄틴 1세알렉산드레 1세바흐탄그 4세
2차 통합 조지아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기오르기 8세바그라트 6세알렉산드레 2세콘스탄틴 2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알렉산드레 2세바그라트 3세(이메레티)기오르기 2세(이메레티)레반(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로스톰(이메레티)바그라트 4세(이메레티)기오르기 3세(이메레티)알렉산드레 3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바그라트 5세(이메레티)바흐탄그 츠추나슈빌리아르칠리(이메레티)디미트리오스 구리엘리
2차 이메레티 왕국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기오르기 4세(이메레티)알렉산드레 4세기오르기 5세(이메레티)시몬(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마미아 구리엘리기오르기 6세(이메레티)기오르기 7세(이메레티)기오르기 8세(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알렉산드레 5세기오르기 9세(이메레티)마무카솔로몬 1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제25대제26대제27대-
테이무라즈(이메레티)다비트 2세(이메레티)솔로몬 2세-
카헤티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기오르기 8세알렉산드레 1세(카헤티)기오르기 2세(카헤티)레반(카헤티)
카헤티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알렉산드레 2세(카헤티)다비트 1세(카헤티)콘스탄틴 1세(카헤티)테이무라즈 1세
카헤티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아르칠리(이메레티)에레클레 1세다비트 2세(카헤티)콘스탄틴 2세(카헤티)
카헤티 왕국
제13대제14대--
테이무라즈 2세
타마르 2세
에레클레 2세--
카르틀리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콘스탄틴 2세다비트 10세기오르기 9세루아르사브 1세
카르틀리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시몬 1세다비트 11세기오르기 10세루아르사브 2세
카르틀리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바그라트 7세시몬 2세로스톰바흐탄그 5세
카르틀리 왕국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기오르기 11세에레클레 1세카이호스로(카르틀리)예세
카르틀리 왕국
제17대제18대--
바흐탄그 6세테이무라즈 2세
타마르 2세
--
카헤티와 카르틀리 연합 왕국
초대제2대--
에레클레 2세기오르기 12세--



카르틀리 왕국 12대 군주
ვახტანგ | 바크탕 5세
제호한국어바크탕 5세
조지아어ვახტანგ
라틴어Vakhtang V
가족무크라니 공작 테이무라즈 1세(아버지)
아나 에리스타비(어머니)
로담 카플라니쉬빌리-오르벨리아니(첫째 아내)
미리암 다디아니(둘째 아내)
아르칠리(장남)
기오르기 11세(차남)
레반(삼남)
알렉산드레(사남)
루아르사브(오남)
솔로몬(육남)
아누카(장녀)
타마르(차녀)
엘레니(삼녀)
생몰 년도1618년 ~ 1675년
재위 기간1658년 ~ 1675년
서명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카르틀리 왕국 12대 군주.

2. 생애[편집]


바그라티온 왕조의 방계이며 카르틀리 왕국의 남부 일대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무크라니 공작 테이무라즈 1세와 아나 에리스타비의 아들이다. 테이무라즈 1세는 사파비 왕조의 침략에 대항하는 기독교인들의 봉기 지도자 중 한 명으로, 1625년 사파비 제국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당시 7살이었던 그는 가족과 함께 이메레티 왕국으로 피신해 기오르기 3세의 보호를 받았다. 이후 무크라니 공국은 카헤티의 다비트 왕자에게 넘어갔으나, 사파비 지지 세력과 반 사파비 세력간의 내전으로 심각하게 황폐화되었다.

1629년, 카르틀리 군주 시몬 2세는 무크라니 공국을 왕국의 소유로 삼은 뒤 당시 11살이었던 그를 불러들여 영지를 다스리게 했다. 1630년 시몬 2세가 피살된 뒤 테이무라즈 1세가 카르틀리 왕위에 복위했고, 무크라니 공국과 그의 운명은 불투명해졌다. 1634년 로스톰이 이끄는 이란군이 카르틀리 왕국을 침공했을 때, 그는 로스담에게 즉시 귀순하고 로스담의 승리에 일조했다. 그 후 카르틀리 왕위에 오른 로스톰은 그를 심복으로 삼았다. 1635년 아라그비의 반란자 다비트와 로스톰 왕의 회담을 무크라니에서 열도록 했는데, 회담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로스톰의 명령에 따라 다비트를 살해했다.

이후 카헤티로 돌아온 테이무라즈 1세와 로스톰간의 내전이 벌어졌다. 당시 사파비 제국은 내란에 휩싸여 있어서 로스톰을 지원할 수 없었던 데 비해, 카르틀리-카헤티 일대의 여러 귀족이 테이무라즈 1세에 가담했기 때문에 전세는 테이무라즈 1세에게 기우는 듯했다. 하지만 그는 이런 상황에서도 로스톰을 지지했고, 로스톰은 이에 힘입어 테이무라즈 1세를 상대로 버텨냈다. 결국 1638년, 테이무라즈 1세는 카헤티 왕위를 인정받는 대신 이란의 종주권을 인정하고 매년 공물을 바치는 데 동의했다. 1640년 아라그비의 잘랄 공작과 오오탐 아밀라크바리가 반란을 꾀한다는 첩보를 로스톰에게 전했고, 로스톰과 함께 그해 12월 25일 아침에 아할치헤에서 크리스 미사에 참여한 반란군을 기습 공격해 섬멸했다. 1648년 로스톰이 카헤티로 진격해 테이무라즈 1세를 격파하여 이메레티 왕국으로 쫓아낼 때도 함께 했다.

로스톰은 일찍이 2번 결혼했으나 자식을 얻지 못하자 시몬 2세의 손자 루아르사브를 입양했으나, 1652년 루아르사브가 암살당했다. 이에 1653년 장고 끝에 자신을 오래도록 충직하게 따라준 그를 후계자로 삼기로 했다. 그는 자기도 루아르사브처럼 암살될까 두려워 이를 거절했지만, 사파비 제국 샤한샤 아바스 2세의 허락까지 받아낸 로스톰의 간곡한 설득에 어쩔 수 없이 받아들였다. 1658년 로스톰이 사망한 뒤, 그는 이란으로 찾아가 아바스 2세를 알현하고 그로부터 이스파한과 구이란 지사로 임명되었다. 이때 아바스 2세는 정교회 신자였던 그에게 이슬람교로 개종하라고 권유했다. 그는 이를 받아들여 무슬림이 되었고 샤 나바즈 칸(شاه نواز خان)으로 개명했다. 다만 기독교인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바크탕이라는 이름도 계속 쓰기로 했다.

그는 카르틀리-카헤티 일대의 왕으로 군림했지만, 실제로는 이란 당국의 광범위한 통제를 받았다. 아바스 2세는 1659년 모우투즈 알리 칸을 카헤티 총독으로 임명하고 15,000명에 달하는 아제르바이잔인을 카헤티에 이주시키고 3개의 이란인 정착촌을 건설하도록 했다. 또한 트란스캅카스의 이란 당국은 아제르바이잔과 카라바흐에 거주하는 무슬림 50,000명을 카르틀리로 집단 이주시켰다. 당시 그의 왕국은 6개의 영토로 분할되었는데, 그 중 4개는 카라바흐의 베이르베이인 메우테자 쿨리 칸의 감독을 받았고 2개는 나히치반의 지사인 알리 쿨리 칸 칸케를루의 감독을 받았다. 이들은 현지 무슬림 가족을 직접 통치했지만, 기독교 신자들에게도 많은 제약을 가했다. 그는 귀족 가문의 각 후게자를 임명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으나, 이 권한을 행사할 때 이란 당국의 허락을 받아야 했다.

이렇듯 이슬람화되어가는 조국에 반감을 품은 기독교 조지아인들은 각지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크사니 공작 찰바 크베니프네빌과 카헤티의 전 왕 테이무라즈 1세의 동맹자인 비드지나 촐로카슈빌리는 반란군을 이끌고 바크트리오니와 알라베르디를 점령하고 1660년 여름에 투르코만인으로 구성된 이란군을 괴멸시켰다. 이에 무르투즈 알리 칸이 이끄는 아제르바이잔군이 이들을 진압하려 했다. 알리 칸은 카헤티의 많은 영역을 탈환했지만, 반란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이때 바크탕 5세는 반란을 사주한 혐의로 아라그비 공작 잘랄을 처형했고, 잘랄의 아들들은 오스만 제국에 합류하기 위해 삼츠헤로 달아났지만 자바케티아의 트비스퀴리 호수 인근에서 그의 군대에게 저지되어 이란에 보내졌다. 그는 잘랄이 반란을 주도했다는 보고서를 샤한샤에게 보고했고, 찰바 크베니프네빌, 비드지나 촐로카슈빌리 등을 반란 주도 혐의로 처형되었다. 사파비 제국은 반란 진압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그가 북부 카헤티 일대를 합병하는 것을 허락했다. 또한 오타르 시다모니를 새로운 아라그비 공작으로 세웠고, 크사니 공국은 봉기 동안 중립을 지켰던 예세 크베니프네벨리에게 맡겨졌다. 이때 자신의 통치를 받아들이지 않는 귀족들을 교체할 자유를 샤한샤로부터 얻어낸 그는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중앙 집권 정책을 실현하고자 노력했다.

그러던 1660년, 이메레티 왕 알렉산드레 3세가 죽고 바그라트 5세가 왕위에 올랐으나 계모 네스탄 다례얀에게 폐위되고 실명형에 처해졌다. 네스탄 다레얀은 연인인 바크탕 츠추나슈빌리를 새 왕으로 추대한 뒤 자신은 여왕을 자처했다. 이에 반발한 귀족들이 정변을 일으켜 두 사람을 몰아낸 뒤 바그라트 5세를 복위시켰다. 하지만 실명 상태였던 바그라트 5세가 왕노릇을 제대로 할 리 없었고, 밍그렐리아 공국의 공작 바메크 3세 다디아니가 실권을 잡았다.

이렇듯 이메레티 왕국이 혼란에 휩싸이자, 그는 이 때를 틈타 이메레티 왕국을 자기의 영향력에 귀속시키기로 마음먹었다. 그는 같은 바그라티온 왕실이 다스리는 국가인 이메레티의 혼란을 바로잡겠다는 명분을 내세우며 군대를 이끌고 이메레티로 들어왔다. 이후 바메크 3세와 협의한 끝에 이메레티 서쪽은 바메크 3세가 관장하고 동쪽은 자신이 관장하기로 했다. 바그라트 5세에게는 이메레티 왕국의 수도인 쿠타이시 시만 주어졌다. 바메크 3세 다디아니는 그와의 결속을 다지기 위해 자신의 딸과 그의 장남 아르칠리를 결혼시키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바메크 3세는 곧 마음을 바꾸고 결혼을 취소했다. 이에 구리아 공작 디미트리오스, 압하지야 및 이메레티 상부 지역의 귀족들과 협정을 체결하고 군대를 이끌고 이메테리로 진군해 삭헤라 인근에 진을 쳤다. 바메크 3세는 즉각 응전했고, 양군은 삭헤라 인근에서 격렬하게 맞붙었다.

삭헤라 전투에서 패배한 바메크 3세는 밍그렐리아 공국의 수도인 오디시로 도주했고, 그는 쿠타이시를 함락시키고 바그라트 5세를 억류한 뒤 오디시 인근으로 진격했다. 바메크 3세는 수도를 지킬 가망이 없자 스바네티로 피신했다. 그는 오디시를 점령한 뒤 그곳에 주둔한 수비대를 학살하고 바메크의 가족과 재물을 모조리 확보했다. 바메크 3세는 스바테니에서 내부의 배신으로 살해당했고, 그는 쿠타이시로 돌아와 아르칠리를 이메레티 왕으로 세운 뒤 바그라트 5세를 인질로 삼은 채 카르틀리로 돌아갔다. 그러나 1663년 사파비 제국이 바그라트 5세를 복위시키라고 명하자 어쩔 수 없이 아르칠리가 물러나는 걸 받아들였다. 1664년, 그는 아르칠리를 카헤티 국왕으로 세웠다. 이때 사파비 제국의 동의를 얻기 위해 아르칠리를 이슬람교로 개종시켰다.

그러나 카헤티인들은 아르칠리의 지배를 받는 걸 거부하고 헤라클리오스 1세를 왕으로 추대했다. 헤라클리오스는 이러한 민심을 등에 업고 카헤티로 잠입해 카르틀리군과 맞서 싸웠다. 그는 아들을 돕기 위해 대군을 파견했고, 헤라클리오스는 투셰티로 일시 후퇴했다. 그러다가 그가 군대를 분산시켰다는 소식을 접하자, 그는 기습 공격을 감행하기로 하고 아스크바리에서 그의 군대를 기습 공격했지만 패배하고 투셰티로 후퇴했다. 그는 카헤티 귀족들에게 아르칠리를 왕으로 떠받들겠다고 맹세하도록 강요한 뒤 카르틀리로 돌아갔다. 헤라클리오스는 대세가 기울었다고 판단하고 러시아로 이동한 뒤 10년간 모스크바에 머물렀다.

1674년, 러시아에서 카헤티로 이동한 헤라클리오스 1세는 투셰티에 도착한 뒤 주민들의 지지를 확보했다. 당시 그와 적대 관계에 있던 이란의 고위 관료인 샤아크 알리 칸은 사파비 왕조의 새 군주 솔레이만 1세에게 헤라클리오스를 카헤티의 새 왕으로 옹립하라고 조언했다. 솔레이만 1세는 그 말에 따라 아르칠리를 몰아내고 헤라클리오스를 새 왕으로 세웠다. 그 후 1675년, 솔레이만 1세는 그에게 아스파한으로 오라고 명령했다. 그는 이에 따라 아스파한으로 출두하던 중 간자의 코스카로에서 갑작스러운 병환으로 사망했다. 사후 차남 기오르기 11세가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8:52:25에 나무위키 바흐탄그 5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