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가디슈(영화)

덤프버전 : (♥ 0)

류승완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0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로고.png파일:2002 피도 눈물도 없이 로고.png파일:2004 아라한 로고.png
파일:2005 주먹이 운다.png파일:2006 짝패 로고.png파일:2008 다찌마와 리 로고.png
파일:2010 부당거래 로고.png파일:2012 베를린 로고.png파일:2015 베테랑 로고.png
파일:2017 군함도 로고.png파일:2021 모가디슈 로고.png파일:2023 밀수 로고.png
파일:베테랑2 임시 로고.png



모가디슈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모가디슈 (2021)
Escape from Mogadishu
파일:모가디슈_스페셜 포스터.jpg
장르전쟁, 액션, 스릴러, 느와르, 드라마, 시대극, 어드벤처
감독류승완
각본류승완
이기철[1]
제작강혜정
김용화
출연김윤석, 조인성, 허준호, 구교환
촬영최영환[2]
조명이재혁
편집이강희
미술김보묵
음악방준석
의상채경화
촬영 기간2019년 11월 1일 ~ 2020년 2월 18일
제작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덱스터 스튜디오[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외유내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필름케이
배급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롯데엔터테인먼트 로고.png
개봉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7월 28일[4]
파일:미국 국기.svg 2021년 8월 6일
파일:태국 국기.svg 2021년 11월 25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22년 9월 16일
파일:호주 국기.svg 2022년 3월 17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22년 4월 28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7월 1일
파일:베트남 국기.svg 2022년 7월 1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9월 7일 재개봉
화면비2.39:1
상영 타입파일:영화 2D 로고.png[[파일:영화 2D 로고 화이트.png 2K DCP파일:IMAX 로고.svg[[파일:IMAX 로고 화이트.svg [DMR]파일:4DX 로고 (3).svg[[파일:4DX 로고 화이트.svg파일:4DX 로고 (3).svg[[파일:4DX 로고 화이트.svg SCREEN | 파일:ScreenX 로고.svg[[파일:ScreenX 로고 화이트.svg파일:Dolby Atmos 로고.svg[[파일:Dolby Atmos 로고 화이트.svg
상영 시간121분 (2시간 1분)
제작비240억 원
월드 박스오피스$29,902,716 (최종 기준)
북미 박스오피스$346,271
대한민국 총 관객수3,619,202명 (최종 기준)[5]
상영 등급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6]

1. 개요
2. 포스터
3. 예고편
4. 시놉시스
7. 사운드트랙
8. 평가
8.1. 평론가 평
9. 흥행
10. 수상
11. 관련 비화
11.1. 촬영지 관련 비화
11.2. 엑스트라 관련 비화
12. 실제 역사와의 비교
13. 기타
13.1. 관련 인터뷰 및 평론
14. 관련 문서
15. 외부 링크
1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21년 7월 28일에 개봉한 한국 영화. 류승완 감독의 열한 번째 연출작이다. 1991년 소말리아 내전 당시, 대한민국북한대사관 공관원들이 고립된 뒤 함께 목숨을 걸고 소말리아의 수도인 모가디슈를 탈출했던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제작되었으며, 대한민국 외교공관 철수를 주제로 촬영한 한국 최초의 영화이기도 하다.


2. 포스터[편집]


파일:모가디슈 포스터.jpg
파일:모가디슈_2차 포스터.jpg
▲ 1차 포스터 ▲ 2차 포스터
파일:모가디슈_아트워크 포스터.jpg
파일:모가디슈_스페셜 포스터.jpg
▲ 아트워크 포스터 ▲ 스페셜 포스터

특별관 포스터
파일:모가디슈_IMAX 스페셜 포스터.jpg
파일:모가디슈_4DX 스페셜 포스터.jpg
▲ IMAX 스페셜 포스터 ▲ 4DX 스페셜 포스터
파일:모가디슈_Super 4D 스페셜 포스터.jpg
파일:모가디슈_Screen X 스페셜 포스터.jpg
▲ SUPER 4D 스페셜 포스터 ▲ Screen X 스페셜 포스터

캐릭터 포스터
파일:모가디슈_캐릭터1.jpg
파일:모가디슈_캐릭터2.jpg
파일:모가디슈_캐릭터3.jpg
파일:모가디슈_캐릭터4.jpg
파일:모가디슈_캐릭터5.jpg
파일:모가디슈_캐릭터6.jpg
파일:모가디슈_캐릭터7.jpg
파일:모가디슈_캐릭터8.jpg

리뷰 포스터
파일:모가디슈_리뷰 포스터.jpg
파일:모가디슈_리뷰 포스터2.jpg
파일:모가디슈_관람객 리뷰.jpg
파일:모가디슈_관람객 리뷰2.jpg
▲ 리뷰 포스터 ▲ 실관람객 리뷰 포스터

파일:모가디슈_흥행 감사.jpg
▲ 흥행 감사 포스터


3. 예고편[편집]


▲ 1차 예고편 확장판
▲ 캐릭터 예고편
▲ 2차 예고편


4. 시놉시스[편집]


내전으로 고립된 낯선 도시, 모가디슈.

지금부터 우리의 목표는 오로지 생존이다!

대한민국UN가입을 위해 동분서주하던 시기,

1991년 소말리아의 수도 모가디슈에서는 일촉즉발의 내전이 일어난다.

통신마저 끊긴 그 곳에 고립된 대한민국 대사관의 직원과 가족들은 총알과 포탄이 빗발치는 가운데, 살아남기 위해 하루하루를 버텨낸다.

그러던 어느 날 밤, 북한 대사관의 일행들이 도움을 요청하며 문을 두드리는데…

목표는 하나, 모가디슈에서 탈출해야 한다!

출처: 네이버 영화



5.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모가디슈(영화)/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줄거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모가디슈(영화)/줄거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사운드트랙[편집]


파일:2021 모가디슈 로고.png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파일:모가디슈 OST 썸네일.jpg
No 제목아티스트 재생시간 듣기 비고
01차량강도
Armed Robbery
방준석, 김혜현1:0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2소말리아 시장
Somalian Market
방준석, 현서원0:4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3폭동
Revolt
방준석, 김지혜1:2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4누군가의 방문
Visit
방준석, 현서원2:1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5경찰
Somalia Police
방준석, 현서원0:5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6시위 시퀀스
General Idid
방준석, 현서원3:0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7모가디슈 중심가 혼란
Chaos
방준석, 김혜현3:1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8한국 대사관 방송
Riot
방준석, 김혜현1:3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9경찰2
police2
방준석, 김지혜2:5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1990년 Dec 30일
December 30th 1990
방준석, 현서원0:3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모가디슈 입성
Enter the Mogadishu
방준석, 김혜현3:3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북한 대사관
North Korean Embassy
방준석, 김지혜2:3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북한 대사관 탈출
Escape
방준석, 김지혜4:4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오픈
Open
방준석, 현서원2:0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카메라
Camera
방준석, 현서원1:1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경찰 배신
Betrayal
방준석, 김혜현1:3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지도
Operation
방준석, 김혜현3:3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결심
Decision
방준석, 현서원0:4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골목 사거리
On the run
방준석, 김혜현2:0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도움
Help
방준석, 현서원1:0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전향할 사람들입니다
Convert
방준석, 김지혜2:2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한국 대사관 문
Gate
방준석, 현서원0:4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3도망 차량 준비
Ready
방준석, 김지혜1:2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4모가디슈 카체이싱
car
방준석, 김지혜4:5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5이탈리아 대사관
Don't
방준석, 김혜현4:0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6집으로 TITLE
Going Home
방준석, 현서원4:0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7이별
FAREWELL
방준석, 김지혜1:5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8모가디슈 Ending
ENDING
방준석, 김지혜4:1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92150|
기자·평론가
7.27 / 10
관람객
8.68 / 10
네티즌
8.33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7.27 / 10
관람객
8.68 / 10
네티즌
8.33 / 10
]]
평점 8.68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8.6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97%






파일:롯데시네마 로고 영문 백색.svg
평점 XX / 10











류승완전작에서 빚은 부진을 말끔히 씻어낸 수작이라는 반응이다. 전반적으로 전문가는 물론 관람객들 사이에서도 호평이 자자하다. 류승완의 전작 <군함도>는 너무나 비극적인 역사상의 실화를 왜곡해 액션 블록버스터로 소비했다는 점에 대해서 거센 비판을 받았으나, 군함도의 단점을 이번 작품에서 완벽히 보완해내며 깔끔하게 연출해내었다. 특히 영화의 작품성, 즉 예술적인 면에서는 부당거래와 더불어 류승완 감독의 필모그래피 중 최고라는 반응이 있을 정도로 평가가 좋다. 특히 그동안 캐릭터성과 액션연출에 있어서는 발군이라는 평을 들었지만 서사의 완성도는 부족한 편이라는 지적을 종종 들어왔던 류승완의 단점마저 보완된 작품이다.

감독의 전작 군함도의 경쟁작이었던 크리스토퍼 놀란덩케르크와 비슷한, 덧셈보다 뺄셈으로 조각된 장르적으로 배경을 보여주는 탈출 서사의 형태를 갖춘 영화다.[7] 감독 왈 “자동차 한대가 빗발치는 총알을 피해 사막을 질주하는 이미지에서 출발”했다고 한다. 내란이 발생한 국가에 파견 간 대사들이 탈출하기 위해 분투하는 스릴러 영화란 점에서 벤 애플렉이 제작, 연출, 주연을 모두 맡은 영화 <아르고>가 연상된다는 반응도 있다. 가장 크게 호평 받는 점은 지나친 신파극과 정치적 요소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 외교전에서 적으로 만난 남북한의 대사들과 그 일행들이 내전으로 고립되어 위기 상황에 처하게 되고 같이 협력하며 탈출하는 과정에서의 조성되는 긴장, 스릴과 휴머니즘에 집중하였다.

또, 슬픈 배경음악을 깔고 억지로 눈물을 짜내는 장면이나 연출을 배제하고 장면에 담긴 슬픔과 긴장감을 짧고 담담하게 풀어냈다. 남북한 양측이 서로를 견제하거나 이용해먹을 심산으로 계산적인 행동을 하다가 모가디슈에 비상상황이 터진 뒤 한민족으로 서로 돕는 과정에서도 억지 요소가 드러나지 않고, 심지어 주요 등장인물 중 1명이 사망하는 장면과 탈출 과정에서 정을 쌓은 인물들이 서로의 안위를 위해 애써 눈을 피하며 각자의 조국으로 발길을 돌리는 장면까지도 눈물을 짜내는 슬픈 음악 대신 배우들의 표정 연기를 통해 세련되게 연출하였다. 오히려 너무 담담하게 마무리되어 아쉽다는 일부 반응이 있을 정도다. 아래에도 나오지만 오히려 실제 사건의 내용은 영화 속 장면보다 더 극적이었음에도 의도적으로 담담하게 묘사한 것.

이 부분에 대해 이런 평도 있다.

그렇다면 도대체 왜 감독은 영화에서 이토록 신파를 자제했던 것일까? 단순히 모든 게 과잉이었던 <군함도>의 실패에서 얻은 교훈 때문일까?

영화가 지금의 남북관계를 투영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영화는 현실을 반영하기 마련이다. <쉬리>가 우리 사회가 드디어 반공주의로부터 한 발짝 정도 벗어났음을 알렸고, <공동경비구역 JSA>가 우리가 북한 사람들을 같은 사람으로 인지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었고, <코리아> 류의 전형적인 신파물들이 같은 민족으로서의 북한을 강조했다면 모가디슈는 이제 남북관계가 신파에서 벗어날 때가 되었음을 선언한다.

현재 남북한에는 같은 역사를 공유했던 세대가 저물어가고, 전혀 다른 체제에서 태어나고 자란 세대가 주역이 되고 있다. 당장 북한의 최고 지도자 김정은만 해도 1980년대 생이지 않은가. 그런데 그런 그들에게 같은 민족이라고 무턱대고 눈물을 펑펑 쏟기를 기대하고, 무조건 통일을 외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여전히 기성세대들은 우리의 소원이 통일이라고 외치지만 이는 MZ세대들에게 뜬금없는 이야기일 뿐이다. 왜 우리가 같은 민족이라고 꼭 북한과 통일해야 하는가? 통일 대신 평화적인 공존은 안 되는가? 북한은 언어와 문화는 같지만 우리와 전혀 다른 역사적 궤적을 걸어온 완전한 타자인데 말이다. 모가디슈는 바로 이 지점에서 기존 남북관계의 전형성을 탈피하고 있으며 시의성을 가지고 있다. 출처

내전 상황이라는 배경임에도 불구하고 액션씬은 그렇게 많지 않다. 초반에 남의 강 참사관과 북의 태준기 참사관의 싸움 하나 정도가 있고 후반부의 도시 탈출을 위한 차량 추격씬, 중간중간 반군과 정부군의 교전 몇번이 전부일 정도이다. 텐트폴 영화 치고 액션이 너무 없어서 아쉬웠다는 의견과는 반대로 비무장 상태에서 내란이 일어난 국가에서 탈출한 실화를 배경으로 한 영화인 만큼 불필요하거나 과장된 액션은 절제하며 오로지 탈출하는 과정에 집중하였단 점을 높게 평가하는 의견도 있다.

그나마 남북한 참사관들이 훈련을 받아 전투력이 높은 것으로 묘사되고 조인성이 맡은 대한민국 참사관(안기부 요원)이 자신을 위협하는 정부군 장교를 상대로 경비인력을 받아내는 등 전문가로써 할 일을 해낸다. 그렇다고 할리우드 액션 영화 주인공들 마냥 반군들을 상대로 무쌍을 찍거나 비현실적인 운전실력으로 소말리아 반군들을 따돌리고 극적으로 탈출하는 식의 과장된 연출은 전혀 나오지 않는다.

이는 제작진 측에서도 의도한 연출로, 모래주머니와 책 등을 차에 부착하여 방탄효과를 높인다는 아이디어도 힘 없는 민간인들이 할리우드 액션영화 주인공처럼 총을 들고 반격하는 장면이 나오는 건 부적절하다고 생각해서 고안해낸 아이디어라고 한다.# (배우 김윤석은 굉장한 능력이나 외형적인 화려함이 없는 사람들의 탈출기인 게 매력적이었다고 평했다.) 윤대원 무술감독은 정부군, 반군, 시민 등 다양한 역할을 맡은 캐릭터들 특성에 맞는 움직임을 연구했으며, 잘 짜인 액션 합보다는 리얼하게 펼쳐지는 시위의 물결과 시민들의 분노, 내전의 긴박함이 더욱 중요한 촬영이었다고 밝혔다.

그래도 '점차 광기에 휘말리는 도시'라는 소재와 '탈출'이라는 줄거리의 클라이막스에 걸맞게 마지막 차량 추격씬은 한국 영화 전체에서도 손꼽히는 굉장한 완성도를 자랑한다. 아수라처럼 적절히 CG와 편집을 섞어서 카메라가 롱테이크로 이 차 저 차를 창문을 통해 옮겨다니는 식으로 연출한 것이 특징이다.

실제 역사와 별개로, "추격전 중 빗발치는 총알 속에서 결과적으로 1명의 사망자만 존재하는 것이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류승완 감독은 이렇게 답했다.

실제 사건에서 제게 가장 강렬했던 게 다름 아닌 그 점이었어요. 그토록 수많은 총탄이 쏟아졌는데도, 단지 한 명의 희생자밖에 생기지 않았다는 사실이 기적적으로 다가섰죠. 영화에서는 제가 그 설명을 할 타이밍을 놓쳤던 건데, 그게 가능했던 이유가 당시 정부군이나 반군이나 사실상 훈련 상태가 좋지 않았고, AK 소총의 명중률이 되게 낮아요. 지금 생각을 해보면 그런 설명들을 조금 더 했어야 했고, 관객들을 납득시킬 수 있을 몇 장면을 만들지 않은 건 제 불찰이었던 것 같아요.

전체적인 이야기가 탈출하는 남북한 측 대사의 시점으로 진행된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시위대를 무차별적으로 공격하는 소말리아 독재정권의 인권탄압과 길거리에 널부러진 시체들, 동네에서는 순진하게 축구를 하던 어린아이들까지 총을 들며 사람의 목숨을 위협하고 다니는 모습을 비춘다. 남북한 한국인들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현지 소말리아 내전의 비극적인 참상 역시 영화 내내 나름 비중 있게 묘사한 점 역시 본작의 주목할만한 포인트 중 하나다.

특히 100% 해외 로케이션으로 진행된 촬영과 아프리카 전통음악의 느낌이 나는 스코어와 생생한 현장감을 전달하는 고퀄리티의 음향기술, 한국영화에서 한번도 등장한 적 없는 공간의 풍광과 빛으로 현지성을 살렸다. 최영환 촬영감독과 이재혁 조명감독이 말하길 대부분 자연광을 활용했고, 밤 장면은 횃불, 촛불, 등불 등 인위적이지 않은 조명을 적극 활용했다. 감독이 원하는 빛을 카메라에 담기 위해 시간대별로 촬영을 진행했을 정도라고 한다. 원하는 빛과 색감을 가장 잘 담아낼 수 있는 카메라를 고르기 위해 한국에 있는 모든 카메라를 테스트했다고. 감독이 소말리아의 좋지 않은 전력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하이라이트를 크게 주는 달빛 조명과 가로등을 끄고 진짜처럼 찍고 싶다 주문해서 미술팀이 제작한 횃불이나 촛불, 특수효과팀의 손을 거친 불에 탄 자동차 등으로 자연스럽게 조명을 세팅했다. 또한 중간중간 삽입된 롱테이크 촬영이 더해져 있어서 엄청난 몰입감을 준다. 덕분에 모가디슈 내전을 소재로 한 리얼 다큐멘터리처럼 보이기도 한다.

류승완이 연출한 작품답게 중간중간 사회비판적인 요소들이나 정치적인 요소들이 대사나 미장센을 통해 자연스럽게 녹아있다. 가령 일개 경찰들이 나라의 대사 정도 되는 사람 면전에다 대놓고 담배를 피우며 무시하는 장면과 소말리아인들이 남북한 대사관 일행들이 한반도에서 왔다는 걸 못 알아보는 장면들이 나온다. 예를 들어서 강 참사관이 태권도 품새를 하는 것을 본 택시운전사가 브루스 리라고 부르거나 반군 소년병들이 피난 중인 북한 대사 일행들을 중국인이라고 부르는 장면을 통해 당시 국제적으로 인지도와 위상이 낮았던 대한민국의 현실을 풍자하였다.

그리고 남북한의 대사관과 해외 선진국들의 대사관들의 크기와 시설들을 대비시킴으로써 UN에조차 가입하지 못했던 시절의 열악한 상황을 묘사하였다. 이탈리아의 대사관은 요새처럼 거대하고 시설도 잘 갖추어져 있어 수십명이 넘는 피난민들도 거뜬히 대피시킬 수 있고 대사관을 지킬 병력까지 갖추어져 있던 반면, 대한민국과 북한의 대사관은 저택 정도 크기밖에 되지 않고 전기가 자주 나갈 정도로 시설이 열악했다.[8]

8.1. 평론가 평[편집]


<블랙 호크 다운>을 기대했다 <아르고>를 만난

- 이주현 (★★★☆)


한국영화사 미증유의 시가전

- 배동미 (★★★☆)


류승완식 휴머니즘과 액션을 앞세운 필사의 탈출기

- 김성훈 (★★★★☆)


외유내강과 덱스터의 강점이 만나

- 임수연 (★★★☆)


맥락보다 승부처에 집중하다

- 박평식 (★★★)


이것이 나의 20세기다, 이제 너의 시간을 말하라

- 이용철 (★★★★☆)


규모와 세기를 안정적으로 함께 구현한 프러덕션의 승리

- 이동진 (★★★)


돌아온 액션 장인 류승완


볼거리는 차고 넘친다. 총탄이 빗발치는 내전의 한복판, 그곳을 벗어나려는 생존의 몸부림이 긴장감 넘치는 자동차 액션에 담겨 이국적 풍광 속에 펼쳐진다. 탈출이라는 간결한 서사지만 인간성이 사라진 내전 한복판의 극단적인 상황이 불러일으키는 팽팽한 서스펜스가 관객의 시선을 시종일관 부여잡는다. 류승완 감독이 만들어 낸 독보적인 액션 장면은 모든 면에서 만족스럽고, 폭발하는 감정을 미묘한 표정으로도 완전하게 표현해 낸 김윤석, 허준호의 연기는 언급하지 않을 도리가 없다. 의도적인 측면을 고려하더라도 다양한 주변 인물들의 서사가 느슨하게 다뤄진 점과 연기자들의 뛰어난 면면에 비해 돋보이는 여성 캐릭터를 만들어내지 못한 점은 안타깝다. 서로를 계몽하거나 적대시하는 전형적인 남북 관계를 벗어난 점은 좋지만, 국제 정세 속에 던져진 남북의 상황을 깊이 있게 묘사하지 못한 점도 다소 아쉽다.

- 심규한 (<씨네플레이> 기자) (★★★☆)


곁눈질 없는 탈출극


모로코 올로케이션으로 완성한 이 영화는 가히 프로덕션의 승리다. 애초에 관록 있는 감독과 제작자의 프로젝트기에 가능했다. 여기저기 곁눈질하는 대신 생존을 위한 탈출이라는 목표 하나를 위해 날아가는 화살 같다. 담백한 목표 설정 덕분에 시대를 관통하는 질문의 깊이는 얕은 편이다. 오직 조화로운 캐릭터 앙상블, 생생한 프로덕션, 오락성 짙은 액션을 잘 버무린 상업영화로서의 역할에 충실하다. 분단국가의 비극성을 필요 이상으로 강조하지는 않는다는 점은 이 영화에 안정적인 온도를 만든다. 남북으로 나뉜 인물들은 단기 목표를 위해 손잡는 이들이 느낄 법한 적절한 감정선에 충실하다. 비단 남과 북이 아니라 이런 방식의 고난을 함께 하고도 서로에게 일말의 인간애도 느끼지 못하는 캐릭터들로 표현됐다면, 오히려 그게 더 비현실에 가까웠을 것이다.

- 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


브레이크 밟지 않는 탈출극


1991년 소말리아 모가디슈, 남북 대사관 측은 내전 상황에서 탈출하기 위해 함께 생존을 도모한다. 총알 세례를 정면 돌파하는 카체이싱 탈출극이 상업영화로서의 재미를 담보하고, 남북의 대립과 화해는 과거뿐 아니라 현재의 현실까지 소환한다. 끔찍하게 전개되는 내전은 자연스레 한국전쟁과 겹쳐지면서 남의 일이 아니게 되며, 한반도가 아닌 곳에서 가능했던 남과 북의 일시적인 통일은 여전히 분단되어 있는 현실에서 공존의 길을 모색하게 한다.

- 이지혜 (영화 저널리스트) (★★★☆)


오버페이스 없이 목표를 향해 뚜벅뚜벅


‘탈출’이라는 목표를 향해 뭉친 각 분야 전문가들이 솜씨가 극 전반에 새겨져 있다. 모래바람이 입안에 씹힐 것처럼 시대적 공기가 까끌까끌하게 카메라에 맺혀 있고, 적재적소에 자리한 생생한 사운드가 현장으로 상상을 실어 나른다. ‘남과 북’이라는 소재가 안기는 여러 유혹에도 불구하고 오버페이스를 경계하며 주제 전달에 주력한 연출에서 뚝심이 느껴지기도 한다. 다만 전반적인 완성도에 비해 영화적 활력은 충분히 빌드업되지 않는 인상을 받았는데, 이는 신파의 유무나 액션 스펙터클 강도 때문이라기보다 캐릭터 운용의 문제 같다. 죽음의 질주를 함께 한 이들의 정서적 감흥이 꼬리 긴 감동을 자아내려면, 캐릭터들 개성이 쌓이고 인물 간 심리가 촘촘하게 엮여야 하는데, 풍경으로 기능한 캐릭터가 의외로 많다 보니 그 부분에서 아쉬움을 남긴다.

- 정시우 (영화 저널리스트) (★★★☆)


한국 영화의 격을 높인 블록버스터


완성도 면에서 한국 영화의 정점에 도달한 작품이다. 고립, 탈출, 생존이라는 키워드에 맞춰 영화를 이루는 모든 요소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며 최적의 결과를 낸다. 기교나 신파 없이 정공법으로 승부한 류승완 감독의 전략은 한국 영화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성공한다. 후반부 카체이싱 탈출 장면은 ‘액션 베테랑’ 류승완의 내공이 담긴 회심의 일격으로 앞으로 회자될 것이다. 정치적 상황을 다루는 태도 면에서도 전작들과 비교해 한층 세련된 영화적 화법을 취해 공감대를 넓힌다. 김윤석, 허준호, 구교환 등 배우들의 연기야말로 러닝타임 121분 동안 관객을 단단히 붙든다. 기꺼이 빠져들 수밖에 없다.

- 정유미 (<더 스크린> 에디터) (★★★☆)



9. 흥행[편집]



9.1. 대한민국[편집]


2021년 국산 1위 흥행 영화
2020년
남산의 부장들
2021년
모가디슈
2022년
범죄도시2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1년 29주차2021년 30주차2021년 31주차
보스 베이비 2모가디슈 모가디슈
2021년 30주차2021년 31주차2021년 32주차
모가디슈모가디슈 싱크홀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펼치기 · 접기 ]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10,071명미집계92,715,000원
1주차2021-07-28. 1일차(수)126,670명1,025,240명1위893,105,310원9,762,314,460원
2021-07-29. 2일차(목)89,824명1위852,977,100원
2021-07-30. 3일차(금)108,873명1위1,097,474,650원
2021-07-31. 4일차(토)210,973명1위2,150,823,370원
2021-08-01. 5일차(일)241,879명1위2,434,875,350원
2021-08-02. 6일차(월)125,796명1위1,189,341,250원
2021-08-03. 7일차(화)121,225명1위1,143,717,430원
2주차2021-08-04. 8일차(수)104,104명824,625명1위975,393,400원8,096,040,950원
2021-08-05. 9일차(목)92,346명1위870,866,710원
2021-08-06. 10일차(금)91,311명1위914,985,380원
2021-08-07. 11일차(토)192,631명1위1,961,970,200원
2021-08-08. 12일차(일)196,672명1위2,000,829,380원
2021-08-09. 13일차(월)75,348명1위709,693,260원
2021-08-10. 14일차(화)72,213명1위662,302,620원
3주차2021-08-11. 15일차(수)57,818명628,507명2위522,493,410원5,935,548,870원
2021-08-12. 16일차(목)53,390명2위482,840,930원
2021-08-13. 17일차(금)62,967명2위598,341,440원
2021-08-14. 18일차(토)134,124명2위1,290,177,550원
2021-08-15. 19일차(일)150,760명2위1,450,227,170원
2021-08-16. 20일차(월)123,975명2위1,176,024,440원
2021-08-17. 21일차(화)45,473명2위415,443,930원
4주차2021-08-18. 22일차(수)35,978명350,396명3위323,310,450원3,301,273,140원
2021-08-19. 23일차(목)34,465명3위308,406,300원
2021-08-20. 24일차(금)40,285명3위377,222,760원
2021-08-21. 25일차(토)93,540명3위905,174,310원
2021-08-22. 26일차(일)88,544명3위849,751,440원
2021-08-23. 27일차(월)29,629명3위276,686,330원
2021-08-24. 28일차(화)27,955명3위260,721,550원
5주차2021-08-25. 29일차(수)35,142명270,963명3위258,799,840원2,550,474,000원
2021-08-26. 30일차(목)24,460명3위226,019,160원
2021-08-27. 31일차(금)29,955명3위293,690,610원
2021-08-28. 32일차(토)65,231명3위655,674,670원
2021-08-29. 33일차(일)65,104명3위647,351,060원
2021-08-30. 34일차(월)24,982명2위231,203,060원
2021-08-31. 35일차(화)26,093명2위237,735,600원
6주차2021-09-01. 36일차(수)18,638명166,719명3위170,970,780원1,609,450,280원
2021-09-02. 37일차(목)16,546명3위151,995,930원
2021-09-03. 38일차(금)20,317명3위197,834,970원
2021-09-04. 39일차(토)42,573명3위424,163,520원
2021-09-05. 40일차(일)40,734명3위404,015,560원
2021-09-06. 41일차(월)14,119명3위132,422,900원
2021-09-07. 42일차(화)13,792명3위128,046,620원
7주차2021-09-08. 43일차(수)12,307명127,196명3위114,216,360원1,234,622,770원
2021-09-09. 44일차(목)12,944명2위114,068,100원
2021-09-10. 45일차(금)15,717명2위153,026,170원
2021-09-11. 46일차(토)32,064명2위322,489,980원
2021-09-12. 47일차(일)32,529명2위327,591,970원
2021-09-13. 48일차(월)10,774명3위101,259,010원
2021-09-14. 49일차(화)10,861명3위101,971,180원
8주차2021-09-15. 50일차(수)6,045명104,228명6위55,034,390원978,620,450원
2021-09-16. 51일차(목)5,452명7위50,657,430원
2021-09-17. 52일차(금)7,756명4위76,219,740원
2021-09-18. 53일차(토)14,552명6위139,553,780원
2021-09-19. 54일차(일)17,374명6위160,667,000원
2021-09-20. 55일차(월)20,872명4위194,092,510원
2021-09-21. 56일차(화)32,177명4위302,395,600원
9주차2021-09-22. 57일차(수)24,814명61,447명4위231,286,140원591,434,620원
2021-09-23. 58일차(목)5,985명4위55,940,330원
2021-09-24. 59일차(금)5,710명4위56,103,270원
2021-09-25. 60일차(토)9,788명6위99,332,120원
2021-09-26. 61일차(일)8,636명6위88,872,660원
2021-09-27. 62일차(월)3,031명4위28,021,680원
2021-09-28. 63일차(화)3,483명4위31,878,420원
10주차2021-09-29. 64일차(수)2,923명19,292명7위23,255,530원182,886,090원
2021-09-30. 65일차(목)2,132명5위18,885,000원
2021-10-01. 66일차(금)1,958명7위18,865,610원
2021-10-02. 67일차(토)3,415명9위34,214,900원
2021-10-03. 68일차(일)3,841명8위39,015,930원
2021-10-04. 69일차(월)3,747명8위36,871,380원
2021-10-05. 70일차(화)1,276명7위11,777,740원
11주차2021-10-06. 71일차(수)1,170명12,649명11위10,207,870원125,203,320원
2021-10-07. 72일차(목)828명12위7,760,170원
2021-10-08. 73일차(금)1,348명9위13,348,350원
2021-10-09. 74일차(토)2,498명10위25,699,010원
2021-10-10. 75일차(일)3,177명8위33,060,520원
2021-10-11. 76일차(월)2,550명8위25,806,120원
2021-10-12. 77일차(화)1,078명7위9,321,280원
합계누적 관객수 3,619,202명, 누적 매출액 34,601,724,626원[1]
[1] ~ 2022/10/18 기준

손익분기점은 원래 600만이었으나 코로나로 인해 침체에 빠진 한국 영화 제작을 지원하기 위해 상영관 측에서 영화 제작비의 50%가 회수될 때까지 극장 매출을 배분하지 않고 100% 배급사에게 지급하기로 결정하며 손익분기점이 많이 내려간 상태이다. 손익분기점은 약 300만으로 추산된다.#

개봉 7일차인 8월 3일 화요일 오후 5시경, 100만 관객 돌파 소식이 들려왔다. 이 기록은 <도굴> 이후 10개월만에 나온 한국 영화 100만 돌파작이다.

개봉 17일차 200만 관객을 돌파했다. 2021년에 개봉한 한국영화 중 최초의 200만 돌파 기록이다.

개봉 18일차인 8월 14일 216만을 넘어서며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 편의 흥행 기록을 꺾었다.

개봉 19일차인 8월 15일 광복절에 231만명을 넘어서며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를 제치고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2위로 올라섰다.

개봉 22일차에 접어들며 관객수 250만명을 돌파하여 2021년 한국영화 최고의 흥행작이 되었다. 그동안 자산어보, 서복, 미션 파서블, 발신제한 등 2021년에 개봉된 많은 한국 영화들이 기대에 못 미치는 흥행을 하여 아쉬움을 보였으나 모가디슈가 놀라운 흥행 성적을 보이며 2021년 한국영화의 부흥을 알렸다. 코로나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유행이라는 악재 속에서 이루어낸 흥행 기록이라 더욱 고무적인 부분이다. 코로나19로 개봉이 연기되었고 <승리호>처럼 넷플릭스로 직행할 뻔도 했으나 우여곡절 끝에 극장 개봉이 되었고 이것이 신의 한 수가 되었다. 만약 극장 개봉이 되지 않고 넷플릭스를 통해 개봉이 되었다면 2021년 한국 영화계는 암흑기에서 벗어나지 못 했을 것이다.

개봉 27일차인 8월 23일 기준, <싱크홀>과 <인질>이 개봉하면서 3위로 밀려나긴 했어도 누적 281만 관객을 기록하며 관객 수가 그렇게 크게 줄지 않아 300만 관객을 모처럼 넘길 가능성이 커졌다.

개봉 32일차인 8월 28일 <블랙 위도우>를 역전하고 2021년 전체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으며, 동시에 당일 관객수 65,231명, 누적 관객수 299만 3천 관객을 기록하면서 300만 돌파가 확실해졌다.

개봉 33일차인 8월 29일 300만 관객을 달성했다. 2021년의 첫 번째 300만 돌파 영화이며 작년 성수기 대표 흥행작인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이후 1년 만에 300만을 돌파한 영화가 되었다.

개봉 56일차인 9월 21일 350만 관객을 달성했다.

개봉 76일차인 10월 11일 360만 관객을 달성했다.

모가디슈가 어느정도 장기흥행 하면서, 코로나만 아니었다면 천만 관객을 훌쩍 넘었을 것이라는 의견도 적지않아 있다. 손익분기를 넘었다지만 완성도와 오락성을 모두 갖춘 더 잘될법한 영화였기에 때를 잘못 만났다는 게 중론. 전작 군함도가 여름극장성수기에 자본을 이용한 엄청난 스크린 확보, 소위 반일영화라는 무기를 가지고도 실패했던 것과는 너무 대조되는 아이러니한 상황.

2021년 10월 13일 IPTV 및 VOD가 출시되었다.

2022년 9월 7일 재개봉이 확정되었다.

최종 관객수는 약 361만명으로 마무리되었다.


10. 수상[편집]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작)
2021년제30회 부일영화상최우수 작품상모가디슈
남우조연상허준호
각본상이기철, 류승완
촬영상최영환
음악상방준석
남자 올해의 스타상조인성
제41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감독상류승완
남우조연상허준호
촬영상최영환
음악상방준석
영평 10선모가디슈
제42회 청룡영화상최우수작품상모가디슈
감독상류승완
남우조연상허준호
미술상김보묵
한국영화 최다관객상모가디슈
제8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작품상모가디슈
남우조연상허준호
촬영상최영환
조명상이재혁
미술상김보묵
기술상이희경
2022년제20회 디렉터스컷 어워즈영화부문 특별한 친구상류승완
제58회 백상예술대상영화부문 대상류승완
영화부문 작품상모가디슈
영화부문 예술상최영환
제27회 춘사국제영화제기술상최영환


11. 관련 비화[편집]



11.1. 촬영지 관련 비화[편집]


소말리아모가디슈대한민국 국민의 출입이 금지된 지역이라 실제 촬영은 모로코의 서부 도시 에사우이라에서 진행했다. 감독인 류승완은 에사우이라가 로케이션 촬영이 가능한 곳 중 제일 소말리아 지역과 닮았다고 생각했다 한다. 1990년대 소말리아 풍경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모가디슈처럼 바다가 인접한 도시이기 때문.# 에사우이라는 유럽과 아랍 문명의 영향을 고루 받은 고풍스러운 항구 도시이며, 모로코와 사하라 내륙을 세계 각지로 연결하는 무역항이자 예술의 도시로 유명하다. 바다를 향해 뿔처럼 튀어나온 땅에 위치하였기에 얼핏 보면 소말리아 지역과 비슷한 부분이 있다.

한국영화를 아프리카 대륙에서 촬영한 것은 1996년작인 <인샬라> 이후 24년 만이다. 모로코 올 로케로 치면 사상 처음.

실제로는 아프리카 대부분의 국가가 워낙에 치안이 불안하다 보니 모가디슈 전투를 다룬 미국 영화 <블랙 호크 다운>과 소말리아 해적을 다룬 <캡틴 필립스>와 같이 아프리카를 배경으로 하는 해외 영화의 상당 수가 모로코에서 촬영을 했다. 그 외에도 <글래디에이터>, <블랙 위도우>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영화뿐만 아니라 헐리웃과 유럽 영화에 나오는 아프리카 씬 거의 대부분의 실제 촬영지는 모로코이다. 이때문에 모로코에는 촬영, 음향, 특수효과, 엑스트라 등등 영화 제작에 관해서 경험이 풍부한 인력이 많은데, 블랙 호크 다운의 현지로케를 담당했던 프로덕션 매니저가 모가디슈 제작팀에도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영화리뷰 다만, 대통령궁 등 몇몇 건물이 등장하는 씬은 에사우이라가 아니라 카사블랑카에서 촬영된 것이다. 아프리카 촬영 전문 모로코

미술팀과 VFX(특수시각효과)팀은 진짜처럼 보이기 위해 재현 작업에 집중했다. <블랙 호크 다운>, 내전을 겪는 국가를 상세하게 다룬 책이나 1990년대 초 한국과 북한의 정세를 설명한 자료를 참고하며 공간을 상상했다고. 무려 반경 1km의 건축물들을 모두 당시의 소말리아 건축 양식에 맞춰 세트 작업을 했다고 한다. 당시의 시대상을 보여주는 자료들을 최대한 수집하여 원형 기둥의 모스크는 물론 이탈리아 식민 지배의 영향으로 인한 유럽식 건축 양식 등이 혼재되어 있던 당시의 소말리아 건축 양식을 그대로 표현했다고. 실제 소말리아에서 생활했던 관계자가 “실제 소말리아와 굉장히 흡사하다”고 평했을 정도였다고 한다. 기사. 또한 황량하고 무더웠던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로케이션 전체에 흙먼지를 깔아 흙바람의 효과를 일으켰다. 세트가 아닌 부분도 있다. 초반에 등장하는 쓰레기 더미가 산처럼 쌓여있는 해변은 관광지 이면에 있는 쓰레기 해변을 담아낸 실제 광경이다.

제작자이며 류승완 감독의 아내이기도 한 강혜정은 인터뷰에서 이 미술 작업이 가장 힘들었다며 토로했다. 세트 만드는 작업이 엄청난 일이었다고. 30년 전 사진 속 모습을 그것도 남의 나라에서 재현하는 것이니 그럴 수밖에. 예기치 못한 상황이 벌어졌을 때 한국에서처럼 소품을 즉각 조달할 수 없었다. 촬영 협조가 안 되는 일도 많았는데, 공항은 섭외가 전혀 안 돼 결국 시나리오가 수정됐다. 할리우드 수준의 장소 대여료를 요구하기도 했다. 주어진 촬영 스케줄과 제작비를 지키는 것은 제작사에 매우 중요한 임무여서 그런 문제를 풀어내느라 애를 먹었다고. 가장 우려한 건 안전 문제였는데 병원이 무려 차로 4시간 거리에 있어서였다.

배우들은 땀으로 얼굴이 번들거리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 종종 분장의 힘을 빌렸다고 하는데 모로코의 날씨는 사막기후와 다른 전형적인 건조 기후라 땀 빼는 무더위와는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더구나 배우들이 촬영에 임한 11~2월은 평균 기온 15도밖에 되지 않으며, 일교차가 심해서 낮에는 햇볕이 뜨거울 수 있어도 밤에는 한가을~초겨울 수준으로 온도가 내려간다. 제작팀이 현지에서 찍은 사진을 보면 배우들 대다수가 긴 팔 상의에 긴 바지를 입었고, 심지어 패딩을 걸친 사람도 보인다. 감독 말로는 지중해에 맞닿은 북아프리카라 밤에는 전기장판을 깔고 자야 할 만큼 추웠다고 한다.

작품의 직접적 배경인 소말리아는 위에서 서술했듯이 외교부에서 전 지역 철수 명령을 내린 곳이라 치안상태는 아예 말할 필요도 없고, 상대적으로 치안이 나은 소말릴랜드는 UN에서 독립적 지위를 인정받지 못한 미승인국이라 소말리아와 함께 여행금지 지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수단은 치안이 극도로 나빠서 4개월씩 머물면서 대규모 액션 촬영을 하기엔 변수가 많은 곳이며, 지부티 역시 프랑스군이 주둔하는 등 치안 사정은 낫지만 타 외국인들이 활동할만한 인프라가 열악하고, 에티오피아는 소말리아나 수단, 지부티보다는 비교적 낫지만 북아프리카에 비해 외국인들이 편하게 활동할 만한 인프라가 빈약한데다 결정적으로 해안선과 접하지 않은 내륙국이며, 탄자니아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그런대로 낫다지만 자연환경상 사바나 초원지대가 많아 사막지형이 많은 소말리아 등 아프리카의 뿔 지역 국가들과는 이미지가 동떨어져 있다. 물론 탄자니아도 잔지바르나 다르에스살람 같은 유서깊은 인도양의 항만 도시들이 있으며, 남아공 역시 칼라하리 사막이나 나미브 사막처럼 사막지형이 엄연히 존재하기도 한다.

곧 인프라가 충분하며 치안도 괜찮고 아프리카 지역을 배경으로 한 영화 촬영장소를 제공한 적이 많다보니, 모로코에서 촬영을 하는 게 가장 적합했다. 게다가 날씨 변화가 많지 않아 안정적으로 촬영을 진행할 수 있기도 하다고. 광량이 일정하고 일출과 일몰 시간이 정확해 제작팀이 촬영을 준비하기가 수월했다.

제작자가 말하길, 해외 촬영이다보니 배우들은 아무도 알아보지 못하는 곳에서 거리를 자유롭게 활보하는 즐거움을 맛봤다. 시간이 허락하면 일부는 서핑을 하거나 사하라사막에 다녀오기도 했다고. 하지만 연출부나 미술팀은 다음 촬영을 준비하느라 그럴 여유가 없었다고 한다.

모로코이슬람 국가라 종교적인 이유로 돼지고기를 먹을 수 없는 곳이다. 모로코도 돼지고기를 파는 곳이 있지만 비싸고 파는 곳도 제한되어 있다. 고기는 주로 다른 나라에서 수입해오고 소수 기독교인이나 외국인들이 주로 소비하는데 금세 팔린다. 더불어, 은근히 무슬림들 중 몰래 찾는 이들도 꽤 있기에 어쩌다가 들어오면 그날부로 다 팔린다고 한다. 이래서 외국인들은 예약하고 돈을 더 주면서까지 대기할 정도. 모로코는 그나마 완전 이슬람 나라는 아니기에 가능한데, 여긴 맥주도 만들어 파는 나라이다.

배우 김윤석 인터뷰에 따르면 모두 삼겹살이 먹고 싶어 고생했다고 한다. 다만 본인은 로컬 음식 먹는 걸 좋아해서 돼지고기만 없지 닭고기, 소고기, 양고기 같이 다른 고기들이 다 있어서 잘 먹었다고 한다. 한국에서 밥차도 왔고, 매일 한끼는 김치와 국이 나와서 음식 어려움은 크게 없었다고. 제작자는 베를린을 찍을 때 매일 독일식 소시지와 빵, 감자를 '밥 먹듯' 해서 식사 스트레스가 컸기에 이번엔 한국에서 많은 식재료를 가져간 것이라고 말했다. 어찌어찌 스페인에서 돼지고기를 엄청 비싸게 공수해 와 제육볶음 파티를 한 날이 있었는데 축제 분위기였다고.


11.2. 엑스트라 관련 비화[편집]


예고편을 본 소말리아인들 중에서 1990년대 소말리아의 풍경이나 행인들의 의상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점과, 특히 소말리인들이 아닌 서아프리카계 흑인들을 엑스트라로 캐스팅한 점을 가지고 비난하는 경우가 많다.[9] 그러나 소말리아는 심각한 내전과 불안한 치안 때문에 애초에 입국이 금지된 국가이기 때문에 자신들의 문제로 인한 것을 한국탓으로 돌리는 억지스러운 비난이다. 그래서 실제 촬영지는 소말리아가 아닌 북아프리카 최서단에 위치한 모로코였으며 나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지속되는 내전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로 소말리아인을 캐스팅하거나 현지에서 촬영한다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촬영지가 모로코였던 관계로 엑스트라들을 대부분 유럽 및 서아프리카에서 데려와야 했던 것으로 보인다. 소말리인 역을 맡은 배우들 중 모로코인은 거의 없는데 이는 모로코 현지인 대다수가 아랍계 혹은 베르베르인이기 때문. 제작자도 모로코인 대부분이 중동계여서 흑인 찾기가 어려웠다고 밝힌다. 영어가 되는 흑인이 캐스팅 1순위였다고. 일단 동아프리카 국가들은 대체로 정세가 불안한데다 모로코와의 거리가 멀어서 도저히 엑스트라들을 모집할 여건이 안 된다. 일례로 소말리아와 모로코 사이에 놓인 육로의 길이는 9,599km에 달하는데, 이는 대한민국 - 그리스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민족을 따져서 엑스트라를 불러오고자 했다면 영국 체류 소말리인들(약 110,000명) 중심으로 배우를 선발하는 게 그나마 시도할 만한 방편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 중에 한국 영화 촬영하자고 모로코까지 와서 몇 달 체류할 사람들을 수백 명씩 추려내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어쨌든 본작에 등장하는 외국인 출연진들은 촬영 1년 전부터 오디션을 통해 섭외된 이들이다. 본국에선 꽤 유명한 이들도 많다. 대사와 비중이 있는 세 명만 케냐에서 데려온 배우이고 나머지는 현지에서 섭외한 일반인이다. 이 기사에 따르면 모로코를 기반으로 아프리카 대륙의 다양한 배우들을 섭외했는데, 현지 스태프와 협업해 모로코에서 여러 방식의 오디션을 거쳐 영화에 어울리는 배우들을 찾아냈다고 한다. 그 결과 현지 배우들이 훌륭한 연기를 보여줬고, 이는 영화의 높은 작품성에도 기여했다.

또 반군과 소말리아 정규군이 벌이는 총격신을 생생하게 연출하기 위해 현지인들로 무술팀을 구성, 촬영 시작 한 달 전부터 모로코에서 현지인 20여명을 선발해 크랭크인 한 달 전부터 액션 스쿨에 모여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트레이닝하면서 기량을 익혀 나갔다. 배우들이 아프리카 대륙을 아우르며 캐스팅된지라 여러 국가의 언어가 오고 가는 진풍경이 펼쳐졌다고. 감독의 지시를 다양한 언어로 출연자들에게 전달해야 해서 통역을 할 모로코인을 세 명 구했는데 모두 한국어 실력이 정말 뛰어나 큰 도움이 되었다. 한국 드라마를 즐겨 보면서 한국말을 자연스럽게 익혔다고. 제작자 왈 '사자성어를 나보다 더 많이 알았다'. 드라마로 말을 배워 한국말의 뉘앙스도 정확히 알고 있었다.

흥행에 성공하자 이 현지 배우들이 직접 축하 영상을 보내오기도 했다.

12. 실제 역사와의 비교[편집]


강신성 전 대사는 1991년까지 소말리아에서 대사로 근무하다가 남북한 대사 일행을 이끌고 모가디슈를 탈출한 경험을 바탕으로 장편 소설 <탈출>을 집필했다. 해당 책의 1부 <소말리아 내전>은 저자가 1990년 당시 소말리아에서 외교관으로 근무하면서 겪었던 일 및 소말리아 내전의 배경을 다루고, 2부인 <소말리아 탈출>은 영화에서 묘사한 소말리아 내전 발발과 남북한 공관원들의 모가디슈 탈출 에피소드를 다룬다. 이 작품은 실존 인물들을 가명 처리하여 남북한 대사는 성만 바꾸고 이름은 그대로 기술했다. 실제로 일어난 일을 시간 순으로 기록한 르포르타주라 할 수 있으므로, 아래 기술할 내용은 책에서 나온 내용이 실화라는 전제 하에 영화와의 차이점을 기술한다. 강신성의 신문 인터뷰 내용이라고 알려진 이야기들은 대부분 이 소설의 내용을 벗어나지 않는다.




북한은 1970년대부터 소말리아에 게릴라 훈련캠프를 설치해서 反에티오피아 게릴라나 소말리아군 특수부대 등을 훈련시키고 있었기 때문에 여기서 흘러나온 총기일 가능성이 높다. 영화에서도 북한 측 인물들도 이를 일일이 해명하자면 오가덴 전쟁에 대한 설명까지 나와야 해 길어지기 때문인지 "해명하면 믿어주긴 하냐?"는 대사로 넘어가버렸다.
이 때문에 소말리아 측에서도 소말리아가 1988 서울 올림픽에 참가한 것에 대해 북한이 보복한 것이 아니냐는 말까지 나왔다고 한다.







강대진과 유사한 속성을 지닌 인물은 소설에 세 명 등장한다. '계 참사관'은 대사관에서 한신성 대사와 함께 근무한 참사관이며 북한 측 참사관과 종종 싸웠고, '김 사무원'은 한국에서 파견된 행정 직원이며 시위 발발 후 시내 관공서가 문을 닫았다는 걸 처음 알아차리는 인물이고, 소말리아 현지 교민 '이규수'(실명: 이규우)는 북한 대사관 일행을 돕겠다는 대사의 결정에 결사 반대를 하는 사람이다. 강대진은 위의 세 명을 섞어서 만든 캐릭터로 보인다.















또한 북한 측은 대한민국을 가리켜 초반 기싸움을 벌일 때만 '남조선'이라고 부르고 대한민국 대사관으로 피신한 이후로는 '남측'이라고 호칭하는 데 반해, 한국 측은 상대를 시종일관 '북한'이라고 칭한다. 남북 간에는 공식적으로 상대방을 '남/북측'이나 '남/북쪽', 혹은 '귀측'으로 칭하는 것이 관례이며, '남조선'이나 '북한' 등으로 부르는 것은 거의 도발 수준의 결례로 치부되어 즉각 항의가 들어오고도 남는다.
물론 북한은 이를 역이용해 남북회담장에서 수틀리면 '남조선'이니 '그쪽'이니 하는 결례로 대한민국에 대한 도발을 즐기곤 한다.그리고 영화 진행상 강대진은 처음부터 북측을 고깝게 보고 있었고 하는 행동도 싫어하는 티를 팍팍 내고 태준기와의 감정이 안 좋아질 대로 안 좋아진 터라 그냥 필터링 없이 북한이라고 했을 가능성도 있다.
1990년이면 7.4 공동성명 이후 제5공화국을 거쳐 남북간 대화 경험이 제법 축적되어있던 상황인데 남북 외교전의 각축장인 아프리카 근무인원들이 이런 기본적인 사항을 숙지하지 못했을 리는 없다. 영화 내 북한 측 인물들의 문화어 구사 수준이 상당함에 비추면 아쉬운 부분이다.


한국에서 1980년대부터 나름 영어 교육에 공을 들인다고 들인 게 이 모양이었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게 주 6일 중 2일은 미국인 강사에게 수업 받고 나머지는 한국인 직원들끼리 토론하는 수준의 커리큘럼이었으니 결과는 안봐도....# 당시 한국 외무부 직원들의 영어 교육과 관련한 칼럼도 참고해보자. # 지금도 한국 외교관들의 어학능력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제기가 나오고 있는 판인데# 이 시절은 말 할 것도 없었다.
그래도 영어권 국가에 근무하면 영어가 느는 것 아니냐 싶겠지만, 실제로 해외 근무 경력이 오래되었다고 주재국 언어 실력이 일취월장하는 것은 아니다. 영어권 주재 공관의 직원들이 처참한 영어 실력으로 교민들에게 까이는 경우는 부지기수고, 좀 극단적인 사례로 CIS권 국가들만 10년이 넘게 돌아다닌 참사관이 러시아어 한마디도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실제 외교관들의 활동에서 어학실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것과는 많이 다르다. 어학실력보다 더 중요한 것이 그 나라의 국제적 위치다. 한 해군 무관은 이를 두고 행사장의 사람들은 필리핀 대사의 유창한 영어보다 일본 대사의 어눌한 한마디에 더 귀를 기울였다고 회고하기도 했다.



13. 기타[편집]





현실 자료에 대한 접근이 어렵지 않음에도 김윤석은 영화 각본이 실화를 바탕으로 쓰였다는 걸 모르고 촬영에 임했고, 책을 읽지도 않았다#고 한다. 나머지 배우들 중에도 실존 인물에 대해 연구했다는 사람은 없으며, 그저 류승완의 각본 해석을 충실히 따랐다고 한다. 영화 스토리와 캐릭터는 <모가디슈 탈출기>의 내용을 상당 부분 반영하고 있다는 걸 생각하면 이러한 원작자/실존 인물에 대한 무관심은 이상하게 느껴지는 부분. 일단 류승완은 인터뷰에서 "(영화 실제 모델인) 강신성 대사님을 비롯해 여러 외교관과 종군 기자를 만나서 1980~1990년대 아프리카 파견 당시의 이야기를 들었다."고 밝혔다. #
본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영화가 실제 일어난 일을 충실히 옮겼다면 민족감정을 자극하는 신파라는 평을 들었을 것이다. 영화의 결과물을 보면 이는 류승완 감독이 구상한 바와 거리가 있었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배우들을 실화로부터 차단한게 아니었나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오래되고 노후된 자동차밖에 없어서 제작진 일부는 일부는 모로코에서 부품을 새로 구해서 세팅하고, 유럽에서 1990년대 타고 다니던 차 중에서 현재까지 잘 관리되고 있는 차와 부품을 사서 모로코로 공수했다. 연식이 오래됐고, 온갖 장애물을 뚫고 질주하는 장면이 많은 까닭에 웬만한 배우 못지않게 세심한 관리를 거쳤다고 한다. 정비사들이 촬영 현장에 상주해 매컷 응급처치를 했고, 촬영이 끝나면 자동차를 정비소로 보내 촬영 진행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했다.
그중 1991년형 벤츠가 촬영 내내 말썽을 피웠다고 한다. 시동은 허구한 날 꺼지고 창문을 한 번 내리면 올릴 수 없는데다 묵직한 헌 책과 모래주머니를 잔뜩 매달았더니 엑셀을 아무리 밟아도 가다 서다를 반복하기 일쑤였다고. 시속 30km 밖에 안 나오는 이 똥차들을 빠른 것처럼 체감하도록 연출된 것은 카메라 워킹과 편집 덕이다.
음향에도 특별히 공을 들였는데 30년 전 각 자동차들의 기종에 맞춰 엔진소리, 타이어 끌리는 소리 등 폴리 사운드를 구입하는 데 애를 먹었지만 결국 해냈다고 한다. 이 음향 효과로 각 자동차들의 속도감이 훨씬 빠르게 느껴지는 것은 물론이다. 사방에서 사운드가 울리는 애트모스 시스템으로 녹음했다고. 모로코 현지에서 폴리 사운드가 제대로 들어오지 못했기 때문에 이 점에 특히 신경쓰느라 개봉 연기까지 했다고 한다. 코로나19 문제는 덤. 현지 감성을 더욱 담아내기 위해 체득한 사운드를 후반작업에 담으려 했지만 이 과정도 역시 순탄치 않아 시간이 많이 걸렸다고 한다.





'베를린' 작업 때 한석규 선배에게 아들이 뉴스 화면의 북한 사람들 인터뷰를 보던 중 '아빠, 저 나라 사람들은 왜 우리와 같은 말을 쓰냐'고 물어서 충격 받았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분단되고 몇 세대가 바뀌지 않았나. 지금의 젊은 세대들은 북한을 타국으로 인식할 수도 있겠구나, 통일의 대상이 아니라 분단 상태에서 존재하는 그 자체로 볼 수도 있겠구나 싶었다. 이런 식으로 접근해 극중 주요인물인 북한 외교관들을 등장시킨다면 저 역시 새로운 시선으로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북한을 '외국'으로 그리려 했다. 북한을 예전 관점처럼 통일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북한을 표현하려고 했다. 소말리아 모가디슈가 여행금지 지역이라서 못 가는 것처럼 북한 평양도 마찬가지다. 북한을 온전히 타국으로 인지하는 게 맞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야 인물들을 이해하기가 빠를 것 같았다.

그런데 감독의 의도와는 달리, 작중의 북한 공관원 대사 중에 어려운 단어가 없는 데다가 북측 중심 인물인 허준호와 구교환의 발음이 또렷한 편이라 자막이 별 필요가 없었다는 평이 많다. 북한말에 비슷한 이유로 자막을 입혔던 최초의 사례인 강철비2: 정상회담에서도 같은 반응이 있었다. 참고로 둘다 배급사도 같은 롯데엔터테인먼트. 다만 중앙일보에서는 '말은 세월과 함께 조금씩 달라진다. 하물며 남북은 대중적인 직접 소통이 사실상 전무한 상태다. 이제는 자막도 요긴한 때가 왔다.(중략) 지금은, 특히 젊은 세대에게는 남북의 '같음'을 강변하는 대신 '다름'을 인정하는 게 오히려 설득력 있어 보인다.'며 이를 호평하기도 했다. # 자막에 대해 '언어와 문화는 같지만 다른 이데올로기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그들과 우리의 거리를 나타내는, 북한이 우리와 엄연히 다른 존재임을 보여주는 장치'라고 평한 기사도 있다.













13.1. 관련 인터뷰 및 평론[편집]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무비건조


14. 관련 문서[편집]




15. 외부 링크[편집]




16. 둘러보기[편집]









[1] 암살의 각본을 썼다.[2] 류승완의 데뷔작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부터 피도 눈물도 없이, 베를린, 베테랑까지 여러 번 협업했다.[3] 공동제공[4] 본래 개봉 일자는 2020년 여름 성수기 개봉으로 준비중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으로 인해 개봉이 1년 가까이 연기되었다.[DMR] IMAX DMR 상영.[5] 2021년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300만 관객을 돌파하였다. 총 매출액으로는 $29,109,931이다[6] 등급분류 결정내용: 1990년 한국의 외교관들이 북한사람들과 함께 소말리아 내전의 격동으로부터 탈출하는 내용의 영화로, 폭력적인 시위진압 장면들, 반군이 북측 대사관에 난입하여 구타하는 장면, 괴한들이 차량을 총격하며 급습하는 장면, 탈출하는 차량들을 향해 반군과 정부군이 난사하는 장면 등에서 폭력성과 공포의 수위가 다소 높고, 이밖에 주제 이해도 및 대사 수위도 고려해 15세이상관람가
(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파일:영등위_대사_2021.svg파일:영등위_공포_2021.svg)
[7] 로튼 토마토에서는 덩케르크보다 평가한 평론가수가 적지만 모가디슈가 덩케르크의 신선도 92%보다 3% 높은 신선도 95%를 기록했다. 차이점으로는 덩케르크는 배경 중심, 모가디슈는 주연과 그 주변 캐릭터들을 중심적으로 스토리를 전개한다는 것이다.[8] 북한은 돈이 없어서 그렇고, 대한민국은 당시 UN 가입이 거의 확정되면서 아프리카를 비롯한 제3세계 빈국의 중요도가 많이 떨어져 있어서 그런 측면도 있다. 게다가 영화 내에서 기본적인 인사 원칙도 지켜지지 않는 소말리아의 부패를 대놓고 까면서 이런 나라는 없다고 말할 정도인데, 당시 한국도 부패가 어느정도 있었음에도 그렇게 말했다는 건 소말리아의 부패가 정상적인 국가 유지가 불가능한 수준이라 정상적인 방식의 외교가 무의미했다는 의미다.[9] 소말리인들은 대부분 동아프리카계 흑백혼혈 민족(함족)으로, 에티오피아인들처럼 길쭉한 팔다리와 마른 체형으로 서아프리카 출신 흑인들과 외모가 상당히 다른 편이다. 아시아인 입장에서 비유해보면 서양에서 제작하는 영화가 한중일 같은 동북아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정작 배우는 동남아인들이 맡는 격.[10] 소말리아는 유목민 전통이 이어지고 있는 나라이기 때문에 개개인이 무슨 씨족 소속이냐가 사회 생활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이슬람교를 믿는 소말리인이 인구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국가 특성상 민족이나 종교는 오히려 중요하지 않다. 애초 소말리아 내전 자체도 반독재/반전체주의라는 명분을 걷어내고 보면 거대 씨족 간 권력 쟁탈전 성격이 강한 전쟁이다. 바레 정부가 다른 씨족을 적극적으로 탄압한 이유 중 하나도 바레의 오가덴 씨족이 힘이 약한 편이어서 타 거대 씨족(특히 이사크 씨족)에 대한 견제 의식이 매우 강했다는 점도 있다.[11] 아버지가 원래 고위 공직자였지만 바레 정부에 찍혀서 강제로 낙향했고, 아들인 솨뫄도 연좌로 불이익을 받아서 장학금 수령도 못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바레 정권의 부패에 불만이 많았다고.[12] 남편이 브뤼셀 EC 공사로 확정 발령이 났기 때문에 먼저 귀국해서 이사 준비를 하려고 했던 것. 이 발령은 사실상 좌천이어서 대사는 몹시 실망했다고 한다. 외교관들이 소말리아 같은 위험한 부임지에서 몇 년씩 근무하는 이유는 보통 미래에 있을 승진을 기대하기 때문인데, 강 대사는 승진은 커녕 소말리아에서 벌어진 외교적 분쟁에 대한 책임을 져서 아예 커리어에 빨간 줄을 긋게 된 상황이었다.[13] 후진국에서는 정장 착용이 개인의 권위 유지에 꽤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강 대사는 정장을 항시 착용했다고 한다.[14] 처음으로 자세한 상황이 보도된 것은 탈출 성공 12일 후인 1991년 1월 24일자 중앙일보 기사. “떼죽음 말자” 손잡은 남과 북/강신성대사가 밝힌 소말리아 탈출기[15] 김일성은 유엔 회원국 과반수의 지지를 얻어내어 주한미군에 얻힌 유엔군 모자를 걷어내고 주한미군 철수 명분을 얻어내려는 외교 전략을 폈다.[16] 영화에 등장하는 태준기가 어느 캐릭터를 반영한 것인지 짐작할 만한 부분은 나온다.[17] 강신성 대사가 부임하는 동안 총 3명의 북한 대사가 부임했다.[18] 2023년 시점에 소말리아 수도에 상주하는 외국 공관은 총 15곳에 불과하다. 이 중 비(非) 아프리카 국가의 공관은 8곳(미국, 영국, 이탈리아, 중국, 카타르, 사우디, 아랍 에미리트, 튀르키예, 예멘)이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케냐 혹은 에티오피아 주재 공관에 소말리아 대사관 역할을 겸임시킨다. 아프리카에서 이런 형태의 겸임 자체가 드문 것은 아니지만, 한 국가의 수도에 상주하는 외국 공관이 20개 미만이고 이 목록에서 주요 강국(프랑스, 독일, 러시아, 인도 등)들이 다 빠져 있는 것은 평범한 상황이 아니다. 하다못해 독립한지 얼마 안되었고 치안이 극도로 나쁜 남수단에도 대사관 22곳(비아프리카 11개국 포함)이 상주하고 있으며, 소말리아보다 더 상주 공관이 적은 나라는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정도 밖에 없다.[19] 참고로 강신성 대사는 전라북도 군산시 출신이다.[20] 이들은 외국에 협력했다는 이유로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한국 외의 나라들에 협력한 사람도 마찬가지.[21] 군도: 민란의 시대, 부산행, 남한산성, PMC: 더 벙커, 백두산,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등의 많은 한국영화를 일본에 수입한 TWIN사가 수입하여 <モガディシュ 脱出までの14日間>(모가디슈: 탈출까지의 14일간)이라는 타이틀로 개봉.[22] 당시 4~7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