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명례궁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조선 후기에 지어진 행궁인 명례궁에 대한 내용은 무풍 명례궁 문서

무풍 명례궁번 문단을
무풍 명례궁#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5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영성문--||<bgcolor=lightgray,#191919>||<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 || || || || || || || || ||
||<bgcolor=lightgray,#191919>||<|3><-2>--상림원(배후림)--||<-2>--흥복전--|| ||<-2>--의효전--|| || ||<bgcolor=lightgray,#191919> || || || || || || || || || ||
||<bgcolor=lightgray,#191919>||<-2>--흥덕전--|| || || || --장옹대-- || --양희당-- ||<bgcolor=lightgray,#191919> || || || || || || || || || ||
||<bgcolor=lightgray,#191919> --{{{-1 [[덕수궁 운교|운교]]}}}-- ||--생물방--||--소주방--|| --어재실-- || || || [[경운궁 양이재|양이재]] || --함희당-- ||<bgcolor=lightgray,#191919> || || || || || || || || || ||
||<bgcolor=lightgray,#191919> || ||--사성당--||<-2> --[[덕수궁 선원전|선원전]]-- || --숙경재-- || ||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 || || || || || || || || ||
||<bgcolor=lightgray,#191919> || || || || || ||<tablebgcolor=white,#1f2023><tablewidth=100%><:><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 || || || || || || || || ||
||<bgcolor=lightgray,#191919>|| || || ||<bgcolor=lightgray,#191919>||<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 ||<:>[[덕수궁 돈덕전|돈덕전]] ||<bgcolor=lightgray,#191919>┗||<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덕수궁 생양문|생양문]]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
||<bgcolor=lightgray,#191919> || ||--환벽정--||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  ||  {{{-2 --[[덕수궁 구성헌|구성헌]]--}}} || || --덕경당-- ||--가정당--|| [[덕수궁 정관헌|정관헌]] ||  || {{{-2 --[[덕수궁 수인당|수인당]]--}}} ||--양심당--|| || || ||<bgcolor=lightgray,#191919> {{{-2 --[[덕수궁 포덕문|포덕문]]--}}} ||
||<bgcolor=lightgray,#191919> ||--수풍당--||--{{{-2 [[덕수궁 흠문각|흠문각]]}}}--|| --만희당--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 || [[덕수궁 석조전|석조전]] || [[덕수궁 준명당|준명당]] || [[덕수궁 즉조당|즉조당]][br][[명례궁|명례궁터]] || [[덕수궁 석어당|석어당]] || {{{-2 --[[덕수궁 함유재|함유재]]--}}} || {{{-2 --구여당--}}} || ||  || || || ||<bgcolor=lightgray,#191919> ┃ ||
||<bgcolor=lightgray,#191919> ||  || || [[덕수궁 중명전|중명전]]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덕수궁 평성문|평성문]]--||<|2> [[국립현대미술관#s-5.2| 석조전 [br] 서관 ]] ||<|2> 정원 ||<|2><-3> [[덕수궁 중화전|중화전]] || [[덕수궁 덕홍전|덕홍전]] || [[덕수궁 함녕전|함녕전]] || {{{-2 --[[덕수궁 영복당|영복당]]--}}}  || --공시청-- ||--비서원--||--태의원--|| --시강원-- ||<bgcolor=lightgray,#191919> ┃ ||
||<bgcolor=lightgray,#191919>|| ||--강태실--||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ㅣ||--장방처소--|| [[덕수궁 광명문|광명문]] ||<-4>--내반원--||--[[궁내부]]--||<bgcolor=lightgray,#191919> --{{{-2 [[원수부(대한제국)#s-6|원수부]]}}}-- ||
||<bgcolor=lightgray,#191919>|| ||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2 --[[덕수궁 용강문|용강문]]--}}} || --승녕부-- ||--전무과--||  ||<:>[[덕수궁 중화문|중화문]][br]{{{-2 --[[덕수궁 인화문|인화문]]--}}}  ||  ||--소방계--|| {{{-2 --[[덕수궁 조원문|조원문]]--}}} ||[[덕수궁 금천교|금천교]]|| || || || ||<bgcolor=lightgray,#191919> [[덕수궁 대한문|대한문]] ||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1 [[덕수궁 운교|운교]]}}}--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ㅡ ||<bgcolor=lightgray,#191919> {{{-2 --[[덕수궁 건극문|건극문]]--}}}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bgcolor=lightgray,#191919> ┛ ||
||<-20><bgcolor=#efeff5,#13131f><color=#616264,#9b9c9e> {{{-2 [[틀:경복궁|{{{#616264,#9b9c9e 경복궁}}}]] · [[틀:창덕궁|{{{#616264,#9b9c9e 창덕궁}}}]] · [[틀:창경궁|{{{#616264,#9b9c9e 창경궁}}}]] · [[틀:덕수궁|{{{#616264,#9b9c9e 덕수궁}}}]] · [[틀:경희궁|{{{#616264,#9b9c9e 경희궁}}}]]}}} ||







《신축진찬의궤》에 나타난 월산대군의 저택시절의 명례궁 모습.
오른쪽 빨강색 원 안의 건물이 명례궁의 정전이었던 즉조당이다.[1]

1. 개요
2. 변천



1. 개요[편집]


明禮宮

조선 중기의 행궁이자 월산대군의 저택. 임진왜란 이후 왕실 소용의 내탕을 마련하고 관리했던 곳이었다.

현재 덕수궁 영역의 일부에 있었다. 조선시대 당시 행정 구역은 한성부(漢城府) 남서(南署) 명례방(明禮坊)이었다.


2. 변천[편집]


명례궁이 있었던 자리는 원래 1469년(예종 1년) 남이의 역모사건에 연루되었던 조영달(趙穎達)의 집 터였다. 조영달의 집을 몰수했다가 1470년(성종 1년) 세종의 막내 왕자였던 영응대군의 부인 송씨(宋氏)에게 하사했다. 1년 뒤 송씨가 이 집을 다시 왕실에 바치자 연경궁으로 이름짓고 왕실의 별궁으로 삼았다.[2]

1472년(성종 3년)에는 의경세자의 사우인 의묘를 연경궁 후원에 세우기로 했다. 제사를 맡은 의경세자의 장남인 월산대군은 이곳을 하사 받았고, 이후 왕자의 저택이면서 사묘가 있는 제사궁이 되었다. 이후 1475년 의묘의 위판(位版)을 경복궁 내 연은전(延恩殿)에 옮겨 모시면서 연경궁은 월산대군의 저택으로만 기능했다.

1486년(성종 17)에는 잠시 옹주저택으로 하사되었다가, 1593년(선조 26) 10월 임진왜란으로 한양 내 모든 궁궐이 소실되자 이곳을 행궁으로 사용했다. 정릉동 행궁으로 불리던 이곳은 1611년(광해군 3) 10월에 경운궁이라는 궁호를 받게 되면서 정식 궁궐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광해군의 창덕궁 이어 이후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고, 인조반정 이후에는 행궁 대부분의 건물과 토지를 원래 소유자에게 돌려주어 더 이상 행궁의 역할과 기능을 하지 않았다.

이곳에 왕실 소용의 내탕을 마련하고 관리하는 명례궁이 설치된 것은 임진왜란 직후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중 극심한 재정난 속에서 선조가 23명의 왕자옹주에게 어전(漁箭)·염분(鹽盆)·시지(柴地) 등을 임시로 변통해 나누어 주었고, 뒤에 이 선례에 따라 궁방전(宮房田)을 나누어 주었기 때문이다.

명례궁에 관한 기록이 《조선왕조실록》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인조의 즉위기였던 1623년 1월 11일의 기사이다. 이후 고종 연간까지 꾸준히 자전(慈殿, 인조 연간), 중전(中殿, 현종 연간), 대비전(大妃殿, 숙종 연간), 대왕대비전(大王大妃殿, 숙종 연간), 양자전(兩慈殿, 숙종 연간), 동궁(東宮, 영·정조 연간)들의 내탕 마련과 궁가에서 발생한 문제들에 관여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1897년(광무 원년) 고종대한제국의 법궁으로 사용할 경운궁을 확대 영건하면서 기능이 축소되었다. 하지만 이후로도 명례궁의 건물들은 잘 남아있었다. 그러나 덕수궁 대화재로 모조리 사라져 남아있지 않다. 그리고 1907년(융희 원년) 통감부의 황실 재산 정리 과정에서 명례궁 제도가 완전히 폐지되어 현재 명례궁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현재는 조선 초기와 중기의 명례궁을 연구한 자료를 통해서 명례궁을 찾아볼 수 있다.

[1] 사진 출처. 행랑이 서로 얽혀있고 사진 위의 덕수궁 즉조당과 우측 아래의 석어당의 모습도 지금과는 많이 다르다.[2] 이는 성종실록 성종 2년 7월 24일의 기사에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