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명군/유럽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명군




1. 그리스[편집]




2. 로마 제국[편집]


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아우구스투스BC 27-AD 14
티베리우스14-37[1][2]
클라우디우스 1세41-54
플라비우스 왕조베스파시아누스69-79
티투스79-81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트라야누스98-117
하드리아누스117-138
안토니누스 피우스138-161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161-180
세베루스 왕조셉티미우스 세베루스193-211[3][4]
알렉산데르 세베루스222 ~ 235[5]
군인 황제 시대아우렐리아누스270-275[6]
프로부스276 ~ 282
사두정치-콘스탄티누스 왕조디오클레티아누스284-305
콘스탄티누스 1세306-337
콘스탄티우스 2세337-361
발렌티니아누스-테오도시우스 왕조발렌티니아누스 1세364-375
테오도시우스 1세379-395
테오도시우스 2세408-450
-마요리아누스457-461
레오 왕조레오 1세457-474
아나스타시우스 1세491-518
유스티니아누스 왕조유스티니아누스 1세527-565
이라클리오스 왕조이라클리오스610-641
콘스탄티노스 4세668-685
이사브리아 왕조레온 3세717-741
콘스탄티노스 5세741/743-775
아모리아 왕조미하일 2세820-829
테오필로스829-842
마케도니아 왕조바실리오스 1세867-886
레온 6세886-912
콘스탄티노스 7세913/945-959
로마노스 1세920-944
요안니스 1세969-976
바실리오스 2세976-1025
콤니노스 왕조알렉시오스 1세1081-1118
요안니스 2세1118-1143
마누일 1세1143-1180
라스카리스 왕조[7]테오도로스 1세1206~1221
요안니스 3세1221-1254
팔레올로고스 왕조안드로니코스 3세1328~1341
마누일 2세1391-1425
콘스탄티노스 11세1449-1453

3. 프랑크 왕국(843년 베르됭 조약 이전)[편집]


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메로베우스 왕조클로비스 1세481-511
카롤루스 왕조피핀 3세751-768
카롤루스 대제768-814[8]


4. 프랑스[편집]


국가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프랑스 왕국카페 왕조루이 6세1108-1137
필리프 2세1180-1223[9]
루이 9세1226-1270
필리프 4세1285-1314[10]
발루아 왕조샤를 5세1364-1380
샤를 7세1422-1461[11]
루이 11세1461-1483[12]
루이 12세1498-1515
부르봉 왕조앙리 4세1589-1610
루이 13세1610-1643
노르망디 공국노르망 왕조롤로911-927
기욤 2세1035-1087
앙리 1세1106-1135
플랑타주네 왕조앙리 2세1154-1189
에두아르 3세1327-1377
부르고뉴 공국발루아-부르고뉴 왕조필리프 대담공1363-1404
필리프 선량공1419-1467
오랑주 공국오랑주나소 왕조침묵공 기욤 1세1544-1584


5. 독일어권(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등 포함)[편집]


국가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동프랑크 왕국카롤링거 왕조아르눌프887-899[13]
독일 왕국오토 왕조하인리히 1세919-936
신성 로마 제국오토 대제962-973
잘리어 왕조콘라트 2세1024-1039
하인리히 3세1039-1056
합스부르크 왕조막시밀리안 1세1486-1519
페르디난트 1세1531-1564[14]
합스부르크 제국(오스트리아 대공국)합스부르크 왕조레오폴트 1세1658-1705
마리아 테레지아1740-1780
프로이센 왕국호엔촐레른 왕조프리드리히 빌헬름1640-1688[15]
프리드리히 대왕1740-1786
빌헬름 1세1861-1888[16]
바이에른비텔스바흐 가문막시밀리안 1세1597-1651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1799-1825[17]
작센베틴 가문프리드리히 3세1486-1525
모리츠1547-1553
하노버벨프 가문게오르크 1세1698-1727[18]


6. 네덜란드[편집]


국가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네덜란드 공화국오라녀나사우 왕조침묵공 빌럼 1세[A]1581-1584
마우리츠 판 나사우[A]1585-1625
네덜란드 왕국빌럼 1세[19]1813-1840
빌헬미나1898-1948


7. 영국[편집]


국가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잉글랜드 왕국웨식스 왕조알프레드 대왕871-899
애설스탠927-939
노르만 왕조윌리엄 1세1066-1087
헨리 1세1100-1135
플랜태저넷 왕조헨리 2세1154-1189
에드워드 1세1272-1307
에드워드 3세1327-1377
랭커스터 왕조헨리 5세1413-1422
튜더 왕조헨리 7세1485-1509
엘리자베스 1세1558-1603
스코틀랜드 왕국던켈드 왕조맬컴 3세1058-1093
브루스 왕조로버트 1세1306-1329
스튜어트 왕조제임스 4세1488-1513
대영제국하노버 왕조빅토리아 여왕1836-1901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에드워드 7세1901-1910[20]
윈저 왕조조지 5세1910-1936[21]
조지 6세1936-1952[22]

8. 덴마크[편집]


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고름 왕조크누트 대왕1018-1035
에스트리드 왕조발데마르 1세1157-1182
발데마르 2세1202-1241
마르그레테 1세1387-1412
올덴부르크 왕조크리스티안 3세1534-1559


9. 스웨덴[편집]


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바사 왕조구스타브 1세 바사1521-1560
구스타브 2세 아돌프1611-1632
팔츠-츠바이브뤼켄 왕조칼 11세1660-1697
베르나도테 왕조칼 14세 요한1818-1844[23]


10. 핀란드[편집]


국가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스웨덴바사 왕조구스타브 1세 바사1521-1560
구스타브 2세 아돌프1611-1632
팔츠츠바이브뤼켄 왕조칼 11세1660-1697
핀란드 대공국로마노프 왕조알렉산테리 1세1809-1825[24]
알렉산테리 2세1855-1881


11. 이탈리아[편집]


국가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동고트 왕국동고트 왕조테오도리크 대왕475-526
토틸라541-552
랑고바르드 왕국랑고바르드 왕조리우프란트712-744
시칠리아 왕국오트빌 왕조루지에로 2세1130-1154
나폴리 왕국트라스타마라 왕조페르디난도 1세1458-1494
보르보네 왕조카를로 7세1734-1788[25]
토스카나 대공국메디치 왕조코시모 1세1569-1574
페르디난도 1세1587-1609
사보이아 백국사보이아 왕조피에트로 2세1263-1268
사보이아 공국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1553-1580
사르데냐 왕국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1720-1730[26]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1730-1773
이탈리아 왕국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1861-1878


12. 에스파냐[편집]


국가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카스티야 왕국히메네스 왕조알폰소 6세1065-1109
에스파냐 왕국트라스타마라 왕조페르난도 2세1479-1516
이사벨 1세1474-1504
보르본 왕조카를로스 3세1759-1788
알폰소 12세1874-1885


13. 포르투갈[편집]


국가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포르투갈 왕국보르고냐 왕조아폰수 1세1139-1185
산슈 1세1185-1211
아폰수 3세1248-1279
디니스 1세1279-1325
아비스 왕조주앙 1세1385-1433
두아르트 1세1433-1438
주앙 2세1481-1495
주앙 3세1521-1557
브라간사 왕조주앙 4세1640-1656
주앙 5세1706-1750
마리아 1세1777-1816
마리아 2세1826-1828, 1834-1853
페드루 5세1853-1861

14. 폴란드[편집]


국가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폴란드 왕국피아스트 왕조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992-1025
브와디스와프 1세1306-1333[27]
카지미에시 3세1333-1370
야기에우워 왕조브와디스와프 2세1386-1434
지그문트 1세1506-1548
선거제스테판 바토리1576-1586
얀 3세 소비에스키1674-1696
크라쿠프 대공국합스부르크로타린스키 왕조프란치셰크 유제프 1세1848-1916


15. 보헤미아[편집]


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프르셰미슬 왕조오타카르 1세1198-1230
바츨라프 1세1230-1253
오타카르 2세1253-1278
룩셈부르크 왕조카렐 4세1246-1378


16. 헝가리[편집]


국가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헝가리 대공국아르파드 왕조아르파드895-907
헝가리 왕국이슈트반 1세1000-1038
게저 2세1141-1162
벨러 3세1172-1196
언드라시 2세1205-1235
벨러 4세1235-1270
카페앙주 왕조러요시 1세1342-1382
후녀디 왕조마차시 1세1458-1490
합스부르크 왕조마리어 2세1740-1780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페렌츠 요제프 1세1848-1916[28]


17. 러시아[편집]


국가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키예프 공국류리크 왕조키예프의 올가945-962
스뱌토슬라프 1세945-972
블라디미르 1세980-1015
야로슬라프 1세1019-1054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1113-1125[29]
블라디미르-수즈달 공국알렉산드르 넵스키1252-1263
모스크바 대공국이반 1세 칼리타1325-1340
드미트리 돈스코이1359-1389
바실리 1세1389-1425
이반 3세1462-1505
루스 차르국이반 4세1533-1584[30]
러시아 제국로마노프 왕조표트르 대제1682-1725[31]
알렉산드르 2세1855-1881[32]
킵차크 칸국보르지긴 왕조바투 칸1242-1255
우즈베크 칸1312-1341
자니베크 칸1342-1357
토크타미쉬 칸1380-1395


18. 루마니아[편집]


국가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다키아 왕국다키아 왕조부레비스타BC 82-BC 44
루보보스테스
데케발루스87-106
루마니아 연합공국쿠자 왕조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1859-1862[33]
루마니아 왕국호헨졸레른지크마링겐 왕조카롤 1세1866-1914[34]


19. 불가리아[편집]


국가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불가리아 제1제국크룸 왕조크룸803-814
보리스 1세852-889
시메온 대제893-927
코미토풀리 왕조사무일997-1014
불가리아 제2제국아센 왕조칼로얀1197-1207
이반 아센 2세1218-1241
테르테르 왕조토도르 스베토슬라프1300-1322

20.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편집]


국가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보스니아 왕국코트로마니치 왕조트브르트코 1세1377-1391


21. 세르비아[편집]


국가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세르비아 왕국네마니치 왕조스테판 우로시 1세1243-1276
세르비아 제국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1331-1355[35]
세르비아 공국라자레비치 왕조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1373-1389[36]
슈테판 라자레비치1389-1427[37]


22. 알바니아[편집]


국가왕조왕명재위기간비고
레저 동맹카스트리오티 왕조제르지 카스트리오티1444-1468
알바니아 왕국조구 왕조조구 1세1928-1939


23. 교황[편집]


국가왕명재위기간비고
로마 제국베드로33-67
레오 1세440-461
그레고리오 1세590-604
교황령그레고리오 7세1073-1085
인노첸시오 3세1198-1216
식스토 4세1471-1484
알렉산데르 6세1492-1503[38]
바오로 3세1534-1549
비오 5세1566-1572
그레고리오 13세1572-1585
식스토 5세1585-1590
바티칸 포로비오 10세1903-1914
바티칸 시국요한 23세1958-1963
요한 바오로 2세1978-2005


24. 훈 제국[편집]


국가왕명재위기간비고
훈 제국아틸라445-453[39]


25. 관련 문서[편집]


  • 전성기/목록/국가[40]

[1] 로마사 전체에서 행정능력과 미래를 내다보고 내린 판단과 계획 제시 능력, 실용적인 명령, 감찰 및 피드백 제시 등 행정 전반에서 그 능력과 성과 모두 전체 1~2위를 다툰다고 평가받는다. 이런 평처럼 티베리우스 이후 로마 황제들은 본인이 행정 업무를 볼 때 선례를 참조하거나, 후계자들을 제왕교육시킬 때, 티베리우스가 내린 명령문을 교과서처럼 참조했다.[2] 인기가 당대엔 진짜 없었고, 원로원에게는 세습을 통해 집권한 점과 세야누스, 마크로를 앞세운 공안통치 등으로 인해 폭군이라고 불렸다.[3] 콤모두스 사후 내란을 수습하고 단독 황제로서의 재위기간은 197년 부터이다.[4] 당대엔 아들 카라칼라의 실정, 체제의 외손자 엘라가발루스의 막장 행보 속에서 명군으로 더 높게 찬사를 받았다. 그렇지만 강력한 카리스마, 결단력, 영리한 행정 능력과 별개로, 본인이 얻을 단기적인 이득 때문에 지속적으로 데나리우스를 평가절하하면서, 당대부터 큰 우려를 샀다. 그리고 그 우려 그대로 오늘날 재평가 속에서도, 세베루스의 경제 정책과 조치들은 로마 제국의 살인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면서 후임 황제들에게 큰 숙제를 남겼다.[5] 다만 어머니인 율리아 마마이아를 제어할 수 있었던 할머니 율리아 마이사가 죽은 이후, 마마보이화 되기 시작하였으며, 군대 통솔 능력이 부족하였다. 이는 암살의 원인이 된다.[6] 동시대, 후대 로마인 모두에게 명군이라는 평과 동시에 폭군으로도 평가됐다. 그 이유는 지나칠 만큼 잔인하고, 성격이 괴팍해서 재위기간이 흐를수록 그 잔혹함이 상상을 초월했기 때문이다.[7] 분립기의 지방 망명정권이나 미하일 8세가 뒤를 찬탈했지만 어쨌든 이어 수복했으므로 정통으로 취급.[8] 800년부터 신성 로마 제국 황제.[9] 유럽의 정세를 뒤집고, 프랑스를 반석 위에 올렸다는 평을 받는다.[10] 교황을 굴복시킬 정도였다.[11] 잔다르크토사구팽하여 비난받는 것과 별개로 백년전쟁을 승리로 이끌었고 프랑스의 중앙집권화에 기여하였다.[12] 양아치가 떠오를 정도로 악랄한 행보를 보였으나 결과적으로는 프랑스의 국익에 도움이 되었다.[13] 896년부터 서로마 황제.[14] 독일왕으로서의 업적도 출중하지만 오스트리아 대공국, 보헤미아 왕국, 헝가리 왕국크로아티아 왕국을 합쳐 밑의 합스부르크 제국을 출범시킨 공로 또한 높은 인물이다.[15] 엄밀하게는 브란덴부르크 선제후프로이센 공작.[16] 보통 수준의 군주였지만 오토 폰 비스마르크를 발탁하고, 오스트리아 제국과 손 잡아보았자 별거 없으니 러시아 제국을 끌어들이는 게 낫다고 하는 등 정세를 읽고 인재를 등용하는 데 능했다. 명장 대 몰트케도 그의 시기에 중용되었다.[17] 바이에른 선제후로는 막시밀리안 4세. 1806년부터는 바이에른 왕국의 첫번째 국왕 막시밀리안 1세로 재위했다.[18] 영국 국왕으로서의 평가는 좋지 못하지만 영국 문화에 완전히 적응하기 어려웠다는 점은 고려해야 한다. 조지 1세는 영국의 왕으로 즉위했을 당시에 이미 50의 나이었다.[A] A B 왕은 아니었고 Stadtholder라는 직위였지만 이 직위가 네덜란드 공화국을 대표하는 자리이고 세습도 가능하므로 국왕에 준하는 직위로 간주하여 본 문서에 기재하였다.[19] 벨기에 혁명으로 나라의 절반이 분리된 실책도 존재하기 하지만 업적도 많은 편이다.[20] 외교에 능해 삼국 협상을 이끌었다.[21] 1차 세계대전 당시 패전할 경우 왕조가 폐지될 수 있는 위기 속에서 책임감을 가지고 전쟁에 최선을 다한 결과 승리로 이끌면서 영토상 최절정기를 이루었다. 뿐만 아니라 내치에도 신경을 많이 썼다.[22] 엘리자베스 2세의 아버지로 말 더듬이었지만 최선을 다하여 극복했고 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국민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하면서 영국과 연합군의 승리에 일조했다.[23] 원래 프랑스 출신이며, 프랑스 입장에선 매국노 로 인식될 수도 있는 인물이다. 이유는 칼 14세 요한 본인의 항목을 보면 된다.[24] 러시아 황제로서의 평가는 미묘한 편이지만 당시 상류층이었던 스웨덴계 핀란드인의 권리를 보장하고 핀란드인의 자치권을 인정하는 등 핀란드 대공으로서는 괜찮았다.[25] 위의 시칠리아 왕국 국왕으로서도 명군이다. 시칠리아 왕국 국왕으로는 카를루 5세.[26] 사보이아 공작으로서는 1675년부터[27] 1320년부터 폴란드 왕[28] 하지만, 1848년 혁명 당시 헝가리인의 봉기를 무력으로 진압한 것에 책임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29] 이 아래로는 모노마코비치 왕조[30] 1547년부터 루스 차르국 차르.[31] 1721년부터 러시아 제국 황제.[32] 홀스타인고트로프로마노프 왕조[33] 1861년부터 루마니아 연합공국 공작.[34] 1881년부터 루마니아 왕국 국왕.[35] 1346년부터 세르비아 제국 황제.[36] 1374~1379년까지 '세르비아인과 포두나블레(현대 세르비아의 일부)인의 군주', 1379~1389년까지 '전(全) 세르비아인의 군주'.[37] 1389~1402년까지 Knez, 1402~1427년까지 Despot. 둘 다 공작으로 번역해도 무방하나 Knez는 슬라브어인 반면 Despot는 당시 동로마 제국에서 쓰던 용어이므로 격이 더 높다.[38] 현대에는 평가가 엇갈리는 사람이나, 후대 교황들인 식스토 5세나 우르바노 8세 등이 성 베드로 이후 가장 뛰어난 교황이라고 칭송한 바 있으므로 기재.[39] 헝가리인들의 주장에 따르면 헝가리의 명군으로 분류되어 위의 헝가리 문단에 추가될 수도 있겠지만, 오늘날의 헝가리 땅이 훈족의 영향을 받은 역사가 있는 것과 별개로 훈 제국을 확실히 헝가리의 역사라고 볼 수 있는지는 논란이 있어서 별개의 문단으로 남아있다. 튀르키예인들 또한 훈 제국을 자신들의 역사로 여기지만 다른 나라들은 훈 제국을 튀르키예의 역사로 여기지 않으므로 명군/아시아 문서의 튀르키예 문단에는 없다.[40] 한 나라의 전성기와 명군의 등장 시기는 매우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