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테츠 하시마선

덤프버전 : (♥ 0)

||
파일:MT-3150.png

메이테츠 3150계 전동차
노선 정보
분류지선
기점에기라역
종점신하시마역
역 수2
노선기호TH
개업일1982년 12월 11일
소유자파일:나고야철도 로고.svg
나고야 철도
운영자
사용차량메이테츠 1800계 전동차
메이테츠 3150·3300계 전동차
메이테츠 9500계 전동차
차량기지이누야마 검사장 차조 검차지구
노선 제원
노선연장1.3km
궤간1067mm
선로구성단선
사용전류직류 1500V 가공전차선
폐색방식자동폐색식
신호장비M형 ATS
최고속도70km/h

타케하나선 직통 전구간 주행영상
1. 개요
1.1. 노선 데이터
2. 역사
3. 운행 형태
4. 역 목록


1. 개요[편집]


나고야 철도의 노선으로, 기후현 하시마시에기라역부터 신하시마역까지를 잇는다.


1.1. 노선 데이터[편집]


  • 관할 : 나고야 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구간 : 에기라~신하시마 1.3km
  • 궤간 : 1067mm
  • 역 수 : 2
  • 복선구간 : 없음
  • 전화구간 : 전구간 (직류 1500V)
  • 폐색방식 : 자동폐색식
  • 보안장치 : M형 ATS
  • 최고속도 : 70km/h
  • 교통카드 호환지역 : 전구간


2. 역사[편집]


타케하나선 에기라역에서 도카이도 신칸센과의 연계를 위해 1982년에 개통되었는데, 의도와는 다르게 연선 주민들이 더 많이 이용한다. 도쿄 방면 신칸센을 타려면 다른 수단으로 나고야역에 가서 타는 편이 열차 운행횟수가 많기 때문이다. 물론 노선 부설에는 경쟁자였던 킨테츠의 기후/하시마 진출을 저지하려는 목적도 있었고, 1963년에 노선인가를 취득하자 킨테츠가 계획을 접은 것을 보면 효과는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착공은 1975년에 했으나 토지보상 문제가 얽혀서 결국 1982년이 도어서야 개통되었다.


3. 운행 형태[편집]


타케하나선과 일체형으로 운행한다. 카미이다선코마키선의 관계, 토요타선츠루마이선의 관계와 같다고 볼수있다.

하행은 막차 1편성(하시마시야쿠쇼마에행)을 제외하고는 전부 신하시마역까지 운행한다. 그 중 하시마시야쿠쇼마에행을 포함한 15편성(주말은 2편성)은 메이테츠기후역에서 출발한다. 상행도 대부분 카사마츠행이나, 평일 12편성, 주말 2편성은 나고야 본선으로 직통하여 메이테츠기후역까지 운행한다. 특히 평일 직통열차는 카사마츠역부터 급행으로 전환하여 메이테츠기후까지 무정차한다.


4. 역 목록[편집]


메이테츠 하시마선
번호km역명환승노선
직통운행파일:MT-TH.svg타케하나선 경유 파일:MT-NH.svg나고야 본선 기후까지 직통운행
TH080.0에기라
(江吉良)
¶나고야 철도 파일:MT-TH.svg타케하나선 (직통운행)
TH091.3신하시마
(新羽島)
기후하시마역 : JR 도카이 파일:JRC-SKS.svg도카이도 신칸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메이테츠 타케하나선 문서의 r5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메이테츠 타케하나선 문서의 r5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8:37:11에 나무위키 메이테츠 하시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