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매직 더 개더링/특별 세트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매직 더 개더링/제품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매직 더 개더링/블록
,
,
,
,
,






1. Masters Edition
1.1. Modern Masters
1.2. Modern Event Deck
1.3. Modern Masters 2015 Edition
1.4. Eternal Masters
1.5. Modern Masters 2017 Edition
1.6. Iconic Masters
1.7. Masters 25th
1.8. Ultimate Masters
1.9. Double Masters
2. Duel Decks
3. From the Vault
5. Planechase
6. Archenemy
7. Conspiracy 시리즈
8. Masterpiece
8.1. 젠디카르 탐험
8.2. Masterpiece: Kaladesh Inventions
8.3. Invocation
8.4. 라브니카의 길드 Mythic Edition
10. Guild kit
12. 챌린저덱
13. 점프스타트
14. 시크릿 레어



1. Masters Edition[편집]


오프라인 용으로 '~Masters'의 이름을 가진 세트들로 모두 과거 카드를 재판한 세트다.


1.1. Modern Masters[편집]


2013년 6월 7일 출시되었고, 영어판만 나왔으며, 드랩이 가능한 부스터다. 수록 세트의 범위는 기본판 8판~10판 및 확장판 Mirrodin~Shards of Alara 블럭까지이며, 말 그대로 모던 플레이어를 위한 세트라서 2013년 6월 기준으로 모던 금지카드는 수록되지 않았았다. 기본판이나 확장판이 아닌 특별 세트이기 때문에 T2에서는 (T2에 해당 카드가 존재하지 않는 한) 사용할 수 없다. 특이사항으로 모든 팩에 무조건 포일 카드가 들어있다.

Tarmogoyf, Dark Confidant, Vendilion Clique, Sword of X and Y 시리즈 2개 등 모던 포맷에서 값나가는 카드들이 대거 수록되어 있으며, Kiki-Jiki, Mirror Breaker, Arcbound Ravager 등 특정 아키타입의 키카드들, Electrolyze, Spell Snare, Kitchen Finks, Path to Exile 등 웬만한 레어보다 구하기 힘든 언커먼, Progenitus, Jhoira of the Ghitu같은 EDH용 카드 등 올스타 급 라인업을 갖춘 부스터였다.

한국에서는 한 팩당 만원 가량에 팔았지만 수요에 비해 에 한참 모자라는 양만 공급되었기 때문에 FtV: Realms를 능가하는 인기를 누렸다.

발매 초기엔 모던 덱소스 수량이 상당히 풀려서 유저들이 하위타입인 모던 진입장벽을 많이 낮출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워낙 극소량만 풀렸기 때문에 몇개월 지나지 않아서 대부분의 카드는 원래 가격으로 돌아오거나 늘어난 유저 수로 인해 오히려 더 올랐다. 동시에 페치 랜드 같은 모던 마스터즈에 나오지 않은 덱소스의 값을 치솟게 만들었다.

1.2. Modern Event Deck[편집]


2014년 출시된 모던 포맷을 위한 백/흑 토큰 컨셉의 이벤트 덱. 재판 카드로 이루어졌으나 별도의 세트 마크를 가진다.

1.3. Modern Masters 2015 Edition[편집]


2015년 출시된 모던 마스터즈의 리뉴얼판. 기존의 범위에 더해서 Scars of Mirrodin 세트까지 포함되어 있다.

특이하게 영문판 부스터가 종이 박스 재질로 포장되었다. 다만 평이 좋지 않은 편.

1.4. Eternal Masters[편집]


2016년 6월에 출시한 특별판으로 이터널 포맷의 범주에 드는 레가시, 빈티지에 해당되는 카드들이 재판되는 부스터이다. 부스터 드래프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당연히 리저브드 리스트는 포함되지 않는다.
Force of Will, Wasteland가 둘 다 새 일러스트로 등장하면서 큰 기대를 받았지만, 출시이후 부스터 가격에 비해 가격 이상의 카드가 예상보다 적어서 가성비는 현재까지 출시된 마스터즈 시리즈 중 최악이라는 평을 들었다.

1.5. Modern Masters 2017 Edition[편집]


2017년 3월 17일 발매된 제품. 기존 범위에 더해 라브니카로의 귀환매직 2014 코어세트까지 포함되어 있다.

1.6. Iconic Masters[편집]


2017년 11월 17일 발매. 특정의 포맷을 중심으로 하지 않는, 각 색의 상징적(Iconic)인 카드들을 재수록하는 세트. 드래프트 대응 세트이며, 총 249종의 카드를 수록.
특기사항으로 2017년 9월 미국 HASCON이벤트에서 이례적으로 발매 전 프리릴리스 이벤트가 개최되어, 수록카드 리스트가 공개 되었다.

1.7. Masters 25th[편집]


2018년 3월 16일 발매. 매직 더 개더링의 발매 25주년을 기념하는 세트로서, 지금까지 발매된 (언힌지드 같은 은색테두리 제품을 제외한) 각 세트마다 최소 1장씩의 카드가 재수록 되어 있다. 갓제이스를 제외한 모든 카드에는 해당 카드가 처음 발매되었던 세트의 마크가 텍스트란 뒤에 엷게 표시되어 있는 것도 특징.


1.8. Ultimate Masters[편집]


2018년 12월 7일 발매. 베일의 릴리아나를 위시로 역대급으로 어마어마하게 비싼 카드들이 잔뜩 들어가서 플레이어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선사했다.


1.9. Double Masters[편집]



(추가예정)

2. Duel Decks[편집]


2종류의 고정된 덱을 준비해서 그 덱으로 1대1로 듀얼할 수 있게 하는 형태로 구성된 덱이다. 이전 카드와 현재 카드가 섞여 있으며, 컨스트럭티드 덱같이 강력한 덱은 아니지만 두 덱의 밸런스가 잘 맞고 컨셉이 잘 잡혀있다. 때문에 영문에 제약만 없다면 다른 사람에게 매직 더 개더링을 입문시킬 때 괜찮은 구성. Izzet vs. Golgari를 시작으로 가을에 나오는 듀얼덱에는 다음 세트 카드가 선행으로 일부 실려 있다. Blessed vs. Cursed부터 블록 구성이 바뀌어서 봄에 나오는 듀얼덱에도 선행카드 포함.

2018년의 Elves vs. Inventors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출시되지 않는다.
  • Elves vs. Goblins (2007)
  • Jace vs. Chandra (2008)
  • Divine vs. Demonic (2009)
  • Garruk vs. Liliana (2009)
  • Phyrexia vs. The Coalition (2010)
  • Elspeth vs. Tezzeret (2010)
  • Knights vs. Dragons (2011)
  • Ajani vs. Nicol Bolas (2011)
  • Venser vs. Koth (2012)
  • Izzet vs. Golgari (2012)
  • Sorin vs. Tibalt (2013)
  • Heroes vs. Monsters (2013)
  • Jace vs. Vraska (2014)
  • Speed vs. Cunning (2014)
  • Elspeth vs. Kiora (2015)
  • Zendikar vs. Eldrazi (2015)
  • Blessed vs. Cursed (2016)
  • Nissa vs. Ob Nixilis (2016)
  • Mind vs. Might (2017)
  • Merfolk vs. Goblin (2017)
  • Elves vs. Inventors (2018)

  • Duel Decks Anthologies (2014): 초기 듀얼덱 4종으로 구성된 특별한 세트 상품. 새롭게 에라타된 텍스트와 프레임을 가진다. 패키지 개봉영상

3. From the Vault[편집]


과거의 카드들을 특별한 테마를 두고 재판한 세트. 보통은 하위타입이나 EDH에 목마른 유저들이 구매한다. 내용물은 새로운 일러스트, 포일 처리된 카드 15장(20만 예외로 20장)이다. 한정판이기 때문에 매장에 물량이 한정적으로만 들어오는데, 한글판 출시 이전에 한국 유저가 적었던 2011년 가을의 Legends까지는 별로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M12와 Innistrad 한글판 재출시 이후로 한국의 MTG 유저가 다시 늘어나면서 2012년에 Realms 출시 때 한국에서도 없어서 못파는 사태가 생기게 되었다. 이때 모 샵에서 FNM[1]의 우승상품으로 FtV: Realms의 구매권한을 주기도 했다고... FtV: Legends까지는 FtV: Exiled를 제외하고 다음 세트 선행카드가 포함되어 있었으나, 2012년부터 다음 세트 선행카드는 Dual Decks에 대신 나오게 되었다. 원래 세트에서의 희귀도와는 관계없이 FtV 카드들은 희귀도 색상이 미식레어(처음 나온 Dragons 제외)를 뜻하는 적색인 것도 특징.
출시된 제품 목록
  • Dragons (2008) - 드래곤
  • Exiled (2009) - 한번이라도 금지먹은 적이 있는 카드
  • Relics (2010) - 마법물체
  • Legends (2011) - 전설적 생물
  • Realms (2012) - 대지
  • Twenty (2013) - 해당 항목 참고.
  • Annihilation (2014) - 판쓸이 카드
  • Angels (2015) - 천사
  • Lore (2016) - 스토리적으로도 성능으로도 비중있는 카드
  • Transform (2017) - 양면 카드

4. Commander[편집]


커맨더(매직 더 개더링)을 위해서 나온 제품. 커맨더는 공식 토너먼트는 아니지만 WotC에서 공인을 하고 있는 캐주얼 포맷이며 이런 인기를 배경으로 커맨더 제품군이 발매되었다. 이 제품군은 커맨더를 구매한 즉시 커맨더를 즐길 수 있는걸 모토로 하여 1:1은 물론 다인전에서 재미를 줄 수 있는 Command TowerHomeward Path를 비롯한 커맨더에 특화된 오리지널 카드들이 포함되있다.
Commander에만 나온 카드의 경우 공식 토너먼트에서는 레거시와 빈티지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 Commander (2011): Kaalia of the Vast 등 상극 3색 조합 5 종류의 장군과 덱이 출시됐다.
  • Commander's Arsenal (2012): 덱이 아닌 EDH 주요 카드들과 여러 보조 물품들로 이루어진 한정 세트.
  • Commander 2013 (2013): Derevi, Empyrial Tactician 등 친화 3색에 맞춘 5 종류의 3색 장군과 덱이 출시됐다.
  • Commander 2014 (2014): Nahiri, the Lithomancer 등 단색이자 장군으로 쓸 수 있는 새 플레인즈워커 5종류와 덱이 출시됐다.
  • Commander 2015 (2015): Daxos the Returned 등 상극 2색 5종, 경험치 카운터 컨셉의 대기만성형 커맨더가 특징.
  • Commander 2016 (2016): 4색 전설 장군을 컨셉으로 발매.
  • Commander Anthology (2017): 과거 발매된 커멘더 덱을 모아서 다시 발매.[2]
  • Commander 2017 (2017): 4종류의 종족을 컨셉으로 발매.
  • Commander 2018 (2018): 플레인즈워커를 컨셉으로 발매.
  • Commander 2019 (2019): 4종류의 키워드(변이, 회상, 소집, 광기)를 컨셉으로 발매.


5. Planechase[편집]


플레인체이스라는 캐주얼 룰을 위해서 나온 제품. 이 룰을 위해서 플레인 카드라는 것들이 전용으로 준비되어 있다. 처음으로 나온 Planechase에서는 기존 카드들과 플레인 카드들밖에 없었지만, 두번째로 나온 Planechase 2012에서는 다른 세트에는 없는 오리지널 카드들이 등장한다. 위의 Commander와 마찬가지로 그 오리지널 카드들은 공식 토너먼트에서는 레거시와 빈티지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DotP 2013에도 이 룰이 구현되어 있다.
  • Planechase
  • Planechase 2012
  • Planechase Anthologies (2016): Planechase 2012의 4종의 덱과, 86장의 플레인 카드 전부를 포함하는 디럭스 세트.

6. Archenemy[편집]


한명의 플레이어가 마왕이 되어 세명을 동시에 상대하는 캐주얼 룰과 이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Scheme(음모) 카드가 포함된 특별 세트.
  • Archenemy (2010)
  • Archenemy: Nicol Bolas (2017)


7. Conspiracy 시리즈[편집]


다인전 부스터 드래프트 전용 세트. 8인 1포드로 드래프트를 한 다음 4명씩 2개 테이블로 나눠서 1:1:1:1로 게임을 진행한다.

Conspiracy라는 플레인즈워커의 휘장과 비슷한 새로운 카드 타입이 등장한다. 컨스피라시 카드는 컨스피라시 드랩을 제외한 모든 포맷에서 금지 제한 카드. 다인전답게 투표를 이용한 메커니즘, 드래프트 도중에(!) 능력을 발휘하는 카드[3] 등이 새로 등장한다. 온라인에서 이런 능력을 구현하기엔 힘들다고 판단했는지, Conspiracy는 매직 온라인에서는 출시가 되지 않는다.

7.1. Conspiracy[편집]


2014년 출시.

Conspiracy에서 새로 등장한 카드 중 드래프트 매커니즘과 관계가 없는 경우는 빈티지 마스터즈에 넣어주었다.

재판 카드 중에는 Misdirection, Exploration, Stifle, 브레인 스톰, 칼을 쟁기로 등 레가시에서 많이 쓰이는 카드도 있어서 짝퉁 레가시 마스터즈라는 별칭도 있다.

7.2. Conspiracy: Take The Crown[편집]


Conspiracy: The Reign of Brago The Empty Throne Take the Crown
2016년에 출시되는 Conspiracy 세트 2탄. 세트 크기는 221 220 221장.

사전 공개 이전에 Conspiracy에 등장했던 Brago가 암살당하는 상황을 SNS에 공개하고 이에 따라 다시 왕좌를 차지하는 이야기까지 두번에 걸쳐 부제가 바뀌었다.

재판 카드 중에는 장기자랑, Berserk, Inquisition of Kozilek 등이 주목을 받았으며, 신규 카드 중에는 Imperial Recruiter의 변형인 Recruiter of the Guard가 고평가를 받았다.


8. Masterpiece[편집]


고정된 제품 형태로 나타나는 시리즈는 아니고, 정규 부스터에 별개의 세트마크로 부록으로 낮은 확률로 볼 수 있는 특별한 카드 시리즈. 144팩에 한장 꼴로 등장하는 매우 낮은 확률의 카드로, 과거의 강력한 카드들이 특정 주제에 따라 선정되어 특별한 포일 처리와 특별한 프레임으로 등장하게 된다.

과거의 카드가 재판되는 형태고 정규 부스터 팩에 등장하나, 개별 세트로 취급되어 스탠다드나 모던 범주를 셀 때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단 해당 카드가 등장한 리미티드 경기 중에는 사용 가능하다.

본래 젠디카르 전투 블럭의 젠디카르 탐험의 형태로 등장하던 것이 칼라데시 블럭 이후로부터 마스터피스라는 카드군으로 분류되어 등장한다. 아몬케트까지는 매 블럭마다 발매할 취지였으나, 거듭되는 재판에 문제점이 부각되어 결국 특별한 일이 있을 때만 발매되는 것으로 방향이 선회되었다.

  • 젠디카르 전투 (2015) - 대지
  • 칼라데시 (2016) - 마법물체
  • 아몬케트 (2017) - 생물 및 마법

8.1. 젠디카르 탐험[편집]


젠디카르 전투 블럭에서 등장하는 Masterpiece의 전신. 엄밀히 말하면 Masterpiece는 아니다.
젠디카르를 탐험하면서 볼 수 있는 여러 특이한 지형들이라는 컨셉으로 과거의 유명, 강력한 대지 카드들이 등장했다.

8.2. Masterpiece: Kaladesh Inventions[편집]


칼라데시 블럭의 Masterpiece. 칼라데시 차원의 걸작들을 모았다는 컨셉으로, 강력한 마법물체가 주제.

8.3. Invocation[편집]


아몬케트 블럭의 Masterpiece. 과거 유명 카드들을 고대 이집트 석판의 디자인을 모티브로 새 일러스트, 이집트 상형문자를 연상시키는 새 폰트로 다시 디자인 한 버전. 글자를 일부러 읽기 어렵게 한 것이 특징.

8.4. 라브니카의 길드 Mythic Edition[편집]


라브니카의 길드 블럭의 Masterpiece. 기존 인기 플레인즈워커들이 라브니카식 복장을 입거나 배경으로 하여 새롭게 디자인된 버전이다.



9. Battlebond[편집]


다인전투, 그중에서도 2:2 팀전인 쌍두거인에 특화된 카드들이 등장하는 특별 제품군.


10. Guild kit[편집]


라브니카의 길드,라브니카의 충성이 발매되고 한달 뒤 발매되는 특별 제품군.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 라브니카 차원의 10가지 길드들의 유명 카드들을 담은 10개의 특별 덱이다.
각 덱은 모던 범위 내 길드별 카드 6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대지도 고유의 디자인을 사용하고 있다.모던 밴 카드가 있는 건 함정


11. 모던 호라이즌[편집]


2019년 6월 발매된 특수 세트. 254장의 대형 세트지만 발매직후부터 스탠다드가 아닌 모던 범위부터 시작하는 세트다.
또한 특수 세트 최초로 한글판도 판매되었다.


12. 챌린저덱[편집]


전년도 티어덱을 제품화한 것이다.


13. 점프스타트[편집]


말 그대로 빠르게 시작할 수 있는 세트. 과거 웰컴덱처럼 자체적인 시너지를 고려하여 만들어진 20장짜리 "패킷(Packet)"을 2개 선택하여 40장짜리 완성형 덱을 만들고, 이걸 이용하여 다른 플레이어와 게임을 한다. 매직 더 개더링 아레나에도 존재하며, 아레나에서 이렇게 입수한 카드는 히스토릭에서 사용할 수 있다.


14. 시크릿 레어[편집]


2019년부터 등장한 대체 아트(Alternate art) 재록 카드를 판매하는 전용 세트. 유희왕 TCG들의 시크릿 레어와 한글 표기가 같지만, Secret Lair로 실제 철자가 다르다.

딱 한 마디로 요약하면 MTG판 프리미엄 반다이. 목적은 말 그대로 변경된 일러스트를 판매하는 룩딸로, 특정 IP[4] 또는 일러스트레이터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하거나 특정 테마의 카드[5]를 엮거나, 특정 카드 1종류를 여러 아티스트들의 일러스트로 동봉하는 등 매년마다 여러가지 제품이 판매된다. 세계 여성의 날, 왼손잡이, 성소수자 등 정치적 올바름 마케팅 역시 이 세트를 통해 진행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0:49:49에 나무위키 매직 더 개더링/특별 세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Friday Night Magic. 매주 금요일날마다 샵에서 열리는 캐주얼 대회. 다만 캐주얼이긴 하지만 엄연한 공식대회다. 이 FNM에서는 철이 지나가기 직전의 카드를 참가기념으로 포일 버전으로 주며, 주는 카드는 매달 바뀌니 참고. 한국에서는 주로 부스터 드랩으로 열리지만, 국가에 따라서 T2 컨스로 열리기도 한다.[2] Heveanly Inferno(WBR) 은 커멘더 2011에서, Evasive Maneuvers(GWU)는 커멘더 2013, Guided by Nature(G)는 커멘더 2014, Plunder the Graves(BG)는 커멘더 2015에서 이미 발매된 덱이며 해당 세트에 포함된다.[3] 드래프트 중 공개된 상태로 진행하거나, 픽 하고서 공개하면 특별한 효과가 발생한다.[4] 포트나이트, 워해머 40,000 등.[5] 고양이, 새, 로봇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