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레니 윌킨스

덤프버전 :

레니 윌킨스의 수상 경력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 2021년 미국 스포츠 사이트 the Athletic에서 NBA 출범 75주년을 기념하여 농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 75명을 발표했다.
1위2위3위4위5위
마이클 조던르브론 제임스카림 압둘자바빌 러셀매직 존슨
6위7위8위9위10위
윌트 체임벌린래리 버드샤킬 오닐팀 던컨코비 브라이언트
11위12위13위14위15위
하킴 올라주원오스카 로버트슨케빈 듀란트제리 웨스트스테판 커리
16위17위18위19위20위
칼 말론케빈 가넷모제스 말론줄리어스 어빙데이비드 로빈슨
21위22위23위24위25위
디르크 노비츠키찰스 바클리엘진 베일러야니스 아데토쿤보존 스탁턴
26위27위28위29위30위
아이제아 토마스릭 배리드웨인 웨이드존 하블리첵크리스 폴
31위32위33위34위35위
밥 페팃스카티 피펜제임스 하든카와이 레너드조지 마이칸
36위37위38위39위40위
제이슨 키드패트릭 유잉스티브 내시밥 쿠지앨런 아이버슨
41위42위43위44위45위
엘빈 헤이즈조지 거빈클라이드 드렉슬러윌리스 리드월트 프레이저
46위47위48위49위50위
러셀 웨스트브룩레지 밀러게리 페이튼케빈 맥헤일폴 피어스
51위52위53위54위55위
도미니크 윌킨스레이 앨런앤서니 데이비스밥 맥아두트레이시 맥그레이디
56위57위58위59위60위
드와이트 하워드데이브 코웬스얼 먼로제임스 워디웨스 언셀드
61위62위63위64위65위
돌프 셰이스데니스 로드맨카멜로 앤서니빌 월튼크리스 웨버
66위67위68위69위70위
빌리 커닝햄네이트 아치발드데미안 릴라드알론조 모닝할 그리어
71위72위73위74위75위
알렉스 잉글리시제리 루카스피트 마라비치로버트 패리시레니 윌킨스
출처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넬슨

(Don Nelson) ||<width=20%> 레니
윌킨스

(Lenny Wilkins) ||
||<width=20%> 레드
아워백

(Red Auerbach) ||<width=20%> 레드
홀즈먼

(Red Holzman) ||
||<width=20%>
피치

(Bill Fitch) ||
램지

(Jack Ramsay) ||
||
쿤들라

(John Kundla) ||
데일리

(Chuck Daly) ||
||
라일리

(Pat Riley) ||
잭슨

(Phil Jackson) ||




파일:NBA 로고.svg
역대 올해의 감독상
[ 펼치기 · 접기 ]
시즌수상자소속팀성적
1962-63해리 갤러틴세인트루이스 호크스48승 32패 .600
1963-64알렉스 해넘샌프란시스코 워리어스48승 32패 .600
1964-65레드 아워백보스턴 셀틱스62승18패 .775
1965-66돌프 셰이스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55승 25패 .688
1966-67조니 커시카고 불스33승 48패 .407
1967-68리치 게린세인트루이스 호크스56승 26패 .683
1968-69진 슈볼티모어 불리츠57승 25패 .695
1969-70레드 홀즈먼뉴욕 닉스60승 22패 .732
1970-71딕 모타시카고 불스51승 31패 .622
1971-72빌 셔먼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69승 13패 .841
1972-73톰 하인슨보스턴 셀틱스68승 14패 .829
1973-74레이 스캇디트로이트 피스톤즈52승 30패 .634
1974-75필 존슨캔자스시티-오마하 킹스44승 38패 .537
1975-76빌 피치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49승 33패 .598
1976-77톰 니살크휴스턴 로키츠49승 33패 .598
1977-78허비 브라운애틀랜타 호크스41승 41패 .500
1978-79코튼 피치먼스캔자스시티 킹스48승 34패 .585
1979-80빌 피치보스턴 셀틱스61승 21패 .744
1980-81잭 맥키니인디애나 페이서스44승 38패 .537
1981-82진 슈워싱턴 불리츠43승 39패 .524
1982-83돈 넬슨밀워키 벅스51승 31패 .622
1983-84프랭크 레이든유타 재즈45승 37패 .549
1984-85돈 넬슨밀워키 벅스59승 23패 .720
1985-86마이크 프라텔로애틀랜타 호크스50승 32패 .610
1986-87마이크 슐러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49승 33패 .598
1987-88더그 모덴버 너기츠54승 28패 .659
1988-89코튼 피치먼스피닉스 선즈55승 27패 .671
1989-90팻 라일리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63승 19패 .768
1990-91돈 체니휴스턴 로키츠52승 30패 .634
1991-92돈 넬슨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55승 27패 .671
1992-93팻 라일리뉴욕 닉스60승 22패 .732
1993-94레니 윌킨스애틀랜타 호크스57승 25패 .695
1994-95델 해리스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48승 34패 .585
1995-96필 잭슨시카고 불스72승 10패 .878
1996-97팻 라일리마이애미 히트61승 21패 .744
1997-98래리 버드인디애나 페이서스58승 24패 .707
1998-99마이크 던리비 시니어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35승 15패 .700
1999-00닥 리버스올랜도 매직41승 41패 .500
2000-01래리 브라운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56승 26패 .683
2001-02릭 칼라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50승 32패 .610
2002-03그렉 포포비치샌안토니오 스퍼스60승 22패 .732
2003-04허비 브라운멤피스 그리즐리스50승 32패 .610
2004-05마이크 댄토니피닉스 선즈62승 20패 .756
2005-06에이버리 존슨댈러스 매버릭스60승 22패 .732
2006-07샘 미첼토론토 랩터스47승 35패 .573
2007-08바이런 스캇뉴올리언스 호네츠56승 26패 .683
2008-09마이클 버튼 브라운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66승 16패 .805
2009-10스캇 브룩스오클라호마시티 썬더50승 32패 .610
2010-11톰 티보도시카고 불스62승 20패 .756
2011-12그렉 포포비치샌안토니오 스퍼스50승 16패 .758
2012-13조지 칼덴버 너기츠57승 25패 .695
2013-14그렉 포포비치샌안토니오 스퍼스62승 20패 .756
2014-15마이크 부덴홀저애틀랜타 호크스60승 22패 .732
2015-16스티브 커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73승 9패 .890
2016-17마이크 댄토니휴스턴 로키츠55승 27패 .670
2017-18드웨인 케이시토론토 랩터스59승 23패 .720
2018-19마이크 부덴홀저밀워키 벅스60승 22패 .732
2019-20닉 너스토론토 랩터스53승 19패 .736
2020-21톰 티보도뉴욕 닉스41승 31패 .569
2021-22몬티 윌리엄스피닉스 선즈64승 18패 .780
2022-23마이클 버튼 브라운새크라멘토 킹스48승 34패 .585



||
[ 펼치기 · 접기 ]

No. 1No. 10No. 19No. 24No. 32
거스 윌리엄스
(Gus Williams)
네이트 맥밀란
(Nate McMillan)
레니 윌킨스
(Lenny Wilkens)
스펜서 헤이우드
(Spencer Haywood)
프레드 브라운
(Fred Brown)
No. 43🎙️
잭 시크마
(Jack Sikma)
밥 블랙번
(Bob Blackburn)
* 영구결번자는 시애틀 시가 소유권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키피디아와 Basketball-Reference 사이트에는 후신격 팀인 오클라호마시티 썬더가 그대로 기념하고 있지만, 팀이 부활하면 다시 가져갈 수 있다.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파일:external/www.hoophall.com/00a9a772932a9bc4aa2b354417303f64_f821.jpg
레니 윌킨스
헌액 연도1990년

파일:external/www.rantsports.com/lenny-wilkens-1-edited.jpg
시애틀 슈퍼소닉스 No. 19
레너드 랜돌프 "레니" 윌킨스
Leonard Randolph "Lenny" Wilkens
생년월일1937년 10월 28일 (86세)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출신지뉴욕주 브루클린
포지션포인트 가드
신장6'1 (185cm)
체중182 lb (82kg)
출신학교프로비던스 칼리지
드래프트1960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6번, 세인트루이스 호크스)
선수경력세인트루이스 호크스 (1960~1968)
시애틀 슈퍼소닉스 (1968~1972)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1972~1974)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1974~1975)
지도자 경력시애틀 슈퍼소닉스 (1969~1972/1977~1985, 감독)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1974~1976, 감독)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1986~1993, 감독)
애틀랜타 호크스 (1993~2000, 감독)
토론토 랩터스 (2000~2003, 감독)
뉴욕 닉스 (2004~2005, 감독)
프런트 경력시애틀 슈퍼소닉스 (1985~1986, 단장)
국가대표 경력애틀랜타 올림픽 미국 국가대표팀 (1996, 감독)
등번호32,14번(세인트루이스)
19번(시애틀,클리블랜드,포틀랜드)

1. 개요
2. 선수시절
3. 감독시절
3.1. 시애틀 슈퍼소닉스
3.2.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3.3. 애틀랜타 호크스
3.4. 토론토 랩터스
3.5. 뉴욕 닉스
4. 감독 스타일
5. 기타
6. 저서




1. 개요[편집]


미국의 농구인으로, NBA 감독들 중 통산 승수로 3위 기록에 속한다.(1,332승)


2. 선수시절[편집]


파일:external/www.mainlineautographs.com/PTDC0010_20120901636.jpg
파일:external/3.bp.blogspot.com/Lenny_Wilkens_drives_01.01.75.jpg

브루클린에 있는 보이스 고등학교[1]와 프로비던스 칼리지를 졸업했다. 프로비던스에서는 조 멀라니 감독의 지도 하에 성장하면서 1959년 첫 NIT 진출, 이어서 1960년에 NIT 결승전에 올리는 데 공헌하기도 했으며, 올-아메리칸에 2번 뽑히기도 하는 등 선수로써의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1960년 1라운드 7번으로 NBA 드래프트를 통해 세인트루이스 호크스에 지명된 이후, 1975년 은퇴할 때까지 세인트루이스-시애틀-클리블랜드-포틀랜드를 거치며 11년간 선수생활을 했으며, 1971년 올스타 게임에서는 서부 팀을 승리시키면서 MVP를 따내기도 했다.

선수생활 윌킨스는 한번도 올NBA팀에 선정되지 않았는데, 그의 선수 시절엔 올NBA세컨팀까지밖에 없었고(서드팀은 80년대 후반에 생겼다) 올스타에 9회나 선정되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만약 서드팀이 있었다면 몇번 선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2] 일반적으로 다회 올스타에 선정되는 급이면 (올스타에 턱걸이하는) 1~2회 올스타급 선수들보다는 위상이 훨씬 높기 때문에 보통 서드팀에 몇번 정도 선정된다. 실제로 서드팀이 최고이력이며 명예의 전당 멤버인 레지 밀러 역시 5회 올스타에 3회 서드팀, 마찬가지인 제임스 워디는 7회 올스타에 2회 서드팀이다. 윌킨스는 어시왕 1회에 득점력까지 어느 정도 갖춘 포인트가드인데다 올스타 MVP, 심지어 68년 MVP투표 당시 수상자 윌트 체임벌린에 이은 2위를 기록한 거물 선수였다.(체임벌린 88표, 윌킨스 26표)

윌킨스는 감독 커리어가 더 빛나는 케이스이긴 하지만, 선수 커리어 역시 레전드급이었고 역사상 유일하게 명예의 전당에 선수 커리어와 감독 커리어를 따로 나눠서 둘 다 헌액된 선수이다. 또한 2009년에 92년 미국 드림팀이 팀 자격으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됨에 따라 이 팀의 어시스턴트 코치였던 윌킨스는 세번째 헌액되었다. 물론 개인이 농구 명예의 전당에 세번 헌액된 케이스는 윌킨스 뿐이다.

3. 감독시절[편집]



3.1. 시애틀 슈퍼소닉스[편집]


파일:external/b5415ef0ea6614df13acf8bd64a4d9a5deaa3416f7cc204f8786317b548c3337.jpg

1969년부터 시애틀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데뷔, 3년동안 좋은 모습을 못 보이고 클리블랜드로 이적해 선수로 돌아갔으며, 1974년부터 포틀랜드에서도 선수 겸 감독으로 활약, 본격적인 김수겸의 대선배 및 실사판 1975년 은퇴 뒤부터 시즌이 끝날 때까지 감독에 전념하기 시작했다.

1977년부터 시애틀로 복귀, 거스 윌리엄스, 잭 시크마, 프레드 브라운, 폴 사일러스, 존 존슨 등을 중심으로 팀을 강호로 도약하여 1978년과 1979년에 파이널에 진출한다. 1978년에는 7차전 접전 끝에 워싱턴 불리츠에게 패하지만, 1979년에는 다시 만난 워싱턴에게 5차전만에 설욕하면서 마침내 창단 첫 우승에 성공했고, 1985년 1월 10일에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와 경기에 나서면서 NBA 역사상 최초로 통산 1,000경기 출장 기록을 달성했다. (당시 소닉스는 워리어스를 89-86으로 이겼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카림 압둘자바매직 존슨을 위시한 쇼타임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의 도약으로 팀은 점점 쇠퇴하기 시작했고, 결국 윌킨스는 1984-85시즌을 끝으로 물러난 뒤 다음 시즌인 1985-86 시즌 동안 단장으로 재직했다.


3.2.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편집]


파일:external/i.cdn.turner.com/lenny-wilkens-cavs.jpg

1986년에 캐벌리어스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당시 약체였던 캐벌리어스를 마크 프라이스-론 하퍼-래리 낸스로 이루어진 '빅 3'를 축으로 하여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을 빛낸 강호로 도약시킨다.

그러나 1989년 플레이오프 1라운드 5차전에서는 마이클 조던The Shot의 희생양이 되었고, 1992년 동부 컨퍼런스 파이널에서 시카고 불스에게 패배, 1993년 동부 컨퍼런스 2라운드에서 또다시 불스에게 패배하는 등... 캐벌리어스는 중요한 순간마다 조던과 불스에 의해 좌절하는 불운을 맞고 만다.

결국 1992-93시즌이 끝나고 윌킨스는 애틀랜타로 옮겨가게 되었다.


3.3. 애틀랜타 호크스[편집]


파일:external/i.cdn.turner.com/lenny-wilkens-608.jpg

1993년에 친정팀인 세인트루이스 호크스의 후신 애틀랜타 호크스의 감독으로 복귀, 첫 시즌 후반에 팀의 우승을 위해 팀의 핵심인 도미니크 윌킨스를 클리퍼스에 과감하게 팔아버리는 실책을 벌였지만 무키 블레이록, 스테이시 오그먼, 존 콘칵 등을 주축으로 조직력을 발휘해 부임 첫 시즌인 1993-94시즌에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 진출한 것을 시작으로 플레이오프 컨텐더로 격상시켰고, 1995년 1월 6일에는 워싱턴 불리츠를 상대로 112-90으로 꺾어서 레드 아워백 감독이 이룬 938승을 경신했고, 마침내 1996년 3월 1일에는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를 74-68로 이겨 개인 통산 1,000승을 달성했다.

이렇게 승승장구한 윌킨스 감독은 1996년에 빅맨인 디켐베 무톰보를 주축으로 전보다 더 강한 수비력을 지닌 팀으로 발전시켰지만, 조던을 위시한 천하무적팀 시카고 불스를 꺾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후 윌킨스는 1999-2000시즌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의 책임을 지고 해임당하고 말았다.


3.4. 토론토 랩터스[편집]


파일:external/a.espncdn.com/a_wilkens_ht.jpg

2000년에 토론토 랩터스 감독으로 취임, 빈스 카터를 축으로 하여 2시즌 연속으로 팀을 플레이오프에 진출시키기도 하였다.


3.5. 뉴욕 닉스[편집]


파일:external/graphics8.nytimes.com/23wilkens583.jpg

당시 닉스는 단장이 막장 GM 스캇 레이든과 아이제아 토마스로 바뀌는 와중인 2003-04시즌 막판에 돈 체이니 감독의 공백을 메꾸기 위해 윌킨스를 임시 감독으로 임명하였고, 막판에 컨퍼런스 7위로 겨우 플레이오프에 다시 진출시켰지만 뉴저지 네츠에게 1라운드에서 광탈당하고 만다.

다음 시즌에도 정식 감독으로 지휘하긴 했지만 시즌 도중에 성적 부진으로 해임당했고, 35년간에 걸친 감독 생활에 끝을 고했다.


4. 감독 스타일[편집]


조직력을 통한 수비를 바탕으로 공격시에는 선수 전원이 볼을 고르게 소유하면서 한 군데 치우치지 않는 공격을 했으며, 선수 시절 명 포인트가드 출신 답게 볼무빙을 굉장히 중시했고 코칭 스타일도 굉장히 깔끔했다. 게다가 감독 시절에는 리그에서 손꼽히는 신사이기도 했고.


5. 기타[편집]


1989년과 1998년에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2010년에 대한민국 남자농구 국가대표팀 기술고문을 지낸 바 있다.


6. 저서[편집]


  • NBA 농구나라 (NBA Power Conditioning) (1998년(국내 정발:1999년, 대한미디어))

[1] 훗날 MLB 스타가 될 토미 데이비스와 팀메이트였다.[2] 올NBA팀은 리그에서 포지션별로 가장 뛰어난 15명을 뽑는 것이고 올스타는 각 컨퍼런스당 12명씩 총 24명을 뽑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