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라이언 그레고리 리차드슨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코치케빈 유
Jellal
| 마이크 러
Mirin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호주 국기.svg 브랜든 알렉산더
BioPanther
파일:호주 국기.svg 로미오 쩐
Thien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호주 국기.svg 레오 로머
Babip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호주 국기.svg 로날드 보
Kisee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퀸 코레브리츠
Raes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호주 국기.svg 라이언 그레고리 리차드슨
Aladoric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앤디 반 더 비버
Capcake
LCO 참가팀 로스터




라이언 그레고리 리차드슨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구분시즌대회우승팀선수
Oceanic Pro League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200px-OPL_logo.png2015스플릿 1파일:600px-Chiefs_Esports_Clublogo_square.pngSwip3rR · Spookz · Impaired · Swiffer · RYmeister · Raydere · Rosey
스플릿 2Swip3rR · Spookz · Swiffer · Raydere · EGym
2016스플릿 1Swip3rR · Points · Spookz · Swiffer · Cheese · Raydere · EGym · Rosey
스플릿 2Swip3rR · Points · Spookz · Swiffer · Raes · EGym
2017스플릿 1파일:600px-Dire_Wolveslogo_square.pngChippys · Shernfire · Rippii · Phantiks · k1ng · Destiny
스플릿 2
파일:OPL_2018_Logo_Color.png2018스플릿 1Chippys · Shernfire · Rippii · Praelus · Triple · Getback · k1ng · Cupcake
스플릿 2BioPanther · Shernfire · Rippii · Triple · k1ng · Cupcake
2019스플릿 1파일:Bomberslogo_square.webpMimic · BalKhan · Seb · ry0ma · FBI · Sprenstama · Zenk · Rogue
스플릿 2파일:Mammoth_2019.pngFudge · Topoon · Babip · Triple · k1ng · Destiny · Cuden
2020스플릿 1파일:Legacy_Esports.pngTopoon · Babip · Tally · Raes · Isles
스플릿 2Topoon · Babip · Tally · Halo · Raes · Isles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
파일:LCO로고.png2021스플릿 1파일:Pentanet.GG Logo.pngBioPanther · Pabu · Chazz · Praedyth · Decoy
스플릿 2파일:PEACE_(Oceanic_Team)logo_square.pngApii · Babip · LeeSA · Halo · Tally · Violet · Chayon · Aladoric · Zingy
2022스플릿 1파일:ORDER2022logo_profile_notext.pngBioPanther · Maximize · Kevy · Kisee · Puma · Corporal
스플릿 2파일:The_Chiefs_eSports_Clublogo_square.pngTopoon · Arthur · Tally · Raes · Aladoric · Dragku
2023스플릿 1BioPanther · Babip · Kisee · Raes · Aladoric · Cupcake
스플릿 2BioPanther · Babip · Kevy · Kisee · Raes · Aladoric · Cupcake





||
[ 펼치기 · 접기 ]

시즌대회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LCK_SUP_white1.png
SPT
2021Split 2파일:Pentanet.GG Logo.png BioPanther파일:ORDER2022logo_profile_notext.png Kevy파일:Dire_Wolves.png Shok파일:PCE_Logo_2021_Worlds.png Violet파일:PCE_Logo_2021_Worlds.png Aladoric
2022Split 1파일:The_Chiefs_eSports_Clublogo_square.png Topoon파일:Pentanet.GG Logo.png BalKhan파일:PCE_Logo_2021_Worlds.png Apii파일:The_Chiefs_eSports_Clublogo_square.png Raes파일:The_Chiefs_eSports_Clublogo_square.png Dragku







파일:PCE_Aladoric_2021_WC.png
The Chiefs
Aladoric
라이언 그레고리 리차드슨
(Ryan Gregory Richardson)
출생1999년 6월 25일 (24세)
국적
파일:호주 국기.svg

포지션서포터[1]
소속Legacy Genesis
(2017.03.03 ~ 2017.06.23)
Chiefs Esports Club
(2017.03.17 ~ 2017.03.26)[2]
Athletico Esports
(2017.07.07 ~ 2017.11.??)
Intuition
(2018.05.07 ~ 2018.09.14)
Avant Gaming
(2018.12.11 ~ 2019.10.11)
PEACE
(2021.02.16 ~ 2021.12.12)
The Chiefs
(2022.05.26 ~ )

1. 개요
2. 행적



1. 개요[편집]


파일:52396351543_075968557c_6k.jpg
Ryan "Aladoric" Richardson
호주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OThe Chiefs 소속 서포터.


2. 행적[편집]


99년생 호주인 서포터. 레거시 출신의 01년생 유망주 아일레스를 제외하면 호주는 같은 영어권인 북미가 로컬이라고 탐내는 양질의 서포터를 다수 배출했으면서도 많은 나이가[3] 발목을 잡는데, 알라도릭도 아쉽지만 나이 대비 데뷔가 빠르지 않은 편이다.

19년에야 OPL에 데뷔해서 그나마도 서머에는 3명이 서폿 돌림판이 돌아갔고 최종적으로 두 살 어린 아일레스에 밀린 뒤 2020년 1년을 통으로 쉬는 등 프로생활이 잘 풀리지가 않았다.

그러나 2021년 PEACE에 합류했고 서머에 북미 2부 리턴파들을 대거 받아들인 슈퍼팀 로스터가 결성되어 돌림판을 멈추고 옥석을 가리면서 알라도릭의 포텐셜이 폭발한다. 커리어 첫 LCO 우승은 물론, 롤드컵에서도 비지챠치, 바빕, 탈리의 상체를 훌륭히 보좌하여 호주가 브라질과 중남미 위에 서는 데 기여했다.

PEACE의 분해 이후 반년을 쉰 알라도릭은 2022 서머에 Chiefs에 합류하는데, 스프링에 양학 잘하던 대퍼팀이 되어 오더에 업셋을 당했던 치프스를 진정한 1황으로 만들어버렸다. 특유의 강력한 이니시로 팀 동료 아서와 디펜딩 챔피언팀의 에이스인 키세를 잇는 정규시즌 MVP 순위 3위를 마크하였다.

결승에서도 기괴하게 3세트를 패배하고 4세트까지 말려서 5꽉을 가기 직전에 라에스의 자야가 한 번 수습을 했고, 알라도릭의 라칸이 환상적인 역이니시로 팀원 CC연계의 판을 깔면서 3:1 승리의 일등공신이 되었다. 반년마다 우승팀이 바뀌는 LCO의 특성상, 데스티니 이후 오랜만에 2회 우승 서포터에 등극했다.

알라도릭이 팀의 이니시 1옵션임은 의심할 필요가 없으나, 그 사실 자체가 어쩌면 팀의 약점. 과도한 이니시 부담 때문인지 본인 메카닉 때문인지 몰라도 유미를 제외한 유틸폿을 기피하고 1티어는 아닌 라칸 선호도가 과하기 때문에 롤드컵에서 유틸폿 전반의 대폭 너프가 없으면 팀이 메타를 역행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본인 문제라기보다는 코리안 듀오와 탈리를 포함한 상체의 탄탄한 기본기 대비 돌발적인 이니시 능력이 다소 아쉽다는 점에 기인하지 않을까 싶다.



[1] 바텀 → 서포터[2] 긴급 임대[3] 처음 호주인 서포터들의 메이저 진출 포문을 연 레전드인 데스티니도 97년생으로 2022년 k1ng과 LCS에서 다시 만난 것 자체가 문제지만 심각한 기량 저하를 보였으며, 21 MSI 펜타넷 기적의 주역인 디코이도 97년생, 23 TL의 주전으로 고려되는 에일라도 99년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