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독-동독 관계

덤프버전 :

서독-동독 관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상징 · 역사 ]
[ 사회 · 경제 ]

지리지역 구분()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하위지역) · 헤센(하위지역) · 튀링겐(하위지역) · 니더작센(하위지역) · 라인란트팔츠(하위지역)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하위지역) · 바덴뷔르템베르크(하위지역) · 바이에른(하위지역) ·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하위지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하위지역) · 자를란트(하위지역) · 작센(하위지역) · 작센안할트(하위지역) · 함부르크 · 브레멘(하위지역) · 도시/목록/독일 · 프랑켄 · 슈바벤 · 베스트팔렌 · 라인강 · 라인란트 · 엘베강 · 도나우강 · 슈바르츠발트 · 브로켄 · 알프스 산맥
사회인구 · 게르만족 · 독일인
교통교통 · 아우토반 · 철도 환경(역사 · 노선 · 도이체반 · ICE · Thalys) · 독일의 공항(틀)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국제공항 · 뮌헨 국제공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국제공항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함부르크 국제공항
교육교육 전반 · 우수대학육성정책 · TU9 · 독일 대학교 목록 · 김나지움 · 아비투어
경제경제 전반 · 산업 전반 · 독일제 · 대기업 · 도이체 뵈르제 · 라인강의 기적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 루르 공업 지대 · 독일 마르크(폐지) · 유로 (독일연방은행 · 유럽중앙은행) · 한자동맹 · 에어버스 · 폭스바겐 비틀 · 트라반트 601 · 슈파카세

[ 정치 · 군사 ]

정치연방총리청 · 독일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기본법) · 독일 정부 · 행정조직 · 대통령 · 총리 · 연방의회 · 연방상원
선거유럽의회 선거 · 연방의회 선거
외교외교 전반 · 여권 · 독일어권(독일-오스트리아 관계) · G4 · G7 · G20 · 영프독 · 유럽연합(제4제국) · 냉전 · 신냉전 · 독미관계 · 독일-프랑스 관계 · 독일-폴란드 관계 · 독러관계(독소관계) · 비자 · 독빠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 오데르-나이세 선 · 할슈타인 원칙 · 동방 정책
군사독일군 · 역사 · 프로이센군 · 독일 제국군 (카이저마리네) · 독일 국방군 (육군 · 해군 · 공군) · 독일 연방군(육군 · 해군 · 공군) · KSK · 국가인민군(바르샤바 조약기구) · 징병제(중단) · NATO
계급 · 군가 · 군복 · 군장 · 전투식량 · MG34 · MG42 · MG3 · StG44 · H&K G3 · H&K HK416 (M4A1 vs HK416) · H&K HK417 · MP18 · MP40 · H&K MP5 · 판처파우스트 · 판처파우스트 44 란체 · 판처파우스트 3 · 암브루스트 무반동포 · 티거 1 · 레오파르트 1 · 레오파르트 2 · PzH2000 · Bf 109 · Ju 87 · Me 262 · U-Boot
전격전 · 장교의 4가지 유형 · 독일의 전쟁범죄 (나치 친위대) · 국방군 무오설 · NATO vs 러시아군
치안·사법사법 전반 · 독일 연방경찰청(GSG 9 · SEK) · 독일 연방의회경찰대 · 독일 연방헌법수호청 · 연방일반법원 · 연방헌법재판소 · 독일 형법

[ 문화 ]



ta-hash-start=w-f9fb432b73278bb1b3d13dd41f30cf8e[[파일:독일 국기.svgta-hash-start=w-1a69e2bdf33aa15664ad3c3cfb4d9453[[파일:동독 국기.svg
서독
Bundesrepublik Deutschland
Federal Republic of Germany
동독
Deutsche Demokratische Republik
German Democratic Republic

1. 개요
2. 역사
2.1. 성립
2.2. 초반
2.3. 중반
2.4. 후반
2.5. 동서독 통일
3. 관련 사건
4.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서독동독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서독과 동독은 분단 기간동안 서로를 국가로 인정하지 않았으나[1], 그와는 별개로 관계를 이어나갔다.


2. 역사[편집]



2.1. 성립[편집]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나치 독일이 패망하면서 독일은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연합국이 주둔하면서 동서독이 생겨났다. 동서독이 생겨나면서 독일은 한반도처럼 냉전 시절에 분단되었다.

2.2. 초반[편집]


냉전이 시작되면서 연합군의 주둔 시절에는 미군, 프랑스군, 영국군이 주둔하던 지역은 서독이 되었다. 소련군이 주둔하던 지역은 동독이 되었다. 냉전이 시작된 이후, 동독과 서독은 정치적으로 갈등을 빚었다. 서독은 프랑스군과 영국군이 철수한 뒤에도 미군이 주둔했다. 동독은 소련군이 주둔하면서 정치적 갈등이 심해졌다. 베를린은 동독에 속했던 동베를린, 연합군이 주둔하던 서베를린으로 나뉘어졌다. 서베를린은 냉전 시절에 자유 진영에 속했다.

1961년베를린 장벽이 세워졌다. 그리고 소련에 의한 베를린 봉쇄가 일어나기도 했다.


2.3. 중반[편집]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서독은 동독과 동구권 국가들과 관계개선을 하려는 조짐을 보였다. 1969년에는 할슈타인 원칙을 폐지하고 동방 정책을 실시하면서 동구권 국가들과 동독과의 관계개선을 했다. 그리고 동독과 서독은 관계개선과 교류를 자주 했다. 동서독 주민들간에는 남북한과 달리 자유롭게 동서독으로 이동이 가능했고 동독 주민들이 서독TV의 프로그램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자유로웠다. 다만, 이 시기에는 동독 주민들이 서독으로 망명하는 경우가 늘어나자 동독 정부는 동서독 국경을 요새화해서 동독 주민들의 서독 망명을 막았다.

1974년귄터 기욤 사건이 일어나면서 서독과 동독은 갈등을 빚었다. 그리고 1978년LOT 165편 납치 사건이 일어났다.

냉전 시절에 서독과 동독은 경제적으로도 교역이 많았다. 동독은 서독의 비중이 높았는데 서독은 당시 서유럽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였고 동독은 동구권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였다.


2.4. 후반[편집]


80년대에 들어서자 서독과 동독간에 변화가 일어났다. 8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서독과 동독간에 통일 움직임이 일어났다. 80년대 후반에 헝가리-오스트리아 국경이 개방되자 헝가리, 오스트리아를 통해 동독 주민들이 서독으로 이동했다.


2.5. 동서독 통일[편집]


1989년에 서독과 동독은 독일 재통일을 통해 통일되었다.


3. 관련 사건[편집]




4. 같이 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1:26:08에 나무위키 서독-동독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동독은 1970년대부터 통일을 포기한 상태였다.[2] 냉전시절에 독일과 예멘은 각각 분단된 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