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치기현 제1구

덤프버전 : (♥ 0)


기타칸토 지방 국회의원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 중의원 의원 ]

이바라키 1구이바라키 2구이바라키 3구이바라키 4구이바라키 5구
후쿠시마 노부유키누카가 후쿠시로하나시 야스히로가지야마 히로시아사노 사토시
이바라키 6구이바라키 7구도치기 1구도치기 2구도치기 3구
구니미쓰 아야노나가오카 게이코후나다 하지메후쿠다 아키오야나 가즈오
도치기 4구도치기 5구군마 1구군마 2구군마 3구
사토 쓰토무모테기 도시미쓰나카소네 야스타카이노 도시로사사가와 히로요시
군마 4구군마 5구사이타마 1구사이타마 2구사이타마 3구
후쿠다 다쓰오오부치 유코무라이 히데키신도 요시타카기카와다 히토시
사이타마 4구사이타마 5구사이타마 6구사이타마 7구사이타마 8구
호사카 야스시에다노 유키오오시마 아쓰시나카노 히데유키시바야마 마사히코
사이타마 9구사이타마 10구사이타마 11구사이타마 12구사이타마 13구
오쓰카 다쿠야마구치 스스무고이즈미 류지모리타 도시카즈쓰치야 시나코
사이타마 14구사이타마 15구사이타마 16구
미쓰바야시 히로미다나카 료세이공석1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오미 아사코후지오카 다카오노나카 아쓰시이시이 게이이치마키하라 히데키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나카무라 기시로사와다 료다도코로 요시노리고미야마 야스코시오카와 데쓰야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이시카와 아키마사고시미즈 게이이치이가라시 기요시사카모토 유노스케나카네 가즈유키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
다카하시 히데아키스즈키 요시히로아오야마 야마토후쿠시게 다카히로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도치기현 제1구
栃木県第1区
||
파일:shuinsen_Tochigi1.svg
선거인 수418,287명 (2022)
상위 도도부현도치기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우츠노미야시(카미카와치, 카와치
제외), 카와치군
국회의원

후나다 하지메




1. 개요[편집]


도치기현우츠노미야시(옛 카미카와치마치, 카와치마치 지역을 제외한 전역), 카와치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민당 소속 후나다 하지메.


2. 상세[편집]


자민당이 우세를 보이는 선거구로, 우츠노미야시에서 학교법인 사쿠신 학원[1]을 경영하는 후나다 일가가 3대째 세습 중인 곳이다. 어찌보면 이 지역구 부근에 경합지역이 있다는 점[2] 사학재단의 영향력이 꽤 크다는 것이 [3] 부산 사상구와 비슷한 점이 있다고 봐도 된다.

중의원 의장을 지낸 후나다 나카(船田中)가 1979년 별세하자, 지역 기반이 손자인 후나다 하지메(船田元, 1953~)에게 이어졌다. 25세의 나이에 첫 당선된 이래 다케시타파의 촉망받는 인재로서 오자와 이치로의 측근이었고 39세에 경제기획청 장관에 오르며 전후 최연소 입각을 이루는 등 차세대 주자로 거론되었으나, 자민당을 탈당했다가 얼마 안 가 복당하는등 진중하지 못한 정치행보를 보이며 인기를 많이 잃었다. 게다가 이혼하고 아나운서 출신의 참의원 의원 하타 케이[4](畑恵)(1962년생)와 재혼하면서 불륜 소동으로 번지는 바람에(일명, 정치권 실낙원 소동) 2000년 제42회 총선에서는 민주당 신인 여성후보 미즈시마 히로코[5]에게 충격적인 패배를 당했다.

보수 강세 지역이라 일시적인 패배였고, 불륜 논란이 가라앉은 이후 총선에서는 후나다가 지역구를 탈환은 했지만, 예전만큼 전국적으로 주목을 받거나 인기가 있는 정치인은 더이상 아니었다. 일단 미디어 출연부터가 격감했고 국민적 호감도는 낮다. 하지만 모테기 도시미쓰가 물러난다면 차기 헤이세이 연구회 회장임에는 틀림없다.[6]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도치기현 제1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후나다 하지메
무소속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미즈시마 히로코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후나다 하지메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이시모리 히사쓰구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후나다 하지메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1구
우츠노미야시, 카와치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후나다 하지메127,503표1위

무소속

63.36%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야나세 스스무57,240표2위


28.4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키 도모지12,154표3위


6.04%낙선
파일:덕주회.png니시 히로시4,345표4위

자유연합

2.16%낙선
유효표 수201,242표투표율
55.92%
선거인 수

총선 직전 신진당을 탈당한 후나다 하지메 의원은, 정치개혁을 내세운 하토야마 유키오, 간 나오토등과 민주당 창당에 참여할거라는 예상이 많았으나 결국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지역기반 덕에 손쉽게 당선되었고, 이후 자민당에 입당했다. 자민당이 후보를 내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이미 선거 후 자민당 입당을 약속했다는것이 정설이다.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1구
우츠노미야시, 카와치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미즈시마 히로코107,634표1위


47.97%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나다 하지메91,411표2위


40.74%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야기 류지10,584표3위


4.7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노무라 세츠코10,422표4위


4.65%낙선
파일:덕주회.png니시 히로시4,319표5위

자유연합

1.92%낙선
유효표 수224,370표투표율
59.70%
선거인 수385,985인

후나다 하지메 의원은 자민당 입당 후, 이혼 및 불륜 소동 끝에 충격적으로 가문의 텃밭에서 정치신인인 민주당 미즈시마 히로코 후보에게 패배했다.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1구
우츠노미야시, 카와치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나다 하지메123,297표1위


53.07%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미즈시마 히로코102,127표2위


43.96%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타나베 아키오6,904표3위


2.97%낙선
유효표 수232,328표투표율
59.73%
선거인 수396,896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1구
우츠노미야시, 카와치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나다 하지메141,868표1위


55.4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미즈시마 히로코103,757표2위
40.5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노무라 세츠코10,301표3위
4.02%낙선
유효표 수255,926표투표율
64.58%
선거인 수403,272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1구
우츠노미야시, 카와치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시모리 히사쓰구145,702표1위
[7]53.9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나다 하지메111,455표2위
[8]41.3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고이케 가즈노리8,883표3위
3.29%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가와치 히로시3,836표4위
1.42%낙선
유효표 수269,876표투표율
66.46%
선거인 수413,562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1구
우츠노미야시, 카와치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나다 하지메109,139표1위
[9]51.87%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시모리 히사쓰구56,143표2위
[10]26.15%낙선
파일:다함께당 로고.png아라키 다이쥬50,771표3위
[11]23.6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타나베 아키오7,687표4위
3.58%낙선
유효표 수214,734표투표율
53.03%
선거인 수417,910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1구
우츠노미야시 일부, 시모츠케시 일부, 카와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나다 하지메110,030표1위
[12]56.45%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가시와쿠라 유지63,332표2위
32.4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노무라 세츠코21,543표3위
11.05%낙선
유효표 수194,905표투표율
48.28%
선거인 수421,001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1구
우츠노미야시 일부, 시모츠케시 일부, 카와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나다 하지메109,139표1위
[13]51.87%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가시와쿠라 유지51,122표2위
24.30%낙선
와타나베 노리요시33,681표3위
[14]16.0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오키 히로시16,463표4위
7.82%낙선
유효표 수210,405표투표율
50.07%
선거인 수432,618인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1구
우츠노미야시 일부, 시모츠케시 일부, 카와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나다 하지메102,870표1위
[15]46.15%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와타나베 노리요시66,700표2위
29.92%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가시와쿠라 유지43,935표3위
19.7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오키 히로시9,393표4위
4.21%낙선
유효표 수222,898표투표율
54.42%
선거인 수434,814인

현역 자민당 후나다 하지메 의원이 재출마한다.

야권에서는 지난 총선의 낙선자 3인이 모두 재출마, 후나다 의원과의 설욕전을 펼친다. 희망의 당 후보로 출마해 2위로 낙선한 가시와쿠라 유지 전 의원은 야권 통합에 동참하지 않고 보수 성향이자 제3지대 야당인 일본 유신회 후보로 재도전한다. 무소속으로 출마해 낙선한 와타나베 노리요시 후보는 이번에는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 후보로 재도전한다. 공산당에서도 지난 총선에서 낙선했던 아오키 히로시 후보를 다시 공천했다.

투표 결과, 자민당 후나다 후보가 승리를 거두며 13선 의원이 되었다. 절대 득표율은 51.9%에서 46.2%로 상당히 감소했으나, 이번에도 야권에서 강력한 후보의 부재로 인해 표가 고르게 갈리면서 당선은 커녕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부활한 후보도 없었다. 다만 입헌민주당 와타나베 후보와 유신회 가시와쿠라 후보의 순위는 역전되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모츠케시 동부 지역을 4구로 넘기면서 시모츠케시의 경계 분할이 해소되었다.

자민당에서는 후나다 하지메 의원의 14선 도전이 예상된다. 워낙 젊은 나이에 정계에 입문했기에 현역 13선 의원임에도 이제 겨우 칠순이다.

입헌민주당에서는 이타즈 유카가 새 지부장으로 선임되었고 출마가 예상된다. 35세의 여성 정치신인이며, 금융업에 종사했고 현재는 금융 교육 서비스 사업, 자산 운용 컨설팅 사업을 제공하는 중소 업체의 대표이다.

일본유신회에서는 의사 출신인 가시와쿠라 유지 전 의원이 지난 선거에 이어 다시 재선 도전이 예상된다.#

공산당에서는 아오키 히로시 후보가 다시 출마한다.

참정당에서는 컨설팅 회사를 운영했던 오모리 노리아키를 공인할 예정이다.

[1] 사쿠신가쿠인대학을 비롯해 고시엔의 강호이자 일본에서 손꼽히는 규모를 자랑하는 사쿠신가쿠인 고교가 여기 소속이다.[2] 한국은 북구·강서구 갑, 일본은 도치기현 제2구[3] 한국은 동서재단, 동서대학교,부산디지털대학교,경남정보대학교가 소속된 재단이다.[4] 파일:畑恵.jpg[5] 현재는 유명한 정신과 의사로 활동중이다.[6] 사실 헤이세이 연구회 참의원 의원들은 모태기 대신 후나다를 회장으로 임명해야한다 주장하였지만, 외무대신과 간사장을 역임하면서 인지도가 상승한 모태기가 회장이 되었다.[7] 추천[8] 추천[9] 추천[10] 추천[11] 추천[12] 추천[13] 추천[14] 도치기현 총지부 추천[15]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