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니스 오도이

덤프버전 : (♥ 0)


4 오르도녜스 · 6 오도이 · 7 스코우 올센 · 8 스코라시 · 9 주트글라 · 10 베틀레센 · 11 바르베라 · 14 메이어르 · 15 오녜디카
17 뷰캐넌 · 19 소와 · 20 파나컨 (C) · 21 버시크 · 22 미뇰레 (VC) · 27 닐센 · 28 보야타 · 32 누사
33 신톤 · 39 발란타 · 44 메헬러 · 55 더카위퍼르 · 89 아우도르 · 99 치아구 · # 오타소위 · # 그라나도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로니 다일라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클뤼프 브뤼허 KV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파일:FKeDXJYXIAAFpPJ.jpg
클뤼프 브뤼허 KV No. 6
데니스 오도이
Denis Odoi
본명데니스 프림퐁 오도이
Denis Frimpong Odoi
출생1988년 5월 27일 (36세)
벨기에 뢰번
국적
파일:가나 국기.svg

|
파일:벨기에 국기.svg

신체 조건178cm / 71kg
포지션라이트백, 미드필더[1], 스토퍼
소속 팀OH 뤼벤 (2006~2009)
신트트라위던 VV (2009~2011)
RSC 안데를레흐트 (2011~2013)
KSC 로케런 (2013~2016)
풀럼 FC (2016~2022)
클뤼프 브뤼허 KV (2022~ )
국가대표파일: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경기 (벨기에 / 2012)
파일: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6경기 (가나 / 2022~ )

1. 개요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5. 여담
6.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가나의 축구선수이며, 현재 클뤼프 브뤼허 KV 소속이다.


2. 클럽 경력[편집]



2.1. 경력 초기[편집]


뢰번에서 태어난 오도이는 5살의 나이에 축구를 시작했으며, 로컬 팀인 스타드 뢰번에서 활약하다가 자국의 명문 RSC 안데를레흐트 유소년 팀에 입단했다. 이후 2004년 KRC 헹크로 팀을 옮겨 1년간 지내다가 OH 뤼벤으로 이적한 뒤 1년만에 뤼벤 소속으로 프로 무대에 데뷔했다.

2006-07 시즌이 진행 중이던 2017년 4월 28일, 오도이는 로얄 앤트워프전을 통해 프로에 데뷔했고, 다음 시즌부터는 본격적으로 퍼스트 팀에 정착하여 레귤러 멤버로 활약했다.

2009년 7월, 신트트라위던 VV과 3년 계약을 채결했고, 첫 시즌부터 주전으로 뛰며 팀의 약진을 이끌면서 5위로 시즌을 마감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다음 시즌에도 여전히 주전으로 활약했고,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 클럽 올해의 선수에 선정되기도 했다.


2.2. RSC 안데를레흐트[편집]


2011-12 시즌을 앞두고, 2시즌 동안 1부리그에서 경쟁력있는 모습을 보인 그는 자신이 유년 시절 몸 담았던 안데를레흐트에 입단했다. 오도이는 입단 후 인터뷰에서 유년 시절 안데를레흐트에서는 기회를 많이 잡지 못해 팀을 떠나야했지만, 복귀한 현재에는 충분한 기회를 받았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안데를레흐트에서 맞이한 2011-12 시즌에는 기욤 질레, 마르신 바실레프스키와 치열한 경쟁을 하며 로테이션 멤버로 활약했다. 시즌 중반에 바실레프스키에게 밀리며 한동안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으나, 2012년 2월 이후 후반기부터는 입지를 회복했고, 생애 처음으로 리그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리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다음 시즌은 초반 리그 6경기 연속 선발 출전 이후 완벽히 밀리며 14경기 출전에 그쳤다. 또한 팀은 리그 2연패를 달성했지만 그는 기뻐할 수 없었다.


2.3. KSC 로케런[편집]


2013년 6월, 방출 명단에 오른 그는 로케런과 4년 계약을 맺고 입단했다. 데뷔전 상대는 친정팀 안데를레흐트였으며, 이 날 경기에서 오도이는 선발 라이트백으로 나서 준수한 활약으로 3:2 승리에 기여하며 자신을 판매한 친정팀을 상대로 분풀이하는데 성공했다.

4시즌 동안 주전으로 활약하며 129경기를 출전했고, 팀의 UEFA 유로파 리그 진출권 획득에 기여하는 등 팀에 없어서 안될 존재로 거듭났다.


2.4. 풀럼 FC[편집]


2016년 7월 14일, 그는 비공개 이적료로 풀럼으로 이적했다. 2017-18 시즌에는 센터백과 풀백을 오가며 주전으로 활약했고, 플레이오프 결승 끝에 프리미어 리그 승격에 큰 기여를 했다.

프리미어 리그 무대에서도 주전으로 뛰었으나, 그를 포함한 대부분의 선수들이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이며 최하위로 1시즌만에 2부리그로 짐을 싸야했다.

2019-20 시즌에는 다시한번 승격 도전에 힘을 보탰고, 마침내 플레이오프 결승에서 브렌트포드를 꺾고 1시즌만에 PL 무대로 복귀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1부리그에 복귀 후 주전에서 밀려나며 2020-21 시즌 7경기 출전에 그쳤고, 팀도 다시 챔피언쉽으로 강등당했다.


2.5. 클뤼프 브뤼허 KV[편집]


2022년 1월 31일, 겨울 이적시장 마감을 앞두고 클뤼프 브뤼허로 이적하게 되면서 6년여만에 자국 리그로 복귀했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가나계 벨기에인이며 벨기에 청소년 대표팀 출신으로 2012년 5월 25일 친선경기 몬테네그로전에서 A대표팀에 데뷔했으나 이후에는 출장이 없었다.

2014년 자신의 뿌리를 찾고 싶다며 가나 대표팀에서 기회를 준다면 제1국적을 바꾸겠다고 선언했고 벨기에 국대 감독인 마르크 빌모츠 감독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나 2018년에는 벨기에의 로베르토 마르티네스 감독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후 2022년 3월, 나이지리아와의 월드컵 최종예선을 앞두고 자신의 뿌리인 가나를 선택했고, 2연전 모두 출전하며 8년만에 가나의 월드컵 본선 진출에 기여함으로써 생애 첫 월드컵 출전을 앞두게 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아프리카 혈통답게 상당히 좋은 운동능력을 보여준다. 빠른 스피드와 활동량을 바탕으로 공수양면을 오가며 측면에 활기를 불어넣은 유형의 저돌적인 풀백이다. 나이가 든 이후에는 중앙으로 접고 들어와서 3선에서 빌드업에 관여해주는 플레이가 늘어나고 있다.

다만, 공격의 마무리 능력은 섬세하지 못한 편.

5. 여담[편집]


캘럼 허드슨오도이와 데니스 오도이는 형제사이가 아니다. 국적도 다르고 아무 관련이 없는 선수이다.

6. 같이 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클뤼프 브뤼허 KV 2022-23 시즌 스쿼드
등번호포지션국적한글성명영문성명비고
4DF파일:에콰도르 국기.svg조엘 오르도녜스Joel Ordóñez
6DF파일:가나 국기.svg데니스 오도이Denis Odoi
7MF파일:덴마크 국기.svg안드레아스 스코우 올센Andreas Skov Olsen
8FW파일:폴란드 국기.svg미하우 스코라시Michał Skóraś
#MF파일:미국 국기.svg오웬 오타소위Owen Otasowie
9FW파일:스페인 국기.svg페란 주트글라Ferran Jutglà
10MF파일:노르웨이 국기.svg휴고 베틀레센Hugo Vetlesen
14DF파일:네덜란드 국기.svg비요른 메이어르Bjorn Meijer
15MF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라파엘 오녜디카Raphael Onyedika
17FW파일:캐나다 국기.svg테이존 뷰캐넌Tajon Buchanan
19FW파일:가나 국기.svg카말 소와Kamal Sowah
20MF파일:벨기에 국기.svg한스 파나컨Hans Vanaken주장
21GK파일:잉글랜드 국기.svg조세프 부르식Josef Bursik
22GK파일:벨기에 국기.svg시몬 미뇰레Simon Mignolet
27MF파일:덴마크 국기.svg카스페르 닐센Casper Nielsen
28DF파일:벨기에 국기.svg데드리크 보야타Dedryck Boyata
32FW파일:노르웨이 국기.svg안토니오 누사Antonio Nusa
33GK파일:벨기에 국기.svg닉 신톤Nick Shinton
39DF파일:콜롬비아 국기.svg에데르 발란타Éder Balanta
44DF파일:벨기에 국기.svg브랜던 메헬러Brandon Mechele
55DF파일:벨기에 국기.svg막심 더카위퍼르Maxim De Cuyper
58DF파일:벨기에 국기.svg조른 스필러스Jorne Spileers
64MF파일:벨기에 국기.svg키리아니 사베Kyriani Sabbe
68MF파일:벨기에 국기.svg켐다인 탈비Chemsdine Talbi
89MF파일:벨기에 국기.svg린트 아우도르Lynnt Audoor
91GK파일:벨기에 국기.svg시네 라먼스Senne Lammens
94DF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아바카르 실라Abakar Sylla
99FW파일:브라질 국기.svg이고르 치아구Igor Thiago
#MF파일:프랑스 국기.svg페이투 마와사Faitout Maouassa
#MF파일:스페인 국기.svg알레한드로 그라나도스Alejandro Granados
구단 정보
감독: 로니 다일라 / 구장: 얀 브레이덜 스타디온
출처: 트렌스퍼마크트



[ 펼치기 · 접기 ]


||<:><rowbgcolor=#dd0000><rowcolor=#ffdd00><tablecolor=#373A3C,#DDD><tablebgcolor=#FFF,#1F2023><tablewidth=100%>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3><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 1 || 로렌스 아티지기
(Lawrence Ati-Zigi) || 1996년 11월 29일 (27세) || 12 || 0 || 파일:스위스 국기.svg FC 장크트갈렌 ||
|| 12 || 이브라힘 단라드
(Ibrahim Danlad) || 2002년 12월 2일 (21세) || 4 || 0 || 파일:가나 국기.svg 아센테 코토코 SC ||
|| 16 || 압둘 마나프 누루딘
(Abdul Manaf Nurudeen) || 1999년 2월 8일 (25세) || 2 || 0 || 파일:벨기에 국기.svg KAS 오이펜 ||
||<|9> DF || 2 || 타리크 램프티
(Tariq Lamptey) || 2000년 9월 30일 (23세) || 3 || 0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
|| 3 || 데니스 오도이
(Denis Odoi) || 1988년 5월 27일 (36세) || 4 || 0 || 파일:벨기에 국기.svg 클뤼프 브뤼허 KV ||
|| 4 || 슈테판 암브로시우스
(Stefan Ambrosius) || 1998년 2월 18일 (26세) || 0 || 0 || 파일:독일 국기.svg 함부르크 SV ||
|| 14 || 기드온 멘사
(Gideon Mensah) || 1998년 7월 18일 (25세) || 12 || 0 || 파일:프랑스 국기.svg AJ 오세르 ||
|| 15 || 조셉 아이두
(Joseph Aidoo) || 1995년 9월 29일 (28세) || 11 || 0 || 파일:스페인 국기.svg RC 셀타 데 비고 ||
|| 17 || 압둘 라만 바바
(Abdul Rahman Baba) || 1994년 7월 2일 (29세) || 49 || 1 || 파일:그리스 국기.svg PAOK FC ||
|| 18 || 니콜라스 오포쿠
(Nicolas Opoku) || 1997년 8월 11일 (26세) || 13|| 1 ||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미앵 SC ||
|| 23 || 알렉산더 지쿠
(Alexander Djiku) || 1994년 8월 9일 (29세) || 19 || 1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SK ||
|| 26 || 알리두 세이두
(Alidu Seidu) || 1996년 2월 25일 (28세) || 5 || 0 || 파일:프랑스 국기.svg 클레르몽 푸트 63 ||
||<|7> MF || 5 || 토마스 파티
(Thomas Partey) || 1993년 6월 13일 (31세) || 41 || 13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FC ||
|| 6 || 엘리샤 오우수
(Elisha Owusu) || 1997년 11월 7일 (26세) || 3 || 0 || 파일:프랑스 국기.svg AJ 오세르 ||
|| 8 || 다니엘코피 체레
(Daniel-Kofi Kyereh) || 1996년 3월 8일 (28세) || 16 || 0 || 파일:독일 국기.svg SC 프라이부르크 ||
|| 10 || 안드레 아이유
(André Ayew) || 1989년 12월 17일 (34세) || 112 || 24 || 파일:프랑스 국기.svg 르아브르 AC ||
|| 13 || 다니엘 아프리예
(Daniel Afriyie) || 2001년 6월 26일 (22세) || 7 || 3 || 파일:가나 국기.svg 아크라 하츠 오브 오크 SC ||
|| 20 || 모하메드 쿠두스
(Mohammed Kudus) || 2000년 8월 2일 (23세) || 15 || 4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
|| 21 || 살리스 압둘 사메드
(Salis Abdul Samed) || 2000년 3월 26일 (24세) || 2 || 0 || 파일:프랑스 국기.svg RC 랑스 ||
||<|7> FW || 7 || 압둘 파타우 이사하쿠
(Abdul Fatawu Issahaku) || 2004년 3월 8일 (20세) || 13 || 1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스포르팅 CP ||
|| 9 || 조던 아이유
(Jordan Ayew) || 1991년 9월 11일 (32세) || 85 || 19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리스탈 팰리스 FC ||
|| 11 || 오스만 부카리
(Osman Bukari) || 1998년 12월 13일 (25세) || 8 || 2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
|| 19 || 이냐키 윌리엄스
(Iñaki Williams) || 1994년 6월 15일 (30세) || 4 || 0 ||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틱 클루브 ||
|| 22 || 카말딘 술레마나
(Kamaldeen Sulemana) || 2002년 2월 15일 (22세) || 13 || 0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사우스햄튼 FC ||
|| 24 || 카말 소와
(Kamal Sowah) || 2000년 1월 9일 (24세) || 1 || 0 || 파일:벨기에 국기.svg 클뤼프 브뤼허 KV ||
|| 25 || 앙투안 세메뇨
(Antoine Semenyo) || 2000년 1월 7일 (24세) || 5 || 1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본머스 AFC ||
||<-7><color=#000000><bgcolor=#ffffff>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8월 20일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22:12:10에 나무위키 데니스 오도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