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인피니티 랭킹전/26회차~36회차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인피니티 랭킹전

1. 개요
2. 둘러보기
3. 26회차
3.1. 26회차 명예의 전당
4. 27회차
4.1. 27회차 명예의 전당
5. 28회차
5.1. 28회차 명예의 전당
6. 29회차
6.1. 29회차 명예의 전당
7. 30회차
7.1. 30회차 명예의 전당
8. 31회차
8.1. 31회차 명예의 전당
9. 32회차
9.1. 32회차 명예의 전당
10. 33회차
10.1. 33회차 명예의 전당
11. 34회차
11.1. 34회차 명예의 전당
12. 35회차
12.1. 35회차 명예의 전당
13. 36회차




1. 개요[편집]


더플레이어의 인피니티 랭킹전 중 26회차부터 50회차까지 정리한 문서.


2. 둘러보기[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아이콘.svg



||
[ 목록 펼치기 · 접기 ]

회차기간곡명아티스트명악기길이
12021.5.24 ~ 2021.6.6카르멘 서곡비제피아노78.1s
22021.6.7 ~ 2021.6.20크시코스의 우편마차헤르만 네케피아노90.9s
32021.6.21 ~ 2021.7.4호두까기 인형 중 러시아의 춤 & 행진곡차이코프스키피아노85.2s
42021.7.5 ~ 2021.7.18윌리엄 텔 서곡조아키노 로시니피아노77.5s
52021.7.19 ~ 2021.8.1미뉴에트보케리니어쿠스틱 기타58.1s
62021.8.2 ~ 2021.8.15터키 행진곡모차르트피아노69.0s
72021.8.16 ~ 2021.8.29캉캉오펜바흐피아노84.9s
82021.8.30 ~ 2021.9.12젓가락 행진곡 변주곡 (Jazz ver.)유피미아 앨런피아노73.3s
92021.9.13 ~ 2021.9.26사계 중 '겨울' 1악장비발디피아노81.2s
102021.9.27 ~ 2021.10.10라 캄파넬라리스트피아노69.9s
112021.10.11 ~ 2021.10.24페르퀸트 모음곡 중 '아니트라의 춤'그리그피아노72.2s
122021.10.25 ~ 2021.11.7평균률 1번 프롤류드바흐어쿠스틱 기타67.2s
132021.11.8 ~ 2021.11.21즐거운 농부슈만피아노66.5s
142021.11.22 ~ 2021.12.5마왕슈베르트피아노69.5s
152021.12.6 ~ 2021.12.19사랑의 로망스작자 미상어쿠스틱 기타75.3s
162021.12.20 ~ 2022.1.2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요한 슈트라우스 2세피아노69.7s
172022.1.3 ~ 2022.1.16트럼펫 협주곡 3악장하이든피아노78.5s
182022.1.17 ~ 2022.1.30엔터테이너스콧 조플린피아노68.0s
192022.1.31 ~ 2022.2.13교향곡 25번 1악장모차르트피아노80.8s
202022.2.14 ~ 2022.2.27잃어버린 동전에 대한 분노베토벤피아노84.7s
212022.2.28 ~ 2022.3.13신세계로부터 4악장드보르작피아노81.5s
222022.3.14 ~ 2022.3.27봄의 노래멘델스존피아노63.2s
232022.3.28 ~ 2022.4.10라데츠키 행진곡요한 슈트라우스피아노75.5s
242022.4.11 ~ 2022.4.24콰이강의 다리프레더릭 릭켓츠피아노71.1s
252022.4.25 ~ 2022.5.8호두까기 인형 중 '사탕 요정의 춤'차이코프스키피아노68.4s
262022.5.9 ~ 2022.5.22알함브라 궁전의 추억프란시스코 타레가어쿠스틱 기타89.7s
272022.5.23 ~ 2022.6.5헝가리 무곡 5번브람스피아노73.0s
282022.6.6 ~ 2022.6.19여자의 마음베르디피아노85.0s
292022.6.20 ~ 2022.7.3현을 위한 세레나데 2악장 (Long Ver.)차이코프스키피아노136.3s
302022.7.4 ~ 2022.7.17사계 중 '여름' 3악장비발디피아노107.1s
312022.7.18 ~ 2022.7.31작은별 변주곡모차르트피아노101.0s
322022.8.1 ~ 2022.8.14운명 교향곡베토벤피아노95.3s
332022.8.15 ~ 2022.8.28산왕의 궁전에서그리그피아노85.8s
342022.8.29 ~ 2022.9.11검투사의 입장율리우스 푸치크피아노63.8s
352022.9.12 ~ 2022.9.25피아노 소나타 '열정' 3악장베토벤피아노87.6s
362022.9.26 ~ 2022.9.30라 캄파넬라*리스트피아노69.9s
길이는 공식 영상을 기준으로 하며, 실제로 플레이할 때는 어느 정도 오차가 있을 수 있다.
* 서비스 종료로 인해 10회차 곡으로 대체.

[각주]



3. 26회차[편집]


  • 기간 : 2022. 05. 09. ~ 2022. 05. 22.

클래식 기타 연주가이자 작곡가인 프란시스코 타레가는 현대 기타의 아버지란 별명으로도 불리며 대표적인 스페인 낭만주의 음악가로 꼽힌다. 이 곡은 프란시스코 타레가의 대표곡 중 동명의 드라마로도 잘 알려진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이다.


26'''{{{+1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
아티스트명
프란시스코 타레가
악기어쿠스틱 기타
길이89.7s




3.1. 26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26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4AD14287A2E13527ETQS2CDH
121.911s116.405s91.460s


4. 27회차[편집]


  • 기간 : 2022. 05. 23. ~ 2022. 06. 05.

〈헝가리 무곡 5번〉은 독일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브람스가 헝가리의 집시음악을 바탕으로 편곡한 곡이다. 헝가리 무곡은 모두 21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5번은 널리 알려진 대표곡으로 대중에게도 잘 알려진 곡이다.


27'''{{{+1
헝가리 무곡 5번
[[헝가리 무곡 제5번"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헝가리 무곡 제5번"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헝가리 무곡 5번
}}}'''
아티스트명
브람스
악기피아노
길이73.0s




4.1. 27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27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B6C11666D1A11242C6910831
104.593s104.554s104.544s


5. 28회차[편집]


  • 기간 : 2022. 06. 06. ~ 2022. 06. 19.

이탈리아 가극의 거장 베르디의 〈여자의 마음〉은 오페라 '라골레토' 제3막에 나오는 마노바 공작의 아리아이다. 변하기 쉬운 여자의 마음을 노래한 것으로 이 오페라 가운데 가장 유명한 곡이다. 추억의 CM송 '시간 좀 내주오, 갈 데가 있소~' 로도 쓰였던 곡이다.


28'''{{{+1
여자의 마음
[[리골레토"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리골레토"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여자의 마음
}}}'''
아티스트명
베르디
악기피아노
길이85.0s




5.1. 28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28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4AD142875FA08566A2E13527
115.728s115.705s115.682s


6. 29회차[편집]


  • 기간 : 2022. 06. 20. ~ 2022. 07. 03.

현을 위한 세레나데 2악장 '왈츠'는 러시아 후기 낭만 음악을 이끌어간 차이코프스키가 1880년 작곡한 곡이다. 차이코프스키가 여행하며 접한 다양한 음악들에게서 영향을 받아 작곡한 곡으로, 그의 관현악 작품들 중 가장 밝은 곡이자 각별한 애정을 가졌던 곡으로 알려져 있다.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서 대조적인 모습을 극적으로 연출하는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


29'''{{{+1
현을 위한 세레나데 2악장 (Long Ver.)
[["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현을 위한 세레나데 2악장 (Long Ver.)
}}}'''
아티스트명
차이코프스키
악기피아노
길이136.3s




6.1. 29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29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4AD14287A2E13527B6C11666
177.370s173.011s152.751s


7. 30회차[편집]


  • 기간 : 2022. 07. 04. ~ 2022. 07. 17.

〈사계〉는 이탈리아의 작곡가 안토니오 비발디가 1725년에 작곡한 사계절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곡이다. 사계 중 '여름' 3악장은 천둥이 치고 우박이 내려서 익은 열매를 모두 다 쓸어버리는 여름을 격정적이고 강렬하게 표현한 곡이다.


30'''{{{+1
사계 중 '여름' 3악장
[[사계"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사계"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사계 중 '여름' 3악장
}}}'''
아티스트명
비발디
악기피아노
길이107.1s




7.1. 30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30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CEB11904B6C116664AD14287
177.215s176.810s176.626s


8. 31회차[편집]


  • 기간 : 2022. 07. 18. ~ 2022. 07. 31.

이 곡은 프랑스의 민요 "Ah vous dirai-je, Maman"를 주제로 하여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1778년에 쓴 12개의 피아노 변주곡으로, 국내에는 '작은별 변주곡'이라는 제목으로 잘 알려져 있다. 우리에게도 익숙한 'ABC 송'과 멜로디가 같다.


31'''{{{+1
작은별 변주곡
[[아! 어머니께 말씀드리죠 주제에 의한 변주곡"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아! 어머니께 말씀드리죠 주제에 의한 변주곡"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작은별 변주곡
}}}'''
아티스트명
모차르트
악기피아노
길이101.0s




8.1. 31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31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4AD14287KQA36Y2SB6C11666
160.248s145.727s145.404s


9. 32회차[편집]


  • 기간 : 2022. 08. 01. ~ 2022. 08. 14.

베토벤의 〈교향곡 5번〉은 클래식 음악 중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이며 부제인 '운명' '운명 교향곡'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32'''{{{+1
운명 교향곡
[[교향곡 제5번(베토벤)"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교향곡 제5번(베토벤)"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운명 교향곡
}}}'''
아티스트명
베토벤
악기피아노
길이95.3s




9.1. 32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32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CEB11904B6C1166635710941
133.975s133.945s133.876s


10. 33회차[편집]


  • 기간 : 2022. 08. 15. ~ 2022. 08. 28.

'페르귄트 모음곡'은 노르웨이의 대표적인 작곡가 그리그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이다.

노르웨이의 민속 설화인 페르귄트를 소재로 하여 작곡된 모음곡 작품으로 노르웨이의 민족적 특색이 매우 잘 드러난 작품이다.

특히 페르귄트 모음곡 중 1번 <산왕의 궁전에서>는 다수의 영화 애니메이션 OST 테마로 활용되어 익숙한 곡이다.


33'''{{{+1
산왕의 궁전에서
[[페르 귄트 모음곡"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페르 귄트 모음곡"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산왕의 궁전에서
}}}'''
아티스트명
그리그
악기피아노
길이85.8s




10.1. 33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33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CQTH4GQXB6C116664AD14287
131.748s131.528s131.433s


11. 34회차[편집]


  • 기간 : 2022. 08. 29. ~ 2022. 09. 11.

〈검투사의 입장〉은 체코 작곡가 줄리어스 푸치크가 1897년에 작곡한 브라스 밴드 편성의 군사 행진곡이다.

서커스 음악, 디즈니랜드의 메인 스트리트 일렉트리컬 퍼레이드, TV 광고 음악, 이벤트 등 다양한 편성으로 접하여 제목은 몰라도 멜로디는 한 번쯤은 들어본 익숙한 곡이다.


34'''{{{+1
검투사의 입장
[["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검투사의 입장
}}}'''
아티스트명
율리우스 푸치크
악기피아노
길이63.8s




11.1. 34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34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CQTH4GQXB6C116664AD14287
100.260s100.110s99.883s


12. 35회차[편집]


  • 기간 : 2022. 09. 12. ~ 2022. 09. 25.

피아노 소나타 23번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작곡한 피아노 소나타로 1806년 완성되어 1807년 2월 빈에서 출판되었다. 격정적인 분위기 때문에 '열정'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35'''{{{+1
피아노 소나타 '열정' 3악장
[[피아노 소나타 23번(베토벤)"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피아노 소나타 23번(베토벤)"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피아노 소나타 '열정' 3악장
}}}'''
아티스트명
베토벤
악기피아노
길이87.6s




12.1. 35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35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CQTH4GQXB6C116664AD14287
165.756s165.637s160.272s

안녕하세요.

인피니티 시즌의 마지막 랭킹입니다.

그동안 더플레이어에 많은 애정을 쏟아주시고, 아껴주셨던 모든 유저분들께 감사의 인사와 죄송의 말씀드립니다.

안내드린바와 같이 더플레이어는 금주 금요일 (2022-09-30)에 서비스 종료를 앞두고 있습니다.

그동안 유저님들께서 보내주신 사랑과 성원에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이 지금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도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정말 많이 아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더플레이어 드림



13. 36회차[편집]


  • 기간 : 2022. 09. 26. ~ 2022. 09. 30.

라 캄파넬라는 프란츠 리스트가 1838년에 작곡하고 1851년에 개정한 바 있는 여섯 개의 연습곡 가운데 세 번째 곡이다.

이 연습곡은 활기찬 속도로 연주되며 피아노를 위해 작곡된 가장 어려운 곡 중 하나로 유명합니다.


36'''{{{+1
라 캄파넬라
[[La Campanella"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La Campanella"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라 캄파넬라
}}}'''
아티스트명
리스트
악기피아노
길이69.9s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7:05:43에 나무위키 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인피니티 랭킹전/26회차~36회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