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인피니티 랭킹전/1회차~25회차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인피니티 랭킹전

1. 개요
2. 둘러보기
3. 1회차
3.1. 1회차 명예의 전당
4. 2회차
4.1. 2회차 명예의 전당
5. 3회차
5.1. 3회차 명예의 전당
6. 4회차
6.1. 4회차 명예의 전당
7. 5회차
7.1. 5회차 명예의 전당
8. 6회차
8.1. 6회차 명예의 전당
9. 7회차
9.1. 7회차 명예의 전당
10. 8회차
10.1. 8회차 명예의 전당
11. 9회차
11.1. 9회차 명예의 전당
12. 10회차
12.1. 10회차 명예의 전당
13. 11회차
13.1. 11회차 명예의 전당
14. 12회차
14.1. 12회차 명예의 전당
15. 13회차
15.1. 13회차 명예의 전당
16. 14회차
16.1. 14회차 명예의 전당
17. 15회차
17.1. 15회차 명예의 전당
18. 16회차
18.1. 16회차 명예의 전당
19. 17회차
19.1. 17회차 명예의 전당
20. 18회차
20.1. 18회차 명예의 전당
21. 19회차
21.1. 19회차 명예의 전당
22. 20회차
22.1. 20회차 명예의 전당
23. 21회차
23.1. 21회차 명예의 전당
24. 22회차
24.1. 22회차 명예의 전당
25. 23회차
25.1. 23회차 명예의 전당
26. 24회차
26.1. 24회차 명예의 전당
27. 25회차
27.1. 25회차 명예의 전당




1. 개요[편집]


더플레이어의 인피니티 랭킹전 중 1회차부터 25회차까지 정리한 문서.


2. 둘러보기[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아이콘.svg



||
[ 목록 펼치기 · 접기 ]

회차기간곡명아티스트명악기길이
12021.5.24 ~ 2021.6.6카르멘 서곡비제피아노78.1s
22021.6.7 ~ 2021.6.20크시코스의 우편마차헤르만 네케피아노90.9s
32021.6.21 ~ 2021.7.4호두까기 인형 중 러시아의 춤 & 행진곡차이코프스키피아노85.2s
42021.7.5 ~ 2021.7.18윌리엄 텔 서곡조아키노 로시니피아노77.5s
52021.7.19 ~ 2021.8.1미뉴에트보케리니어쿠스틱 기타58.1s
62021.8.2 ~ 2021.8.15터키 행진곡모차르트피아노69.0s
72021.8.16 ~ 2021.8.29캉캉오펜바흐피아노84.9s
82021.8.30 ~ 2021.9.12젓가락 행진곡 변주곡 (Jazz ver.)유피미아 앨런피아노73.3s
92021.9.13 ~ 2021.9.26사계 중 '겨울' 1악장비발디피아노81.2s
102021.9.27 ~ 2021.10.10라 캄파넬라리스트피아노69.9s
112021.10.11 ~ 2021.10.24페르퀸트 모음곡 중 '아니트라의 춤'그리그피아노72.2s
122021.10.25 ~ 2021.11.7평균률 1번 프롤류드바흐어쿠스틱 기타67.2s
132021.11.8 ~ 2021.11.21즐거운 농부슈만피아노66.5s
142021.11.22 ~ 2021.12.5마왕슈베르트피아노69.5s
152021.12.6 ~ 2021.12.19사랑의 로망스작자 미상어쿠스틱 기타75.3s
162021.12.20 ~ 2022.1.2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요한 슈트라우스 2세피아노69.7s
172022.1.3 ~ 2022.1.16트럼펫 협주곡 3악장하이든피아노78.5s
182022.1.17 ~ 2022.1.30엔터테이너스콧 조플린피아노68.0s
192022.1.31 ~ 2022.2.13교향곡 25번 1악장모차르트피아노80.8s
202022.2.14 ~ 2022.2.27잃어버린 동전에 대한 분노베토벤피아노84.7s
212022.2.28 ~ 2022.3.13신세계로부터 4악장드보르작피아노81.5s
222022.3.14 ~ 2022.3.27봄의 노래멘델스존피아노63.2s
232022.3.28 ~ 2022.4.10라데츠키 행진곡요한 슈트라우스피아노75.5s
242022.4.11 ~ 2022.4.24콰이강의 다리프레더릭 릭켓츠피아노71.1s
252022.4.25 ~ 2022.5.8호두까기 인형 중 '사탕 요정의 춤'차이코프스키피아노68.4s
262022.5.9 ~ 2022.5.22알함브라 궁전의 추억프란시스코 타레가어쿠스틱 기타89.7s
272022.5.23 ~ 2022.6.5헝가리 무곡 5번브람스피아노73.0s
282022.6.6 ~ 2022.6.19여자의 마음베르디피아노85.0s
292022.6.20 ~ 2022.7.3현을 위한 세레나데 2악장 (Long Ver.)차이코프스키피아노136.3s
302022.7.4 ~ 2022.7.17사계 중 '여름' 3악장비발디피아노107.1s
312022.7.18 ~ 2022.7.31작은별 변주곡모차르트피아노101.0s
322022.8.1 ~ 2022.8.14운명 교향곡베토벤피아노95.3s
332022.8.15 ~ 2022.8.28산왕의 궁전에서그리그피아노85.8s
342022.8.29 ~ 2022.9.11검투사의 입장율리우스 푸치크피아노63.8s
352022.9.12 ~ 2022.9.25피아노 소나타 '열정' 3악장베토벤피아노87.6s
362022.9.26 ~ 2022.9.30라 캄파넬라*리스트피아노69.9s
길이는 공식 영상을 기준으로 하며, 실제로 플레이할 때는 어느 정도 오차가 있을 수 있다.
* 서비스 종료로 인해 10회차 곡으로 대체.

[각주]



3. 1회차[편집]


  • 기간: 2021. 05. 24. ~ 2021. 06. 06.

프랑스를 대표하는 작곡가 중의 한 사람인 비제(George Bizet, 1838-1875)가 1875년에 작곡한 오페라 <카르멘>은 프로스페르 메리메(P. Merimee)의 원작소설 <카르멘>을 토대로 하였다.

4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1820년경의 스페인의 세빌리아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1'''{{{+1
카르멘 서곡
[[카르멘"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카르멘"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카르멘 서곡
}}}'''
아티스트명
비제
악기피아노
길이78.1s




3.1. 1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1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5FA08566489135450DE08533
136.560s104.592s103.146s


4. 2회차[편집]


  • 기간: 2021. 06. 07. ~ 2021. 06. 20.

크시코스의 우편마차는 독일의 작곡가 헤르만 네케가 작곡한 밝고 경쾌한 갤럽풍의 춤곡으로, 피아노곡으로 편곡되어 어린이 연주곡으로 유명하다.


2'''{{{+1
크시코스의 우편마차
[[크시코스의 우편마차"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크시코스의 우편마차"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크시코스의 우편마차
}}}'''
아티스트명
[["display: none; display: 아티스트링크=inline@;"
헤르만 네케
악기피아노
길이90.9s




4.1. 2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2회차 명예의 전당.png
1위2위3위
F8F121075FA08566AD116266
147.279s146.969s146.926s


5. 3회차[편집]


  • 기간: 2021. 06. 21. ~ 2021. 07. 04.

호두까기 인형은 차이콥스키가 작곡한 발레 음악이자 모음곡으로서 종종 연주되고 있을 정도로 대중적인 음악이다.


3'''{{{+1
호두까기 인형 중 러시아의 춤 & 행진곡
[[호두까기 인형"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호두까기 인형"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호두까기 인형 중 러시아의 춤 & 행진곡
}}}'''
아티스트명
차이코프스키
악기피아노
길이85.2s




5.1. 3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3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F8F12107AD1162665FA08566
145.888s145.789s145.440s


6. 4회차[편집]


  • 기간: 2021. 07. 05. ~ 2021. 07. 18.

로시니가 작곡한 오페라 윌리엄 텔의 서곡입니다.

로시니의 39개의 오페라 중 마지막으로 1829년에 초연되었으며 클래식과 대중 매체에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4'''{{{+1
윌리엄 텔 서곡
[[기욤 텔 서곡"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기욤 텔 서곡"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윌리엄 텔 서곡
}}}'''
아티스트명
조아키노 로시니
악기피아노
길이77.5s




6.1. 4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4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AD116266F8F121079F210136
141.252s141.226s141.216s


7. 5회차[편집]


  • 기간: 2021. 07. 19 ~ 2021. 08. 01.

보케리니 현악 5중주 Op.11 5번의 미뉴에트는 이탈리아 출신의 고전시대 작곡가이자 첼로 연주자인 보케리니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이다.


5'''{{{+1
미뉴에트
[[미뉴에트"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미뉴에트"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미뉴에트
}}}'''
아티스트명
보케리니
악기어쿠스틱 기타
길이58.1s




7.1. 5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5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5FA085664AD14287AD116266
85.703s85.563s85.491s


8. 6회차[편집]


  • 기간: 2021. 08. 02. ~ 2021. 08. 15.

소나타 11번 A 장조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작곡한 피아노 소나타로 마지막 악장의 특징에 따라 터키행진곡이라고도 불린다.


6'''{{{+1
터키 행진곡
[[터키 행진곡"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터키 행진곡"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터키 행진곡
}}}'''
아티스트명
모차르트
악기피아노
길이69.0s




8.1. 6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6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5FA08566AD1162664AD14287
118.455s118.113s117.946s


9. 7회차[편집]


  • 기간 : 2021. 08. 16. ~ 2021. 08. 29.

자크 오펜바흐가 작곡한 오페라 부프 천국과 지옥은 2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막 2장에 나오는 캉캉 춤을 위한 음악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7'''{{{+1
캉캉
[[캉캉"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캉캉"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캉캉
}}}'''
아티스트명
오펜바흐
악기피아노
길이84.9s




9.1. 7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7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5FA08566AD1162664AD14287
137.549s137.477s130.005s


10. 8회차[편집]


  • 기간 : 2021. 08. 30. ~ 2021. 09. 12.

젓가락 행진곡은 널리 알려진 피아노를 위한 작은 왈츠이며, 초보자들도 쉽게 연주할 수 있는 피아노 연탄곡입니다.

(이 버전은 재즈 피아노로 편곡한 버전입니다.)


8'''{{{+1
젓가락 행진곡 변주곡 (Jazz ver.)
[[젓가락 행진곡"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젓가락 행진곡"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젓가락 행진곡 변주곡 (Jazz ver.)
}}}'''
아티스트명
[["display: none; display: 아티스트링크=inline@;"
유피미아 앨런
악기피아노
길이73.3s




10.1. 8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8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AD1162665FA085664AD14287
118.804s118.207s118.185s


11. 9회차[편집]


  • 기간 : 2021. 09. 13. ~ 2021. 09. 26.

사계는 이탈리아의 작곡가 안토니오 비발디가 1725년에 작곡한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작품 번호는 Opus 8, No. 1-4이다.

비발디의 바이올린 1235 협주곡 중에 가장 유명한 곡으로서 또한 가장 사랑받는 바로크 음악 중 하나이기도 하다.


9'''{{{+1
사계 중 '겨울' 1악장
[[사계"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사계"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사계 중 '겨울' 1악장
}}}'''
아티스트명
비발디
악기피아노
길이81.2s




11.1. 9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9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AD116266ABA156684AD14287
140.447s140.397s139.832s


12. 10회차[편집]


  • 기간 : 2021. 09. 27. ~ 2021. 10. 10.

라 캄파넬라는 프란츠 리스트가 1838년에 작곡하고 1851년에 개정한 바 있는 여섯 개의 연습곡 가운데 세 번째 곡이다.

이 연습곡은 활기찬 속도로 연주되며 피아노를 위해 작곡된 가장 어려운 곡 중 하나로 유명합니다.


10'''{{{+1
라 캄파넬라
[[La Campanella"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La Campanella"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라 캄파넬라
}}}'''
아티스트명
리스트
악기피아노
길이69.9s




12.1. 10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10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AD1162665FA085664AD14287
113.247s113.137s112.791s


13. 11회차[편집]


  • 기간 : 2021. 10. 11. ~ 2021. 10. 24.

노르웨이의 대표적인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그리그가 작곡한 아니트라의 춤은 페르귄트 제 1모음곡의 3번째 곡이다.


11'''{{{+1
페르퀸트 모음곡 중 '아니트라의 춤'
[[페르 귄트 모음곡"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페르 귄트 모음곡"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페르퀸트 모음곡 중 '아니트라의 춤'
}}}'''
아티스트명
그리그
악기피아노
길이72.2s




13.1. 11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11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AD1162664AD142875FA08566
102.808s102.435s102.430s


14. 12회차[편집]


  • 기간 : 2021. 10. 25. ~ 2021. 11. 07.

바흐 평균율 BWV 848에서 프렐류드는 푸가적인 면을 갖춘 복합 이 부분 형식이며 짧은 음가와 리듬의 사용으로 장조의 성격을 확실히 나타내주는 곡이다.


12'''{{{+1
평균률 1번 프롤류드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평균률 1번 프롤류드
}}}'''
아티스트명
바흐
악기어쿠스틱 기타
길이67.2s


  • 무려 100명 가까이 완주자가 나온 회차이다.


14.1. 12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12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AD1162669771480267013612
87.805s87.794s87.766s


15. 13회차[편집]


  • 기간 : 2021. 11. 08. ~ 2021. 11. 21.

로베르트 알렉산더 슈만이 1848년 작곡한 '즐거운 농부'는 43곡으로 구성된 어린이를 위한 앨범 피아노 소품집에 들어있는 10번째 곡입니다.


13'''{{{+1
즐거운 농부
[["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즐거운 농부
}}}'''
아티스트명
슈만
악기피아노
길이66.5s




15.1. 13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13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AD1162665FA085664AD14287
101.526s101.500s101.436s


16. 14회차[편집]


  • 기간 : 2021. 11. 22. ~ 2021. 12. 05.

<마왕 작품번호 1, D.328>은 슈베르트가 1815년 경에 작곡한 가곡이다.

괴테의 동명의 시에 피아노 곡을 붙인 것으로 작품 번호는 1번이다.


14'''{{{+1
마왕
[[마왕(음악)"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마왕(음악)"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마왕
}}}'''
아티스트명
슈베르트
악기피아노
길이69.5s




16.1. 14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14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AD1162665FA08566A2E13527
101.179s100.753s100.670s


17. 15회차[편집]


  • 기간 : 2021. 12. 06. ~ 2021. 12. 19.

스페인 민요인 '사랑의 로망스'는 클래식 기타리스트 Narciso Yepes의 연주 버전이 영화 '금지된 장난'의 주제곡으로 사용되면서 우리에게도 친숙한 클래식 기타 연주곡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5'''{{{+1
사랑의 로망스
[[로망스"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로망스"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사랑의 로망스
}}}'''
아티스트명
[["display: none; display: 아티스트링크=inline@;"
작자 미상
악기어쿠스틱 기타
길이75.3s




17.1. 15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15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5FA08566AD1162664AD14287
100.534s100.379s100.275s


18. 16회차[편집]


  • 기간 : 2021. 12. 20. ~ 2022. 01. 02.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는 1867년 요한 슈트라우스 2세가 만든 왈츠입니다.

2021년 세계적인 화제작 '오징어 게임'에서 456명의 참가자들이 게임을 시작할 때마다 흘러나온 음악이 바로 이 곡입니다.


16'''{{{+1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
}}}'''
아티스트명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악기피아노
길이69.7s




18.1. 16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16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AD1162665FA085664AD14287
99.146s99.121s99.095s


19. 17회차[편집]


  • 기간 : 2022. 01. 03. ~ 2022. 01. 16.

하이든의 '트럼펫 협주곡'은 트럼펫 독주곡 가운데 가장 유명한 곡으로 꼽힙니다.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이 곡은 지난 20여 년간 방송했던 '장학퀴즈'의 시그널 음악으로, '오징어 게임'에서는 참가자들의 하루 시작을 알리는 경쾌한 모닝콜 음악으로 사용되었다.


17'''{{{+1
트럼펫 협주곡 3악장
[["display: none; display: 곡앵커=inlinenone"
[["display: inline; display: 곡앵커=none@"
트럼펫 협주곡 3악장
}}}'''
아티스트명
하이든
악기피아노
길이78.5s




19.1. 17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17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5FA085664AD14287AD116266
118.834s116.341s114.810s


20. 18회차[편집]


  • 기간 : 2022. 01. 17. ~ 2022. 01. 30.

엔터테이너는 미국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스콧 조플린이 1902년 발표한 곡으로 재즈 초기의 춤곡인 래그타임 리듬이 특징인 곡이다.

영화 스팅의 주제곡으로도 사용되어 빌보드 차트에 오를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던 곡이다.




20.1. 18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18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AD1162665FA085664AD14287
108.012s107.407s107.404s


21. 19회차[편집]


  • 기간 : 2022. 01. 31. ~ 2022. 02. 13.

교향곡 25번은 모짜르트가 17세였던 1773년에 작곡되었다.

모차르트의 교향곡들 중 가장 인기 있는 작품 중 하나이며, 50여 곡의 교향곡 중 단조로 된 작품이라 이 곡과 교향곡 40번은 '작은 g단조'라고 불리기도 한다.

영화 아마데우스 배경 음악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21.1. 19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19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AD116266CF0075339A411246
136.006s135.900s135.822s


22. 20회차[편집]


  • 기간 : 2022. 02. 14. ~ 2022. 02. 27.

<론도 카프리치오>, 이 작품은 '잃어버린 동전에 대한 분노'라는 부제로 더 유명하다.

이 곡은 무척 빠른 곡이기 때문에 빠른 스피드와 익살스러우면서도 화려한 기교가 필요한 곡이다.



22.1. 20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20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AD1162664D5122855FA08566
141.689s141.002s140.960s


23. 21회차[편집]


  • 기간 : 2022. 02. 28. ~ 2022. 03. 13.

교향곡 9번 마단조 작품번호 95 신세계로부터는 "신세계 교향곡"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진 곡으로 1893년 작곡되었다.

이 작품은 드보르자크의 가장 유명한 교향곡이면서 현대 레퍼토리 중에서도 자주 연주되는 곡이다.



23.1. 21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21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AD11626697714802C2B13487
122.019s121.757s121.738s


24. 22회차[편집]


  • 기간 : 2022. 03. 14. ~ 2022. 03. 27.

1844년 작곡된 피아노 독주 작품집 '무언가' 중 5번째 곡인 봄의 노래는 독일 낭만주의 작곡가 멘델스존의 작품이다.

'무언가'란 말 그대로 가사가 없는 노래를 말한다. 단순한 형식이지만 아름다운 장식을 적절히 배치했으며, 새롭게 시작되는 봄의 설레는 기쁨을 잘 표현했다.



24.1. 22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22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AD1162665FA085664AD14287
97.864s85.867s85.809s


25. 23회차[편집]


  • 기간 : 2022. 03. 28. ~ 2022. 04. 10.

'라데츠키 행진곡'은 왈츠의 아버지라 불렸던 요한 슈트라우스가 1848년 작곡한 곡으로 오스트리아의 유명한 장군인 '라데츠키'의 이름을 따서 제목을 붙인 곡이다.




25.1. 23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23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AD116266497150124AD14287
131.842s131.733s131.687s


26. 24회차[편집]


  • 기간: 2022. 04. 11. ~ 2022. 04. 24.

행진곡 <콰이강의 다리>는 영국군 군악대장을 역임한 프레데릭 조셉 릭켓츠가 케네스 조셉 알포도라는 예명을 사용하여 1917년에 발표한 행진곡이다. 2차 대전 당시 버마 정글 속에 있던 포로수용소를 배경으로 한 영화 콰이강의 다리에서 영국군 포로들이 휘파람으로 연주하는 '콰이 마치'의 원곡이기도 합니다.




26.1. 24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24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CEB119044AD142875FA08566
106.327s106.107s106.087s


27. 25회차[편집]


  • 기간 : 2022. 04. 25. ~ 2022. 05. 08.

〈사탕 요정의 춤〉은 러시아의 작곡가 차이코프스키의 발레모음곡 '호두까기 인형' 중 2막 다섯 번째곡의 세 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곡이다. 원곡에서는 건반악기 첼레스타를 사용하여 현악 피치카토와 잘 어우러져 신비로운 선율을 연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27.1. 25회차 명예의 전당[편집]


파일:더플레이어 인피니티 25회차 명예의 전당.jpg
1위2위3위
4AD142875FA08566A2E13527
107.548s107.478s107.26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