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개인 기록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1. A매치 개인 기록
1.1. A매치 최다 출전 선수
1.2. A매치 최다 득점 선수
1.3. A매치 최연소 득점 순위
1.4. A매치 최고령 득점 순위
2. FIFA 개인 기록
2.1. FIFA 월드컵 득점 선수
2.2.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명단
3. EAFF E-1 풋볼 챔피언십 개인 기록
3.1.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최다 출전 선수
3.2.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최다 득점 선수
3.3.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득점 선수
4. 올림픽 개인 기록
4.1. 올림픽 득점 선수
5. AFC U-23 아시안컵 개인 기록
5.1. AFC U-23 아시안컵 득점 선수
6. FIFA U-20 월드컵 개인 기록
6.1. FIFA U-20 월드컵 득점 선수
7. 관련 문서



1. A매치 개인 기록[편집]



1.1. A매치 최다 출전 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순위이름활동기간경기수득점 (실점)비고
1홍명보1990-200213710
2차범근[1]1972-1978, 1986136581976 올림픽 예선 6경기 2득점 포함, 1986년 월드컵 본선 조별리그 3경기
3이운재1994-2010133(115)
4이영표1999-20111275
5유상철1994-200512418
=김호곤1971-197912451972, 76 올림픽 예선 7경기 포함
7손흥민2010-11539
8조영증1975-198611311976, 80 올림픽 예선 11경기 포함
9기성용2008-201911010
10박성화1975-1984107261976 올림픽 예선 6경기 포함
11이동국1998-201710533
=김태영1992-20041053
13허정무1974-1986104301976, 1980 올림픽 예선 12경기 2득점 포함
14황선홍1988-200210350
=김영권2010-1037
16박지성2000-201110013
=조광래1975-1986100151980 올림픽 예선 6경기 4득점 포함
※ 현역 선수는 한글 이름을 볼드체 표기한다.[2]
※ 최종 수정 및 출처 : 2022년 12월 6일, 대한축구협회 선수별 A매치 기록

[1] 역대 최연소 센추리 클럽 가입자.[2] 현역 선수이지만 국가대표에서 공식 은퇴한 선수는 제외한다.


1.2. A매치 최다 득점 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순위이름활동기간경기수득점
1차범근1972-1978, 1986[1]136[2]58[3]
2황선홍1988-200210350
3손흥민2010-11539
4박이천1969-19748836
5김재한1972-19795833
=이동국1998-201710533
7김도훈1994-20037230
=최순호1980-19919630
=허정무1974-1986104[4]30[5]
10최용수1995-20036927
=이영무1975-19818527
=김진국1972-19789727
※ 현역 선수는 한글 이름을 볼드체 표기한다.[6]
※ 최종 수정 및 출처 : 2023년 3월 24일, 대한축구협회 선수별 A매치 기록

[1] 78년 12월을 끝으로 분데스리가 진출을 위해 서독으로 건너갔기 때문에 무려 86년 6월 멕시코 월드컵 본선까지 단 하나의 경기에도 출전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때 참가하였던 월드컵 본선 3경기에 모두 출전하고 이 대회를 끝으로 국가대표에서 은퇴한다.[2] FIFA 공식 기록은 130경기[3] FIFA 공식 기록은 56골[4] FIFA 공식 기록은 92경기[5] FIFA 공식 기록은 28골[6] 현역 선수이지만 국가대표에서 공식 은퇴한 선수는 제외한다.


1.3. A매치 최연소 득점 순위[편집]


[ 펼치기 · 접기 ]

순위이름첫 득점 시 나이생년월일비고
1고종수18세 87일1978년 10월 30일[1]1997년 1월 25일 호주 4개국대회 vs 뉴질랜드
2손흥민18세 194일1992년 7월 8일2011년 1월 18일 아시안컵 vs 인도
3최순호18세 228일1962년 1월 10일1980년 8월 25일 대통령배 국제축구 vs 인도네시아 (* 데뷔전)
4이천수18세 271일1981년 7월 9일2000년 4월 5일 아시안컵 예선 vs 라오스 (* 데뷔전)
5김종부18세 294일1965년 1월 13일1983년 11월 3일 올림픽 예선 vs 중국
6차범근18세 354일1953년 5월 22일1972년 5월 10일 아시안컵 본선 vs 크메르(현 캄보디아)
7최태욱19세 25일1981년 3월 13일2000년 4월 7일 아시안컵 예선 vs 몽골 (* 데뷔전)
8정상빈19세 75일2002년 4월 1일2021년 6월 9일 월드컵 예선 vs 스리랑카전 (* 데뷔전)
9장정19세 85일1964년 5월 5일1983년 7월 29일 4개국 친선대회 vs 과테말라 (* 데뷔전)
10박지성19세 103일1981년 2월 25일2000년 6월 7일 LG컵 친선대회 vs 마케도니아
11강성진19세 120일2003년 3월 26일2022년 7월 20일 2022 EAFF E-1 풋볼 챔피언십 vs 홍콩
12신연호19세 177일1964년 5월 8일1983년 11월 1일 LA 올림픽 아시아 1차 예선 vs 태국 (* 데뷔전)
13노정윤19세 181일1971년 3월 28일1990년 9월 25일 아시안게임 vs 파키스탄
14김주성19세 185일1966년 1월 17일1985년 7월 21일 월드컵 2차예선 vs 인도네시아 (* 데뷔전)
15지동원19세 216일1991년 5월 28일2010년 12월 30일 친선경기 vs 시리아 (* 데뷔전)
16김종건19세 219일1964년 3월 29일1983년 11월 3일 LA 올림픽 아시아 1차 예선 vs 중국 (* 데뷔전)
17엄지성19세 229일2002년 5월 9일2022년 1월 15일 친선경기 vs 아이슬란드 (* 데뷔전)
18기성용19세 230일1989년 1월 24일2008년 9월 10일 월드컵 최종예선 vs 북한
19김은중19세 240일1979년 4월 8일1998년 12월 4일 아시안게임 vs 베트남
20서정원19세 266일1970년 12월 17일1990년 9월 9일 친선경기 vs 호주
21이태형19세 288일1964년 9월 1일1984년 6월 3일 대통령배 국제축구 vs 과테말라
22박병철19세 288일1954년 11월 25일1974년 9월 9일 아시안게임 vs 이라크
23박주영19세 328일1985년 7월 10일2005년 6월 3일 월드컵 예선 vs 우즈벡 (* 데뷔전)
24김진규19세 338일1985년 2월 16일2005년 1월 19일 친선경기 vs 파라과이
※ 현역 선수는 한글 이름을 볼드체 표기한다.[2]
※ 최종 수정 및 출처 : 2022년 5월 8일, 대한축구협회 선수별 A매치 기록

[1] 정황상 출생 신고를 2년 늦게 했다는 것이 정설.[2] 현역 선수이지만 국가대표에서 공식 은퇴한 선수는 제외한다.


1.4. A매치 최고령 득점 순위[편집]


[ 펼치기 · 접기 ]

순위이름득점 시 나이생년월일비고
1김용식39세 275일1910년 7월 15일1950년 4월 15일 친선경기 vs 홍콩 (홍콩)
2정국진37세 120일1917년 1월 2일1954년 5월 2일 마닐라 아시안게임 vs 홍콩 (필리핀 마닐라)
3정남식37세 77일1917년 2월 16일1954년 5월 4일 마닐라 아시안게임 vs 아프가니스탄 (필리핀 마닐라)
4이동국35세 168일1979년 4월 29일2014년 10월 14일 친선경기 vs 코스타리카 (서울)
5염기훈34세 261일1983년 3월 30일생2017년 12월 16일 동아시안컵 vs 일본 (일본 도쿄)
6우상권34세 159일1929년 12월 22일1964년 5월 31일 친선경기 베트남 (서울)
7최정민34세 113일1927년 7월 7일1961년 10월 28일 친선경기 버마 (버마 랑군)
8최진철34세 21일1971년 10월 26일2005년 11월 16일 친선경기 vs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서울)
9황선홍33세 325일1968년 7월 14일2002년 6월 4일 한일 월드컵 vs 폴란드 (부산)
10김도훈33세 136일1970년 7월 21일2003년 12월 4일 동아시아대회 vs 홍콩 (일본)
※ 기준 및 출처 : 2018년 08월 01일, 대한축구협회 각종 기록



2. FIFA 개인 기록[편집]



2.1. FIFA 월드컵 득점 선수[편집]


||


  • 대한민국이 월드컵에서 낳은 득점 선수는 26명이며 총 39골을 기록했다. 39골 중 31골(81.6%)을 후반전에 넣었다.[1]

  • 지금까지 월드컵에서 4골 이상 득점한 대표팀 선수는 아직 없으머 3골이 안정환, 박지성, 손흥민까지 3명이다. 2골을 넣은 선수는 7명(김영권, 유상철, 이정수, 이청용, 조규성, 홍명보, 황선홍)이며, 총 16명의 선수가 1골을 기록했다.

  • 안정환과 손흥민은 두 대회에서 3골을 넣었고, 박지성은 세 대회에서 3골을 넣었다. 공교롭게도 3명 모두는 전부 첫 월드컵에 출전한 이후 차기 대회에서 등번호를 바꾸어 출전한 적이 있다.[2]

  • 월드컵에서 연속골을 기록한 선수는 유상철과 손흥민 2명으로, 유상철은 1998 프랑스 월드컵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 벨기에전과 2002 한일 월드컵 조별리그 첫 경기 폴란드전에서 연속골을 넣어 두 대회에 걸쳐 넣은 연속골 기록이다. 손흥민은 2018 러시아 월드컵 조별리그 두번째 경기 멕시코전과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 독일전에서 연속골을 넣으며 한국인 최초로 한 대회에서 연속골을 넣은 선수로 이름을 남겼다.

  • 월드컵에서 한 경기에 멀티골을 기록한 최초의 선수는 조규성[3]이다.

  • 조별리그와 토너먼트 경기에서 모두 득점을 기록한 선수는 안정환과 이청용 둘 뿐이다.[4]

2.2.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명단[편집]


[ 펼치기 · 접기 ]

순위선수 및 현 소속 구단출전 횟수첫 경기마지막 경기
1홍명보은퇴137회1990.02.04
(vs 노르웨이)
2002.11.20
(vs 브라질)
2차범근은퇴136회1972.05.07
(vs 이라크)
1986.06.10
(vs 이탈리아)
3이운재은퇴131회1994.06.11
(vs 온두라스)
2010.08.11
(vs 나이지리아)
4이영표은퇴127회1999.06.12
(vs 멕시코)
2011.01.28
(vs 우즈베키스탄)
5유상철은퇴120회1994.09.11
(vs 우크라이나)
2005.06.03
(vs 우즈베키스탄)
6김호곤은퇴117회1971.10.04
(vs 대만)
1979.03.04
(vs 일본)
7손흥민토트넘 홋스퍼 FC116회2010.12.30
(vs 시리아)
2023.11.21
(vs 중국)
8기성용FC 서울110회2008.09.05
(vs 요르단)
2019.01.07
(vs 필리핀)
9김태영은퇴104회1992.10.21
(vs UAE)
2004.07.19
(vs 요르단)
이동국은퇴104회1998.05.16
(vs 자메이카)
2017.09.05
(vs 우즈베키스탄)
11김영권울산 현대103회2010.08.11
(vs 나이지리아)
2023.10.17
(vs 베트남)
12조영증은퇴102회1975.03.19
(vs 베트남)
1986.10.05
(vs 사우디아라비아)
황선홍은퇴102회1988.12.06
(vs 일본)
2002.11.20
(vs 브라질)
14박성화은퇴101회1975.07.29
(vs 말레이시아)
1984.12.10
(vs 카타르)
15박지성은퇴100회2000.04.05
(vs 라오스)
2011.01.25
(vs 일본)
FIFA 센추리 클럽 명단 기준 (2023.11.21. 기준)
※ FIFA에서 공인한 기록과 대한축구협회에서 집계한 기록은 차이가 있다. 대한축구협회 선수별 A매치 기록실 참고.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FIFA 센추리 클럽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EAFF E-1 풋볼 챔피언십 개인 기록[편집]



3.1.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최다 출전 선수[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최다 출전 선수
[ 펼치기 · 접기 ]

순위이름출전 대회경기수득점 (실점)
1김신욱2013, 2015, 201793
이운재2003, 2005, 20109-7
3염기훈2008, 2013, 201773
장현수2013, 2015, 201771
김영권2013, 2015, 201970
김진수2013, 2017, 201970
7이동국2005, 201062
이재성2015, 201761
정우영2015, 201761
김두현2003, 2005, 201061
김정우2005, 201061
이근호2008, 2010, 201760
현역 선수는 한글 이름을 볼드체 표기한다.[1]

[1] 현역 선수이지만 국가대표에서 공식 은퇴한 선수는 제외한다.


3.2.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최다 득점 선수[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최다 득점 선수
[ 펼치기 · 접기 ]

순위이름출전 대회경기수득점 (실점)
1염기훈2008, 2013, 201773
2김신욱2013, 2015, 201793
3박주영2005, 200822
4황인범201932
이승렬201032
6이동국2005, 201062
현역 선수는 한글 이름을 볼드체 표기한다.[1]

[1] 현역 선수이지만 국가대표에서 공식 은퇴한 선수는 제외한다.


3.3.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득점 선수[편집]



[각주]



4. 올림픽 개인 기록[편집]



4.1. 올림픽 득점 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1호2호3호4호5호

최성곤
13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16강전

배종호
30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16강전

정국진
63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16강전

정국진
66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16강전

정남식
87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16강전
6호7호8호9호10호

이이우
59분
파일:체코 국기.svg
C조 1차전

노수진
14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조 3차전

정재권
73분
파일:모로코 국기.svg
C조 1차전

서정원
28분
파일:스웨덴 국기.svg
C조 3차전

윤정환
41분
파일:가나 국기.svg
C조 1차전
11호12호13호14호15호

이기형
62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C조 3차전

이천수
53분
파일:모로코 국기.svg
B조 2차전

이동국
28분
파일:칠레 국기.svg
B조 3차전

김동진
43분
파일:그리스 국기.svg
A조 1차전

루카스 빈트라(OG)
64분
파일:그리스 국기.svg
A조 1차전
16호17호18호19호20호

김정우
16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A조 2차전

조재진
57분
파일:말리 국기.svg
A조 3차전

조재진
59분
파일:말리 국기.svg
A조 3차전

아다마 탐부라(OG)
64분
파일:말리 국기.svg
A조 3차전

이천수
74분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8강전
21호22호23호24호25호

이천수
79분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8강전

박주영
68분
파일:카메룬 국기.svg
D조 1차전

김동진
23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D조 3차전

박주영
57분
파일:스위스 국기.svg
B조 2차전

김보경
64분
파일:스위스 국기.svg
B조 2차전
26호27호28호29호30호

지동원
28분
파일:영국 국기.svg
8강전

박주영
37분
파일:일본 국기.svg
3·4위전

구자철
56분
파일:일본 국기.svg
3·4위전

류승우
32분
파일:피지 국기.svg
C조 1차전

권창훈
62분
파일:피지 국기.svg
C조 1차전
31호32호33호34호35호

권창훈
63분
파일:피지 국기.svg
C조 1차전

류승우
63분
파일:피지 국기.svg
C조 1차전

손흥민
72분
파일:피지 국기.svg
C조 1차전

석현준
77분
파일:피지 국기.svg
C조 1차전

석현준
90분
파일:피지 국기.svg
C조 1차전
36호37호38호39호40호

류승우
90+3분
파일:피지 국기.svg
C조 1차전

황희찬
25분
파일:독일 국기.svg
C조 2차전

손흥민
57분
파일:독일 국기.svg
C조 2차전

석현준
87분
파일:독일 국기.svg
C조 2차전

권창훈
77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C조 3차전
41호42호43호44호45호

마리우스 마린(OG)
26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B조 2차전

엄원상
59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B조 2차전

이강인
85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B조 2차전

이강인
89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B조 2차전

황의조
11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B조 3차전
46호47호48호49호50호

원두재
18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B조 3차전

황의조
48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B조 3차전

황의조
51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B조 3차전

김진야
63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B조 3차전

이강인
81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B조 3차전
51호52호53호54호55호

이동경
20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8강전

이동경
51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8강전

황의조
90+1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8강전
--
* 만 23세 이하 선수로 연령 제한이 생긴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이전의 득점 기록도 포함.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AFC U-23 아시안컵 개인 기록[편집]



5.1. AFC U-23 아시안컵 득점 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1호2호3호4호5호

임창우
43분
파일:요르단 국기.svg
A조 1차전

백성동
32분
파일:미얀마 국기.svg
A조 2차전

윤일록
61분
파일:미얀마 국기.svg
A조 2차전

문창진
78분
파일:미얀마 국기.svg
A조 2차전

김경중
62분
파일:오만 국기.svg
A조 3차전
6호7호8호9호10호

윤일록
80분
파일:오만 국기.svg
A조 3차전

백성동
3분
파일:시리아 국기.svg
8강전

황의조
11분
파일:시리아 국기.svg
8강전

문창진
20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C조 1차전

문창진
48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C조 1차전
11호12호13호14호15호

권창훈
14분
파일:예멘 국기.svg
C조 2차전

권창훈
31분
파일:예멘 국기.svg
C조 2차전

권창훈
41분
파일:예멘 국기.svg
C조 2차전

류승우
72분
파일:예멘 국기.svg
C조 2차전

김승준
76분
파일:예멘 국기.svg
C조 2차전
16호17호18호19호20호

김현
22분
파일:이라크 국기.svg
C조 3차전

문창진
23분
파일:요르단 국기.svg
8강전

류승우
48분
파일:카타르 국기.svg
4강전

권창훈
89분
파일:카타르 국기.svg
4강전

문창진
90+5분
파일:카타르 국기.svg
4강전
21호22호23호24호25호

권창훈
20분
파일:일본 국기.svg
결승전

진성욱
47분
파일:일본 국기.svg
결승전

조영욱
29분
파일:베트남 국기.svg
D조 1차전

이근호
73분
파일:베트남 국기.svg
D조 1차전

이근호
18분
파일:호주 국기.svg
D조 3차전
26호27호28호29호30호

한승규
44분
파일:호주 국기.svg
D조 3차전

이근호
65분
파일:호주 국기.svg
D조 3차전

조재완
1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8강전

한승규
85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8강전

황현수
58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4강전
31호32호33호34호35호

이동준
90+3분
파일:중국 국기.svg
C조 1차전

이동준
23분
파일:이란 국기.svg
C조 2차전

조규성
34분
파일:이란 국기.svg
C조 2차전

오세훈
5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C조 3차전

오세훈
71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C조 3차전
36호 37호38호39호40호

조규성
16분
파일:요르단 국기.svg
8강전

이동경
90+4분
파일:요르단 국기.svg
8강전

김대원
55분
파일:호주 국기.svg
4강전

이동경
75분
파일:호주 국기.svg
4강전

정태욱
113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결승전
41호 42호43호44호45호

이상민
31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C조 1차전

김태환
48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C조 1차전

조영욱
89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C조 1차전

조영욱
90+2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C조 1차전

조영욱
64분
파일:베트남 국기.svg
C조 2차전
46호47호48호49호50호

고재현
35분
파일:태국 국기.svg
C조 3차전

???
??분
파일: 국기.svg
?조 ?차전

???
??분
파일: 국기.svg
?조 ?차전

???
??분
파일: 국기.svg
?조 ?차전

???
??분
파일: 국기.svg
?조 ?차전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FIFA U-20 월드컵 개인 기록[편집]



6.1. FIFA U-20 월드컵 득점 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1호2호3호4호5호

이태호
63분
파일:캐나다 국기.svg
C조 2차전

곽성호
7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B조 1차전

최순호
12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B조 1차전

최순호
29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B조 1차전

이경남
88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B조 1차전
6호7호8호9호10호

노인우
29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A조 2차전

신연호
89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A조 2차전

김종건
16분
파일:호주 국기.svg
A조 3차전

김종부
34분
파일:호주 국기.svg
A조 3차전

신연호
54분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8강전
11호12호13호14호15호

신연호
104분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8강전

김종부
14분
파일:브라질 국기.svg
준결승전

이기근
37분
파일:폴란드 국기.svg
3-4위전

조인철
88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조 1차전

최철
89분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A조 2차전
16호17호18호19호20호

최철
40분
파일:브라질 국기.svg
8강전

스티브 왓슨(OG)
57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C조 1차전

이기형
39분
파일:미국 국기.svg
C조 3차전

이기형
52분
파일:미국 국기.svg
C조 3차전

박진섭
54분
파일:프랑스 국기.svg
B조 2차전
21호22호23호24호25호

박진섭
68분
파일:프랑스 국기.svg
B조 2차전

이관우
56분
파일:브라질 국기.svg
B조 3차전

정석근
73분
파일:브라질 국기.svg
B조 3차전

이정민
89분
파일:브라질 국기.svg
B조 3차전

김건형
37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D조 1차전
26호27호28호29호30호

설기현
3분
파일:말리 국기.svg
D조 3차전

나희근
22분
파일:말리 국기.svg
D조 3차전

설기현
35분
파일:말리 국기.svg
D조 3차전

이동국
69분
파일:말리 국기.svg
D조 3차전

이호진
51분
파일:독일 국기.svg
F조 1차전
31호32호33호34호35호

이종민
70분
파일:독일 국기.svg
F조 1차전

최성국
38분
파일:일본 국기.svg
16강전

신영록
25분
파일:스위스 국기.svg
F조 1차전

박주영
89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F조 2차전

백지훈
90+2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F조 2차전
36호37호38호39호40호

신영록
38분
파일:미국 국기.svg
D조 1차전

심영성
83분
파일:브라질 국기.svg
D조 2차전

신영록
89분
파일:브라질 국기.svg
D조 2차전

이상호
71분
파일:폴란드 국기.svg
D조 3차전

김민우
71분
파일:독일 국기.svg
C조 2차전
41호42호43호44호45호

김영권
23분
파일:미국 국기.svg
C조 3차전

김보경
42분
파일:미국 국기.svg
C조 3차전

구자철
75분
파일:미국 국기.svg
C조 3차전

김보경
55분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16강전

김민우
60분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16강전
46호47호48호49호50호

김민우
70분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16강전

박희성
31분
파일:가나 국기.svg
8강전

김동섭
82분
파일:가나 국기.svg
8강전

김경중
50분
파일:말리 국기.svg
A조 1차전

장현수
80분
파일:말리 국기.svg
A조 1차전
51호52호53호54호55호

김영욱
50분
파일:프랑스 국기.svg
A조 2차전

권창훈
51분
파일:쿠바 국기.svg
B조 1차전

류승우
83분
파일:쿠바 국기.svg
B조 1차전

류승우
45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B조 2차전

김현
76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B조 2차전
56호57호58호59호60호

송주훈
16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16강전

권창훈
25분
파일:이라크 국기.svg
8강전

이광훈
50분
파일:이라크 국기.svg
8강전

정현철
120+2분
파일:이라크 국기.svg
8강전

이승우
36분
파일:기니 국기.svg
A조 1차전
61호62호63호64호65호

임민혁
76분
파일:기니 국기.svg
A조 1차전

백승호
81분
파일:기니 국기.svg
A조 1차전

이승우
18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조 2차전

백승호
42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조 2차전

이상헌
36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6강전
66호67호68호69호70호

김현우
69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F조 2차전

오세훈
42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F조 3차전

조영욱
57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F조 3차전

오세훈
84분
파일:일본 국기.svg
16강전

이강인
62분
파일:세네갈 국기.svg
8강전
71호72호73호74호75호

이지솔
90+8분
파일:세네갈 국기.svg
8강전

조영욱
96분
파일:세네갈 국기.svg
8강전

최준
39분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준결승전

이강인
5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결승전

이승원
22분
파일:프랑스 국기.svg
F조 1차전
76호77호78호79호80호

이영준
64분
파일:프랑스 국기.svg
F조 1차전

김용학
58분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F조 2차전

박승호
62분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F조 2차전

이영준
11분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16강전

배준호
19분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16강전
81호82호83호84호85호

최석현
48분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16강전

최석현
95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8강전

이승원
23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준결승전

이승원
24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3위 결정전
-
* 14호 ~ 16호 골은 1991년 남북 단일팀으로 출전한 대회에서 기록한 골이다. 이 대회의 기록은 대한민국의 기록으로 합산된다.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의 r320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의 r320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문서의 r6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문서의 r6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7:58:19에 나무위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개인 기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 외 전반 8골, 연장 1골을 기록 중인데, 전반전 8골 중 5골이 2002, 2010 월드컵에서 나왔다. 또한, 전•후반 통틀어 추가시간에 6득점을 했다.[2] 안정환은 2002년 19번에서 2006년과 2010년에 9번을 달았고, 박지성은 2002년 21번에서 2006년과 2010년에 7번을 달았으며, 손흥민은 2014년 9번에서 2018년과 2022년에 7번을 달았다. 그러나 안정환의 경우 2010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경기에 출전하지 않았다.[3] 아시아 선수로서는 최초가 아닌데 왜냐하면 같은 대회에서 이란의 메흐디 타레미가 조별리그 잉글랜드전에서 2골을 터뜨리면서 아시아 선수 최초로 월드컵 멀티골을 기록했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메흐디 타레미는 1골이 페널티킥 골이었고 조규성은 2골 모두 필드골이었고 또한 2골 다 헤더로 나온 골이었다.[4] 의외의 사실이지만 그 유명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도 월드컵 토너먼트 경기에서 골이 2022년 현재 단 한 골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