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나(깨어난 마녀)

덤프버전 : (♥ 0)



파일:dana.webp파일:(캐릭터이름)4돌.webp
기본돌파 4단계 달성 시 개방

1. 인형 소개
2. 작중 행적
3. 스킬
4. 전용 장비
5. 캐릭터 파일
5.1. 기본 정보
5.2. 배경 스토리
6. 의상
6.1. 스킨 이름
7. 대사
8. 평가
9. 기타


1. 인형 소개[편집]


호수의 여신
이름다나
등급SR
인형 유형파일:아이콘_깨마마도형.webp
마도형
원소 속성파일:아이콘_깨마수은.webp
수은
일러스트Sola
성우오오츠 아이리


2. 작중 행적[편집]




3. 스킬[편집]


1 스킬
이미지이름효과
파일:정령의 부름모든 아군의 HP를 자신 공격력의 180%만큼 회복시키고, 10초 동안 모든 아군이 받는 피해를 12% 감소시킨다.
레벨Lv. 1Lv. 2Lv. 3Lv. 4Lv. 5
HP회복180%210%240%270%300%
피해 감소12%14%16%18%20%
에너지질서 2혼돈 0

2 스킬
이미지이름효과
파일:구슬 워터볼단일 적에게 공격력 50%만큼의 마법 피해를 5회 입히고, 10초 동안 받는 피해를 8% 증가시킨다, 최대 40%까지 중첩가능하다
레벨Lv. 1Lv. 2Lv. 3Lv. 4Lv. 5
대미지50%55%60%65%70%
에너지질서 0혼돈 4

패시브
이미지이름효과
파일:passive.webp공허의 기억정령의 부름 시전 시, [Lv.n]% 확률로 모든 아군이 걸린 디버프를 제거한다
레벨Lv. 1Lv. 2
확률50%100%


4. 전용 장비[편집]


파일:(캐릭터 이름)장비.webp(설명)
장비 스테이터스 (Lv.1 / Lv.11/ Lv.21/Lv.31/Lv.41/Lv.51)
(효과 설명)- / - / - / - / - / -
(효과 설명)- / - / - / - / - / -

전용 장비가 없다.


5. 캐릭터 파일[편집]



5.1. 기본 정보[편집]


캐릭터 정보
성별
연령?
신장172cm
생일10월 20일
출신정령의 호수
취향연주, 시가


5.2. 배경 스토리[편집]


배경 스토리
배경 스토리오픈 조건내용
1인연레벨 3 달성정령의 호수의 생물 모두가 숭배하는 여신으로 하이엘프의 우두머리이다.
전에 정령의 호수 주민들을 이끌고
함께 고대 마신의 침입을 저지했으며,
유성의 검희와 함께 마신 가디아를 물리치고 세계를 구했다.
2인연레벨 6 달성그 이후 다나는 줄곧 정령의 호수 바닥에 잠들어 있다가,
그녀의 백성들이 또다시 위험에 빠지면
다시 소생하여 정령의 숲과 백성들을 지켰다고 한다.
하지만 십여 년 전,
어떤 사람이 호숫가에서 한 기품 있는 여성을 봤는데, 전설 속의 여신 다나와 똑 닮아있었다고 한다.
3인연레벨 7 달성마야우엘은 다나의 시녀로,
그녀가 잠에 빠지기 전 정령의 숲을 지키며 포크로어의 보호자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 다른 시녀인 미나이어는 정령의 호수를 수호했는데,
두 사람은 업무를 명확하게 나누어 함께 정령의 호수를 관리했고,
외부 세계와는 시종일관 거리를 유지했다.
4인연레벨 9 달성포크로어는 엘프의 가장 고귀한 혈통을 계승하였다.
어머니에 대한 그녀의 설명을 통해 그녀의 어머니가 다나라는 것을 쉽게 추측할 수 있다.
하지만 포크로어의 아버지의 신분에 대해서는
엘프족 전체가 아무도 감히 언급을 하지 않는데, 그들에게는 금기인 것 같다.
호수의 리듬은 다나가 엘프들을 이끌고 마신을 처치한 것을 읊조린 곡으로,
그녀가 다시 잠들기 전 이 곡을 포크로어에게 전수해 주었다.


6. 의상[편집]



6.1. 스킨 이름[편집]




7. 대사[편집]


인연 음성1
인연 음성2
인연 음성3
인연 음성4
상호작용1
상호작용2
상호작용3
상호작용4
상호작용5
레벨업
돌파
진화
선물 증정1
선물 증정2
방치
마녀 정원1
마녀 정원2
마녀 정원3
마녀 정원4
등장
편성
던전 탐색
제단
대화1
대화2
대화3
대화4
기분1
기분2
자기소개
전투 시작
스킬1
스킬2
피격
부활
전투 승리
전투 실패
처치


8. 평가[편집]




9.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22:57:51에 나무위키 다나(깨어난 마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