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덤프버전 : (♥ 0)

||


파일:KartLeague Logo W.svg 역대 카트라이더 리그 일람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SINGLE CHAMPION
이재혁김다원NEAL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TEAM CHAMPION
BLADES파일:BLADES_logo.png
BLADES
Liiv SANDBOX

파일:김다원 우승.jpg
파일:블레이즈 우승.jpg

파일:KL_2022_1.png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대회 기간2022년 2월 26일 ~ 5월 7일
주최파일:넥슨 로고.svg
주관파일:빅픽처인터렉티브.png
제작지원파일:신한은행 베이직 로고.svg
경기장파일:IVEX STUDIO.png[오프라인]
LVUP 스튜디오[온라인]
스폰서파일:신한은행_헤이영_로고.jpg파일:BenQ_3D_Lg.png
중계
[ 펼치기 · 접기 ]

중계 플랫폼TV
-
온라인
파일:KL_2022_1.p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중계진
캐스터성승헌
해설자정준김대겸
카트걸최시은
프리쇼 패널박인재[1]

[1] 사전방송에서 밴픽분석을 담당한다.
일정
[ 펼치기 · 접기 ]

팀전
8강 풀리그2월 26일 ~ 4월 13일
포스트 시즌4월 16일 ~ 5월 7일
결승전5월 7일
개인전
32강2월 26일 ~ 3월 26일
16강4월 2일 ~ 4월 23일
결승전4월 30일

결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팀전개인전
BLADES김다원
준우승팀전개인전
KWANGDONG FREECS박인수


1. 개요
3. 참가 팀
4. 상금
5. 경기 일정
8. 출전 선수
8.1. 팀전
8.2. 개인전
9. 서브 코너 영상 및 삽입곡
9.1. 카트라이더 리그 Q&A
9.2. 2022 카++
9.3. K LIVE
9.4. 2022 카트리그 시즌 1 전지적 카트시점 Weekly Best
9.5. 팝콘각
9.6. 부스톡
10. 경기 진행
12. 퍼펙트 게임
13. 트랙별 베스트 레코드
13.1. 스피드 팀전
13.2. 개인전
15. 여담
15.1. 일정 관련
15.2. 공식 홈페이지 관련
15.3. 예선 문제 관련
15.4. 중계사 관련
15.5. 리그 진행 관련




1. 개요[편집]


오프닝 타이틀
넥슨이 주최하는 33번째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리그.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리그 기간: 온라인/오프라인 예선 진행 후 2022년 2월 26일 ~ 2022년 5월 7일
  • 경기 방식: 스피드/아이템 팀전과 스피드 개인전으로 나누어 실시
  • 결승 장소: 광명 IVEX 스튜디오
  • 결승 관중 수: 300명 (매진)[1]
    • 결승 온라인 생중계 최고 동시 시청자 수: 1만 5천명
  • 리그 평균 시청자 수: 6천여명


2. 시즌 전 스토브리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스토브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22년 1월부터 리그 그랑프리, 팀전 로스터 리빌딩 및 팀 지원 프로젝트 신청, 개인전/팀전 128강 예선전을 진행하여 2월 26일부터 5월 7일까지 본선을 진행한다.


3. 참가 팀[편집]


||
[ 펼치기 · 접기 ]




4. 상금[편집]


총 상금
₩ 200,000,000
결과개인전팀전
우승₩ 10,000,000₩ 100,000,000
준우승₩ 5,000,000₩ 40,000,000
3위₩ 3,000,000₩ 20,000,000
4위₩ 200,000₩ 8,000,000
5위₩ 200,000₩ 4,000,000
6 ~ 8위₩ 3,000,000

상금은 지난 2021 시즌 2와 동일하다.


5. 경기 일정[편집]



날짜[참고]팀전개인전
2월 12일 (토)온라인 예선
2월 13일 (일)온라인 예선
2월 14일 (월)팀전 대진/개인전 조 추첨
2월 26일 (토)8강 풀리그 1경기
8강 풀리그 2경기
32강 A조
3월 2일 (수)8강 풀리그 3경기
8강 풀리그 4경기
3월 5일 (토)8강 풀리그 5경기
8강 풀리그 6경기
32강 B조
3월 9일 (수)8강 풀리그 7경기
8강 풀리그 8경기
8강 풀리그 2경기[PSvsLTE]
3월 12일 (토)8강 풀리그 9경기
8강 풀리그 10경기
32강 C조
3월 16일 (수)8강 풀리그 11경기
8강 풀리그 12경기
8강 풀리그 7경기[2]
3월 19일 (토)8강 풀리그 13경기
8강 풀리그 14경기
32강 D조
3월 23일 (수)8강 풀리그 15경기
8강 풀리그 16경기
8강 풀리그 11경기[3]
8강 풀리그 2경기
3월 26일 (토)8강 풀리그 17경기
8강 풀리그 18경기
32강 패자부활전
(각 조 4, 5위)
3월 30일 (수)8강 풀리그 19경기
8강 풀리그 20경기
8강 풀리그 2경기[PSvsLTE]
4월 2일 (토)8강 풀리그 21경기
8강 풀리그 22경기
16강 1경기
4월 6일 (수)8강 풀리그 23경기
8강 풀리그 24경기
8강 풀리그 19경기[4]
4월 9일 (토)8강 풀리그 25경기
8강 풀리그 26경기
16강 2경기
4월 13일 (수)8강 풀리그 27경기
8강 풀리그 28경기
4월 16일 (토)와일드카드전
(풀리그 4위 vs [풀리그 5위)
16강 승자전
(16강 1, 2경기 1 ~ 4위)
4월 20일 (수)준플레이오프
(풀리그 3위 vs 와일드카드전 승리팀)
결승 진출전
(풀리그 1위 vs 풀리그 2위)
4월 23일 (토)16강 패자전
(16강 1경기, 2경기 5 ~ 8위)
16강 최종전
(16강 승자전 5 ~ 8위, 16강 패자전 1 ~ 4위)
4월 27일 (수)플레이오프
(결승 진출전 패배팀 vs 준플레이오프 승리팀)
4월 30일 (토)결승전
(16강 승자전, 최종전 1 ~ 4위)
5월 7일 (토)결승전
(결승 진출전 승리팀 vs 플레이오프 승리팀)

지난 2021-1 시즌처럼 이번 시즌도 개인전, 팀전 결승을 같은 날에 치루는 것이 아닌 따로 치룰 예정이다.

[ 리그 위원회 2차 회의 논의로 개정된 일정 관련 코로나 운영 매뉴얼 ]
  • 변경된 정부 방역 지침에 따라 코로나 운영 매뉴얼 일부 변경됨
    • 백신 미접종자 대상 신속항원검사 결과 제출 의무화 해제
    • 정부 방역 지침에 맞춰, 밀접 접촉자 인원은 선제적인 자가진단 키트를 통해 음성인 경우 접종력과 별개로 리그 참가 가능

  • 팀전 8강 진행 간 선수로 인한 코로나 확진자 발생 시, 일정 조정은 팀별로 최대 2회까지 가능하며, 이후에는 일정 조정 없이 경기 진행함
    • 팀전 8강 진행 간 2회 일정 조정 이후에도 5인 로스터 팀에서 1인 확진 시, 별도의 일정 조정 없이 4인으로 즉시 참가[1]
    • 팀전 8강 진행 간 2회 일정 조정 이후에도 4인 로스터 팀에서 추가적인 확진자 발생 시, 즉시 패배 처리
    • 단, 확진자 발생으로 일정 조정을 진행하였음에도, 추가적인 확진 판정으로 참가가 어려운 경우 각 팀에서는 아래 항목의 ‘임시 로스터 추가 제도’를 활용할 수 있음
    • 팀전 포스트 시즌 간 확진자 발생 시 대응 매뉴얼은, 이후 포스트 시즌 진출팀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논의 예정임

  • 코로나로 인해 경기 일정이 조정되는 경우, 운영진은 해당 상황 발생 72시간 기준으로 뒤에 배정되어 있는 경기를 앞당겨 배치할 수 있음

  • 2021 시즌2 진행 간 도입했었던 ‘임시 로스터 추가 제도’를 일부 보완하여 2022 시즌1 간에도 운영
    • 위 문단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확진자 발생으로 일정 조정을 진행하였음에도, 추가적인 확진 판정 등으로 일정에 참가가 어려운 경우 활용 가능
    • 임시 추가되는 로스터 인원은 규정 내 ‘제 3장 선수 자격’에 결격 사유가 없어야 하며, 팀전 본선에 참가하지 않은 인원이어야 함
    • 특수 상황임을 인정하여, 별도의 인원 수 제한, 혹은 등록 기간의 제한은 없음
    • 특수 상황임을 인정하여, 기업팀은 선수와 상호 합의하에 최소 지원금의 지급이 없어도 로스터 추가 가능함
    • 단, 임시 로스터 추가 시 사전에 다른 팀들에게도 해당 사실을 공지해야 함.
    • 로스터를 교체하는 것이 아닌 임시로 로스터에 추가하는 것이므로, 기존 인원이 복귀하는 경우 팀 자체적으로 추가 및 방출에 대한 결정권을 가짐
    • 현 코로나 시국은 천재지변에 준하는 상황이므로, 코로나19를 사유로 부득이하게 리그 기권을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페널티를 부여하지 않음
[1] 이에 따라 2경기, 7경기가 연기된 LATTE 팀은 만약 연기 횟수가 2회에 해당된다면 더 이상 경기를 미룰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리그 운영 관계자가 확진되어 리그 자체가 운영 중단되지 않는 한 경기 취소나 연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더 줄어들 전망이다.

[ 2022년 4월 8일에 변경된 코로나19 대응 매뉴얼 안내 ]
  • 확진자 발생 시, 확진자 본인이 리그 참가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 본인이 격리하는 장소에서 온라인으로 참가함
  • 화면 공유를 통한 설정값 확인 및 후방 카메라를 통한 실시간 확인 및 불심 검문 등, 부정행위 방지 조치 진행
  • 확진 인원 외 나머지 인원은 기존과 동일하게 현장에서 경기 참가
  • 격리 장소에서 윈도우 10, 모니터 144Hz 를 구성하는 것 자체가 어려울 경우, 운영진이 리그용 PC/모니터를 해당 장소에 배송함



6. 온라인 예선[편집]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온라인 예선 문서에서 전국 단위 온라인 예선전 진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리그 개막 이전 일정표는 다음과 같다.

1.13 ~ 1.26온라인 그랑프리 진행
1.20 ~ 1.30예선 참가자 모집 / 팀 지원 프로젝트 신청
1.31 ~ 2.02설 연휴
2.04팀 지원 프로젝트 팀 발표
2.08온라인 예선 참가자 발표
2.12 ~ 2.13온라인 예선 진행
2.14조 추첨식
2.26 ~ 5.07본선 진행


7. 규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규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출전 선수[편집]



8.1. 팀전[편집]


선수 이름 아래의 문구는 해당 선수가 팀전에서 거둔 최고 성적을 의미한다. 참고로 ★ 1개 당 팀전 우승 1회, ⍟ 1개 당 팀전 우승 5회를 나타낸다.

파일:2022_S1_Team_BD.png

파일:blades_logo.png
BLADES BD
HYBRIDSPEED ACESWEEPER 파일:crwn.pngMIDDLE
배성빈
★★★
유창현
★★★★
최영훈
김지민

홀수해의 샌드박스를 뚫고 수퍼컵 우승을 차지한 블레이즈가 2연속 우승에 도전한다. 지난 시즌 유창현을 제외하면 기복이 있는 모습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결승에서 압도적으로 샌드박스를 짓누르고 우승한 모습을 이번 시즌에도 재현해낼 수 있을지 기대되는 팀이다. 거기에 리브 샌드박스와 더불어 유이하게 리빌딩이 이루어지지 않은 팀이기에 이 팀합을 어떻게 이용해 나갈지가 관건이다. 하지만, 문호준의 방송에서 만약 다음 시즌까지 스폰서를 구하지 못한다면 2022 시즌 1을 끝으로 해체될 수도 있다고 밝혔기에 구단의 앞길이 불투명해지고 말았다.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BD-○○○


파일:2022_S1_Team_LSB.png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Liiv SANDBOX LSB
HYBRIDSPEED ACE 파일:crwn.pngRUNNERSWEEPER
김승태
박인수
★★★★
정승하
★★
박현수
★★★

지난 시즌 3연속 우승에 실패한 리브 샌드박스가 다시 왕좌를 노린다. 다섯번의 시즌동안 리빌딩 없이 유지된 굳건한 팀워크와 피지컬이 이번 시즌에도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을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거기에 홀수해의 샌드박스와는 달리 짝수해에는 부진하는 징크스를 어떻게 헤쳐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여부도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LSB-○○○


파일:2022_S1_Team_KDF.png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KWANGDONG FREECS KDF
SWEEPERRUNNERSPEED ACE 파일:crwn.pngITEM ACEHYBRID
노준현
3위
이재혁
준우승
유영혁
이은택
★★★★
송용준
준우승

광동 프릭스는 지금껏 좋은 모습을 보여도 아쉽게 결승 진출에 실패하며 단단한 블샌 구도를 깨오지 못했었다. 그러나 이 구도를 깰 강력한 전력인 이재혁, 송용준을 영입함으로써 블샌 구도를 깨부수고 3강 체제에 돌입할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광동 프릭스는 지금까지 잦은 리빌딩으로 인해 잘 맞지 않았던 팀합을 이번 시즌에는 잘 추스려 나갈 수 있을지가 관건이겠다.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KDF-○○○


파일:2022_S1_Team_GP.png
파일:Team GP white Logo.png
Team GP GP
RUNNERMIDDLEITEM ACE 파일:crwn.pngSPEED ACEHYBRID
고병수
첫 출전
정유민
4위
강석인
★★★★
임재원
3위
박민호
7위

지난 시즌 갑작스레 모습을 드러낸 Team GP는 종합 순위 4위로 좋은 출발을 알렸고, 이번 시즌에 아이템과 스피드 모든 면에서 전력보강을 하며 현 3강 체제에 도전장을 내놓았다. 카트 리그에 몇 안되는 최상급 아이템 전력 강석인과 지난 시즌 좋은 모습을 보였던 선수들과의 팀합이 잘 맞는지에 대한 여부가 앞으로의 시즌 행보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애매한 에결 카드도 누구를 정해서 나올지가 중요한 포인트.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GP-○○○


파일:2022_S1_Team_PS.png
파일:Phase Logo.png
Phase PS
MIDDLEHYBRIDSPEED ACE 파일:crwn.pngITEM ACESWEEPER
한승민
첫 출전
홍성민
첫 출전
최은성
첫 출전
권순우
첫 출전
윤서형
첫 출전

팀원 전원이 리그 첫 출전이나,[5] 여러 번 도전해 인지도가 있는 선수들인 만큼[6]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가 기대되는 팀이다. 그러나 개막 이전부터 선수 한 명이 코로나19 확진으로 일정이 연기되어 뒤숭숭한 분위기를 바로잡는 것부터 해결해야 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모든 팀원이 이전 리그에서 활약했던 선수와 이름이 비슷하다.[7]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PS-○○○ [8]


파일:2022_S1_Team_DDK.png
파일:DDK_2022_S1.png
DDK DDK
MIDDLESPEED ACE 파일:crwn.pngSWEEPERRUNNER
김현중
첫 출전
박정익
첫 출전
신민석
첫 출전
곽현호
첫 출전

팀원 전원이 첫 출전이고 1명의 기권으로 4인 체제라는 조금은 불리한 여건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때문에 리그 짬이 있는 네임드 선수들을 상대로 무기력하게 기죽는 모습만을 보여줘서는 안 된다.[9][10] 두두카팀을 본선에서 드디어 보게 된다.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DDK-○○○


파일:2022_S1_Team_AX.png
파일:AxelZ Logo.png
AxelZ AX
SPEED ACEHYBRIDSWEEPER 파일:crwn.pngRUNNERITEM ACE
김다원
첫 출전
전진우
5위
박대한
6위
안정환
첫 출전
한정진
6위

포스트시즌은 5팀 진출이기에 4개의 아마팀 중 한 팀은 반드시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는데, 아마추어 팀 중에서는 포스트시즌이 가장 유력한 팀으로 점쳐지고 있다. 참고로 예선을 뚫은 아마추어팀 4팀 중 Latte와 더불어 다른 팀과 경기전적이 있는 유이한 팀.[11] 리그 데뷔시즌에 16강까지 간 안정환, 프로팀에 들어간 적도 있고 경험이 나름 많은 박대한과 전진우, Gsi에서 눈도장을 찍은 김다원까지 있고, 대부분이 개인전, 팀전 모두 첫 출전인 다른 아마추어 팀과는 달리 리그 경험이 어느 정도는 있는 선수들이라 초반에 헤매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AX-○○○


파일:2022_S1_Team_LTE.png
파일:LATTE Logo.png
latte LTE
RUNNERSPEED ACESWEEPERHYBRIDITEM ACE 파일:crwn.png
윤여민
첫 출전
황혁
첫 출전
최준혁
첫 출전
권효진
첫 출전
김택진
7위

사실상 프로팀이었던 G-Dynamite를 이기고 올라와 나름 기대를 받고 있는 팀이다. 참고로 예선을 뚫은 아마추어팀 4팀 중 AXelZ와 더불어 다른 팀과 경기전적이 있는 유이한 팀.[12] 김안드라는 이름으로 유명했던 윤여민이나 무려 전대웅을 에결에서 이긴 황혁 등 스피드전 전력은 뛰어나지만, 아이템전은 김택진을 제외하면 거의 아이템전을 접해보지 않은 선수들이라 김택진이 어떻게 조율해 나갈지가 관건이다. 그래도 그 짧은 아이템전 입문 기간에 이들을 가르친 사람이 다름아닌 강석인이고, 본선에서 혼신의 힘을 다한다면 절망적인 기록을 남기지는 않을 것이다.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LTE-○○○

8.2. 개인전[편집]


본선 시드는 지난 수퍼컵 시즌 성적과 관계없이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3위 이내 선수에게 부여한다.[13]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


A조
파일:KDF_2022_시즌1_이재혁.png파일:SB_2022_시즌1_정승하.png파일:BD_2022_시즌1_최영훈.png파일: 2022_S1_우성민.png
이재혁정승하최영훈우성민
★★★★4위4위12위
파일:2022_S1_추영범.png파일:2022_S1_강다훈.png파일:PS_2022_시즌1_윤서형.png파일:SB_2022_시즌1_김승태.png
추영범강다훈윤서형김승태
첫 출전첫 출전첫 출전

B조
파일:BD_2022_시즌1_유창현.png파일:2022_S1_김현민.png파일:2022_S1_이해원.png파일:KDF_2022_시즌1_노준현-2.png
유창현김현민이해원노준현
25위첫 출전4위
파일:AXelZ_2022_시즌1_전진우.png파일:AX_2022_시즌1_김다원.png파일:2022_시즌1_신민식.png파일:2022_S1_김우준.png
전진우김다원신민식김우준
23위첫 출전19위첫 출전

C조
파일:SB_2022_시즌1_박현수.png파일:GP_2022_시즌1_임재원.png파일:2022_시즌1_심우혁.png파일:2022_S1_나인창(2).png
박현수임재원심우혁나인창[14]
3위12위27위첫 출전
파일:SB_2022_시즌1_박인수.png파일:latte_2022_시즌1_윤여민.png파일:KDF_2022_시즌1_송용준-2.png파일:2022_S1_이창한.png
박인수윤여민송용준이창한[실격]
준우승첫 출전준우승첫 출전

D조[15]
파일:KDF_2022_S1_유영혁.png파일:2022_S1_박장훈.png파일:PS_2022_시즌1_홍성민.png파일:AXelZ_2022_시즌1_안정환.png
유영혁박장훈홍성민안정환
★★첫 출전첫 출전16위
파일:2022_S1_전대웅.png파일:2022_시즌1_조상인.png파일:BD_2022_시즌1_배성빈.png파일:latte_2022_시즌1_황혁.png
전대웅조상인배성빈황혁[실격]
준우승첫 출전3위첫 출전

9. 서브 코너 영상 및 삽입곡[편집]


이번 대회 배경음악으로는 올림 바단조로 된 락 음악이 상당히 많이 사용되었다. 또 팀전과 개인전 경기 시작 음악이 달라졌고 팀전 시작 음악에서는 특이하게 6/8박자 락 음악이 사용되었다. 락 음악을 주로 사용하던 VSPN 시절 21 슈퍼컵 시즌과 비슷하면서도 상당히 다른 부분.[16]


9.1. 카트라이더 리그 Q&A[편집]


제작진이 직접 카트라이더 e스포츠 유튜브에 출연해 진행하는 Q&A. 2021-1 시즌부터 진행된다.

회차날짜비고제목
1회2022.01.28-올 한해 카트리그, 많은 관심 바랍니다!
2회2022.03.11[17]이번 시즌 코로나 운영 대응 매뉴얼
3회2022.03.31-시즌1 현장 관람 여부에 대해
4회2022.04.29-2022 카트리그 시즌2의 일정은?

9.2. 2022 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리그 ++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3. K LIVE[편집]


매주 토요일 경기 종료 후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으로 팬미팅겸 토크쇼이다.
단, 개인전/팀전 결승전 K LIVE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회차날짜비고업로드 일자
1회2022.03.05-파일:Liiv SANDBOX 로고.svg Liiv SANDBOX
박인수, 정승하, 김승태, 박현수
2회2022.03.12-파일:AxelZ Logo.png AxelZ
김다원, 전진우, 박대한, 안정환, 한정진
3회2022.03.19-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KWANGDONG FREECS
이은택, 유영혁, 송용준, 이재혁, 노준현
4회2022.03.26-파일:blades_logo.png BLADES
유창현, 배성빈, 최영훈, 김지민
5회2022.04.02-파일:Team_GP_logo.png Team GP
고병수, 박민호, 정유민, 임재원, 강석인
6회2022.04.09[18]파일:DDK_2022_S1.png DDK
박정익, 김현중
파일:LATTE Logo.png LATTE
황혁, 권효진
파일:Phase Logo.png Phase
권순우, 한승민
7회2022.04.16-파일:AxelZ Logo.png AxelZ
김다원, 박대한, 안정환, 전진우, 한정진
8회2022.04.23-파일:logo_kart.png 개인전 16강 최종전 생존 선수
배성빈, 김다원, 송용준, 강다훈
9회2022.04.30-파일:logo_kart.png 개인전 우승자
김다원
10회2022.05.07-파일:logo_kart.png 팀전 우승팀 파일:blades_logo.png BLADES
유창현, 배성빈, 최영훈, 김지민

9.4. 2022 카트리그 시즌 1 전지적 카트시점 Weekly Best[편집]


전지적 카트시점이라는 이름으로 그때 그 선수에게 어떤 일이 있었는지 궁금한 유저들을 위해 한 주간 있었던 경기에서 최고의 경기를 뽑아서 그 경기에서 각 선수의 화면을 볼 수 있는 동영상을 매주 목요일에 업로드하고 있다. 이전 시즌들의 전카시와 다르게 위클리 탑5와 합쳐진 것의 영향으로 아이템전 개인 화면 역시 개별 옵저버로 녹화하여 함께 공개되기도 한다.

또한 이전에는 하나의 경기만을 선정, 8명의 시점을 모두 보여주었으나 이번부터는 여러 개의 경기를 선정, 일부 선수의 시점만을 보여준다.
업로드 일자경기 날짜경기라운드선수트랙링크
2022.03.102022.03.05개인전 32강 B조ROUND 8김다원노준현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UND 4노준현동화 잠자는 숲속의 거인
팀전 8강 6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AxelZ Logo.png1SET ROUND 5김승태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
1SET ROUND 3김다원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 좌표
2022.03.02팀전 8강 3경기 파일:BLADES_logo.png vs 파일:AxelZ Logo.png김지민문힐시티 폭우 속의 질주
1SET ROUND 2배성빈카멜롯 펜드래건 캐슬
2022.02.26개인전 32강 A조ROUND 9김승태동화 잠자는 숲속의 거인
ROUND 1이재혁동화 잠자는 숲속의 거인
팀전 8강 1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ROUND 4노준현WKC 브라질 서킷
2022.03.172022.03.09팀전 8강 8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Phase Logo.png1SET ROUND 2한승민빌리지 운명의 다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SET ROUND 3박인수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
2SET ROUND 2김승태코리아 전주 한옥마을
2022.03.12팀전 8강 9경기 파일:BLADES_logo.png vs 파일:Team_GP_logo.png1SET ROUND 3정유민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
1SET ROUND 4유창현문힐시티 폭우 속의 질주
2SET ROUND 1마비노기 티르 코네일
팀전 8강 10경기 파일:AxelZ Logo.png vs 파일:DDK_2022_S1.png1SET ROUND 1전진우마비노기 이멘 마하
개인전 32강 C조ROUND 3박인수월드 이탈리아 피사의 사탑
2022.03.242022.03.16팀전 8강 12경기 파일:AxelZ Logo.png vs 파일:LATTE Logo.png1SET ROUND 2김다원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SET ROUND 4박대한코리아 인천 센트럴파크
8강 7경기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LATTE Logo.png1SET ROUND 4유영혁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
2SET ROUND 2광산 뽀글뽀글 용암굴
2022.03.19팀전 8강 14경기 파일:BLADES_logo.png vs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1SET ROUND 1배성빈마비노기 이멘 마하
1SET ROUND 2송용준팩토리 부비트랩 공장 탐험
1SET ROUND 3이재혁코리아 부산의 밤
2SET ROUND 3배성빈비치 수상비행장
개인전 32강 D조ROUND 6전대웅사막 오래된 송수관
2022.03.312022.03.23팀전 8강 15경기 파일:Team_GP_logo.png vs 파일:Phase Logo.png2SET ROUND 3강석인광산 3개의 지름길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팀전 8강 16경기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AxelZ Logo.png1SET ROUND 3이재혁WKC 브라질 서킷
2SET ROUND 4박대한비치 수상비행장
팀전 8강 11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Team_GP_logo.png1SET ROUND 2박현수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
2022.03.26팀전 8강 17경기 파일:LATTE Logo.png vs 파일:BLADES_logo.png1SET ROUND 3김지민코리아 부산의 밤
2SET ROUND 1유창현마비노기 티르 코네일
팀전 8강 18경기 파일:DDK_2022_S1.png vs 파일:Liiv SANDBOX 로고.svg2SET ROUND 2김승태코리아 인천 센트럴파크
32강 패자부활전ROUND 1유창현마비노기 바올 던전
ROUND 4김우준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
ROUND 8나인창아이스 부서진 빙산
2022.04.072022.03.30팀전 8강 20경기 파일:Team_GP_logo.png vs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1SET ROUND 2정유민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SET ROUND 5유영혁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
2022.04.02팀전 8강 21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blades_logo.png1SET ROUND 3박인수팩토리 부비트랩 공장 탐험
2SET ROUND 2최영훈광산 3개의 지름길
2SET ROUND 4김승태빌리지 시계탑
2SET ROUND 5김지민광산 뽀글뽀글 용암굴
개인전 16강 1경기ROUND 3정승하코리아 다이나믹 서울
ROUND 8유창현쥐라기 공룡섬 대모험
ROUND 11이재혁동화 잠자는 숲속의 거인
2022.04.142022.04.06팀전 8강 23경기 파일:DDK_2022_S1.png vs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2SET ROUND 2송용준아이스 신나는 하프파이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팀전 8강 24경기 파일:Phase Logo.png vs 파일:blades_logo.png1SET ROUND 2최영훈카멜롯 펜드래건 캐슬
2SET ROUND 1권순우마비노기 티르 코네일
팀전 8강 19경기 파일:Phase Logo.png vs 파일:AxelZ Logo.png1SET ROUND 2최은성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 좌표
2022.04.09팀전 8강 25경기 파일:Team_GP_logo.png vs 파일:AxelZ Logo.png3SET ACE김다원빌리지 운명의 다리
팀전 8강 26경기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Phase Logo.png2SET ROUND 2이은택코리아 인천 센트럴파크
개인전 16강 2경기ROUND 1노준현마비노기 바올 던전
ROUND 9김다원쥐라기 공룡섬 대모험
2022.04.212022.04.16팀전 와일드카드전 파일:AxelZ Logo.png vs 파일:Team_GP_logo.png1SET 1ROUND고병수마비노기 이멘 마하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SET 2ROUND전진우아이스 설산 다운힐
1SET 4ROUND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 좌표
1SET 5ROUND김다원문힐시티 폭우 속의 질주
1SET 6ROUND정유민WKC 브라질 서킷
2SET 3ROUND강석인아이스 신나는 하프파이프
2SET 5ROUND한정진차이나 서안 병마용
개인전 16강 승자전ROUND 7박현수코리아 다이나믹 서울
ROUND 5박인수해적 상어섬의 비밀
ROUND 8이재혁노르테유 전투비행장
ROUND 11노준현아이스 부서진 빙산
2022.04.282022.04.20팀전 준플레이오프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AxelZ Logo.png1SET ROUND 4전진우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SET ROUND 5박인수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 좌표
2SET ROUND 6박현수광산 뽀글뽀글 용암굴
팀전 결승 진출전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blades_logo.png1SET ROUND 2노준현카멜롯 펜드래건 캐슬
1SET ROUND 3유영혁아이스 설산 다운힐
1SET ROUND 4김지민빌리지 운명의 다리
2SET ROUND 3이재혁비치 수상비행장
2SET ROUND 6이은택아이스 신나는 하프파이프
2022.04.23개인전 16강 패자전ROUND 8김승태쥐라기 공룡섬 대모험
개인전 16강 최종전ROUND 6김다원해적 상어섬의 비밀
ROUND 11배성빈쥐라기 공룡섬 대모험
2022.05.042022.04.27팀전 플레이오프 파일:blades_logo.png vs 파일:Liiv SANDBOX 로고.svg1SET ROUND 2최영훈문힐시티 폭우 속의 질주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SET ROUND 3박현수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
1SET ROUND 4정승하빌리지 운명의 다리
2SET ROUND 5최영훈공동묘지 어둠의 박쥐성
2022.04.30개인전 결승전ROUND 2김다원월드 이탈리아 피사의 사탑
ROUND 3박인수동화 잠자는 숲속의 거인
ROUND 7강다훈노르테유 전투비행장
ROUND 12송용준아이스 부서진 빙산
ROUND 15박인수포레스트 지그재그
2SET ROUND 4김다원쥐라기 공룡섬 대모험
2022.05.112022.05.07팀전 결승전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blades_logo.png1PHASE 1SET 1R노준현마비노기 이멘 마하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PHASE 1SET 2R송용준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 좌표
1PHASE 1SET 3R노준현문힐시티 폭우 속의 질주
1PHASE 2SET 2R유창현공동묘지 어둠의 박쥐성
1PHASE 2SET 4R최영훈빌리지 댐 위의 대결
1PHASE 3SET ACE유창현문힐시티 폭우 속의 질주
2PHASE 1SET 1R최영훈마비노기 이멘 마하
2PHASE 1SET 3R이재혁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
2PHASE 1SET 4R유창현카멜롯 펜드래건 캐슬
2PHASE 2SET 3R코리아 인천 센트럴파크

9.5. 팝콘각[편집]


매주 일요일에 업로드 되는 선수들의 승리 경기 자체 리뷰 컨텐츠.
회차날짜게스트제목
1회2022.03.06파일:Team_GP_logo.png Team GP
강석인, 정유민, 임재원, 고병수, 박민호
Team GP에서 일어난 하극상(?)
2회2022.03.13파일:Liiv SANDBOX 로고.svg Liiv SANDBOX
박인수, 박현수, 김승태, 정승하
막내 ON TOP
3회2022.03.20파일:AxelZ Logo.png AxelZ
김다원, 전진우, 박대한, 안정환, 한정진
너도 잘하고 나도 잘하고 우리도 잘한 천하제일 자랑 대회
4회2022.03.27너무 잘해서 또 촬영해버렸지 뭐야~
5회2022.04.03파일:Phase Logo.png Phase
윤서형, 한승민, 홍성민, 최은성, 권순우
Phase, 플레이오프에 도전!
6회2022.04.10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KWANGDONG FREECS
유영혁, 이은택, 노준현, 이재혁, 송용준
이재혁 레코드 갱신한 썰 들을 사람 손🙋‍♂️🙋‍♀️
7회2022.04.17파일:blades_logo.png BLADES
최영훈, 김지민, 유창현, 배성빈
물폭탄으로 슈퍼플레이 만들기 참 쉽죠?
8회2022.04.24파일:Liiv SANDBOX 로고.svg Liiv SANDBOX
박인수, 박현수, 김승태, 정승하
옵저버님 이건 잡아주셨어야죠..
9회2022.05.01파일:blades_logo.png BLADES
최영훈, 김지민, 유창현, 배성빈
BLADES, 극적인 결승 진출 순간!

9.6. 부스톡[편집]


화제의 트랙에서 벌어진 부스 내 브리핑 대화 상황을 보여주는 컨텐츠. 매주 금요일 업로드된다.

회차날짜경기제목
1회2022.03.048강 1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1SET ROUND 1~4이은택이 부릅니다🎤 '내 ㄴㅁ 모아..'
2SET ROUND 3~4
2회2022.03.118강 3경기 파일:BLADES_logo.png vs 파일:AxelZ Logo.png1SET ROUND 1내가 바리이고 바리가 곧 나다🦾
8강 5경기 파일:DDK_2022_S1.png vs 파일:LATTE Logo.png2SET ROUND 5
8강 6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AxelZ Logo.png1SET ROUND 4
3회2022.03.188강 3경기 파일:BLADES_logo.png vs 파일:AxelZ Logo.png3SET ACEDDK, 카트리그 견학 왔어요♥️
8강 9경기 파일:BLADES_logo.png vs 파일:Team_GP_logo.png1SET ROUND 4
8강 10경기 파일:AxelZ Logo.png vs 파일:DDK_2022_S1.png2SET ROUND 1
4회2022.03.258강 13경기 파일:Phase Logo.png vs 파일:DDK_2022_S1.png2SET 3ROUND미안하다 이 경기 보여주려고 어그로 끌었다
8강 14경기 파일:blades_logo.png vs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1SET ROUND 1
2SET ROUND 1
3SET ACE
5회2022.04.018강 18경기 파일:DDK_2022_S1.png vs 파일:Liiv SANDBOX 로고.svg1SET ROUND 2제껴라 제껴라 check it out~!
8강 16경기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AxelZ Logo.png1SET ROUND 2
2SET ROUND 2
3SET ACE
6회2022.04.088강 20경기 파일:Team_GP_logo.png vs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1SET ROUND 2전설의 레게노, 0.024의 승부!!
8강 21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blades_logo.png1SET ROUND 3
2SET ROUND 2
3SET ACE
7회2022.04.158강 23경기 파일:LATTE Logo.png vs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1SET ROUND 2에결 중 일어난 차량 사고 건에 대하여..
8강 25경기 파일:AxelZ Logo.png vs 파일:Team_GP_logo.png2SET ROUND 4
2SET ROUND 5
3SET ACE
8회2022.04.228강 27경기 파일:BLADES_logo.png vs 파일:DDK_2022_S1.png2SET ROUND 3매울 辛! 사나이 울리는 '辛' 카트 리그
와일드카드전 파일:AxelZ Logo.png vs 파일:Team_GP_logo.png1SET ROUND 6
2SET ROUND 7
3SET ACE
9회2022.04.29준플레이오프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AxelZ Logo.png2SET ROUND 6⚠️결승 아님⚠️ 이번 시즌 첫 쿨윷 대전!
결승진출전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BLADES_logo.png1SET ROUND 5
2SET ROUND 6
3SET ACE
10회2022.05.06플레이오프 파일:BLADES_logo.png vs 파일:Liiv SANDBOX 로고.svg1SET ROUND 5ㄱ나니..? 일년 전 2021 에이스 결정전..
2SET ROUND 5
3SET ACE
11회2022.05.13결승전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BLADES_logo.pngPHASE 1 1SET ROUND 2카트리그 시즌1의 클라이막스!
PHASE 1 2SET ROUND 3
PHASE 1 3SET ACE
PHASE 2 2SET ROUND 3

10. 경기 진행[편집]






11. 결과[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팀별 평가에 대한 내용은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결산 문서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결산번 문단을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결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팀전 순위
최종
순위
풀리그
순위
세트트랙상금비고수퍼컵 포인트
우승2위파일:blades_logo.png BLADES82+12+261억원[19][20]슈퍼컵 직행
준우승1위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KWANGDONG
FREECS
72+8+224,000만원[21]126점[22]
3위3위파일:Liiv SANDBOX 로고.svg Liiv SANDBOX638+222,000만원88점[23]
4위4위파일:AxelZ Logo.png AxelZ6330800만원[24]55점
5위5위파일:Team_GP_logo.png Team GP35-2+3400만원33점
6위파일:Phase Logo.png Phase25-5-11300만원10점
7위파일:LATTE Logo.png latte16-11-28300만원
8위파일:DDK_2022_S1.png DDK07-13-34300만원전패
파란색: 결승 진출전 진출 | 진한 초록: 준플레이오프 진출 | 연한 초록: 와일드카드전 진출 | 빨간색: 탈락

개인전 순위
순위선수평균 점수결과상금 및 비고슈퍼컵 포인트
우승김다원4.22점결승전 2세트 승1,000만원
로열로더[25]
슈퍼컵 직행
준우승박인수5.24점결승전 2세트 패500만원
2연속 준우승
3위 송용준4.25점결승전 1세트 3위300만원100점[26]
4위이재혁4.30점결승전 1세트 4위20만원[27]70점
5위노준현4.59점결승전 1세트 5위
6위박현수4.27점결승전 1세트 6위50점
7위강다훈3.33점결승전 1세트 7위
8위배성빈3.81점결승전 1세트 8위
9위안정환3.70점16강 최종전 5위30점
10위유창현4.45점16강 최종전 6위
11위전대웅3.20점16강 최종전 7위
12위김승태3.26점16강 최종전 8위
13위유영혁3.89점16강 패자전 5위20점
14위정승하3.96점16강 패자전 6위
15위전진우3.52점16강 패자전 7위
16위김우준2.82점16강 패자전 8위첫 출전
17위최영훈3.71점32강 패자부활전 5위5점
18위임재원3.20점32강 패자부활전 6위
19위조상인3.65점32강 패자부활전 7위첫 출전
20위나인창1.47점32강 패자부활전 8위첫 출전
21위우성민2.67점A조 6위[28]
22위홍성민3.33점D조 6위첫 출전
23위이해원2.38점B조 6위첫 출전
24위윤서형2.22점A조 7위첫 출전
25위박장훈2.11점D조 7위첫 출전
26위윤여민1.86점C조 6위[29]첫 출전
27위심우혁1.86점C조 7위[30]
28위추영범1.44점A조 8위첫 출전
29위김현민1.38점B조 7위
30위신민식1.00점B조 8위
기권황혁없음D조 8위실격[사유]
이창한C조 8위
21~30위는 패자부활전 진출 결정전 패배 선수 → 평균 점수 순서대로 나열됩니다.

12. 퍼펙트 게임[편집]


파일:KL_2022_1.png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퍼펙트 게임
달성 팀스코어상대 팀일자경기
파일:Team_GP_logo.png6:0파일:DDK_2022_S1.png2022.03.028강 4경기
파일:AxelZ Logo.png6:02022.03.128강 10경기
파일:blades_logo.png6:0파일:LATTE Logo.png2022.03.268강 17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6:0파일:DDK_2022_S1.png8강 18경기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6:02022.04.068강 23경기
6:0파일:Phase Logo.png2022.04.098강 26경기

13. 트랙별 베스트 레코드[편집]



13.1. 스피드 팀전[편집]


트랙기록 경기선수카트바디 상대팀
마비노기 이멘 마하1:25:2998강 16경기광동 프릭스이재혁그믐 산군 V1AxelZ
WKC 브라질 서킷1:44:4658강 16경기광동 프릭스이재혁에스토크 V1AxelZ
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2:00:6248강 28경기Liiv SANDBOX박인수그믐 산군 V1latte
빌리지 운명의 다리1:58:1548강 7경기광동 프릭스이재혁그믐 산군 V1latte
문힐시티 폭우 속의 질주1:26:858준플레이오프Liiv SANDBOX박인수그믐 산군 V1AxelZ
아이스 설산 다운힐2:07:762결승진출전BLADES배성빈폭스 V1광동 프릭스
카멜롯 팬드래건 캐슬1:42:7448강 20경기광동 프릭스이재혁그믐 산군 V1Team GP
코리아 부산의 밤1:43:1728강 14경기광동 프릭스송용준크롬 버스트 V1BLADES
팩토리 부비트랩 공장 탐험1:41:0278강 21경기Liiv SANDBOX김승태크롬 버스트 V1BLADES
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2:02:6408강 26경기광동 프릭스이재혁그믐 산군 V1Phase
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1:51:1758강 24경기BLADES유창현그믐 산군 V1Phase
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 좌표1:33:8768강 7경기광동 프릭스이재혁그믐 산군 V1latte


13.2. 개인전[편집]


트랙기록 경기선수카트바디
마비노기 바올 던전1:33:43416강 1경기박현수폭스 V1
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2:00:81632강 패자부활전김우준그믐 산군 V1
광산 3개의 지름길1:31:75816강 패자전송용준파이어 마라톤 V1
노르테유 전투비행장1:46:31816강 승자전이재혁파이어 마라톤 V1
동화 잠자는 숲속의 거인1:33:32416강 승자전김다원그믐 산군 V1
사막 오래된 송수관1:42:38316강 승자전박현수폭스 V1
아이스 부서진 빙산1:48:561결승전송용준파이어 마라톤 V1
월드 이탈리아 피사의 사탑1:03:42116강 패자전배성빈그믐 산군 V1
쥐라기 공룡섬 대모험1:49:69632강 C조박현수폭스 V1
코리아 다이나믹 서울1:21:58216강 1경기박현수파이어 마라톤 V1
포레스트 지그재그2:07:483결승전박현수그믐 산군 V1
해적 상어섬의 비밀2:10:86932강 A조이재혁그믐 산군 V1


14.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15. 여담[편집]



15.1. 일정 관련[편집]




15.2. 공식 홈페이지 관련[편집]





15.3. 예선 문제 관련[편집]



15.4. 중계사 관련[편집]




15.5. 리그 진행 관련[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19:39:02에 나무위키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오프라인] 오프라인 경기장[온라인] 온라인 경기장[1] 코로나19로 인해 이전 시즌까지 무관중으로 진행했으나 2년 만에 다시 유관중으로 돌아왔다.[참고] [PSvsLTE] A B 2월 24일 18시 정각에 Phase팀 소속 선수 중 1명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점을 확인했다는 공지가 공개되었다. 만약 이후 자가격리 해제에 문제가 없다면, 3월 9일에 경기를 진행할 예정이였는데, 3월 7일에 이번엔 latte팀에서 양성 판정이 나와서 다시 미뤄지고 말았다. 그리고 이후 19일에 Latte 팀 소속 선수 1명이 또 양성 판정을 받게 되어서, 3월 30일로 다시 미뤄지게 되었고, 매뉴얼에 따르면 Latte팀은 이제 양성 판정자가 나와도 더 이상 경기를 연기할 수 없다.[2] 3월 7일 저녁 7시에 LATTE 팀 소속 선수 중 1명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점을 확인했다는 소식이 올라왔다. 그래서 이 경기는 3월 16일 경기로 미뤄졌고, 만약 LATTE 팀의 확진자 인원은 자가격리 해제 기준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3월 16일(수) 경기부터 정상적으로 리그에 참가할 수 있다.[3] 사실 이 경기는 원래 3월 16일 경기였으나, 경기 당일에 Team GP 소속 선수 중 1명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점을 확인하여서 미뤄지고 말았다. Team GP에서 자가격리 해제 기준에 문제가 없거나, Liiv SANDBOX팀 소속 선수가 양성 판정을 받지 않는 이상, 3월 30일에 정상적으로 경기를 참여할 예정이였지만, 3번이나 연기된 2경기의 대결팀 Latte 중 1명이 또 양성 판정이 나와서 LSB, GP, PH, LTE 팀간의 논의를 통해 운영진은 상황 발생 72시간 기준으로 뒤에 배정된 경기를 앞당겨 배치할 수 있도록 협의된 관계로, 11경기가 3월 23일로 앞당겨졌다.[4] 원래는 3월 30일에 참여할 예정이였으나, AxelZ 소속 선수 중 1명이 COVID-19 양성 판정을 받은 점을 확인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따라서, 이 경기는 양 팀 리더와의 협의 하에 4월 6일에 진행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5] 다만 최은성은 작년 시즌 개인전에 출전한 적은 있다.[6] 특히 윤서형 선수는 데뷔 전부터 최윤서의 형(...)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이름과 실력 면에서 큰 주목을 끈 바가 있다. 이외에도 예선 상위라운드나 KeG, 아마추어 리그 등에서 자주 나온 유저들이 많다보니 AxelZ 다음으로 아마팀 사이에선 그나마 강팀으로 꼽히고 있다.[7] 윤서형은 말할 것도 없고, 홍성민 또한 홍승민과 이름이 비슷하다는 말이 자주 나온다. 최은성 또한 2019-1 당시 아이템 에이스로 출전했던 최유성 선수와 이름이 은근히 비슷하다. 권순우는 권순민과, 한승민은 한창민과 비슷하다. [8] 윤서형 선수 닉네임은 무슨 사유인지 모르겠지만 PS-윤서형으로 되어 있다.#영상의 약 57분 부근부터 게임 시작이 시작된다.[9] 그나마 이름이 알려진 건 2020년도 WEC 당시에 우승을 한 공대생의 멤버였던 곽현호와 아마추어 사이에서 인지도가 꽤 있는 박정익 정도. 이 둘은 최싄카트 클럽대항전에서 두두카클럽 대표로 박인수와 함께 각각 부농단, 박타키라는 닉네임으로 나온 적이 있어 알 만한 사람은 아는 선수였다.[10] 대놓고 이런 말이 써져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지만 냉정하게 8팀 중 최약체로 보는 여론이 많다. 심지어 아이템 에이스가 기권을 하는 바람에 아이템전 컨트롤타워가 없는 상황에서 스피드 전용 선수가 아이템을 뛰어야 하는 악재까지 있는 건 덤.[11] 무슨 말이냐면 온라인 예선에서 LATTE를 상대로 세트 2:0, 트랙 6:0으로 이긴 전적이 있다.[12] 무슨 말이냐면 온라인 예선에서 AXelZ를 상대로 세트 2:0, 트랙 6:0으로 패했으나 AXelZ보다 강하다고 평가받았던 전대웅의 G-Dynamite도 에결까지 끌고 가서 이기며 본인들의 존재감을 뿜뿜 드러냈다.[13]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공식 사이트를 참고할 것.[14] 기존 최민영의 빈자리를 채웠다. 그 이유는 최민영이 대리 관련 홍보 게시글을 지속적으로 게시했다는 제보가 접수되어 페어플레이 위반으로 실격됐기 때문. 따라서 차순위 선발자로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실격] A B 코로나 이슈로 인해 기권으로 처리되었다.[15] 유일하게 탑 시드가 없는 조다. 참고로 21-2 시즌 가장 개인전 성적이 좋았던 선수는 배성빈.[16] 개막전 방송 내용이나 브금, 썸네일, 폰트 및 자막 등을 보면 사실상 지난 슈퍼컵 시즌 느낌과 비슷하다.[17] 원래는 2월말쯤에 업로드될 예정이었으나 관계자 내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해 업로드가 늦어졌다고 한다.[18] 세 팀간의 합동 컨텐츠[19] 2연속 우승[20] 프로팀 최초 4회 우승 달성[21] 리그 프로화(19-2) 이후 첫 결승 진출 및 하이 커리어[22] 시즌 2 시드로 인해 최소 136점이 보장되며 수퍼컵 포인트 136점이 보장. 이후 Axelz와 Team GP의 수퍼컵 포인트가 소멸되어 수퍼컵 포인트 4위 이내로 수퍼컵 진출 확정.[23] 시즌 2 시드로 인해 98점이 보장. 이후 Axelz와 Team GP의 수퍼컵 포인트가 소멸되어 수퍼컵 포인트 4위 이내로 수퍼컵 진출 확정.[24] 리그 프로화(19-2)시즌 이후 역대 아마추어팀 최고 성적[25] 4차 리그 강진우 이후 약 16년만에 개인전 로얄로더가 탄생했다. 또한 카트라이더 개인전 리그 최초로 그린 라이더로 우승을 차지했다.[26] 시즌 2에 참가하는 이상 슈퍼컵 포인트 8위 이내로 슈퍼컵 참가 확정. 시즌 2 시드로 인해 최소 105점이 보장되며 슈퍼컵 포인트를 105점 이상 확보할 수 있는 선수는 최대 각 시즌 3-5위 6명이다.[27] 강다훈 첫 출전[28] 5위 결정전 패배 (VS강다훈)[29] 마지막 트랙 5위.[30] 마지막 트랙 7위.[사유] 코로나19 확진. 단, 코로나로 인한 실격이기 때문에 페널티는 없다.[31] 입장 인원이 2.3배 늘어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32] 그러나 해당 년도의 리그 자체는 시즌 1이 시즌 2보다 높이 평가받는 경우가 많다. 2019-1엔 역대급 떡상의 신호탄으로 상당히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였으나 2019-2는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던 글로벌 슈퍼 매치를 제외하면 2019-1 시즌에 비해 재미가 덜한 느낌이 없지 않아 있고, 실제로 조회수도 2019-1을 따라갈 수는 없었다. 물론 다른 시즌2 때보단 그나마 재밌었다고 해도 시즌1 시절보단 확실히 재미가 떨어지는 건 사실이다. 2020-1의 경우 가장 수준이 높았던 라인업과 선수들의 테크닉으로 레전드 시즌이라는 평을 받았으나 2020-2는 OGN이 담당하면서 매크로 논란 등 시즌 1에 비해서 평가가 박할 수 밖에 없었고 개인전 결승이 13경기만에 끝나버리는 바람에 노잼이었다는 평이 다수였다. 2021-1의 경우 사건 사고도 많이 터진 만큼 아마추어팀의 반란, 60점 3인 타이브레이크 등 꿀잼 요소가 나온 역대급 경기를 보여준 반면 2021-2는 경기에, 방송사고에, 모든 것이 엉망으로 평가받는 시즌이라 3년간 각각 년도에서 카트리그의 인기가 떨어지는 와중에도 시즌 2가 시즌 1보다 좋은 평가를 받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33] 시즌이 종료된 현재로서의 평가는 아마추어팀의 반란, 개인전 신인들의 돌풍 및 로열로더 탄생 등으로 보는 이들의 눈을 즐겁게 해줌과 동시에 수준 높은 경기력을 차차 보여주는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으며 최근들어 Q&A 영상을 자주 업로드하며 소통하려는 노력, 근 3년만에 무관중이 아닌 300명의 관중들이 함께하는 리그 방안을 확정지으며 코로나 시국 속에서 앞으로의 리그 운영에 대한 기대, 재미를 한층 더 올렸다는 좋은 평가를 받는 중이다. 덕분에 이번 시즌도 사건 사고와 구설수가 많은 만큼 재미도와 평가는 높게 받는다는 시즌 1의 징크스가 이어졌다.[34] KBO 포스트시즌식 대진을 8위부터 4위까지 적용하자는 의견이다. 이런 식으로 한다면 아마추어 선수들에게 8강 풀리그 체제 및 패배 즉시 탈락하는 계단식 토너먼트에 미리 적응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모든 경기는 스피드 아이템 7판 4선, 에결 단판으로 한다.[35] 그러나, VSPN이 OAP를 담당한 것은 21-2 뿐이고 21-S부터는 OAP를 Leo Studio에서 담당했다. 이번 시즌도 Leo Studio가 OAP를 담당해서 굳이 바꾸지 않았다는 주장이 있다. 실제로 VSPN 홈페이지를 가 보면 디자인한 리그에 21-2가 들어가 있지만, 21-S는 빠졌다.[36] 이는 전통은 아니고, OGN에서 20-2 시즌에 자막 형식으로 도입한 뒤 아프리카TV에서 전광판으로 승리 팀을 보여주기 시작했는데 1년 만에 사라진 것이다.[37] 앞서 서술한 기본적인 요소라든지, 전광판과 CG의 미니맵 디자인이 차회 경기에서 바로 수정되었다.[38] SBS A&T가 운영한다.[39] 예를 들어 경상남도 창원시에 거주하는 유창현의 경우 합숙으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에 합숙을 하지 않는 BLADES(前 한화생명)로 옮긴 이력이 있는 만큼 이 부문에서 수혜를 받게 되었다.[40] 수퍼컵은 21-2 시즌 때에 비하면 나름 호평이 많았지만, 그럼에도 VSPN이 진행하는 리그 중에서나 그간 카트리그를 진행해온 방송사들에 비해서는 퀄리티가 떨어지는 편이었다.[41] Phase는 파랑, DDK는 초록, latte는 주황, AxelZ는 보라색 바탕이다. 여담으로 모두 개인전 하위 시드 4개의 색깔. 개인전만 뛰는 아마추어 선수는 검정 바탕이다.[42] 현 카트 시스템상 V1 조각은 일반과 레어 파츠로만 교환이 가능하다. 시간의 상점을 통해 뽑은 레전드 카트바디로 레전드 파츠를 많이 만든 사람들에게는 사실상 필요 없는 보상.[43] 대신 그만큼 리그 악질 시청자가 감소했다는 반응도 있었다. 카트라이더가 무과금에게도 숨통 트이는 게임이 되는 주요 요소 중 하나는 코인 수급이 쉽다는 것이었는데 이 탓에 코인 의존도가 높아서 예측보상으로 코인을 뽑지 못하거나 예측한 선수가 못하면 댓글로 격렬한 반응들을 보인 경우가 많았다.[시즌1] 시즌1에서는 19-1 레드팀전, 개인전 모두 우승을 거뒀고 20-1은 레드의 팀전 우승, 개인전 준우승으로 시즌1마다 레드의 기운이 좋았다. 그러나 21-1 레드의 팀전 준우승, 개인전 5위라는 아쉬운 성적에 이 시즌마저 레드팀전, 개인전 양대 준우승을 달성했다.[시즌2] 차기 시즌인 22-2와 마지막 리그 22-SC은 전체적으로 블루, 퍼플 톤의 이미지 컬러였고 그동안의 시즌2, 수퍼컵 등 매년 하반기마다 팀전 블루 라이더가 우승해와서 2022 시즌도 그 징크스가 이어질 줄 알았으나 정작 22-2는 레드 라이더가 개인전 3위, 팀전 우승을 차지하게 되어 이번 시즌과 정 반대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