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미 올림픽 남자축구 예선대회

덤프버전 : (♥ 0)





CONMEBOL Pre-Olympic Tournament
파일:Preolimpico.png
정식 명칭프레-올림픽 토너먼트
로마자 명칭CONMEBOL Preolímpico
창설 연도1960년
주관 단체남미 축구 연맹
진출 자격남미 축구 연맹에 등록된 축구협회 대표팀 중 10개 팀
최근 우승팀파일:CA2021 Paraguay.png 파라과이 (2회)
최다 우승팀파일:CA2021 Brazil.png 브라질 (7회)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상세
3. 2024년 대회
4. 역대 우승팀
5. 참고 항목



1. 개요[편집]


올림픽 4년주기에 맞춰 열리는 올림픽 남자 축구 종목에 출전할 남미 국가를 결정하는 국가 대항전이다. 1992년 대회부터 올림픽과 같은 년도에 맞춰 열리고 있다. 1960년 초대대회땐 북중미 강호 멕시코를 포함, 북아메리카 국가들도 참가 하였다.thesportsdb.com


2. 상세[편집]


남미 지역에 부여된 올림픽 남자 축구 티켓수는 총 2장으로, 본 예선 대회에서 1차 조별리그와, 2차 조별리그를 진행하여 2차 조별리그에서 최종 1위, 2위를 차지한 두 국가에게 올림픽 본선 진출 티켓이 주어진다. 2차 조별리그는 올림픽 남미 예선의 최종예선 성격을 띄고있다.


3. 2024년 대회[편집]


브라질이 2차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무려 숙적 아르헨티나에게 0:1로 패하면서 6회 연속 올림픽 진출에 실패하는 일이 벌어졌다. 브라질 U-23 축구 대표팀이 올림픽 본선에 못나간건 20년만의 일이다. 반면 아르헨티나는 브라질을 제압하고 3회 연속 올림픽 진출에 성공 하였다.


4. 역대 우승팀[편집]


굵은 글씨는 올림픽 본선에 진출한 팀.
순서연도개최국우승준우승3위4위
1회1960년파일:페루 국기.svg 페루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파일:페루 국기.svg 페루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1]
2회1964년파일:페루 국기.svg 페루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2]파일:페루 국기.svg 페루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3회1968년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4회1971년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5회1976년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3]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4]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6회1980년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파일:페루 국기.svg 페루파일:베네수엘라 국기(1954-2006).svg 베네수엘라
7회1984년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파일:칠레 국기.svg 칠레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8회1987년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9회1992년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10회1996년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브라질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파일:베네수엘라 국기(1954-2006).svg 베네수엘라
11회2000년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브라질파일:칠레 국기.svg 칠레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12회2004년파일:칠레 국기.svg 칠레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브라질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5]
13회2020년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브라질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14회2024년파일:베네수엘라 국기(1954-2006).svg 베네수엘라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브라질파일:베네수엘라 국기(1954-2006).svg 베네수엘라


5. 참고 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26 15:51:08에 나무위키 남미 올림픽 남자축구 예선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60년 초창기 대회땐 북중미 국가들도 참가하였다.[2] 페루와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 진출[3] 본선 진출했으나 기권.[4] 우루과이의 본선 진출 포기로 초청받았으나 포기, 쿠바로 대체.[5] 2008년~2016년 대회는 미개최로 남미 U-20 챔피언십이 U-20 월드컵과 올림픽 예선을 대체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