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리타 국제공항/운항 노선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나리타 국제공항


1. 개요
2. 1터미널
2.1. 국내선
2.2. 국제선
2.2.1. 북쪽 윙(North Wing)
2.2.2. 남쪽 윙(South Wing)
3. 2터미널
3.1. 국내선
3.2. 국제선
4. 3터미널
4.1. 국내선
4.2. 국제선
5. 화물 터미널



1. 개요[편집]


초기에는 1터미널만 개장했고 1992년 2터미널의 개장과 더불어 1터미널은 순차적으로 리노베이션 및 확장을 거쳤다. 2터미널 개장 후 초기에는 1터미널은 외항사, 2터미널은 일본항공과 전일본공수 양대 국적사(및 일부 외항사)의 허브 터미널로 사용하는 체제였다. 2006년 6월 2일 1터미널 확장 완료 후에는 ANA와 유나이티드 항공을 1터미널 남쪽 구역으로 이전하고 각 부분을 스카이팀, 스타얼라이언스, 원월드 등 각 항공동맹의 본진으로 사용하도록 했다. 2015년 4월 8일부터는 2터미널 북측의 화물터미널 부지를 일부 전용해서 제3여객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 이 3터미널은 LCC(저가항공사) 로만 운영되고 있다. 참고

한국 국적기 중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만 나리타를 오가던 2010년까지만 해도 국내 항공사는 1터미널을 벗어나지 못했다. 아시아나는 2006년 1터미널 남쪽 윙 재개장 전에는 2터미널을 이용했다. 그러다가 이스타항공인천-나리타 항공노선을 개설하면서 2터미널로 들어갔다. 2015년 4월 8일부로 제3터미널이 오픈함에 따라 제주항공바닐라 에어 등은 기존 2터미널에서 3터미널로 옮기게 되었다.

또한, 항공 동맹에 소속되지 않은 기타 항공사들은 각 터미널에 적당히 분산되어 있으니 사전 확인이 필요하다.

나리타시바리(成田縛り), 한국어로는 "나리타 속박, 나리타 묶음" 정도로 번역되는 국토교통성의 지침으로 인해 나리타에 취항하던 외항사가 하네다에도 새로 취항할 경우 나리타 발착 항공편을 남겨두도록 하는 행정 지도정책이 시행되어 왔기 때문에 나리타, 하네다 모두 취항하는 항공사가 상당히 많다. 물론 어디까지나 공식 정책은 아니고 수면 아래의 행정지도에 불과하긴 하지만, 항공사들 입장에선 무시하기 어려워 일종의 정책처럼 여겨져 왔다.

하지만 버진 애틀랜틱항공나리타에서 철수하면서 일본과 영국이 마찰을 빚게 되었고, 런던-도쿄 운수권 문제까지 불거지면서 상황이 복잡해졌고 콴타스도 하네다로 옮기는 등 이 지침이 흔들리게 되었다. 그래서 델타항공도 나리타에서 철수, 하네다로 옮겨가기도 했기에 여전히 하네다-나리타를 모두 운항하는 항공사는 많지만 이전보다는 한 곳만 취항하는 항공사도 늘어났다. 그치만 여전히 양쪽 모두 운항하는 항공사도 많은 편. 특히 일본 항공사들은 여전히 많은 항공편, 특히 국제선을 두 곳 모두에서 띄우며 외국 FSC들의 주력 항공편들 역시 양 쪽 모두 운항하는 경우도 제법 있다. 특히 아시아의 플래그 캐리어들,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이나 중국국제항공, 중국남방항공, 홍콩의 캐세이퍼시픽 항공, 필리핀 항공, 싱가포르항공, 북미의 유나이티드 항공, 에어 캐나다 등.

하지만 도심에 가까워 생기는 이착륙 상의 문제 때문에 하네다 자체의 슬롯은 제한되어 있고, 도심과의 이동거리 상의 편의성[1] 등으로 인해 하네다는 운수권을 따기 어렵기에 대신 나리타로 오는 항공사들도 있다. 특히 나리타 발착은 운수권 제한이 해제되어 국내 저가 항공사들이 새로 도쿄에 취항하는 경우 십중팔구는 나리타로 온다. 실제로 하네다에 취항하는 국내 항공사는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뿐이고, 나머지 국내 LCC들은 나리타에 취항 중이다.

아래에서 [HND]라고 표기된 항공편은 하네다에서도 동일 목적지, 항공사의 항공편이 운항 중임을 의미한다. 즉 전일본공수의 호놀룰루[HND]이라면, 전일본공수호놀룰루 국제공항 행 항공편을 나리타에서도, 하네다에서도 띄운다는 뜻이다. 실제로 나리타발 호놀룰루행으로는 NH184편이 에어버스 A380으로, 하네다발 호놀룰루행은 NH186편이 보잉 787-9로 운항 중이다.


2. 1터미널[편집]



2.1. 국내선[편집]


항공사국가편명취항지
[파일:전일본공수 로고.svg[SA]파일:일본 국기.svgNH나고야(중부)[HND], 오사카(이타미)[HND], 삿포로(신치토세)
[파일:피치항공 로고.svg파일:일본 국기.svgMM오사카(간사이), 후쿠오카, 삿포로(신치토세), 오키나와(나하), 아마미, 이시가키


2.2. 국제선[편집]



2.2.1. 북쪽 윙(North Wing)[편집]


항공사국가편명취항지
[파일:ZIPAIR 로고.svg파일:일본 국기.svgZG동북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인천)
-
동남아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마닐라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수완나품)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북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산호세, 호놀룰루
파일:캐나다 국기.svg

밴쿠버[2]
[파일:피치항공 로고.svg파일:일본 국기.svgMM동북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타이베이(타오위안)[HND]
[파일:대한항공 로고.svg[[파일:대한항공 로고 컬러 화이트.svg[ST]파일:대한민국 국기.svgKE서울(인천)[HND], 부산, 호놀룰루[3][4]
[파일:진에어 CI_좌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LJ서울(인천)
[파일:중국남방항공 로고.svg파일:중국 국기.svgCZ광저우[HND], 상하이(푸둥), 창춘, 선양, 다롄, 정저우, 선전
[파일:샤먼항공 로고_상하.svg[ST]파일:중국 국기.svgMF샤먼, 푸저우
[파일:Sichuan.png
파일:중국 국기.svg

3U청두
[파일:홍콩항공 로고.svg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HX홍콩
파일:에어로 몽골리아 로고.png
파일:몽골 국기.svg

M0울란바토르
[파일:베트남항공 로고.svg [ST]파일:베트남 국기.svgVN하노이[HND], 호찌민, 다낭
[파일:Lion_Air_logo.png
파일:태국 국기.svg

SL방콕(돈므앙)[5], 타이베이(타오위안)
[파일:로열 브루나이 항공 로고.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BI반다르스리브가완
[파일: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로고.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BG다카
[파일:가루다 인도네시아 로고.svg[[파일:가루다 인도네시아 로고 화이트.svg[ST]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GA자카르타[HND], 덴파사르[6], 마나도
[파일:Etihad Airways 로고.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EY아부다비
[파일:에어 프랑스 로고.svg[[파일:에어 프랑스 로고 화이트.svg[ST]파일:프랑스 국기.svgAF파리(샤를 드 골)[HND]
[파일:KLM 네덜란드 항공 로고.svg[ST]파일:네덜란드 국기.svgKL암스테르담
[파일:에어칼린 로고.svg파일:프랑스 국기.svgSB누메아
[파일:웨스트젯 로고.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WS캘거리[7]
[파일:아에로멕시코 로고.svg[ST]
파일:멕시코 국기.svg

AM멕시코시티


2.2.2. 남쪽 윙(South Wing)[편집]


항공사국가편명취항지
[파일:전일본공수 로고.svg[SA][8]파일:일본 국기.svgNH동북아시아
파일:중국 국기.svg

베이징(서우두)[HND], 상하이(푸둥)[HND], 광저우[HND], 다롄, 항저우
-
동남아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마닐라[HND]
파일:베트남 국기.svg

하노이, 호찌민[HND]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수완나품)[HND]
쿠알라룸푸르[HND]
싱가포르[HND]
자카르타[HND]
-
남아시아
뭄바이
-
유럽/러시아
브뤼셀
-
북아메리카/중앙아메리카
로스앤젤레스[HND], 샌프란시스코[HND], 시카고(오헤어)[HND], 호놀룰루[HND]
멕시코시티
-
오세아니아
퍼스
[파일:AIr Japan Logo.jpg파일:일본 국기.svgNQ동북아시아
서울(인천)[9]
-
동남아시아
방콕(수완나품)[10]
[파일:아시아나항공 CI_영문.svg[SA]파일:대한민국 국기.svgOZ서울(인천)[HND]
[파일:에어부산 CI.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BX서울(인천), 부산
[파일:에어서울 CI.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RS서울(인천)
[파일:중국국제항공 로고.svg[[파일:중국국제항공 로고 화이트.svg [SA]파일:중국 국기.svgCA베이징(서우두)[HND], 상하이(푸둥), 다롄, 항저우, 우한, 충칭, 청두, 선전
[파일:하이난 항공 로고.svg파일:중국 국기.svgHU베이징(서우두)[HND]
[파일:선전항공 로고.svg[[파일:선전항공 로고 화이트.svg [SA]파일:중국 국기.svgZH선전
[파일:에바항공 로고.svg [SA]파일:대만 국기.svgBR타이베이(타오위안), 가오슝
[파일:미아트 몽골항공 로고.svg파일:몽골 국기.svgOM울란바토르
[파일:타이항공 로고.svg [SA]파일:태국 국기.svgTG방콕(수완나품)[HND]
[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svg [SA]파일:싱가포르 국기.svgSQ싱가포르[HND], 로스앤젤레스
[파일:스쿠트 항공 로고.svgTR싱가포르[11], 타이베이(타오위안)
[파일:우즈베키스탄항공 로고.svg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HY타슈켄트
[파일:터키항공 로고.svg[[파일:터키항공 로고 화이트.svg[SA]파일:튀르키예 국기.svgTK이스탄불[HND]
[파일:LOT 폴란드 항공 로고.svg [SA]LO바르샤바
[파일:오스트리아 항공 로고.svg[SA]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OS
[파일:스위스 국제항공 로고.svg[SA]파일:스위스 국기.svgLX취리히
[파일:이집트 항공 로고.svg[SA]파일:이집트 국기.svgMS카이로
[파일:에티오피아 항공 로고.svg [SA]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ET아디스아바바[12], 서울(인천)
[파일:유나이티드 항공 로고.svg [SA]파일:미국 국기.svgUA, 사이판, 샌프란시스코[HND], 로스앤젤레스[HND], 덴버, 휴스턴, 뉴욕(EWR)[HND]
[파일:에어캐나다 로고.svg[[파일:에어캐나다 로고 화이트.svg [SA]파일:캐나다 국기.svgAC밴쿠버, 토론토[HND][A], 몬트리올
[파일:에어 뉴질랜드 로고.svg[[파일:에어 뉴질랜드 로고 화이트.svg [SA]파일:뉴질랜드 국기.svgNZ오클랜드



3. 2터미널[편집]



3.1. 국내선[편집]


항공사국가편명취항지
[파일:일본항공 로고 가로형.svg[[파일:일본항공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OW]파일:일본 국기.svgJL나고야(중부)[HND], 오사카(이타미)[HND]

3.2. 국제선[편집]


항공사국가편명취항지
[파일:일본항공 로고 가로형.svg[[파일:일본항공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OW]파일:일본 국기.svgJL동북아시아
홍콩[HND]
타이베이(타오위안)
-
동남아시아
마닐라[HND]
자카르타, 쿠알라룸푸르
싱가포르[HND]
하노이, 호찌민[HND]
방콕(수완나품)[HND]
-
남아시아
뱅갈루루
-
유럽/러시아
프랑크푸르트(암 마인)
-
북아메리카
호놀룰루[HND], 시애틀, 샌프란시스코[HND], 로스앤젤레스[HND], 샌디에이고, 보스턴
계절 : 코나
밴쿠버
-
오세아니아

멜버른
[파일:티웨이항공 로고.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TW서울(인천), 대구, 제주
[파일:이스타항공 로고.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ZE서울(인천)
[파일:에어프레미아 로고.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YP서울(인천)
[파일:중국동방항공 로고.svg[ST]파일:중국 국기.svgMU상하이(푸둥)[HND], 난징, 시안, 우한, 쿤밍
[파일:하이난 항공 로고.svgHU베이징(서우두)[HND], 시안
[파일:길상항공 로고.svg[SA]파일:중국 국기.svgHO상하이(푸둥)[HND]
[파일:캐세이퍼시픽항공 로고_상하.svg [OW]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CX홍콩[HND][13], 타이베이(타오위안)
[파일:홍콩익스프레스 로고.svgUO홍콩[HND]
[파일:따완취항공로고.png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HB홍콩
[파일:에어마카오 로고.svg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NX마카오
[파일:중화항공 로고.svg[[파일:중화항공 로고 화이트.svg[ST]파일:대만 국기.svgCI타이베이(타오위안), 가오슝
[파일:스타럭스항공 로고.svg파일:대만 국기.svgJX타이베이(타오위안)
[파일:ttw.png파일:대만 국기.svgCI타이베이(타오위안)[HND], 가오슝
[파일:미아트 몽골항공 로고.svgOM울란바토르
[파일:필리핀 항공 로고.svg[[파일:필리핀 항공 로고 화이트.svg파일:필리핀 국기.svgPR마닐라[HND], 세부
[파일:세부퍼시픽 로고.svg파일:필리핀 국기.svg5J마닐라, 세부, 클라크
[파일:뱀부항공 로고.svg파일:베트남 국기.svgQH하노이
[파일:비엣젯 항공 로고.svg파일:베트남 국기.svgVJ하노이, 호치민[HND]
[파일:에어아시아 X 로고.svg파일:태국 국기.svgXJ방콕(수완나품)
[파일:말레이시아 항공 로고.svg[[파일:말레이시아 항공 로고 화이트.svg [OW]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MH쿠알라룸푸르[HND], 코타키나발루
[파일:바틱에어 로고.png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OD쿠알라룸푸르
[파일:네팔항공_2023로고.png파일:네팔 국기.svgRA카트만두
[파일:에어인디아 로고.svg [SA]파일:인도 국기.svgAI델리
[파일:스리랑카 항공 로고.svg [OW]파일:스리랑카 국기.svgUL콜롬보
[파일:Emirates 로고.svg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EK두바이[HND]
[파일:카타르항공 로고.svg[[파일:카타르항공 로고 화이트.svg [OW]파일:카타르 국기.svgQR도하[HND]
[파일:핀에어 로고.svg[[파일:핀에어 로고 화이트.svg [OW]파일:핀란드 국기.svgAY헬싱키[HND]
[파일:하와이안항공 로고(위아래).svg파일:미국 국기.svgHA호놀룰루[HND]
[파일:아메리칸 항공 로고.svg [OW]파일:미국 국기.svgAA댈러스-포트워스[HND]
[파일:피지 항공 로고.svg[OW]파일:피지 국기.svgFJ나디
[파일:에어 타히티 누이 로고.svg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TN파페에테[14]
[파일:콴타스항공 로고.svg[[파일:콴타스항공 로고 화이트.svg [OW]QF브리즈번[HND][15], 멜버른[HND][16]


4. 3터미널[편집]



4.1. 국내선[편집]


항공사국가편명취항지
[파일:Jetstar_Logo.svg[17][18]파일:일본 국기.svgGK홋카이도
삿포로(신치토세), 아사히카와
-
간사이
오사카(간사이)
-
시코쿠
다카마쓰, 고치, 마츠야마
-
규슈
후쿠오카, 오이타, 나가사키, 구마모토, 미야자키, 가고시마
-
오키나와
오키나와(나하), 미야코(시모지시마)
[파일:스프링재팬 로고.svg파일:일본 국기.svgIJ삿포로(신치토세), 히로시마


4.2. 국제선[편집]


항공사국가편명취항지
[파일:Jetstar_Logo.svg파일:일본 국기.svgGK동북아시아
상하이(푸둥)
타이베이(타오위안)
-
동남아시아
마닐라
[파일:스프링재팬 로고.svg파일:일본 국기.svgIJ동북아시아
하얼빈, 톈진, 난징, 닝보
[파일:제주항공 로고.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7C서울(인천), 부산
[파일:에어로케이항공 CI.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RF청주
[파일:external/a3.att.hudong.com/01300542445734139443096787646.png파일:중국 국기.svg9C상하이(푸둥)[HND]
[파일:에어아시아 필리핀 로고.svgZ2마닐라, 세부
[파일:Jetstar_Logo.svg파일:호주 국기.svgJQ케언즈, 브리즈번


5. 화물 터미널[편집]



[1] 나리타에 비해 하네다에 도착 시의 도쿄 도심 이동 시간이 압도적으로 짧다.[SA]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스타얼라이언스[HND]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 _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하네다 발착편도 운항중[2] 2024년 3월 취항 예정[ST] A B C D E F G H I 스카이팀[3] KE1 경유편. 도쿄(나리타)-호놀룰루 구간 발권 가능.[4] 2024년 04월 26일 복항 예정[5] 타이베이(타오위안) 경유[6] 일부편 마나도 경유[7] 2024년 4월 3일부터 운항 재개 예정[8] 인천행 노선을 모두 아시아나항공코드셰어로 전환하고 직접 운항하지 않고 있다. 다만 아시아나항공이 같은 터미널에 있는 만큼 혼동의 여지는 없다.[9] 2024년 2월 22일 신규 취항[10] 2024년 2월 9일 신규 취항[11] 일부편에 한하여 타이베이(타오위안) 경유[12] 서울(인천) 경유[A] 하계 스케줄만 운항[OW] A B C D E F G H I J 원월드[13] 일부 항공편 타이베이(타오위안) 경유[14] 2024년 05월 08일 - 10월 26일 임시 운항 중단 및 2024년 3월 말 운항 재개 예정[15] 2023년 11월 26일 복항[16] 2023년 11월 26일 복항[17] JAL 자회사[18] 국제선연결편에 한하여 JAL 공동운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