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석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태석(동명이인) 문서
김태석(동명이인)번 문단을
김태석(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62861> 의장1 ||
||<width=20%>
초대

야마가타
이사부로 ||<width=20%>
제2대

미즈노
렌타로 ||<width=20%>
제3대

아리요시
주이치 ||<width=20%>
제4대

시모오카
주지 ||<width=20%>
제5대

유아사
구라헤이 ||
||
제6대

이케가미
시로 ||
제7대

고다마
히데오 ||
제8대

이마이다
기요노리 ||
제9대

오노
로쿠이치로 ||
제10대

다나카
다케오 ||
||
제11대

엔도
류사쿠 ||
||<-5><bgcolor=#062861> 부의장 ||
||
초대

김윤식 ||
제2대

이완용 ||
제3대

박영효 ||
제4대

민병석 ||
제5대

윤덕영 ||
||
제6대

이진호 ||
제7대

박중양 ||
||<-5>
[ 1910 ]

고문
고영희권중현민상호박제순송병준
이근상이근택이완용이재곤이지용
이하영임선준장석주조중응조희연
조민희한창수
찬의
강경희권봉수김만수김사묵김영한
남규희민상호박경양박승봉박제빈
박중양염중모유맹유정수윤치오
이건춘이겸제이재정이준상정인흥
조영희조희문한창수홍승목홍종억
부찬의
고원식구희서권태환김교성김낙헌
김명규김명수김준용김필희김한규
김한목나수연민건식민원식박제환
박희양서상훈서회보성하국송지헌
송헌빈신우선신태유어윤적엄태영
오재풍오제영윤치오이도익이만규
이봉로이원용이항직정동식정병조
정진홍조병건조재영조제환조원성
최상돈한동이허진홍우철홍운표
홍재하

[ 1920 ]

고문
고희경권중현민병석민영기박영효
송병준이하영윤덕영이윤용
부찬의
김현수
칙임 참의
김영진김영한김한목남규희민상호
민영찬민형식박승봉박이양박기양
박상준박승봉박의병박제빈박중양
백인기상호서상훈신석린신응희
어윤적엄준원염중모유맹유성준
유정수유혁로이건춘이겸제정진홍
조민희조진태조영희조희문한상룡
한진창
주임 참의
강병옥고원훈권태환김갑순김교성
김기태김명규김명준김상설김상섭
김연상김영무김정태김준용김창한
김필희김현수나수연노창안박경석
민건식민영은박기동박기순박봉주
박이양박제환박종렬박흥규박희양
방인혁서병조선우순송종헌송지헌
신석우신태유신창휴심준택심환진
안병길양재홍오재풍오태환원덕상
유기호유빈겸유익환유흥세윤치소
이강원이근우이기승이도익이동우
이만규이병렬이병학이택규이택현
이항직이흥재이희덕장대익장도
장상철장응상장직상장인원전석영
정동식정란교정병조정순현정재학
정태균정호봉조병건천장욱최석하
피성호한영원한상봉한창동허명훈
홍성연현은
참의
구연수김윤정김춘희김한목김희작
남규희민병석박기순원응상윤갑병
윤정현장헌식정건유현기봉

[ 1930 ]

고문
민병석윤덕영이윤용
칙임 참의
고원훈김관현김명준김서규김영진
김윤정남궁영민상호박두영박상준
박영철박용구박중양서상훈신석린
어담엄준원염중모유정수유진순
유혁로윤갑병이겸제이범익이진호
장헌식정교원조경하조성근조희문
주영환최린한규복한상룡한진창
홍종국
주임 참의
강동희강번고일청김경진김기수
김기홍김도현김두찬김병규김사연
김상설김상형김상회김신석김영택
김정석김정호김종흡김진수김창수
김한규김한목김한승남백우노영환
문종구민병덕박기석박종렬박보양
박봉진박철희박희옥방의석방태영
서병조서병주석명선선우순성원경
손재하손조봉송지헌신희련안종철
오세호오태환원덕상유승흠유태설
이경식이교식이근수이근우이기찬
이기승이동우이명구이방협이승우
이병렬이선호이은우이종섭이충건
이진호이택규이희덕이희적인창환
장대익장석원장직상장헌근정관조
정란교정대현정석모정석용정해붕
조병상주영환지희열최남선최양호
최연국최윤최윤주최준집최지환
최창조하준석한영원현준호현헌
홍치업황종국
참의
강필성김병원김성규김제하박상준
어윤적유만겸유성준진희규홍정철

[ 1940 ]

고문
김윤정박중양윤치호이범익이진호
한상룡
칙임 참의
고원훈김관현김명준김사연김연수
김영배김영진김우영김윤정김태석
김화준박두영박상준서상훈신석린
안종철원덕상유만겸유진순이겸제
이경식이계한이병길이원보장직상
장헌식정교원정란교정연기진학문
최린한규복
주임 참의
강이황권중식김경진김동준김병욱
김부원김사연김신석김원근김재환
김태집노준영민재기박지근박창하
박필병방의석서병조손창식송문화
신현구양재창원병희위정학이경식
이기찬이승우이신용이영찬이익화
이종덕임창수장용관장윤식장준영
장직상전덕룡조병상조상옥차남진
최윤최승렬최정묵최준집한익교
한정석현준호황종국
참의
김하섭문명기이승구

||
||<-5> 1. 중추원 의장은 조선 총독부 정무총감이 맡았다.
†. 재직 중 사망.
||



김태석
金泰錫
파일:김태석의 얼굴.jpg
창씨개명가네무라 타이시
金村泰錫
별명고문왕
본관경주 김씨
출생1882년 11월 23일
평안도 양덕현 온천방 일양리[1]
(現 평안남도 양덕군 일암리)[2]
사망1950년(추정)
직업교육인, 경찰, 중추원 참의, 관료
학력보통학교 (졸업)
관립한성사범학교 (졸업)
니혼대학 야간부 (법학 / 3학년 / 중퇴)

1. 개요
2. 일생
2.1. 친일 행적
2.2. 광복 후 행적
3. 대중매체에서



1. 개요[편집]


고등정탐, 혹은 그냥 형사로 우리 독립운동의 비밀을 적에게 밀고하거나 우리 지사를 체포하며 동포를 구타하는 추류(추잡한 무리)들이니 선우갑, 김태석, 김극일과 같은 흉적이라

- <독립신문> "칠가살(七可殺)", 1920년 2월 15일 1면 -


일제강점기의 악명높은 친일 경찰로, 일본인 경찰들보다도 몇 배는 더 혹독한 고문과 취조를 하여 '고문왕'으로도 불리었다.

참고로 고문조작의 계보가 있는데 그것의 1세대가 바로 김태석이며, 그 다음 2세대가 같은 친일 경찰 출신의 노덕술이고 3세대는 바로 제5공화국 시절 고문기술자 이근안이다.

2. 일생[편집]


1882년 11월 23일, 평안도 양덕현 온천방 일양리(현 평안남도 양덕군 일암리)에서 태어났다. 고향에서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상경하여 1908년 3월 관립한성사범학교를 졸업하였다. 졸업 후 그해 4월부터 잠깐동안 평양공립보통학교 훈도로 근무하다가 곧 일본에 유학하여 니혼대학 법과 야간부를 다니다가 3학년 때 중퇴했다. 귀국 후 1910년 5월 충청남도 홍주보통학교, 1911년 4월 평양공립보통학교 훈도로 교원생활을 했다.


2.1. 친일 행적[편집]


파일:고쓰가히.jpg
그러다가 1912년 9월 조선총독부 경찰관 통역생으로 전직하면서 친일반민족행위자의 낌새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그는 함경북도 웅기경찰서, 평안남도 광양만(廣粱灣)경찰서, 평양경찰서를 전전하며 통역생으로 근무하였는데, 통역생으로 근무하던 1915년 평양경찰서장의 특명으로 항일 비밀결사 '일심사(一心社) 사건'의 일부를 취급하여 관련자 검거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고 한다. 그 후 경무과 차석으로 있다가 1918년 3월 경무부 총감부 고등경찰과에 전직, 순사가 되어 본격적으로 친일 경찰로 복무하게 되었다.

그 해 8월 경찰관제도의 변경으로 경기도 고등경찰과에서 근무하게 되었는데, 이때 독립운동가들을 체포한 전과가 가히 어마어마했다. 1919년 9월 사이토 마코토 총독 암살미수사건을 일으킨 강우규를 체포하여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도록 공헌하였으며 그 밖에 연루자인 허형(許炯)과 최자남(崔子南)·오태영(吳泰泳) 등을 검거하는 등의 공으로 경부로까지 진급할 수 있었다. 또 1920년 7월 밀정 김진규(金珍奎)를 이용하여 밀양폭탄사건의 관련자 이성우(李誠宇)[3]·곽재기·황상규(黃尙奎)·윤세주[4] 등 6인을 체포하여 취조 끝에 김병환(金鉼煥)의 집에 폭탄 2개가 숨겨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기도 했다. 1921년 10월 말에는 밀정 김인규(金寅圭)를 이용하여 제2회 보합단(普合團) 경리부장 김희중(金熙重)을 검거, 취조하여 조선독립군사령부 조직 모의사실을 알아내고 황정연이춘구(李春求)를 추가로 검거하기도 했다. 1922년 황포탄의거 때는 중국 상하이로 도항하여 김익상을 조사하기도 했으며, 체포 및 조사과정에서 온갖 고문과 악행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1923년 8월에 경시로 승진되어 경기도 형사과장으로 근무하였고, 그 해 12월 16일 퇴직하였다.

경찰 퇴직 후 1924년 12월부터는 군수로 전임되어 경기도 가평군·연천군·부천군 등지의 군수를 역임하였으며, 1938년 6월 경상남도 칙임 참여관 겸 산업부장으로 전직하였는데 이때 당시 조선지원병 모병시험과의 업무도 겸하면서 청년 25명을 출병하도록 유인했다고 한다. 1940년 9월에 퇴직하면서 종(從)4위 훈(勳)4등에 서훈되었고, 1944년 6월에 중추원 칙임 참의에 선임되기도 했다.김태석의 친일 행적


2.2. 광복 후 행적[편집]


파일:해방 이후 김태석.jpg
8.15 광복 이후 1948년 9월 22일 반민족행위처벌법이 제정·발효되자 친구 이원찬(李源讚)을 이용하여 일본으로 도주하려다 실패하였고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의해 체포되어 그해 3월 29일 공판에 회부되었는데 이때 공판에 참석해서 보여준 언행이 가히 가관이다.당시 공판기록[5]

"제가 이 자리에서 자랑 같겠지만 독립운동가를 제법 구했다."[6]

[7]


"다른 사람은 몰라도 나로선 애국자는 한 사람도 잡은 일이 없고 도리어 도망시킨 일이 있다."


"그저 김태석은 죽어도 조선민족을 위하여 애썼으므로 부끄러울 게 없습니다."


"전들 조선 민족의 한 사람인데 민족정신을 저버릴 수야 있겠습니까?"


"제가 경찰로 들어간 것을 말씀드린다면 경찰로 들어가서 흑백을 가려야겠다는 비장한 생각으로 그저 한 고쓰가히(小使) 노릇[8]

밖에 더 한게 있겠습니까?"


이때 검찰관으로 입회하였던 곽상훈은 김태석의 이러한 철면피 같은 태도에 격분하여 "이때까지의 피고인의 진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참으로 성현의 말과도 같고 가장 애국자 같이 보인다. 이렇기 때문에 본 재판을 가장 공정하게 진척시키려면 먼저 피고인의 머리를 정신분석하여 정신이상 유무를 먼저 알아야 할 것이다" 라고 말했다고 전한다.[9]

공판 당시 무기징역 및 50만원의 재산몰수 처분을 받고 복역하다 1950년에 석방되었다.

이후에는 어떻게 되었는 지가 알려져 있지 않은데, 1950년 이후에 행방이 끊어진 것으로 보아 아마도 그 즈음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마찬가지로 무려 1천 명(!!)이나 되는 독립운동가들을 형사처리한 최악의 친일 경찰 김덕기 또한 1950년 이후로 행적이 끊어져 있는데, 모두 전쟁통에 사망한 것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10] 김태석의 최후에 대해서는 6.25 전쟁 통에 북한의 인민군 손에 붙잡혀 인민재판에 회부되었고 그때 처형당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즉 대한민국 국민들은 김태석이 '국민들 앞에서 진솔하게 사과함과 동시에 정당한 죗값을 치르는 모습'을 끝내 보지 못한 셈. 그나마 비록 짧긴 했어도 군 요직에 있던 노덕술과 무려 반세기 넘게 만행이 공론화되지 않은 채 부를 누려온 하판락에 비하면 어느 정도 죗값은 치렀다고 볼 수 있다. 심지어 이 놈은 그 반민특위에서조차 무기징역 및 50만원의 재산몰수 처분을 받고 복역할 정도 악질 친일파였으니 처형과정도 상당히 비참했을 것이다.


3. 대중매체에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1:03:43에 나무위키 김태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인근의 평암리와 함께 경주 김씨 집성촌이다.[2] #[3] 이명 李成宇[4] 이명 윤소룡(尹小龍)[5] 시간이 있으면 읽어보기 바란다. 김태석이 얼마나 뻔뻔한 인간이었는지 잘 알 수 있을 것이다.[6] 영화 암살에서 반민특위 재판정에 섰던 염석진의 변명이 이와 매우 흡사하다.[7] 비슷하게 무려 70명(!!)의 독립운동가의 목숨을 앗아간 악질 친일 밀정 이종형도 자신이 '독립운동의 터를 닦은 애국자'라는 소리를 했다.[8] 심부름꾼을 뜻하는 일본어 단어다.[9]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이날 공판에 재판장으로 입회한 노진설도 친일 행적이 있는 사람이었다.[10] 실제로 김덕기는 6.25 전쟁 직전에 정릉 근처의 산에 갔다가 추락사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