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소진(배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소진 문서
김소진번 문단을
김소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김소진
金素辰[1] | Kim Sojin
파일:김소진_영진위200 프로필.jpg
출생1979년 12월 12일[2] (44세)
서울특별시[3]
출신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현리
(現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기린면 현리)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기린초등학교 (졸업)
기린중학교 (졸업)
기린고등학교 (졸업)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영상제작과 / 전문학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4] (공연영상창작학부 연극전공 / 학사)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기과 / 예술전문사)
데뷔2008년 연극 '시동라사'[5]
소속사앤드마크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소속사

1. 개요
2. 상세
3. 출연 작품
3.1. 영화
3.2. 연극
3.3. 드라마
3.4. 예능
3.5. 특집 프로그램
4. 수상 내역
5.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배우. 극단 차이무 소속이다.


2. 상세[편집]


1979년 12월 12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 유치원부터 고등학교 3학년 때까지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현리에서 성장했다.[6]

2013년 더 테러 라이브의 이지수 기자 역으로 눈도장을 찍은 후 2017년 더 킹에서 안희연 검사 역을 맡아 인지도가 급상승했으며, 이 작품으로 백상예술대상, 대종상, 청룡영화상, 올해의 영화상 등에서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7]

그 외에도 재심, 아이 캔 스피크, 미성년, 마약왕, 공작, 남산의 부장들, 모가디슈, 비상선언 등 굵직굵직한 작품들에 비중 있는 주조연으로 출연하며 탄탄한 필모그래피를 자랑하는 한국 영화계의 신스틸러 전문 배우로 성장했다. 필모그래피를 보면 대부분 연극과 영화에만 전념했고, 2016년 MBC 결혼계약으로 드라마에 데뷔한 후 2022년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로 첫 드라마 주연을 맡게 되었다.


3. 출연 작품[편집]



3.1. 영화[편집]


Filmography

파일:attachment/theterrorlive.jpg
파일:attachment/우는 남자/Example.jpg
파일:신의한수.jpg
더 테러 라이브
조연
2013. 7. 31
김병우 감독 / 이지수 역
씨, 베토벤
주연
2014. 3. 27
민복기 감독 / 하진 역
우는 남자
조연
2014. 6. 4
이정범 감독 / 미진 역
신의 한 수
조연
2014. 7. 3
조범구 감독 / 영숙 역
파일:external/www.cinecine.co.kr/009041p001.jpg
파일:external/img.movist.com/58_p1.jpg
파일:external/7eabc7afbd815657f679267bebed1220125efefe038dbea47f64a9e1aac6d2d5.jpg
두근두근 내 인생
조연
2014. 9. 3
이재용 감독 / 김 작가 역
퇴마: 무녀굴
조연
2015. 8. 20
김휘 감독 / 수혜 역
더 킹
조연
2017. 1. 18
한재림 감독 / 안희연 역
재심
조연
2017. 2. 15
김태윤 감독 / 강효진 역
파일:아이캔스피크.jpg
파일:a5d0fdc8233f4317953eeddb7ac0b661.jpg
파일:drugking_2018.jpg
파일:Another Child.jpg
아이 캔 스피크
조연
2017. 9. 21
김현석 감독 / 금주 역
공작
조연
2018. 8. 8
윤종빈 감독 / 창주 처 역
마약왕
조연
2018. 12. 19
우민호 감독 / 성숙경 역
미성년
주연
2019. 4. 11
김윤석 감독 / 미희 역
파일:남산의 부장들 메인 포스터.jpg
파일:스프링 송_포스터.jpg
파일:모가디슈 포스터.jpg
파일:비상선언 공식 포스터.jpg
남산의 부장들
주연
2020. 11. 22
우민호 감독 / 데보라 심 역
스프링 송
주연
2021. 4. 21
유준상 감독 / 소진 역
모가디슈
주연
2021. 7. 28
류승완 감독 / 김명희 역
비상선언
주연
2022. 8. 3
한재림 감독 / 김희진 역


개봉 연도제목배역비고
2004년조선특수부대 마초유진
2010년초능력자미스 리단역
2011년체포왕마포 여경
매니저팀장
2012년밀청미연단편
2013년더 테러 라이브이지수조연
스파이상황실 요원2단역
2014년씨, 베토벤하진주연
우는 남자미진조연
신의 한 수영숙
두근두근 내 인생김 작가
2015년퇴마: 무녀굴수혜
도리화가진채선 모단역
2017년더 킹안희연[8]조연
재심강효진
아이 캔 스피크금주
2018년공작창주 처
마약왕성숙경
2019년미성년미희주연
2020년남산의 부장들데보라 심
2021년스프링 송소진
모가디슈김명희
2022년비상선언김희진


3.2. 연극[편집]


상연 연도제목배역비고
2008년시동라사강정옥데뷔작
2009년이상 열 셋까지 세다초록,금홍
한밤의 세레나데박정자
오월엔 결혼할꺼야최세연
2010년양덕원 이야기나영
산티아고 가는길
2011년갈매기마샤
신재순
삼년상
2012년풍찬노숙그 애
씨, 베토벤하진
봄의노래는바다에흐르고
거기김정
2013년거기김정
그날들사서
2014년남산희곡페스티벌 (낭독공연:싸이렌)
한때 사랑했던 여자에게 보내는 구소련 우주비행사의 마지막 메시지비비안/실비아
배수의 고도카타오카 유우
프라이드실비아
그날들사서
2015년달빛요정과 소녀은주
거기김정
러브타냐
만추애나
꼬리솜 이야기마금곱지
원파인 데이진경
2016년크레센도 궁전여자
단편소설집리사 모리슨
클로저안나
2017년라빠르트망알리스
2018년낫심
애도하는사람나기 유키요
2019년단편소설집리사 모리슨[9]
2021년우리가 사랑했던 정원에서내레이터
2023년와이프수잔나

3.3. 드라마[편집]


방영 연도방송사제목배역비고
2016년파일:MBC 로고.svg결혼계약황주연조연
2022년파일:SBS 로고.svg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윤태구주연
2023년파일:Disney+ 로고.svg비질란테최미려주연


3.4. 예능[편집]


방영 연도방송사제목비고
2022년파일:tvN 로고.svg출장 스페셜+비상선언


3.5. 특집 프로그램[편집]


방영 연도방송사제목비고
2022년파일:KBS 1TV 로고.svg우크라이나 침공 100일내레이션

4. 수상 내역[편집]


수상 연도시상식부문작품
2017년제53회 백상예술대상영화부문 여자 조연상더 킹
제54회 대종상여우조연상
제38회 청룡영화상
제4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2018년제9회 올해의 영화상
문화예술발전유공자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연극 부문
2023년제16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여우조연상비상선언


5. 여담[편집]


  • 성격은 낯을 많이 가린다고 한다. 인터뷰도 잘 안할 뿐더러 더 킹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하고 각종 대작에 들어갔음에도 재작년 11월까지 소속사 없이 활동을 했고, 김소진에게 캐스팅 연락을 하기 위해 관계자들이 직접 이메일을 보내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이렇게 베일에 싸인 배우이다 보니 영화계에선 "평소엔 고향 강원 인제에서 생활하다 연기할 때만 서울 등으로 나온다"는 소문까지 돌았다고.

  • 더 킹으로 각종 언론사에서 인터뷰 요청이 쏟아질 때 인터뷰를 모두 거절했었다. 그 이유는 생각은 많은데 말도 잘 못하고 자신을 보여주는 일이 쉽지 않아서였다고 한다. 당시 소속사가 없어 갑작스런 스포트라이트에 대한 상담을 한재림 감독과 했었는데 감독님이 많은 사람들이 소진씨를 궁금해 한다고 얘기해주었고 자기도 마음으론 알았지만 자신을 드러내는 게 어려워 많이 자책했다고 한다.

  • 영상 제작에서 연극 연출로 전공을 바꿨고, 대학원에서는 연기 전공으로 또 한 번 진로를 바꿨다. 먼저 작은 엄마께서 "소진이는 성격이 꼼꼼하니까 영상제작과에 가서 편집 일을 해보면 어때?"라고 추천해주셔서 영상제작과에 들어갔지만 방황하다 다시 학교에 가보자, 해서 영화과 편입 원서를 넣으러 갔는데 같은 창구에서 연극과 접수도 받는 것을 보고 커튼콜에서의 배우들 에너지가 인상적이었던 게 떠올라 바로 접수처를 바꾸며 연극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중앙대 졸업 후, 연기가 하고 싶어 '아리코리아'라는 해외공연 프로젝트에 참여해 1년을 외국에서 공연한 뒤 연기공부를 위해 한예종 전문사에 입학했다.

[1] 흴 소별 진. 아버지가 옥편에서 찾아 지어주신 이름이다.[2] 소속사 공식 게시물 참조.[3] 성장은 강원도 인제군에서 했다.[4]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영상제작과에서 편입[5] 2006 신춘문예 당선작.[6] 김소진의 부모님은 지금도 기린면에서 해장국집을 하고 있다.[7] 최초이자 2023년 현재 여자배우 유일하게 국내 3대 메이저 영화상 시상식에서 여우조연상을 그랜드슬램을 달성하였다. 남자배우는 김주혁, 변요한이 있다.[8] 실존 모델은 임은정 검사.[9] 2019 제40회 서울연극제 상연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3:39:25에 나무위키 김소진(배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