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경문호/2008년/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플레이오프

덤프버전 : (♥ 0)

}}} ||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주요 대표팀 | 역대 로스터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역대 유니폼 | 역대 BI | 세대별 대표팀 | 주요 경기
1998
방콕 아시안게임
1999
아시아야구선수권
2000
시드니 올림픽
2001
야구 월드컵
2002
부산 아시안게임
주성노호
[[주성노호/1998년|

1998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주성노호/1999년|

1999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김응룡호
[[김응룡호/2000년|

2000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김정택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역대 로스터#s-7.11|

2001
]]
김인식호
[[김인식호/2002년|

2002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2003
아시아야구선수권
2006
WBC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2007
아시아야구선수권
2008
올림픽 최종예선
김재박호
[[김재박호/200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2003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김인식호
[[김인식호/2006년|

2006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김재박호
[[김재박호/2006년|

2006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김경문호
[[김경문호/2007년|

2007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 [[김경문호/2008년/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플레이오프|

2008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2008
베이징 올림픽
2009
WBC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2013
WBC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김경문호
[[김경문호/2008년|

2008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김인식호
[[김인식호/2009년|

2009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조범현호
[[조범현호|

2010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류중일호
[[류중일호/2013년|

2013
]] | [[류중일호/2014년|

2014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2015
프리미어 12
2017
WBC
2017
APBC
2018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
2019
프리미어 12
김인식호
[[김인식호/2015년|

2015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김인식호/2017년|

2017
]]
선동열호^^

전임
^^
[[선동열호/2017년|

2017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 [[선동열호/2018년|

2018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김경문호^^

전임
^^
[[김경문호/2019년|

2019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2020
도쿄 올림픽
2023
WBC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2023
APBC
2024
프리미어 12
김경문호^^

전임
^^
[[김경문호/2020년|

2020
]] | [[김경문호/2021년|

2021
]]
이강철호
[[이강철호|

2023
]]
류중일호^^

전임
^^
[[류중일호/2022년|

2022
]] | [[류중일호/2023년|

2023
]] (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AG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류중일호/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APBC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

2024
KBO 리그 소속 선수 선발을 책임지는 KBO가 참여하기 시작한 대표팀이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이기 때문에 이를 시작점으로 한다.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APBC)는 24세 이하 대표팀이다.
③ 2001 야구 월드컵은 KBO 리그의 프로선수들이 대거 참가한 대회이기 때문에 특별히 포함한다.
아마 야구 대표팀 목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경문호
TEAM KOREA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crcr1l2il1sqk8veo10_r1_540.gif
감독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경문(KIM Kyong Moon )
주장
C}}} 진갑용(JIN Kabyong)
킷 스폰서파일:나이키 로고.svg 나이키
팀 스폰서파일:KB금융그룹 로고.svg
참가대회2008 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플레이오프
최종성적7전 6승 1패
선수성적
[ 펼치기 · 접기 ]
타자부분
【최다 타수】
【최다 안타】
【최다 홈런】
【최다 타점】
【최다 득점】

투수부분
【최다 출전】
【최다 이닝】
【최다 승리】
【최다 홀드】
【최다 세이브】
【최다 탈삼진】
파일:아시아 야구 연맹 심볼.svg 2007년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2008년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2008년

유니폼 컬러 어웨이
모자/헬멧파일:korea_national_baseball_team_bi_2006_wbc_w_c.png파일:korea_national_baseball_team_bi_2006_wbc_w_c.png
상의
하의
파일:흰색.png

파일:흰색.png

1. 개요
2. 대륙별 플레이오프
3. 코칭스태프
4. 최종 엔트리
5. 연습경기
6. 본선
6.2. 파일:WBSC 호주 국기.png 호주전 (3월 8일, 타이중 구장): 16:2 승리(7회 콜드)
6.5. 파일:WBSC 독일 국기.png 독일전 (3월 12일, 타이중 구장): 12:1 승리(7회 콜드)
7. 최종 순위



1. 개요[편집]


김경문호2008 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플레이오프(Final Qualifying Tournament)을 기록한 문서. 대만의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더우류 야구장[1]에서 진행되었다.


2. 대륙별 플레이오프[편집]


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플레이오프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제도로서, 각 지역별 예선에서 직행티켓을 얻지는 못했지만 뛰어난 성적을 거둔 8개의 팀을 대상으로 3장의 티켓을 가지고 3월 초에 풀리그를 치렀다.

이때까지 올림픽에 참가가 결정된 팀은 다음과 같다.
대회순위참가국승률득점실점비고
개최국파일:WBSC 중국 국기.png 중국개최국 자동 진출본선 직행
2006 IBAF 아메리카 예선아메리카 1위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610.8576932본선 직행
아메리카 2위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610.8576318본선 직행
2007 유럽야구선수권대회유럽 1위파일:WBSC 네덜란드 국기.png 네덜란드501.0005414본선 직행
2007 아시아야구선수권아시아 1위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301.000245본선 직행
다음 팀들이 대륙별 플레이오프에 참가할 자격을 얻었다.
대회순위참가국승률득점실점비고
2006 IBAF 아메리카 예선아메리카 3위파일:WBSC 멕시코 국기.png 멕시코52.7143824
아메리카 4위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43.5714338
2007 유럽야구선수권대회유럽 3위파일:WBSC 스페인 국기.png 스페인32.6004132
유럽 4위파일:독일 국기.svg 독일32.6002924[2]
2007 IBAF 오세아니아 예선오세아니아 1위파일:WBSC 호주 국기.png 호주부전승
2007 아시아야구선수권2위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21.857217
3위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중화 타이페이12.3331315
2007 IBAF 아프리카 예선아프리카 1위파일:WBSC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png 남아프리카 공화국501.000923

한국팀 일정은 3월 7일 남아공 - 3월 8일 호주 - 3월 9일 멕시코 - 3월 10일 스페인 - 3월 12일 독일 - 3월 13일 캐나다 - 3월 14일 대만으로서, 휴식일의 배치와 강호인 캐나다-대만-멕시코와의 대진이 골고루 섞여 있는 무난한 대진표였다.


3. 코칭스태프[편집]


직책등번호이름소속비고
감독74김경문KIM Kyungmoon두산 베어스 감독
수석 · 수비 코치77김광수KIM Kwangsoo두산 베어스 수석코치
타격 코치88김기태KIM Kitai요미우리 자이언츠 육성코치
투수 코치76조계현CHO Kyejyeon삼성 라이온즈 2군 투수코치
불펜 코치80김태형KIM Taehyoung두산 베어스 1군 배터리코치
수비 코치73김민호KIM Minho두산 베어스 1군 주루코치
벤치 코치72유승안YU Seungan한화 이글스 감독
트레이닝 코치87김용일KIM Yongil현대 유니콘스 1군 트레이닝 코치
[1] 기존 서술에 타오위안 구장이라고 되어 있었으나 대회 당시에는 건설중인 구장이었다.[2] 유럽 예선 2위인 영국은 소요경비 1억을 마련하지 못하여 참가할 수 없게 된 관계로, 4위인 독일에게 플레이오프 출전권이 승계되었다.


4. 최종 엔트리[편집]


등번호이름소속투타비고
투수
1우규민WOO KyuminLG 트윈스우언좌타
17김광현KIM KwanghyunSK 와이번스좌투좌타[A]
21정대현CHONG TaehyonSK 와이번스우언우타
22한기주HAN KijooKIA 타이거즈우투우타
32김선우KIM Sunwoo두산 베어스우투우타
41황두성HWANG Doosung우리 히어로즈우투우타
47권혁KWON Hyuk삼성 라이온즈좌투좌타
55장원삼CHANG Wonsam우리 히어로즈좌투좌타
61손민한SON Minhan롯데 자이언츠우투우타
99류현진RYU Hyunjin한화 이글스좌투우타
포수
20진갑용JIN Kabyong삼성 라이온즈우투우타
44조인성CHO InsungLG 트윈스우투우타
내야수
7박진만PARK Jinman삼성 라이온즈우투우타
10이대호LEE Daeho롯데 자이언츠우투우타
13손시헌SON Siheon두산 베어스우투우타
14고영민KO Youngmin두산 베어스우투우타
16정성훈JEONG Seonghoon우리 히어로즈우투우타
18김동주KIM Dongjoo두산 베어스우투우타
25이승엽LEE Seungyuop요미우리 자이언츠좌투좌타
외야수
12김주찬KIM Joochan롯데 자이언츠우투우타
15이용규LEE YongkyuKIA 타이거즈좌투좌타[A]
29이택근LEE Taekkeun우리 히어로즈우투우타
35이진영LEE JinyoungSK 와이번스좌투좌타
39이종욱LEE Jongwook두산 베어스좌투좌타
[A] A B 성인대표팀 첫 발탁


  • 팀별 차출 현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름합계
SK김광현 정대현 이진영3
두산김선우 손시헌 고영민 김동주 이종욱5
한화류현진1
삼성권혁 진갑용 박진만3
LG우규민 조인성2
히어로즈황두성 장원삼 정성훈 이택근4
롯데손민한 이대호 김주찬3
KIA한기주 이용규2
해외이승엽1
합계-24


5. 연습경기[편집]


2월 24일 단국대와의 첫번째 연습경기에서 이승엽의 홈런을 앞세워 14:1로 승리를 거두었다. 류현진은 3⅔이닝 2피안타 6K 3볼넷 무실점으로 안정적인 피칭을 선보였고 이어 손민한 - 장원준 - 우규민 - 한기주가 잘 틀어막는데 성공하면서 투수진 점검도 완료.

2월 25일 단국대와의 두번째 연습경기에서 선발 김선우(4이닝 4피안타 무실점)의 호투와 이대호의 홈런등을 앞세워 9:0 승리를 거두었다.##


6. 본선[편집]



6.1. 파일:WBSC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png 남아공전 (3월 7일, 타이중 구장): 5:0 승리[편집]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svg ·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픽토그램.svg2008 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예선
Games of the XXIX Olympiad

━━━━━━━━━━━━━━━━━━━━━━━━━━━━
예선 1차전, 3.7,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중계방송사: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권성욱, 이용철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손민한10200001150N/AN/A
파일:WBSC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png 남아공-00000000000N/AN/A

3월 7일 남아공전. 선발 손민한이 6이닝 동안 쾌투하면서, 타선의 부진과는 상관없이 5:0으로 승리를 거두었다.그때 네이버댓글이 활발하지 않아서 망정이지 지금 같으면 왜 콜드게임 못 했냐고 난리 났을 것이다


6.2. 파일:WBSC 호주 국기.png 호주전 (3월 8일, 타이중 구장): 16:2 승리(7회 콜드)[편집]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svg ·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픽토그램.svg2008 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예선
Games of the XXIX Olympiad

━━━━━━━━━━━━━━━━━━━━━━━━━━━━
예선 2차전, 3.8,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중계방송사: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김현태, 박동희, 이용철
선발1234567RHEB
파일:WBSC 호주 국기.png 호주-100010020N/AN/A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류현진424600X160N/AN/A

3월 8일 호주전. 선발 류현진이 선취점을 내주었음에도 큰 실점 없이 잘 막아내었고, 이승엽의 3점홈런 등을 묶어 16:2, 7회 콜드게임 승을 거두었다.


6.3. 파일:WBSC 멕시코 국기.png 멕시코전 (3월 9일, 더우류 야구장): 6:1 승리[편집]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svg ·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픽토그램.svg2008 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예선
Games of the XXIX Olympiad

━━━━━━━━━━━━━━━━━━━━━━━━━━━━
예선 3차전, 3.9, 더우류 야구장
중계방송사: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권성욱, 박동희, 이용철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멕시코 국기.png 멕시코월터 실바000010000171N/A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김광현00010104X690N/A

3월 9일 멕시코전. 김광현이 선발로 나서 6이닝 동안 홈런 하나를 내주면서 1실점을 하는 동안 8회에 타선이 폭발해 이택근의 결승 희생플라이를 끝으로 6:1 승리를 거두었다.


6.4. 파일:WBSC 스페인 국기.png 스페인전 (3월 10일, 더우류 야구장): 14:5 승리[편집]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svg ·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픽토그램.svg2008 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예선
Games of the XXIX Olympiad

━━━━━━━━━━━━━━━━━━━━━━━━━━━━
예선 4차전, 3.10,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중계방송사: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권성욱, 박동희, 이용철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김선우10151200014161N/A
파일:WBSC 스페인 국기.png 스페인마누엘 올리베이라1003010005111N/A

3월 10일 스페인전. 4회까지 7점을 내면서 일찌감치 앞서갔으나, 5회말 선발 김선우가 4실점하면서 경기가 길어졌다. 최종적으로 14:5로 승리했다.


6.5. 파일:WBSC 독일 국기.png 독일전 (3월 12일, 타이중 구장): 12:1 승리(7회 콜드)[편집]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svg ·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픽토그램.svg2008 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예선
Games of the XXIX Olympiad

━━━━━━━━━━━━━━━━━━━━━━━━━━━━
예선 5차전, 3.12,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중계방송사: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권성욱, 차명석
선발1234567RHEB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T.헨켄요한01000001410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손민한236100X121100

3월 12일 독일전. 선발 손민한이 2회초 뜬금 포를 얻어 맞았지만 이후 실점을 하지 않으면서 1실점을 기록했다.

그리고 타선은 당연히 터지면서 12:1로 여유롭게 콜드게임 승리를 거두었다. 이 경기의 승리로서 2008 베이징올림픽 본선 진출은 확정되었다.


6.6. 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전 (3월 13일, 타이중 구장): 3:4 패배[편집]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svg ·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픽토그램.svg2008 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예선
Games of the XXIX Olympiad

━━━━━━━━━━━━━━━━━━━━━━━━━━━━
예선 6차전, 3.13,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중계방송사: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권성욱, 차명석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류현진1000000023810
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제임스 에이버리30010000X4920

3월 13일 캐나다전. 선발 류현진이 컨디션 난조 속에 1⅔이닝 만에 3실점 하면서 강판하는 등, 결국 3:4로 첫 패배를 당했다. 이때 류현진은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일본전-중국전, 2007 아시아 지역예선 대만전, 최종예선 호주전-캐나다전의 부진으로 '국내용 투수'라는 불명예 오명을 얻었다.[3] 하지만 8월 본선의 두 경기에서 실력으로 완벽하게 증명하게 된다. 그리고 이제는 류현진이 국내용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6.7.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전 (3월 14일, 타이중 구장): 4:3 승리[편집]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svg ·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픽토그램.svg2008 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예선
Games of the XXIX Olympiad

━━━━━━━━━━━━━━━━━━━━━━━━━━━━
예선 7차전, 3.14, 20,000명(매진)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중계방송사: 파일:SBS 로고.svg 배기완, 김상훈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김광현0310000004820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중화 타이베이리첸창2000100003000

3월 14일 대만전. 캐나다가 1위 확정이 되었고 두팀 모두 올림픽 본선 진출이 확정된 상태에서의 2, 3위 결정전의 성격을 띄었지만, 그것과 상관없는 자존심 대결이었다. 한국은 선발로 김광현을 내세웠고 대만은 선발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싱글 A에서 뛰고 있던 리첸창을 내세웠다. 일방적이고 한국에 대한 모욕 섞인 대만 홈팬들의 응원 속에서 야수진의 실책으로 어려운 경기를 했으나(김광현 5이닝 3실점 1자책점) 황두성, 한기주, 정대현으로 이어진 불펜진이 무실점으로 막으면서 결국 스코어 4:3으로 승리했다.
  • 당시 경기를 중계하던 배기완 캐스터는 3회말 2사 2,3루 상황에서 심판이 김광현의 공을 스트라이크를 안 잡아주고 볼로 선언하자"심판 맞나요?"라고 일갈. 결국 헛스윙 삼진으로 처리하자 "스윙!! 스트락아웃!! 스트락아웃~~!!"을 마이크가 거의 터질듯이 힘차게 외쳤다. 5회에 이대호가 가랑이 사이로 타구를 빠트리자 "이대호가 터널~"이라는 멘트를 날리기도 했다.


7. 최종 순위[편집]


세계예선의 순위는 아래와 같다.
순위경기승률승차승자승비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7610.8571승 0패본선 진출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7610.8570승 1패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중화 타이페이7520.7141
4위파일:WBSC 멕시코 국기.png 멕시코7430.57121승 0패예선 탈락
5위파일:WBSC 호주 국기.png 호주7430.57120승 1패
6위파일:독일 국기.svg 독일7250.2864
7위파일:WBSC 스페인 국기.png 스페인7160.1435
8위파일:WBSC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png 남아프리카 공화국7070.0006

대륙별 예선에서 2위를 거두면서 베이징 올림픽 야구 종목에 나갈 수 있게 되었으며 캐나다와 대만도 합류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08 베이징 올림픽/야구 문서의 r64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2008 베이징 올림픽/야구 문서의 r6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5 11:23:50에 나무위키 김경문호/2008년/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플레이오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3] 후에 류현진의 컨디션 난조의 원인이 배탈로 밝혀졌다. 대표팀이 삼겹살로 회식을 했는데, 하필 류현진이 이대호 앞자리에 앉는 바람에 익지도 않은 삼겹살을 허겁지겁 먹어서라는 뒷 얘기. 대호야 천천히 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