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조사본부

덤프버전 : (♥ 1)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대한민국 국방부 직할부대
[ 펼치기 · 접기 ]

군사학교
{#000,#FFF [[파일:국방대학교 엠블럼.svg
국방대학교}}}
{#000,#FFF [[파일:합동군사대학교 엠블럼.svg
합동군사대학교}}}
{#000,#FFF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기능사령부
{#000,#FFF [[파일:군사안보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군사안보지원사령부}}}
{#000,#FFF [[파일:resized_CSC_2.png
사이버작전사령부}}}
{#000,#FFF [[파일:ROKCC_logo.png
국군지휘통신사령부}}}
{#000,#FFF [[파일:AFMC_2.png
국군의무사령부}}}
{#000,#FFF [[파일:ROKTC_logo.png
국군수송사령부}}}
{#000,#FFF [[파일:화방사_부대마크.png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참모부
{#000,#FFF [[파일:attachment/국방정보본부/DIA.png
국방정보본부}}}
{#000,#FFF [[파일:DIA_logo.png
국방시설본부}}}
{#000,#FFF [[파일:국방부 조사본부 로고.svg
국방부 조사본부}}}
군사법원
{#000,#FFF [[파일:군사법원 로고.svg
고등군사법원}}}
여단급·단급부대
{#000,#FFF [[파일:국방부 검찰단(수정).png
국방부 검찰단}}}
{#000,#FFF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국군체육부대}}}
{#000,#FFF [[파일:MAKRI_logo.png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000,#FFF [[파일:국군복지단 부대마크.svg
국군복지단}}}
{#000,#FFF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군심리전단}}}
{#999,#aaa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
{#000,#FFF [[파일:fmc_logo.png
국군재정관리단}}}
{#000,#FFF [[파일:MNDSSC_logo.png
국방부 근무지원단}}}
{#000,#FFF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계룡대 근무지원단}}}
{#999,#aaa [[파일:IMH_logoPNG.png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000,#FFF [[파일:국방정신전력원 부대마크.svg
국방정신전력원}}}
군 책임운영기관
{#000,#FFF [[파일:국방출판지원단 부대마크.svg
국방출판지원단}}}
{#999,#aaa [[파일:DIDC_logo.png
국방통합데이터센터}}}


※ 참고 : 국방부 조직 및 소속기관, 직할부대 예하부대
합동참모본부
육군본부
|
해군본부
(
해병대사령부
) |
공군본부
국방부 소속기관국립서울현충원, 국방홍보원, 국방전산정보원
국직부대 예하국방정보본부 예하 : 국군정보사령부, 777사령부 | 계룡대 근무지원단 예하 : 자운대 근무지원단 | 국방부 조사본부 예하 : 국군교도소 | 기타 : 국군의 날 행사단



파일:대한민국 국군기.svg파일:투명.png
대한민국 국군
형사사법기관
[ 펼치기 · 접기 ]

제1심 재판파일:군사법원 로고.svg
중앙·제1·2·3·4지역군사법원
군판사
기소 및 공소유지파일:국방부 검찰단 휘장.png파일:육군검찰단.png파일:해군검찰단.png파일:공군검찰단2.png
[[국방부 검찰단|{{{#fff 국방부 검찰단}}}]][[육군검찰단|{{{#fff 육군검찰단}}}]][[해군검찰단|{{{#fff 해군검찰단}}}]][[공군검찰단|{{{#fff 공군검찰단}}}]]
군검사
수사파일:국방부 조사본부 로고.svg파일:육군수사단3.png파일:해군 군사경찰 병과 휘장.jpg파일:공군수사단_발퀄.png
[[국방부 조사본부|{{{#fff 국방부 조사본부}}}]][[육군수사단|{{{#fff 육군수사단}}}]][[해군수사단|{{{#fff 해군수사단}}}]] · [[해병대수사단|{{{#fff 해병대수사단}}}]][[공군수사단|{{{#fff 공군수사단}}}]]
군사경찰 | 국군교도소
군법무관 | 국군방첩사령부
둘러보기
경찰청 · 해양경찰청 · 법원 · 검찰청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국군의 편제
※ 둘러보기 : 참모본부 | 작전사령부 | 사관학교 | 교육사령부 | 군수사령부 | 근무지원단 | 국군병원 | 파병부대



국방부 조사본부
國防部 調査本部
Criminal Investigation Command
파일:국방부 조사본부 로고.svg
진실을 추구하고 인권을 보호한다
창설일1953년 3월 24일 (헌병총사령부)
1960년 10월 10일 (국방부 합동조사대)
1990년 12월 31일 (국방부 합동조사단)
2006년 2월 14일 (국방부조사본부)
약칭국조본, 조사본부, CIC
소속대한민국 국군
상급기관대한민국 국방부
종류참모부
역할국방부 본부 및 직할부대 소속 장병 및 군무원의 범죄 수사 및 예방
본부장육군준장 박헌수 (육사 48기)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2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상세
3. 편제
4. 출신인물
5. 사건사고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국방부조사본부.jpg
국방부 조사본부 전경[1]

국방부조사본부령

제1조(설치와 임무)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관장하기 위하여 국방부장관 소속 하에 국방부조사본부를 둔다.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군인 및 군무원에 대한 범죄의 수사 및 예방과 범죄정보에 관한 업무

가. 국방부와 그 직할부대 및 직할기관에 소속된 군인 및 군무원 나. 국방부장관 소속 청에 소속된 군인

2. 각 군 군사경찰업무 중 국방부장관이 명하는 업무

3. 각 군 중 2 이상의 군에 관련된 범죄의 수사

4. 민원이 제기된 군 관련 사망사고에 대한 조사

5. 군 관련 중요사건ㆍ사고에 대한 속보의 접수ㆍ처리와 분석 및 대책의 수립

6. 사망사고 등 군 관련 중요사건ㆍ사고에 대한 감식 및 과학수사 지원

7. 과학수사 및 범죄예방을 위한 연구

8. 군 관련 범죄의 수사 및 예방을 위한 관계기관과의 협조

9. 부정군수품 관련 계몽활동 및 단속

10. 「군에서의 형의 집행 및 군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 제115조의2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39조제2항 각 호에 따른 군교도소(같은 법 제4조제2항에 따라 군교도소에 설치하는 군미결수용실을 포함한다)의 운영에 관한 업무

군내 범죄 수사 및 예방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국방부 직할 대한민국 국군의 최고위 수사기관이다.


2. 상세[편집]


1953년 3월 24일 헌병총사령부로 창설된 이후 1960년 10월 10일 국방부합동조사대로 개편, 1970년 4월 9일 국방부조사대로 개편한 후 1990년 12월 31일 국방부 합동조사단으로 명칭이 변경됐으며 2006년 2월 2일 국방부 합동조사단을 모체로 하여 국방부 과학수사연구소와 민원제기 사망사고 특별조사단을 통합해 조직이 보강되었다.

주요 임무는 국방부 본부 및 직할부대[2] 소속 장병 및 군무원 등의 범죄예방 및 수사, 군내 중요 사건에 대한 과학수사 감정지원, 민원제기된 군 관련 사망사고에 대한 조사, 방위사업비리 및 부정군수품 단속, 국군교도소 운영, 계엄령하에서 계엄사령부 치안처 운영, 병영생활 고충상담 및 군내 범죄 신고를 위한 국방헬프콜(1303)을 운영 등이다. 즉 민간의 경찰+교정본부를 합친 포지션이다.

국방부조사본부장은 장성급 장교가 임명된다. 군사경찰을 담당하는 곳인 만큼 육해공 군사경찰이 모두 근무하고 있다.

관련자료 #1
관련자료 #2


3. 편제[편집]


  • 기획처
  • 안전정보처
  • 감찰실
  • 법무실
  • 전사망민원조사단
  • 수사단
  • 과학수사연구소
  • 국군교도소
  • 수사교육단


4. 출신인물[편집]



4.1. 본부장[편집]


파일:국방부 조사본부 로고.svg

||
[ 펼치기 · 접기 ]
## 범례

## 1번째 줄 - 1공
파일:major general_white.png

초대

원용덕
제2대

조흥만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홍종설
제38대

윤종성
제39대

승장래
제40대

백낙종
제41대

이종협
제42대

이재섭
제43대

이태명

※ 초대 ~ 현재: 소장 (42대, 43대 제외)



역대 국방부 조사본부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초대[3]원용덕예) 육군 중장前 본부장[4]
2대[5]조흥만예) 육군 준장前 본부장[6]
3대[7]전이호예) 육군 대령前 본부장[8][9]
4대[10]김재현예) 육군 준장前 본부장[11]
5대[12]전이호예) 육군 대령前 본부장[13][14]
7대[15]이찬영예) 육군 대령前 본부장[16][17]
37대홍종설예) 육군 소장육사 34기前 본부장[18]
38대윤종성예) 육군 소장육사 37기前 본부장[19]
39대승장래예) 육군 소장육사 37기前 본부장[20]
40대백낙종예) 육군 소장3사 16기前 본부장[21]
41대이종협예) 육군 소장육사 42기前 본부장[22]
42대[23]이재섭예) 공군 대령공사 36기자운대 근무지원단[24]
43대이태명예) 육군 준장육사 45기前 본부장[25]
44대전창영예) 육군 준장3사 25기前 본부장[26]
45대박헌수육군 준장육사 48기現 본부장[27]
국방부조사본부 역대지휘관
국방부 조사본부장 직위는 소장이었으나 송영무 장관 재직 시절 준장으로 하향되었다. 이유는 정확하지 않다.


5. 사건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가정보원·국방부 여론조작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CIC 문서의 r72
, 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CIC 문서의 r7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2:25:20에 나무위키 국방부 조사본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8년부터 조사본부 현판을 철거하여 없어진 상태이다.[2] 육해공 각군 예하부대 소속 장병 및 군무원의 범죄 등에 대한 수사는 각군 수사단에서 진행한다. 공군 예하 부대 소속 장병의 범죄는 공군수사단에서 진행하는 식이다. [3] 헌병총사령관[4] 1953.03.22~1960.07.28[5] 국방부합동조사대장[6] 1960.10.10~1961.01.10[7] 국방부합동조사대장[8] 1961.01.14~1961.04.05[9] 광복군 출신의 독립운동가[10] 국방부합동조사대장[11] 1961.04.15~1961.05.23[12] 국방부합동조사대장[13] 1961.05.24~1961.07.25[14] 3대 국방부합동조사대장과 동일인물[15] 국방부합동조사대장[16] 1963.07.31~1965.02.28[17] 광복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후에 서울병무청장 역임.[18] 2006.12.26.2008.12.24[19] 2008.12.24~2010.12.22[20] 2010.12.22~2012.12.21[21] 2012.12.21~2014.12.19[22] 2014.12.19~2017.12.31[23] 직무대리[24] 2018.01.05~2019.05.17[25] 2019.05.22~2021.01.01[26] 2021. 06. 02~2023.06.01[27] 2023. 10. 12. ~ 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