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국가우주위원회

덤프버전 : r20190312



국가우주위원회
주무부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위원장유영민
1. 개요
2. 조직
2.1. 위원
3. 같이보기


國家宇宙委員會

1. 개요[편집]


우주개발 진흥법 제6조(국가우주위원회) ① 기본계획의 수립 등 우주개발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대통령 소속으로 국가우주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국가우주위원회대한민국 정부의 우주개발 정책에 관한 주요사항을 수립하며, 이를 심의하고 조정하는 대통령 소속 자문위원회이다.

2005년 12월, 우주개발 진흥법이 발효됨에 따라 설치되었다.

5년마다 정부가 수립하는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과 위성정보활용종합계획, 우주위험대비기본계획을 심의하며, 그 밖에 우주개발사업에 대한 평가와 재원 조달 및 투자계획, 우주개발전문기관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심의한다. 그리고 우주발사체의 발사 허가에 관한 사항도 심의한다.


2. 조직[편집]


위원회는 위원장 1인 등 당연직과 위촉직을 포함하여 15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당연직 위원으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기획재정부 차관, 외교부 차관,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국방부 차관,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환경부 차관, 국토교통부 차관(1명), 해양수산부 차관, 기상청장, 국가정보원 차장 (1명)이 참여한다. 그리고 그 외 대통령이 민간인 위원을 위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임기는 2년이며, 중임이 가능하다.

위원장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당연직으로 맡는다.

위원회의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간사 1명을 두며, 간사는 위원장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공무원 중에서 지명한다.

또한, 위원회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위성정보활용실무위원회가 있다.

2019년에 과기정통부·국방부·외교부·국토부·환경부·해수부·행안부·산업부·기상청이 참여해 우주개발국제협력소위원회를 출범하였다.

2.1. 위원[편집]


구분위원직책비고
위원장유영민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위원고형권기획재정부 제1차관
위원김용진기획재정부 제2차관
위원조현외교부 제1차관
위원이태호외교부 제2차관
위원정승일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위원서주석국방부 차관
위원류희인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위원박천규환경부 차관
위원국토교통부 차관
위원김양수해양수산부 차관
위원김종석기상청
위원국가정보원 차장


3. 같이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