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골든 프레디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환각이 아닌 실존했던 애니매트로닉스에 대한 내용은 프레드베어 문서
프레드베어번 문단을
프레드베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골든 프레디
Golden Freddy
파일:골프 프로필.jpg
FNaF 1에서 묘사된 모습[1]
별칭프레드베어 (Fredbear)[2]
노란색 곰 (Yellow Bear)[A]
유령 곰 (Ghost Bear)[A]
성별불명
종족애니매트로닉스[3]
깃든
영혼
[ 스포일러 ]
캐시디 (추정)
소속87년도의 피자가게 (FNaF 2 시점)
93년도의 피자가게 (FNaF 1 시점)
모티브 동물
성우크리스토퍼 맥컬로프 (FNaF World, Freddy in Space 2)
켈렌 고프 (UCN)[4][5]

1. 개요
2. 작중 등장
3. 다른 매체에서
4. 의문점
4.1. 영혼
4.1.3. 둘 다 빙의되었다
4.2. 실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IT'S ME.

나야.

FNaF 시리즈에서 골든 프레디를 대표하는 대사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에 등장하는 환각. 첫 출연은 FNaF 1이며, 이때까지만 해도 단순한 이스터 에그로 만들어진 애니매트로닉스에 불과했지만, 이후 후속작들이 출시되면서 비중있는 캐릭터로 발전하였다.[6] 프레디 파즈베어와는 달리 인형탈이 금색(노란색)이다. 위 사진을 자세히 보면 몸통 부분에 손자국이 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생김새가 비슷한 프레드베어와는 정확히 어떤 관계인지 불명이다. 다만 UCN에서 프레드베어가 출현하는 방법을 보면 둘이 연관이 있는 것은 분명하고, 현재로서는 골든 프레디=프레드베어라고 보는 게 거의 정설로 여겨지고 있다.

2. 작중 등장[편집]


작중 등장할 때는 환각의 형태로 등장한다.[7]

2.1. FNaF 1[편집]


파일:YellowBear.webp
점프스케어[8]

다른 애니매트로닉스와는 다르게 유일하게 축 늘어진 채 앉아있는 모습인데, 이것은 외골격 안에 내골격이 없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으나, 인간의 눈을 지닌 프레디의 환각이 동시에 보이는 것을 봐서는 그냥 골든 프레디의 외골격에 내골격도 없이 인간을 집어넣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자세히 보면 눈에 아주 작게 점 수준으로 불이 켜져 있다.

평소에는 볼 수 없고 CAM 2B의 프레디 포스터가 눈이 없는 골든 프레디의 얼굴로 바뀌었을 때, 노트북을 닫으면 경비실 안에 앉아 있다. 발견 직후 이상한 목소리와 함께 IT'S ME 라는 글자와 (놀람/약혐 주의) 인간의 눈을 가진 프레디[9], (놀람 주의) 검은자와 흰자가 바뀐 보니[10] 등의 환각이 계속 보이다가 결국 골든 프레디의 얼굴이 확대되며 게임 자체가 꺼진다.[11][12] 이때의 비명 소리는 탁한 저음[13]이라 게임에 등장하는 애니매트로닉스들 중에서 제일 무섭다.[14][15][16] 참고로 노트북으로 골든 프레디의 포스터를 보면 어린 아이의 웃음 소리가 들리는데, 이 웃음소리를 느리게 재생하면 프레디의 웃음 소리와 똑같아진다.

환각들은 아주 가끔 가다가 골든 프레디가 사무실 안에 나타나지 않아도 나타나기도 한다. 물론 그것 때문에 갑자기 골든 프레디의 점프스케어가 나타나면서 게임이 꺼진다거나 하지는 않는다.[17] 반대로 골든 프레디가 출현해도 포스터가 바뀌고 경비실 내에 직접 나타나는 것 외에 고유한 환각이 없기 때문에 랜덤한 환각을 자주 접한 플레이어라면 골든 프레디가 나타나도 특별히 놀라거나 하지 않고 그냥 카메라 돌리다가 넘어가기도 한다.

최선의 방지책은 그냥 CAM 2B을 보지 않는 것이지만, 하필 그곳은 보니가 플레이어의 경비실으로 올 때 애용하는 구간이라 안 보기가 어렵다.[18] 따라서 살아남으려면 골든 프레디가 나타나면 바로 노트북을 올려서 CAM 2B에서 다른 장소 카메라로 바꾼 뒤, 내리면 된다. 이를 놓치면 그냥 카메라를 올렸다 다시 내리면 된다.

커스텀 나이트 모드에서 애니매트로닉스들의 인공지능을 각각 1/9/8/7[19]로 설정하고 시작하면 바로 골든 프레디의 점프스케어가 나오고 게임 자체가 종료된다.(놀람 주의)[20]

여담으로 골든 프레디가 경비실에 침입할 때 들리는 목소리를 거꾸로 재생하면 5일째 밤 전화 통화의 내용(요가의 자서전의 일부분)과 일치한다.

기본적으로 이스터 에그의 형태이긴 하나, 4번째 밤의 전화 끝부분에 골든 프레디의 비명 소리가 들리는 걸 보아 어떤 형태로든 존재하긴 하는 모양. 또한 일반적으로 애니매트로닉스의 외골격에 사람을 넣어버리는 다른 4대와는 달리 골든 프레디에게 당할 경우, 대체 어떤 꼴을 당하는지 알 수 없다는 점이 호러 요소로 작용한다.

참고로 본래 골든 프레디라는 명칭은 팬들에 의해 지어진 일종의 가명으로,[21] 본 게임에서는 단 한 번도 진짜 이름이 등장하지 않는다. 게다가 주인공을 제외한 그 누구도 이 자의 존재를 모른다.[22] 이후 2편에서부터는 골든 프레디라는 명칭이 공식이 되었다.

여담이지만 게임의 제작자인 스콧 코슨FNaF 1을 만들 당시에는 골든 프레디에게는 딱히 특별한 의미가 부여되지 않았던 모양이다. 제작자가 Greek Under Grace와 한 인터뷰에서 골든 프레디에 대한 질문을 받자, "게임을 만들 때, 이따금 어떤 요소들이 '생겨나곤' 합니다. 저도 골든 프레디에 대해서는 설명할 수가 없네요."[23] 라는 답변을 했다. 이를 볼 때 적어도 1편 제작 당시엔 특별한 뒷설정을 하고 만든 게 아니라, 공포적 요소를 추가시킬 요소가 갑자기 떠올라서 정체 같은 건 별로 신경 안 쓰고 집어넣은 존재인 듯하다.[24]


2.2. FNaF 2[편집]


파일:구형 골디 전신.png
경비실 안의 골든 프레디
복도의 골든 프레디
점프스케어[25]

2편의 골든 프레디는 5일차까지는 등장하지 않고 6일차에서 등장한다.[26] 전편과는 달리 공격당해도 게임이 종료되지 않고 통상적인 점프스케어가 나온다. 덤으로 전편에 비해 여기저기 뜯어져 있고 상태가 안 좋다.[27] 대처법은 빨리 인형탈을 쓰고 벗으면 곧 투명해지면서 사라진다.[28] 1편에서는 공략하기 쉬운 편이었으나, 2편의 6일밤을 어렵게 만드는 것들 중 하나이다. 다른 애니매트로닉스들은 CCTV를 내려주고 기다리고 있지만, 이 녀석은 CCTV를 꺼주지도 않고 기다리고 있다가 공격하는 타입이다. 무시하는 경향이 많지만 절대 무시해서는 안될 환각이자 애니매트로닉스 중 하나. 7번째 밤에서 AI 조정이 가능하다.

참고로 등장 조건이 무작위이기 때문에 간혹 가다가 운이 없는 경우에는 시작하자마자 생긴다거나, 혹은 사라져서 안심하고 CCTV 보고 있었더니 바로 다시 생겨서 점프스케어를 당하는 경우도 있다. 심하면 저 두 가지를 동시에 당하는 경우도 있다.

복도의 환각도 플레이어를 공격하나, 복도 쪽 환각은 단순히 손전등 불빛만 꺼도 막을 수 있지만, 이 대처법이 다른 애니매트로닉스들과는 정반대이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보통 복도를 감시하기 위해 손전등을 계속 키는데, 환각이 나와도 무의식 중에 계속 불을 깜빡이다간 골든 프레디의 머리가 날아오는 걸 볼 수 있다. 특히 복도에 구형 폭시라도 있으면 손전등을 계속 비춰줬다면 괜찮지만, 손전등 사용을 소홀히 했다면 자신의 운에 맡기도록 하자.

여담이지만 2편의 골든 프레디가 미스터 홉스에서 이스터에그로 출현하기도 했다. #


2.3. FNaF 3[편집]


파일:HeadsGlowing.png
3편에서도 골든 프레디가 cctv화면이 깜빡일때 2편의 모습으로 가끔식 나타난다.

또한, 미니게임 중 프레드베어가 등장하는 미니게임이 있고, 배드 엔딩에서 볼 수 있는 불이 켜진 클래식 애니매트로닉스 4인방의 인형탈 뒤에 있는 가면이 골든 프레디의 것으로 추정된다.

엔딩에서는 4대의 애니매트로닉스 뒤에 위치해있다. 단, 배드 엔딩에서만 보이고 진엔딩에서는 어두워서 보이지 않는 듯 하나 사실은 아예 사라져 있다.[29]


2.4. FNaF 4[편집]


골든 프레디의 원형인 프레드베어가 미니게임에서 등장하며, 미니게임 내에서 프레드베어의 인형, 액자 등도 볼 수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2.4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FNaF SL[편집]




프레드베어 봉제 인형이 이스터에그로 등장하며 서커스 베이비 포스터 바로 밑에 있다.


2.6. UCN[편집]


골든 프레디, 프레드베어, 나이트메어 프레드베어가 모두 등장한다.

또한, 해당 게임에서 골든 프레디와 프레드베어가 확실하게 연관이 있음을 밝히면서 둘이 동일한 존재일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30]



모든 애니매트로닉스의 AI 레벨을 20으로 맞추고 게임을 클리어하면 마지막에 뭔가 꺼림직하고 소름이 돋는 피아노 음악[31]과 함께 1편의 골든 프레디가 경련을 일으키듯이 움직이고, 시야에서 멀어지는 장면이 나온다. 상당히 꺼림직한 느낌을 주는 동시에 골든 프레디에 씌인 영혼에게 아직 원한이 남아 있음을 암시한다. 근데 이 영상에서 골든 프레디의 모션이 시리즈 3 예고편 스프링트랩이 떨던 모습과 굉장히 비슷하다.


2.7. FNaF HW[편집]


불행히도 본작에서는 발로라와 더불어 아예 출현하지 않는다. 다만 골든프레디를 상징하는 대사인 'It's me'가 이스터에그로 등장한다.

파일:VRFredBear1.jpg

그나마 발로라와 달리 다행인 점은 골든프레디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나이트메어 프레드베어로 Night Terrors(야간 공포증) 파트에서 단독 스테이지로 출연한다. Night Terrors(야간 공포증) 파트에 등장하는 다른 애니매트로닉스들과는 달리 유일하게 말을 하지 않지만, 대신 성큼성큼 걸어다니는 모션과 사운드가 추가되어 더욱 공포스러워졌다.


2.8. FNaF AR[편집]


파일:Golden Freddy AR.png
2020년 12월 21에 Winter Wonderland의 커뮤니티 퀘스트 바 이벤트의 달성 보상으로 추가된 특별 애니매트로닉스. 특이하게도 전투에 진입할 때 왼쪽 하단의 화살표 모양으로 지금까지의 전투에서 나왔던 기능들을 찾아서 바꿀 수 있다. 조합은 배터리+발로라 소리 게이지, 손전등+맹글 타이머, 가면+전기 충격이다.

행동 패턴은 총 3번, 한번 전기충격을 입힐 때마다 페이즈가 바뀌는 식이다.[32] 페이즈가 바뀔 때마다 가장 먼저 발로라 소리 게이지부터 확인하자.

바뀌는 모드는 총 5가지로 자세한건 문서 참고.

대사가 존재하지만 천천히 재생하고 디코딩을 하여도 대사가 무엇인지 듣기 힘들다.
다만 처음에 IT'S ME 라는 단어는 똑똑히 들린다.

그리고 보면 안에 확실이 내골격이 있다. 물론 1편2편에서도 내골격이 존재하긴 한다.


3. 다른 매체에서[편집]



3.1. 실사 영화[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실사영화의 골든 프레디에 대한 내용은 골든 프레디(Five Nights at Freddy's 실사영화) 문서
골든 프레디(Five Nights at Freddy's 실사영화)번 문단을
골든 프레디(Five Nights at Freddy's 실사영화)#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원조 애니매트로닉스이고 스토리에서 중요한 캐릭터인만큼 당연히 등장하며, 제이드 하수네가 성우를 맡으며, 아티 에스포지토가 퍼펫티어를 맡는다.

첫 공식 트레일러에서 제대로 공개되었으며, 게임판이 아니라 공식 소설 3부작의 설정처럼 선역으로 나올 것으로 보인다


4. 의문점[편집]


게임 내에서 가장 중요하였던 캐릭터 중 하나인 만큼 매우 많은 의문점과 추측이 현재까지도 오가고 있다. 현재 적혀있는 내용들도 언제든지 게임이나 공식 서적 등을 통하여 설정이 바뀌거나 신빙성이 높은 새로운 추측이 나올 수 있기에 무조건 그 의견이 옳다고 할 수 없어서 따로 문단을 만들어 의문점을 서술하려는 것이다.


4.1. 영혼[편집]


현제 골든 프레디의 의문점이라 하면 가장 많이 언급되는게 이 애니메트로닉스에 빙의된 영혼이 누군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현제로선 가장 매끄럽고 큰 의의가 없는 캐시디로 서술되어 있으나 새로운 의견이나 신빙성 높은 가설들은 언제든지 나올 수 있기에 무조건 확정이라 볼 순 없다.

해당 각 문단에선 현제까지 거론된 몇몇 가설들과 타당성 그리고 반박을 서술한다.


4.1.1. 캐시디[편집]




4.1.2. 에반 애프튼[편집]




4.1.3. 둘 다 빙의되었다[편집]




4.2. 실체[편집]


골든 프레디는 작중 환각의 형태로만 등장하여 쉽사리 환각이라고만 생각 할 수 있으나 몇가지 의문점이 생긴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06:02:47에 나무위키 골든 프레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인게임 내에선 위의 사진처럼 눈구멍 사이에 사람의 눈이 보이지는 않는다.[2] 원본. 다만, 서로 같은 개체라는 가설이 정설로 여겨졌으나 최근 주장되는 가설에 따르면 확실하지 않다. 서로 다른 개체로 보는 가설도 존재한다.[A] A B FNaF 1 게임 파일에서 명명된 이름[3] 물론 등장 작품마다 환각이기는 하다.[4] 펀타임 프레디, 몰튼 프레디, 글램록 프레디의 성우이기도 하다.[5] 원래 UCN프레디 파즈베어를 맡으려고 목소리 연기를 했으나 게임에서 나오지 않았고 이 미사용 음성이 특수 처리후 그대로 프레드베어의 목소리가 되었다. 그리고 이후 FNaF AR: SD에서 팀 시몬스가 프레디의 목소리를 내게 되었기에 켈렌 고프는 다시 프레디의 성우로 나오기 힘들다.[6] 사실상 스토리에서 가장 중요한 캐릭터이다.[7] 허나 완벽히 환각이라고 볼 순 없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8] 이미지 자체는 골든 프레디의 얼굴을 크게 띄운 것이다.[9] 눈알의 크기와 눈동자가 작고 실핏줄이 가득하다. 플레이어를 똑바로 응시한다는 느낌이 든다. 골든 프레디보다 더 무섭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10] 왼쪽 눈은 그나마 똑바로 있는데 오른쪽 눈은 옆으로 치우쳐져 있다.[11] 그러니까 대략 이런 식.(놀람 주의)[12] 다만 프레디와 보니의 얼굴이 교차되는 이스터 에그는 굳이 골든 프레디 이스터 에그를 실행시키지 않아도 나오며 꽤 잦다.[13] 츄바카의 울음소리와도 상당히 비슷하다.[14] 이 비명 소리도 일반 애니매트로닉스들처럼 지르다가 중간에 잘린다.[15] 해당 영상은 이 영상(비명 주의)을 참고. 한 시간부터 보면 된다.[16] 이 비명은 다른 애니매트로닉스들의 비명을 느리게 한 것이다.[17] 특히 4일 밤 이후에서 CAM 2A, CAM 2B 구간에 보니, 치카가 있을 때 고개를 빠르게 까딱거릴 때에 골든 프레디가 출현했을 때 들리는 정체불명의 소리가 들린다. 하단에도 나와있지만 이 소리는 5일째 밤 전화 내용(요가의 자서전의 일부분)과 일치한다. 다만 피치가 약간 높아서 다르게 들릴 뿐.[18] 참고로 보니가 2B 구역에 있을 때에는 골든 프레디의 이벤트가 절대로 발생하지 않는다.[19] 애니매트로닉스의 입질 사건이 일어난 년도이다.[20] 1987년의 입질 사건과 연관해서 1/9/8/7로 설정하고 클리어하면 다른 엔딩을 볼 수 있다는 루머가 너무 퍼지는 바람에 업데이트로 추가했다고 한다. 비슷한 설정을 하고 싶으면 1/9/8/3이나 1/9/8/5로 하자.[21] 더 정확히 말해 유튜버 Markiplier의 영상제목이 최초 유래다.[22] 1편의 게임 파일 내에서는 'ghost bear', 'yellow bear'로 쓰여있다고 한다.[23] 원문은 "Sometimes things just “happen” during the game making process. I can’t explain Golden Freddy."[24] 이 때문에 골든 프레디가 FNaF 시리즈에서 가장 많은 떡밥을 지닌 존재 중 하나로 급부상하자 온갖 논란과 문서 수정 전쟁이 일어났다. 사실 이 녀석은 그저 플레이어를 깜놀시키라고 만든 이스터에그격 캐릭터인데 시리즈가 진행되면서 온갖 떡밥이 중첩되면서 스토리나 팬덤이 혼란스러워졌기 때문.[25] 골든 프레디의 얼굴이 뒤에서부터 빠르게 날아온다.[26] 모바일 버전에서는 2일밤에 가끔씩 모습을 보일 때도 있다.[27] 몸 쪽은 프레디와 비슷하지만, 귀 한 쪽이 떨어져 있고, 한 쪽 눈에 배선이 튀어나와 있다.[28] 하지만 인형탈을 쓰기 전에 절대로 손전등을 비추면 안 된다.[29] 여담으로 가끔 사무실 문 쪽에 2 편의 모양에 초록색 색깔로 팬텀 프레디 닮았지만 앉아 있고, 3편 특유의 눈동자가 없는 상태로 환각이 생길 때가 있다. 확률이 낮고, 존재감이 없으며, 시야의 끝부분에 잘보이지 않게 앉아 있어서 많은 사람이 모른다. 물론 섀도우 프레디일 수도 있다.[30] 사소한 문제임에도 이 사실이 밝혀지기 전까지는 골든 프레디와 프레드베어가 동일 개체다 아니다로 의견이 분분했다. 결국 UCN에서 1편의 골든 프레디 모습에 모자와 리본만 보라색으로 칠한 것으로 전부 확인사살 당했다.[31] 링크된 영상에서의 곡명은 Void(공허).[32] 첫번째와 두번째는 전기 충격 모션이 보이는게 아닌 IT'S ME라는 골든 프레디의 캐치프레이즈겸 단골 문구와 그의 얼굴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