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코 덴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전승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제13대제14대
고훈 시대
제15대제16대제17대제18대
제19대제20대제21대제22대
제23대제24대제25대제26대
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제31대제32대
아스카 시대
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
제40대제41대제42대제43대
나라 시대
제43대제44대제45대제46대
제47대제48대제49대제50대
헤이안 시대
제50대제51대제52대제53대
제54대제55대제56대제57대
제58대제59대제60대제61대
제62대제63대제64대제65대
제66대제67대제68대제69대
제70대제71대제72대제73대
제74대제75대제76대제77대
제78대제79대제80대제81대
제82대
가마쿠라 시대
제82대제83대제84대제85대
제86대제87대제88대제89대
제90대제91대제92대제93대
제94대제95대제96대
남조
제96대제97대제98대제99대
무로마치 시대
제100대제101대제102대제103대
제104대제105대제106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제106대제107대
에도 시대
제107대제108대제109대제110대
제111대제112대제113대제114대
제115대제116대제117대제118대
제119대제120대제121대제122대
근현대
제122대제123대제124대제125대
제126대





일본 제58대 천황
고코 덴노
光孝天皇
파일:고코 천황.jpg
출생830년
야마시로국 헤이안쿄
(現 교토부 교토시)
사망887년 9월 17일 (향년 57세)
야마시로국 헤이안쿄 인수전
(現 교토부 교토시)
능묘노치노타무라릉(後田邑陵(후전읍릉)[1]
재위기간제58대 천황
884년 3월 4일 ~ 887년 9월 17일
[ 펼치기 · 접기 ]

토키야스(時康(시강)
부모부황 닌묘 덴노
모후 후지와라노 타쿠시 증황태후
형제자매14남 9녀 중 3남
배우자황후 한시 여왕
자녀18남 26녀
종교신토
관저헤이안쿄(平安京(평안경)
별호닌나노미카도(仁和帝(인화제)[1]
코마츠노미카도(小松帝(소송제)
고타무라노미카도(後田邑帝(후전읍제)
시호고코 덴노(光孝天皇(광효천황)
연호간교(元慶(원경, 884년 ~ 885년)[2]
닌나(仁和(인화, 885년 ~ 887년)

[1] 능호에서 유래했다.[2] 선황인 요제이 덴노의 연호 습용.

1. 개요
2. 생애
3. 별호
4. 가계
5. 백인일수



1. 개요[편집]


일본의 제58대 천황.


2. 생애[편집]


제54대 닌묘 덴노의 황자로 태어났으며 후지와라노 타쿠시 소생이었다. 몬토쿠 덴노 ~ 요제이 덴노 재위기간 때 많은 관직을 역임했고, 882년에 1품이 되었다. 요제이 덴노가 폐출되자 후지와라노 모토쓰네의 추천으로 55세 때 천황이 되었다. 모토쓰네를 천황을 보좌하는 최고 지위인 관백(칸파쿠)으로 앉혀 정무를 위임했다. 자손에게 황위를 주지 않겠다고 하여 태자를 두지 않았고, 자녀들에게 '미나모토'라는 성을 하사했다.

하지만 887년 태자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병으로 눕게 되자, 천황은 아들 미나모토노 사다미의 즉위를 희망하여 권신 후지와라노 모토쓰네에게 그의 즉위를 맡겼다. 58세의 나이로 고코 덴노가 붕어하자 황자 사다미가 덴노(우다 덴노)로 즉위했다.

그의 재위기간에 대한 역사기록은 이후 세이와 덴노, 요제이 덴노와 함께 묶여져 육국사 중 하나인 《일본삼대실록》이라는 역사서로 편찬되었다.


3. 별호[편집]


능호연호에서 따와서 고타무라노미카도(後田邑帝)나 닌나노미카도(仁和帝)라고도 한다. 고코 덴노 이후로 스토쿠 덴노, 안토쿠 덴노, 준토쿠 덴노를 제외하고, (한풍) 시호의 추시가 중단되었다. 시호 추시가 재개된 건 에도 후기 고카쿠 덴노 사후에 이르러서였다. 자세한 것은 시호/일본의 경우 항목 참조


4. 가계[편집]


  • 황후 : 한시 여왕(班子 女王)
    • 제1황녀 : 다다코 내친왕(忠子 内親王) (854~903)
    • 제1황자 : 고레타다 친왕(是忠 親王) (857~922)
    • 제2황자 : 고레사다 친왕(是貞 親王) (?~903)
    • 제7황자 : 사다미 친왕(定省 親王)
    • 제2황녀 : 후미코 내친왕(簡子 内親王) (?~914)
    • 제3황녀 : 야스코 내친왕(綏子 内親王) (?~925)
    • 제19황녀 : 가메코 내친왕(為子 内親王) (?~899)
    • 황자 : 모토나가 왕(元長王) (?~883)
  • 여어(女御) : 후지와라노 카미코(藤原 佳美子) (?~898)
  • 여어(女御) : 다이라노 도모코(平 等子) - 타이라노 요시카제(平 好風)의 딸
  • 여어(女御) : 후지와라노 모토요시(藤原 元善) - 후지와라노 야마카게(藤原 山蔭)의 딸
  • 갱의(更衣) : 후지와라노 모토코(藤原 元子)
  • 갱의(更衣) : 사누키 씨(讃岐氏) - 사누키 나가나오(讃岐 永直)의 딸
    • 황자 : 모토미 왕(舊鑒王) (?~908)
  • 갱의(更衣) : 시게노노 나오이코(滋野直子) (?~915)
    • 황자 : 미나모토노 구니노리(源 国紀) (?~909)
    • 제4황녀 : 시게코 내친왕(繁子 内親王) (?~916)
  • 궁인(宮人) : 후지와라씨(藤原氏) - 후지와라노 가도무네(藤原 門宗)의 딸
    • 황자 : 미나모토노 고레시게(源 是茂) (885~941)
  • 궁인(宮人) : ?여왕(?女王) - 마사미 왕(正躬王)의 왕녀
    • 제7황녀 : 무츠코 내친왕(穆子 内親王) (?~903)
  • 궁인(宮人) : 스가와라노 도모코(菅原 類子) - 스가와라노 고레요시(菅原 是善)의 딸
    • 황녀 : 미나모토노 노부코(源 順子) (?~925)
  • 궁인(宮人) : 다지히 씨(多治氏)
    • 황녀 : 미나모토노 간시(源緩子)
  • 궁인(宮人) : 후세 씨(布施氏)
    • 황자 : 기요미 왕(清実王)


5. 백인일수[편집]


百人一首
백인일수
[ 펼치기 · 접기 ]

제1번
제2번
제3번
제4번
제5번
제6번
제7번
제8번
제9번
제10번
제11번
제12번
제13번
제14번
제15번
제16번
제17번
제18번
제19번
제20번
제21번
제22번
제23번
제24번
제25번
제26번
제27번
제28번
제29번
제30번
제31번
제32번
제33번
제34번
제35번
제36번
제37번
제38번
제39번
제40번
제41번
제42번
제43번
제44번
제45번
제46번
제47번
제48번
제49번
제50번
제51번
제52번
제53번
제54번
제55번
제56번
제57번
제58번
제59번
제60번
제61번
제62번
제63번
제64번
제65번
제66번
제67번
제68번
제69번
제70번
제71번
제72번
제73번
제74번
제75번
제76번
제77번
제78번
제79번
제80번
제81번
제82번
제83번
제84번
제85번
제86번
제87번
제88번
제89번
제90번
제91번
제92번
제93번
제94번
제95번
제96번
제97번
제98번
제99번
제100번



제15번 고코 덴노(光孝天皇)

(きみがため (はる((でて 若菜(わかなつむ わが衣手(ころもで(ゆきはふりつつ

당신을 위해 들녘으로 나가 봄나물 뜯는 내 소매 자락 위로 눈은 계속 내리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00:12:36에 나무위키 고코 덴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코마츠릉(小松陵(소송릉)이라고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