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카메야마 덴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전승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제13대제14대
고훈 시대
제15대제16대제17대제18대
제19대제20대제21대제22대
제23대제24대제25대제26대
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제31대제32대
아스카 시대
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
제40대제41대제42대제43대
나라 시대
제43대제44대제45대제46대
제47대제48대제49대제50대
헤이안 시대
제50대제51대제52대제53대
제54대제55대제56대제57대
제58대제59대제60대제61대
제62대제63대제64대제65대
제66대제67대제68대제69대
제70대제71대제72대제73대
제74대제75대제76대제77대
제78대제79대제80대제81대
제82대
가마쿠라 시대
제82대제83대제84대제85대
제86대제87대제88대제89대
제90대제91대제92대제93대
제94대제95대제96대
남조
제96대제97대제98대제99대
무로마치 시대
제100대제101대제102대제103대
제104대제105대제106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제106대제107대
에도 시대
제107대제108대제109대제110대
제111대제112대제113대제114대
제115대제116대제117대제118대
제119대제120대제121대제122대
근현대
제122대제123대제124대제125대
제126대





고카메야마 덴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일본 상황기.svg
상황
[ 펼치기 · 접기 ]

아스카 시대
제35대
제41대
제43대
나라 시대
제44대
제45대
헤이안 시대
제46대
제49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6대
제57대
제59대
제61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9대
제71대
제72대
인세이
제74대
인세이
제75대
인세이
제77대
인세이
제78대
제79대
제80대
인세이
가마쿠라 시대
제82대
인세이
제83대
제84대
추존
인세이
제86대
인세이
제88대
인세이
제89대
인세이
제90대
인세이
제91대
인세이
제92대
인세이
제93대
인세이
제95대
남조
제96대
제98대
인세이
제99대
북조
북조 초대
인세이
북조 제2대
북조 제3대
인세이
북조 제4대
북조 제5대
인세이
무로마치 시대
제100대
인세이
추존
제102대
인세이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제106대
추존
에도 시대
제107대
제108대
인세이
제109대
제111대
제112대
인세이
제113대
인세이
제114대
제115대
인세이
제117대
제119대
인세이
현대
제125대







남조 제4대 천황
일본 제99대 천황
고카메야마 덴노
後龜山天皇
파일:후구산천황.jpg
출생1347년 6월 20일
남조 야마토국 요시노 안노우 행궁
(現 나라현 고조시)
사망1424년 5월 10일 (향년 77세)
야마시로국 교토 대각사
(現 교토부 교토시 우쿄구)
능묘사가노오구라릉(嵯峨小倉陵(차아소창릉)
재위기간제99대 천황
1383년 겨울 ~ 1392년 10월 21일
남조 제4대 천황
1383년 겨울 ~ 1392년 10월 21일
일본 상황
1392년 10월 21일 ~ 1424년 5월 10일
[ 펼치기 · 접기 ]

황통다이카구지통(大覺寺統(대각사통)
히로나리(熙成(희성)
부모부황 고무라카미 덴노
모후 중궁 가키몬인
형제자매7남 2녀 중 차남
배우자미나모토노 신시
자녀8남 1녀
종교불교
법명콘고오신(金剛心(금강심)
별호다이카구지도노(大覺寺殿(대각사전)
다이카구지호오오오(大覺寺法皇(대각사법황)
코구라호오오오(小倉法皇(소창법황)
원호고카메야마인(後龜山院(후구산원)
시호고카메야마 덴노(後龜山天皇(후구산천황)
연호고와(弘和(홍화, 1383년 ~ 1384년)
겐추(元中(원중, 1384년 ~ 1392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일본의 제99대 천황. 난보쿠초 시대 남조의 제4대 천황이자, 마지막 천황이었으며 다이카쿠지 황통이었다.


2. 생애[편집]


1383년, 형 조케이 덴노의 양위로 즉위했다. 고카메야마 덴노의 즉위 초기엔 이미 남조가 매우 쇠락했기에 이 사태를 수습하기를 바랬다.

1392년,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츠가 사람을 보내서 남조와 북조 사이의 강화를 제안했다. 강화는 수락되었고, 고카메야마 덴노의 조건대로 삼종신기는 북조의 천황인 고코마츠 덴노에게 넘어갔다. 그리고 다른 조건은 남북조 양쪽의 혈통에서 교대로 즉위한다는 조건이었다(양통질립). 결국 반세기에 걸친 난보쿠초 시대가 막을 내리고, 일본 열도는 무로마치 막부에 의해 통일되었다.

그러나 고카메야마 덴노의 조건 중 하나인 남북조 양쪽의 혈통에서 교대로 즉위한다는 조건은 지켜지지 않았다. 고카메야마 덴노는 출가를 했고, 그 뒤인 1424년에 붕어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00:04:38에 나무위키 고카메야마 덴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