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버스 고령-쌍림

덤프버전 : (♥ 0)

1. 노선 정보
2. 시간표
3. 개요
4. 역사
5. 특징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 농어촌버스 고령-쌍림(반용사)
기점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헌문리(고령시외버스정류장)종점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용리(반용사)
종점행첫차06:20기점행첫차06:45
막차15:20막차15:50
운수사명대가야여객운행횟수1일 4회
경유지고령시외버스정류장 - 대구은행, JS마트 - 축협 - 대가야문화누리 - 대가야박물관 - (지산3리(안골)[고령방면]) - 덕경인터빌 - 쌍림농공단지 - (칠등(김면장군유적)) - 고곡2리 - (산막) - 월막 - (용1리) - (용2리) - 반용사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 농어촌버스 고령-쌍림(평지)
기점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헌문리(고령시외버스정류장)종점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평지리(평지)
종점행첫차07:20기점행첫차07:40
막차14:20막차14:40
운수사명대가야여객운행횟수1일 3회
경유지고령시외버스정류장 - ( ← 대가야고등학교 ← 하나로쇼핑 ← [통학])대구은행, JS마트 - 축협 - 대가야문화누리 - 대가야박물관 - 덕경인터빌 - 쌍림농공단지 - 안림리 - (신곡1리 ← 신곡2리(안담) ← 신곡1리) - (안화리) - 안화리(안화교) - 평지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 농어촌버스 고령-쌍림(반용사, 평지)
기점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헌문리(고령시외버스정류장)종점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용리(반용사)
종점행첫차19:00[606번]기점행첫차19:20[606번]
막차-막차-
운수사명대가야여객운행횟수1일 1회
경유지고령시외버스정류장 - 대구은행, JS마트 - 축협 - 대가야문화누리 - 대가야박물관 - 덕경인터빌 - 쌍림농공단지 → 고곡2리 → 월막 → 반용사 → 월막 → 고곡2리 → 안림리 → 안화리(안화교) → 평지 → 안화리(안화교) → 안림리 → 쌍림농공단지 → 이후 역순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 농어촌버스 고령-쌍림(대창양로원, 웃담)
기점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헌문리(고령시외버스정류장)종점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합가리(개실마을)
종점행첫차10:00기점행첫차10:45
막차16:30막차17:15
운수사명대가야여객운행횟수1일 3회
경유지고령시외버스정류장 - 대구은행, JS마트 - 축협 - 대가야문화누리 - 대가야박물관 - 덕경인터빌 - 쌍림농공단지 - 안림리 - 신곡1리 - (신곡2리(안담)) - 귀원리(쌍림면사무소) - 귀원삼거리 - 대창양로원 - 개실마을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 농어촌버스 고령-쌍림(신촌, 산주)
기점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헌문리(고령시외버스정류장)종점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산주리(산주리)
종점행첫차06:50[606번]기점행첫차07:15[606번]
막차19:30막차19:50
운수사명대가야여객운행횟수1일 10회(약 1~2시간 간격)
경유지고령시외버스정류장 - ( ← 대가야고등학교 ← 하나로쇼핑 ← [통학])대구은행, JS마트 - 축협 - 대가야문화누리 - 대가야박물관 - (지산3리(안골)[고령방면]) - 덕경인터빌 - 쌍림농공단지 - (고곡2리(죽성)) - 안림리 - 신곡1리 - 귀원리(쌍림면사무소) - 귀원삼거리 - 송림리 - 백산리 - 하거리 - (하거리(학동)) - 신촌리(송정) - 신촌리[고령방면] - 석사[1] - 산주리


2. 시간표[편집]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 농어촌버스 고령-쌍림
회차고령시외버스정류장종점 출발종점
106:2006:45반룡사
206:5007:15산주리
307:2007:40평지
407:4008:10산주리
508:3009:00산주리
609:4010:10산주리
710:0010:20반룡사
810:2010:45합가1리
911:2011:50산주리
1011:5512:15평지
1112:5013:25산주리
1213:2013:55합가1리
1313:4514:10반룡사
1414:2014:40평지
1515:0015:40산주리
1615:2015:50반용사
1716:3017:15합가1리
1816:4017:10산주리
1918:0018:35산주리
2019:0019:20반룡사
2119:3019:50산주리


3. 개요[편집]


대가야여객이 운행하는 고령군 농어촌버스 노선.


4. 역사[편집]



  • 2023년 6월 1일 시간표 개편과 함께 웃담행이 합가1리로 단축되었다.


5. 특징[편집]


  • 과거에는 고령시외버스정류장에서 승차권을 구입해야 탑승할 수 있었다. 하지만 어느새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되었고, 지금은 정식으로 교통카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농어촌버스 노선이다.

  • 현재는 폐지된 가야대학교 고령캠퍼스를 지나는 유일한 노선이다[2].

  • 과거 평지행 버스는 고령장날에 한해 합천군 덕곡면 율지리까지 들어오기도 했으나 평지로 단축되었다.[3] 율원에서 합천행/이방행 버스와 연계가 가능했다.

  • 고곡2리 죽성마을에 들어오는 유일한 노선이며[4], 신촌, 산주 노선이 신촌, 산주 방향 3회, 고령 방향 4회가 경유한다[5].

  • 합가리행의 경우 2019년 12월에 개통하였으며, 그 이전에 합가에 들어오는 농어촌버스는 없었고 시외버스 대구서부-합천만 들어왔다.[6]

  • 반용사 노선의 고령 방향 1회(15:55)와 신촌, 산주 노선의 고령 방향 1회(09:00)는 중간에 대가야읍 지산3리 안골마을을 경유한다.

  • 신촌, 산주 노선은 '석사' 정류장에서 내려서 1.9km 정도 걸어 분기에서 묘산-합천행 버스 혹은 야로-가야행 or 해인사행 버스를 탈 수 있으며, 그 외 시간에는 묘산까지 8.6km 정도 걸으면 거창이나 합천가는 버스를 탈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대구에서 전주/진주/광주/목포까지 시내버스 여행이 가능하다.

  • 신촌, 산주 노선은 중간에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 덕암리의 석사를 지나간다. 합천군 야로면 덕암리 석사마을은 합천군 농어촌버스가 들어오지 않는데다 해인사로 가는 시외버스는 지나가지만 정차하지 않고 고령군 농어촌버스인 신촌, 산주 노선이 들어오며, 그렇기 때문에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 덕암리 석사마을 사람들 한테는 유일하게 외부로 나갈수 있는 대중교통 수단이다.https://map.naver.com/v5/?c=14268955.3284886,4256109.9708984,18,0,0,0,dh&p=v8XHdMj9irZf_cT_eyk_jQ,-33.23,0.97,80,Float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 정대리의 동촌과 부례 역시 야로면소재지로 가는 길이 없어서 합천군 농어촌버스가 들어오지 않는데다 동촌마을입구와 부례마을입구[7]에는 해인사로 가는 시외버스는 지나가지만 정차하지 않고 고령군 농어촌버스인 신촌, 산주 노선이 지나가고 정차하기 때문에 합천군 야로면 정대리 동촌마을과 부례마을 사람들한테도 유일하게 외부로 나갈수 있는 대중교통 수단이다부례마을. 이 외에도 합가에서 내려 지릿재를 넘으면 합천군 율곡면 노양리가 나오며, 여기서 합천으로 가는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두 지역 버스가 서로 연계되도록 짜진 것이 아니다.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10:57:10에 나무위키 고령 버스 고령-쌍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고령방면] A B C 고령방면만 경유[통학] A B 등교시간에만 경유한다.[606번] A B C D 606번 지원운행[1]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에 있다.[2] 고령을 거쳐 해인사, 초계 등지로 가는 시외버스도 지나지만 정차하지 않는다. 대구 달성2번 가야대행은 2012년 6월 16일에 폐지되었다.[3] 고령장날이어도 동계기간 폭설이 내리면 고개를 오를 수 없어 평지까지만 운행했다.[4] 고령을 거쳐 해인사로 가는 시외버스도 지나지만 정차하지 않는다.[5] 고곡2리 죽성마을에 경유하는 노선은 하거리 학동마을도 경유한다.[6] 시외버스는 합가1리(개실마을)에만 섰기 때문에 2019년 12월 까지 합가2리는 버스가 없던 동네였던 셈이다.[7] 동촌마을입구는 합천군 야로면과 고령군 쌍림면 경계에 걸쳐있지만, 부례마을입구는 경북 고령군 쌍림면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