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림동(광주광역시 동구)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경상북도 상주시 계림동에 대한 내용은 상주시/행정 문서
상주시/행정번 문단을
상주시/행정#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학운동
지원1동소태동용산동
지원2동
내남동선교동용연동월남동



동구법정동
계림동
鷄林洞 | Gyerim-dong

광역자치단체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동구
행정표준코드2911010900
관할 행정동계림1동, 계림2동
하위 행정구역40통 243반
면적1.19㎢
인구23,637명[A]
인구밀도19,863.03명/㎢
1. 개요
1.1. 계림1동
1.2. 계림2동
2. 주요 시설
2.1. 교육
2.1.1. 초등학교
2.1.2. 고등학교
2.2. 주거
3. 교통
3.1. 도시철도
3.2. 버스
3.2.1. 지선
3.2.2. 간선
3.2.3. 급행
3.2.4. 마을
3.2.5. 시외 · 농어촌


1. 개요[편집]


광주광역시 동구에 있는 .

계림동은 신라를 뜻하는 계림에서 따온 이름이다. 광주 일대는 통일신라 시대에만 신라 땅이었던 만큼 추측해보자면 통일신라 시절에 신라가 계림동 일대를 제대로 관리했던 모양이다. 하지만 정작 김흠돌의 난이나 김헌창의 난, 후백제 성립 등이 있었을 때 광주 일대는 반란을 했던 곳이라서 왜 신라를 뜻하는 계림이 이 동네 이름으로 쓰이고 있는 지는 확실하지 않다.

계림1동의 대부분은 과거 경양방죽이라는 대규모 호수(저수지)가 있던 곳이다.

1.1. 계림1동[편집]


동구행정동
계림1동
鷄林一洞 | Gyerim 1(il)-dong

광역자치단체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동구
행정표준코드3590022
관할 법정동계림동
하위 행정구역21통 123반
면적0.62㎢
인구10,567명[A]
인구밀도17,043.55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동구·남구 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병훈 (초선)
광주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홍기월 (초선)
동구의원 | 가 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현숙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문선화 (초선)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박현정 (초선)

행정복지센터경양로247번길 26[1]
계림1동 행정복지센터

과거 경양방죽이라는 인공농업용 저수지(호수)가 있었던 곳이며, 광주역 자리에 있던 태봉산을 깎아 메워서 조성된 신주거지(?)이다. 전술한 서남동(광산동) 옛 시청이 1969년 경양방죽 매립과 함께 이 곳으로 이전했으며, 이후 2004년 상무지구 현 청사로 한번 더 이전했다. 시청 자리에는 현재 홈플러스 광주계림점이 들어섰다. 서남동(광산동)과 달리, 여기도 시청이 있던 곳이지만 '구시청'이라고 불리진 않는다.[2] 광주고등학교 건너편에 헌책방 거리가 위치해 있는데, 26년(영화)을 촬영했던 문학서점도 이곳에 있다. 광주고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과거 대림산업이 직접 지은 ‘대림테크노랜드’라는 곳이 있었는데, 처음엔 이름과 다르게 혼수용품, 가구매장 등 구분상가로 운영됐으나 영업이 잘 안되면서 1999년 한국마사회의 스크린 경마장을 유치했고 건물도 다른 회사에 매각하면서 ‘로데오빌딩’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이후 스포츠센터, 콜라텍같이 다양한 위락시설을 입점시켰으나 경마장의 영향력이 상상이상으로 커지면서 건물 주변으로 성인게임장이 줄 지어 영업하는 영 좋지 못한 상권이 만들어졌다. 때문에 평소에는 한산한 곳이 주말만 되면 사람 디딜 곳이 없는 곳이 되기도 한다. 대인동과 인접한 주택단지는 재개발광주 그랜드센트럴 아파트로 다시 태어났다.


1.2. 계림2동[편집]


동구행정동
계림2동
鷄林二洞 | Gyerim 2(i)-dong

광역자치단체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동구
행정표준코드3590023
관할 법정동계림동
하위 행정구역19통 120반
면적0.57㎢
인구13,070명[A]
인구밀도22,929.82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동구·남구 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병훈 (초선)
광주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홍기월 (초선)
동구의원 | 가 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현숙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문선화 (초선)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박현정 (초선)

행정복지센터동계로 68
계림2동 행정복지센터

대체로 노후화된 주거지역이 위치해 있고 재개발이 완료되었거나 진행중이다. 화교 소학교가 이곳에 위치했으나 재개발 부지에 편입되어 학원으로 용도가 변경된 채 대인동으로 이전했다. 해당 자리에는 두산위브 아파트 1,2차가 지어졌고 2021년 그 인근에 3차까지 지어지면서 '두산위브타운'이 완성되었다. 2011년 북구와의 행정구역 경계 조정 당시 필문대로 이남의 풍향동 지역을 편입받아 광주교육대학교와 마주보게 되었다. 현재는 없어졌지만 맥도날드 광주계림점은 맥도날드의 광주 첫 진출점이기도 하다. 계림동 금호타운 옆 노후주택가가 재개발계림 아이파크 SK뷰로 탈바꿈되었다. 금호타운 앞쪽으로도 계림4구역 모아엘가가 예정되어 현재 재개발 진행중이다.


2. 주요 시설[편집]



2.1. 교육[편집]



2.1.1. 초등학교[편집]




2.1.2. 고등학교[편집]




2.2. 주거[편집]


단지명세대수입주건설사
계림 대명맨션601983년 12월-
계림동 금호타운9581996년 5월금호건설
금호계림주상복합2291998년 6월금호건설
계림동 두산위브6582007년 2월두산건설
푸른길 두산위브6482018년 4월두산건설
광주 그랜드센트럴2,3362020년 9월호반건설 | 중흥건설
계림3차 두산위브 더파크9082021년 4월두산건설
계림 아이파크 SK뷰1,7152022년 8월HDC현대산업개발 | SK건설
교대역 모아엘가 그랑데8152026년 5월혜림건설
호반써밋 무등산961미정호반건설
포레나 광주계림1,349미정한화건설

3. 교통[편집]



3.1. 도시철도[편집]



3.2. 버스[편집]



3.2.1. 지선[편집]



3.2.2. 간선[편집]



3.2.3. 급행[편집]




3.2.4. 마을[편집]





3.2.5. 시외 · 농어촌[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5:04:10에 나무위키 계림동(광주광역시 동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C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1] 계림동 178-38[2] 단, 푸른길공원 기점 근처에 구시청사거리라는 버스 정류소가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구시청사거리라 불리는 곳은 구도청 인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