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게게의 키타로(애니메이션 1기)

덤프버전 : (♥ 0)

{#000000,#dddddd [[파일:아사히 신문 로고.svg 선정 일본의 TV 애니메이션 104선}}}
[ 펼치기 · 접기 ]

※ 2012년 아사히 신문이 철완 아톰 이후 50년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TV 애니메이션 104개의 작품을 선정했다. 순서는 연도 순서이며 순위와는 관계가 없다.
철완 아톰밀림의 왕자 레오요술공주 샐리마하 GoGoGo게게게의 키타로
거인의 별비밀의 아코짱타이거 마스크사자에상내일의 죠
루팡 3세데빌맨과학닌자대 갓챠맨마징가 Z에이스를 노려라!
알프스 소녀 하이디마법소녀 메구짱우주전함 야마토만화 일본 옛날이야기감바의 모험
타임보칸잇큐씨엄마찾아 삼만리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캔디캔디
얏타맨미래소년 코난은하철도 999보물섬빨강머리 앤
도라에몽기동전사 건담베르사이유의 장미전설거신 이데온닥터 슬럼프와 아라레짱
꼬마숙녀 치에시끌별 녀석들초시공요새 마크로스미래경찰 우라시맨장갑기병 보톰즈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캡틴 츠바사북두의 권터치드래곤볼
세인트 세이야시티헌터키테레츠 대백과날아라 호빵맨기동경찰 패트레이버
마루코는 아홉살신비한 바다의 나디아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짱구는 못말려
유유백서닌자보이 란타로슬램덩크슬레이어즈신세기 에반게리온
명탐정 코난용자왕 가오가이가포켓몬스터소녀혁명 우테나카우보이 비밥
카드캡터 사쿠라오자루마루꼬마마법사 레미∀건담원피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방가방가 햄토리갤럭시 엔젤테니스의 왕자오버맨 킹게이너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나루토기동전사 건담 SEED강철의 연금술사플라네테스
빛의 전사 프리큐어블리치AIR허니와 클로버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작안의 샤나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은혼제로의 사역마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천원돌파 그렌라간전뇌 코일기동전사 건담 00트루 티어즈마크로스 프론티어
스트라이크 위치스이나즈마 일레븐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케이온!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골판지 전기TIGER & BUNNY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출처



게게게의 키타로 (1968~1969)
ゲゲゲの鬼太郎
파일:키타로1기.jpg
작품 정보 ▼
장르요괴
원작미즈키 시게루
기획사이토 타스쿠(斉藤侑)
각본츠지 마사키
타카쿠 스스무
음악이즈미 타쿠(いずみたく)
제작토에이 동화
방영 기간1968. 01. 03. ~ 1969. 03. 30.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후지 테레비 로고(1957-1986).svg / (일) 18:30
편당 러닝타임25분
화수65화
국내 심의 등급심의 없음

1. 개요
2. 특징
3. 등장인물
4. 제작기
5. 주제가
6. 회차 목록
7. 평가
8. 기타



1. 개요[편집]


미즈키 시게루의 만화 게게게의 키타로의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1기.


2. 특징[편집]


대체로 저연령층 시선에 맞게 원작의 그로테스크함, 사회풍자적, 야설적 내용이 삭제 및 순화된 것 외에는 거의 충실하게 영상화했다. 인간에게 재앙을 가져다주는 요괴를 키타로가 인간 편에 서서 쓰러뜨리는 권선징악형 스토리가 중심이었고, 키타로의 성격도 원작보다 더 친근한 성격이 됐다. 이렇게 해서 키타로는 아이들의 새로운 히어로로 인기를 얻었고 1960년대 당시의 일본 요괴 붐의 원동력을 일으켰을 정도로 많은 인기를 얻었다. 주제가 음반은 3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는 후문이 있다. 또한 일본의 레전드 성우로 꼽히는 노자와 마사코가 처음으로 주인공 역을 맡은 작품이기도 하다. 자막과 로고 표시, 내레이터가 매번 다른 것도 2기와 더불어 이 시리즈의 특징으로 꼽힌다. 1980년대에 재방송되었을 땐 '이 프로그램은 흑백으로 보내드립니다'로 자막을 첨부하기도 했다. 1968년 7월 21일, 토에이 만화 축제에서 태양의 왕자 호루스의 대모험, 요술공주 샐리, 울트라 세븐과 동시상영으로 극장판이 공개되었다. 21화, 22화는 나중에 3기 67화, 68화로 리메이크된다.


3. 등장인물[편집]




4. 제작기[편집]




5. 주제가[편집]


OP
ゲゲゲの鬼太郎
게게게의 키타로
TV ver.
Live ver.
노래쿠마쿠라 카즈오
작사미즈키 시게루
작곡이즈미 타쿠(いずみたく)
편곡오가키 타카시(大柿隆)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
연출-
작화감독-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전설의 시작인 1기 오프닝 게게게의 키타로. 원작자 미즈키 시게루가 작사한 키타로의 상징과도 같은 곡으로 매 시리즈마다 이 곡을 리메이크해서 오프닝으로 삼는 전통이 있다. 어떤 오프닝이든 서로의 싱크로율이 거의 일치해 다른 영상에다가 갖다 붙여도 별 위화감이 없다. 3기나 4기의 오프닝을 6기 장면에 갖다 붙인 결과 아주 살짝 빠른 것만 제외하면 거의 일치하는 싱크로율을 보여주었을 정도. 그리고 어째서인지 3기 오프닝을 제외한 모든 오프닝의 첫 소절이 나올 때 개구리가 나온다.
Live ver.의 경우 당시 87세였는데도 불구하고 당대와 같은 곡을 들려주었다.

ED1
カランコロンの歌
카랑코롱의 노래
TV ver.
Full ver.
노래카토 미도리(加藤みどり)
미스즈 아동 합창단(みすず児童合唱団)
작사미즈키 시게루
작곡이즈미 타쿠(いずみたく)
편곡오야도마리 마사노리(親泊正昇)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
연출-
작화감독-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한국어로 번역하면 대략 '딸그락딸그락 노래' 정도 된다.

ED2 (27, 28, 31, 32화)
鬼太郎ナイナイ音頭
키타로 없어없어 선창
TV ver.
Full ver.
노래쿠마쿠라 카즈오
미스즈 아동 합창단(みすず児童合唱団)
작사미즈키 시게루
작곡이즈미 타쿠(いずみたく)
편곡오야도마리 마사노리(親泊正昇)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
연출-
작화감독-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special ED
鬼太郎才ンピック
키타로켄픽


6. 회차 목록[편집]




7. 평가[편집]




8. 기타[편집]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게게게의 키타로 문서의 r58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게게게의 키타로 문서의 r58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06:11:36에 나무위키 게게게의 키타로(애니메이션 1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