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영서

덤프버전 : (♥ 0)










강영서
姜英曙| Kang Youngseo
파일:강영서 베이징.jpg
출생1997년 7월 19일 (26세)
부산광역시[1]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하남초등학교 (졸업)
하단중학교 (졸업)
성일여자고등학교 (졸업)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교육과 / 학사)
종목알파인 스키
주종목대회전, 회전
소속부산광역시 (2009년~2016년)
한국체육대학교 (2016년~2019년)
부산광역시체육회 (2020년, 2021년)[2]
소속사갤럭시아SM (2017년~2019년)
신체168cm, 60kg, O형
종교무종교
링크파일:FIS.pn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유년 시절
3. 선수 경력
4. 수상 기록
5. 기타



1. 개요[편집]


파일:강영서 선수.jpg
대한민국알파인 스키 9년차 국가대표 선수이다.

2. 선수 경력[편집]



2.1. 유년 시절[편집]


부산광역시 사하구에서 학창시절을 보냈으며, 2016년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교육과에 입학했다. 태생부터 운동 신경이 뛰어나 유년 시절 다양한 운동을 접했다. 태권도 4단 단증 보유자이며, 농구는 우연히 지나가던 농구부 체육선생님께 스카웃 제의가 와서 시작하였다고 한다. 당시 키 155cm로 포워드였던 그녀는 1년간 선수 생활을 하며 전국소년체육대회에서 주전으로 뛰기도 할 정도로 특출난 재능[3]을 보였지만, 우연히 나간 스키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운명은 바뀌었다. 강영서는 농구알파인 스키 중 후자를 택하였고, 국내 최정상 선수로 발돋음하였다. 데뷔 때부터 회전과 대회전에서 출중한 기량을 보였으며, 올림픽에도 2번 출전하였다.

2006년부터 알파인 스키에 입문하며 선수 생활을 시작했고 2010년 제91회 전국동계체육대회의 4개 부문인 회전, 대회전, 슈퍼 대회전, 복합 4관왕에 오르면서 한국 여자 알파인 스키의 유망주로서 기대를 받았다. 2013년 고등학교 1학년 때 최연소 국가대표 발탁으로 스키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후 국내에서 개최하는 출전하는 거의 모든 대회에서 입상하며 기량을 뽐냈다. 국내 여자 알파인 스키 선수 역사상 회전 부문 최고 FIS 점수를 가지고 있다.

한국에선 생소한 종목인 알파인 스키계에서 혜성같이 등장해 국내 최고의 실력을 발휘한 인재라는 점과 어려움을 극복하고 선수로서 최전성기를 맞이했다는 점에서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선수라고 할 수 있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이후 무릎 수술을 한번 받았고, 1년 동안 재활에만 매진했다. 2021년 3월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FIS 레이스 여자 회전 경기 준우승으로 한국 여자 알파인 스키 최초이다. 2022년 10월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국내1호 스포츠모티베이터 [4] 인증을 받았다. "내가 사랑하는, 평생을 바쳐온 한국 알파인 스키가 앞으로 더 발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라는 물음을 시작으로 후배들과 비인기종목 국가대표로서 선한 영향력을 위해 책 출간을 준비 중이다.


3. 선수 경력[편집]



3.1. 2010년[편집]


제91회 전국동계체육대회에서 전종목(대회전 & 복합 & 슈퍼대회전 & 회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3.2. 2011년[편집]


제92회 전국동계체육대회에서 슈퍼대회전 & 복합 은메달, 회전 동메달을 획득했다.

3.3. 2012년[편집]


제93회 전국동계체육대회에서 대회전 금메달, 복합 & 슈퍼대회전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3.4. 2013년[편집]


만 16세의 나이로 최연소 국가대표에 발탁되며, 스키계의 주목을 받았다. 제94회 전국동계체육대회에서는 전종목(대회전, 복합, 슈퍼대회전, 회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국제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국제스키연맹 FIS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시크릿 가든 리조트11월 28일회전2위30.14점
11월 29일회전1위41.20점
11월 30일대회전2위43.36점
12월 1일대회전2위50.63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알펜시아 리조트
12월 26일회전1위41.27점
12월 27일회전1위40.88점

3.5. 2014년[편집]


2014 소치 동계올림픽대한민국 최연소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회전에서 49위를 기록하였다. 회전 경기 도중 무릎 인대 파열 부상을 당했으며, 수술 후 약 1년간 재활 기간을 가졌다. 2015년 국가대표에 재 발탁되었다. 제95회 전국동계체육대회는 무릎 부상으로 인해 불참했으며, 올림픽을 포함한 국제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소치2월 21일회전49위307.8점

국제스키연맹 FIS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알펜시아 리조트
12월 22일회전2위81.45점
12월 23일회전DNF2-

3.6. 2015년[편집]


제96회 전국동계체육대회에서 전종목(대회전, 복합, 슈퍼대회전, 회전)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그 외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한국선수권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2월 23일대회전1위47.89점
2월 24일회전1위45.35점

국제스키연맹 FIS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2월 23일대회전2위54.79점
3월 17일대회전2위52.11점
3월 18일회전1위49.22점
3월 19일회전1위48.67점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트레블 콘9월 4일회전DNF1-
9월 5일대회전12위74.56점

극동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1월 23일회전17위50.51점
1월 23일대회전19위96.81점
1월 26일회전9위63.54점
1월 27일대회전19위86.61점
1월 18일대회전18위95.67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하쿠바3월 2일회전25위63.81점
3월 3일회전21위75.09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노자와 온센3월 5일대회전35위113.62점
3월 6일대회전DNF2-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시가코겐3월 8일회전DNF1-
3월 9일회전29위90.95점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주노
사카린스크
3월 23일대회전13위62.83점
3월 26일회전8위75.02점

3.7. 2016년[편집]


제97회 전국동계체육대회에서 전종목(대회전, 복합, 슈퍼대회전, 회전)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그 외 대회 성적은 아래와 같다.

한국선수권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2월 17일대회전DNF1-
2월 19일회전1위44.45점

국제스키연맹 FIS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1월 22일회전1위36.74점
2월 18일대회전1위40.54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알펜시아 리조트2월 22일회전1위46.79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3월 14일회전1위-
3월 15일대회전DNF2-
3월 16일대회전DNF1-

극동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베어스 타운1월 14일회전13위42.47점
1월 15일회전8위31.59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지산 리조트1월 18일회전DNF1-
1월 19일대회전14위61.85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1월 20일회전DNF1-
1월 21일대회전12위59.82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하쿠바2월 29일회전DNF2-
3월 1일회전10위25.60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노자와 온센3월 3일대회전35위67.83점
3월 4일대회전37위73.43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시가코겐3월 6일회전DNF2-
3월 7일회전DNF2-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주노
사카린스크
3월 20일회전17위61.45점
3월 21일회전DNF1-
3월 22일대회전24위83.85점
3월 23일대회전17위59.51점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완롱 리조트12월 11일회전DNF161.45점
12월 12일회전9위31.35점
12월 13일대회전3위28.41점
12월 14일대회전5위26.01점

3.8. 2017년[편집]


제98회 전국동계체육대회에서 복합 & 회전 금메달, 대회전 & 슈퍼대회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 외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삿포로 테인
리조트[5]
2월 23일대회전3위83.55점
2월 25일회전3위43.13점

국내선수권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3월 14일대회전1위49.15점
3월 15일회전1위40.71점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코로넷 피크[6]8월 10일회전10위65.43점

국제스키연맹 FIS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알펜시아 리조트1월 24일대회전11위41.43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삿포로 테인
리조트
2월 23일대회전4위83.55점
2월 25일회전3위43.13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3월 13일대회전1위43.54점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트레블 콘8월 18일회전DNF2-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완롱 리조트12월 4일대회전3위46.16점
12월 5일회전3위32.74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12월 27일회전1위45.80점
12월 28일회전DNF1-

극동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1월 16일회전DNF1-
1월 17일대회전11위121.9점
1월 18일대회전8위52.86
1월 19일회전DNF2-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알펜시아 리조트1월 22일회전6위34.12점
1월 23일회전DNF2-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삿포로 테인
리조트
3월 4일회전23위70.49점
3월 5일대회전DNF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엔가루
리조트
3월 8일대회전11위37.05점
3월 9일회전12위44.92점
3월 10일회전8위41.90점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주노
사카린스트
3월 19일대회전10위41.93점
3월 20일대회전13위44.12점
3월 21일회전7위24.61점
3월 22일회전6위25.01점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완롱 리조트12월 6일회전4위30.12점
12월 7일회전DNS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성휴 레이크
리조트
12월 15일대회전6위30.79점
12월 16일대회전DNF1-

호주 & 뉴질랜드 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코로넷 피크3월 14일대회전DNF1-
3월 15일대회전29위108.8점
3월 15일회전DNF2-
3월 15일회전19위66.60점

3.9. 2018년[편집]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처음 정식 종목으로 도입된 팀 이벤트 경기와 알파인 스키 여자 회전 종목에 출전했다. 회전 종목에서는 DNF, 대회전에서는 47위를 기록했다. 혼성 단체전에서는 본인[7] 외 3명의 국가대표(김동우, 김소희, 정동현) 선수들과 함께 출전했다. 첫 상대는 당시 세계랭킹 1위였던 오스트리아[8]에게 패배하며 16강을 기록했다. 다만 경기 결과와는 별개로, 훈련을 같이 했던 국가대표 팀 선수들 중 일부는 출전하지 못했다.[9]

경기 직후 기대했던 성적을 내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이렇게 큰 경기에서 세계적인 선수들이 어떻게 하는지 눈으로 보고 상황과 분위기를 겪어보니 많은 걸 배우게 된다'라며 다음 올림픽에서의 선전을 다짐했다.올림픽이 끝나고 열린 제99회 전국동계체육대회에서는 대회전 금메달, 복합 & 슈퍼대회전 & 회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올림픽을 포함한 각종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2월 15일대회전47위119.26
2월 16일회전DNF1-
2월 24일팀 평행공동 9위-

한국선수권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3월 9일회전1위34.40점
3월 10일대회전1위44.30점

국제스키연맹 FIS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3월 10일대회전1위38.15점
3월 14일대회전DNF1-
3월 16일회전2위53.11점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완롱 리조트2월 11일회전2위34.44점
2월 12일회전2위29.94점
2월 13일대회전4위37.44점
2월 14일대회전5위39.46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알펜시아 리조트12월 27일회전1위30.58점
12월 28일회전1위42.93점

극동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정선 하이원 리조트1월 8일대회전7위34.46점
1월 9일대회전7위32.09점
1월 10일회전DNF2-
1월 11일회전3위20.40점
1월 12일활강12위103.2점
1월 12일복합6위177.5점
1월 15일회전2위19.26점
1월 16일회전DNF22-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완롱 리조트12월 4일회전2등15.70점
12월 5일회전DNF1-
12월 6일대회전13위51.63점
12월 7일대회전18위40.50점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타이루
리조트
12월 10일회전DNF1-
12월 11일회전DNF1-
12월 12일대회전DNF2-
12월 13일대회전8위30.40점

3.10. 2019년[편집]


제100회 전국동계체육대회에 참가하여 슈퍼대회전 금메달, 대회전 & 복합 & 회전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대회전 부문에서 한국 여자 최초 1자리수(9.15점) FIS 점수를 달성하였다. 그 외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국제스키연맹 FIS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1월 16일대회전1위23.42점
1월 17일대회전DNF2-
1월 18일회전DNF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2월 11일대회전1위46.79점
2월 12일대회전1위25.43점
2월 13일회전1위28.02점
2월 14일회전2위30.88점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완롱 리조트2월 11일대회전3위37.35점
2월 12일회전3위34.10점
2월 13일회전DNF2-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완롱 리조트12월 16일대회전1위68.21점
12월 17일대회전1위73.36점
12월 19일회전1위57.44
12월 20일회전2위65.46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알펜시아 리조트2월 11일회전2위61.86점
2월 12일회전2위61.31점

국내선수권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1월 29일회전DNF1-
1월 30일대회전2위40.64점

극동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2월 7일회전2위19.37점
2월 8일대회전1위9.15점[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베어스 타운2월 11일회전DNF1-
2월 12일회전DNF1-
2월 13일대회전2위18.79점
2월 14일대회전1위12.96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하나와[11]2월 25일대회전DNF1-
2월 26일대회전8위36.67
2월 27일회전7위16.07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엔가루[12]3월 3일대회전5위21.21점
3월 4일회전DNF1-
3월 5일회전DNF2-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주노
사카린스트[13]
3월 23일대회전DSQ1-
3월 23일대회전19위49.64점
3월 24일회전DNF1-
2월 25일회전DNF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완롱 리조트12월 4일회전9위46.27점
12월 5일회전9위44.21점
12월 6일대회전7위32.85점
12월 7일대회전5위37.11점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타이우
리조트
12월 10일대회전4위30.01점
12월 11일대회전40위148점

3.11. 2020년[편집]


제101회 전국동계체육대회에서 대회전 금메달, 복합 & 슈퍼대회전 & 회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코로나로 인해 해외 출국이 어려워지면서 국제대회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국제스키연맹 FIS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1월 14일대회전1위41.45
1월 15일대회전1위47.99
1월 16일회전1위61.49

극동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평창
용평리조트
2월 6일대회전7위31.78점
2월 7일회전10위32.54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베어스 타운2월 11일대회전10위39.78점
2월 12일대회전10위39.97점
2월 13일회전14위39.45점
2월 14일회전12위50.12점

3.12. 2021년[편집]


이 시즌부터 로시뇰(Rossignol) 스키와 함께 하면서 폼이 많이 좋아졌으며, 제102회 전국동계체육대회는 코로나로 인해 대회가 취소되었다. 3월 6일 슬로바키아에서 열린 월드컵 대회에 대한민국 여자 알파인 스키 대회전 부문에 참가하였다.

2021년 3월 2일 오스트리아 오베르페르후스에서 열린 FIS 레이스 여자 회전에서 83명 중 2위에 오르며 한국 여자 알파인스키의 역사를 새로 썼다. FIS 여자 회전 부문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이 대회에서 대한민국 여자 알파인 스키 최초로 포디움을 달성하였다. FIS 점수 36.10점을 기록하였다. 한국 여자선수가 아시아에서 열린 FIS 레이스에서는 정상에 오른 적이 있지만, 유럽에서 열린 대회에서 시상대에 오른 것은 처음이다. 다음 사진은 시상식 사진이다.[14]

파일:오스트리아 fis 강영서 시상식 대체 사진.jpg
왼쪽부터 김서현 코치[15], 김우성 코치[16]

파일:강영서 야스나 월드컵.jpg

야스나 월드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야스나3월 6일대회전DNF1-

한국선수권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정선 하이원 리조트1월 14일대회전1위57.09점
1월 15일회전1위49.86점

국제스키연맹 FIS컵
개최국개최지날짜종목순위FIS 점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하이원 리조트2월 6일회전DNF-
2월 7일대회전1위51.38점
2월 13일대회전1위56.61점
2월 14일회전1위38.15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오벨 펄푸스[17]3월 2일회전2위36.10점

3.13. 2022년[편집]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직전 열린 알파인 스키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1위를 차지하며 3회 연속 올림픽 출전을 확정지었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예전에는 알파인 스키를 선택한 것에 대해 후회도 했다. 알파인 스키는 비인기 종목에 속해 관심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가 노력해 국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내면 인기 종목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을 바꿨다. 그럴 가능성이 있기에 더욱 힘을 내고 있다'라며 각오를 다졌다. 그러나 대회전과 회전 종목에서 기문을 통과하지 못하며 DNF를 기록했다. 특히 대회전 종목에서 주행 도중 몸에 이상을 느껴 스스로 주행을 중단하면서 경기를 포기했다.


3.14. 2023년[편집]


제104회 전국동계체육대회에서 3관왕 고지에 올랐다. 17일 강원도 용평리조트에서 열린 스키 알파인 여자 일반부 회전·복합 종목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앞서 15일에도 슈퍼대회전에서 금메달을 따 3관왕에 올랐다. 16일 치러진 대회전 종목에서도 은메달을 따 금메달 3개·은메달 1개를 획득했다.

4. 수상 기록[편집]


아시안 게임
동메달2017 삿포로대회전
동메달2017 삿포로회전

5. 기타[편집]


  • 평소 인스타그램에 본인에 대한 다짐과 함께 스키업계 관계자에게 감사를 전하는 글들이 많다. 또한 컴포트(COMPORT), 하이랜드스포츠(Highland sports), 다이네즈(Dainese), 레키(Leki), 풋풋(FootFoot), 스멜웰(SmellWell), BHS, CEP, 블리츠(Bliz)에서 후원을 받고 있다.

[1] 현재 거주지는 부산진구 연지동이다.[2] 부산광역시 체육회에서 스키실업팀을 창단한 후 소속을 옮겨 활동중이며, 이전까지는 부산광역시 소속으로 활동하였다. 부산 출신으로 유일하게 국내 최정상 스키 선수로 성장하여, 부산시의 지원을 받고 있다.[3] 당시 농구를 함께 했던 친구는 현재 프로 여자 농구팀에서 활약하고 있다.[4] 스포츠모티베이터는 동기부여를 통해 신체ㆍ육체적 관리를 돕는 멘탈코치이다.[5] 정식 명칭은 Sapporo Teine이다.[6] 정식 영문 명칭은 Coronet Peak이다.[7] 단체전 경기에서 가장 작은 초 차이인 +0.53초를 기록하였다.[8] 오스트리아 혼성 단체전은 각 4명의 선수들 주종목 기록을 합산한 결과 1위에 올랐으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9] 경성현, 김서현 등의 선수들도 출중한 실력과 멘탈을 겸비하여 충분히 성적을 올릴 수 있는 자국 올림픽이였는데, 대한스키협회의 올림픽 출전 선수 명문화가 이루어 지지 않아 발생한 의사소통 문제로 올림픽 출전권을 버렸다.[10] 대회전 부문 최고 기록이자 국내 여자 알파인 스키 역사상 최고득점이다.[11] 정식 명칭은 Hanawa Resorts이다.[12] 정식 명칭은 Engaru Resorts이다.[13] 정식 명칭은 Juzhno-Sakhalinsk이다.[14] 코로나로 인하여 시상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입상자들은 감독 및 코치가 함께 사진을 찍는 것으로 대체하였다.[15] 현역 시절 알파인 스키 활강 선수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대한스키협회 소속 유일한 여자 코치로 활동 중이다. 선수시절부터 멘탈 관리 및 자기관리가 철저하고, 스키관계자들의 신임이 두텁다. 강영서 선수의 든든한 피지컬, 스킬, 멘탈, 토탈 트레이너이며, 그들이 함께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시너지 효과가 커져 가고 있다.[16] 국가대표 알파인 스키 전담 코치이다.[17] 오스트리아의 유명 관광지 중 하나인 인스브루크 시외 마을 중 하나이며, 정식 명칭은 Oberperfuss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8:16:10에 나무위키 강영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