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일시 : (♥ 0)

성 오
부수
나머지 획수
, 4획
총 획수
7획
미배정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くれ, く-れる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자원
4. 서체
5. 용례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吳는 '성씨 오'라는 한자로, 한반도(대한민국/북한)와 중화권(중국/대만/싱가포르), 일본, 베트남에서 성씨로 사용된다.


2. 상세[편집]




3. 자원[편집]


글자의 어원은 천상천하 유아독존의 사상에서 비롯하여 손권이 만들었다.


설문해자姓也。亦郡也。一曰吳,大言也。从夨、口。
송대
서현 서개
주역
徐鍇曰:“大言,故夨口以出聲。《诗》曰:不吳不揚。今寫《诗》者改吳作㕦,又音乎化切。其謬甚矣。”
청대
단옥재
설문해자주
大言也。
大言之上各本有姓也亦郡也一曰吳八字。乃妄人所增。今𠜂正。檢韵會本正如是。周頌絲衣、魯頌泮水皆曰不吳。傳箋皆云吳、譁也。言部曰。譁者、讙也。然則大言卽謂譁也。孔沖遠詩正義作不娛。史記孝武本紀作不虞。皆叚借字。大言者、吳字之本義也。引伸之爲凡大之偁。方言曰。吳、大也。九章。齊吳榜以擊汏。王注。齊舉大櫂。
从夨口。
大言非正理也。故从夨口。五乎切。五部。何承天改吳作㕦。音胡化反。其繆甚矣。
古文如此。
从口大。

일본에서는 아랫부분의 人이 가로획을 뚫지 않게 呉로 쓴다. 중국에서는 아랫부분을 天으로 바꿔서 吴로 쓰는데, 묘하게 한글 '뭊'과 닮았다.


4. 서체[편집]


파일:吳-oracle.svg.png파일:60px-吳-bronze.svg.png파일:吳-seal.svg.png파일:60px-吳-bigseal.svg.png
갑골문금문소전체대전체


5. 용례[편집]



5.1. 고사성어/숙어[편집]




5.2. 인명[편집]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763,281명, 전체 12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해주(海州)와 보성(寶城)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오(성씨) 문서 참조.



5.3. 지명[편집]




5.4. 기타[편집]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그르칠 오)
  • (즐길 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2:04:57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