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11 SWS

덤프버전 :

Mk.11 SWS
Mark 11 Sniper Weapon System
Mk.11 저격용 화기 체제
파일:mk11mod1_sheet 0a.jpg
종류저격소총
지정사수소총
원산지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펼치기 · 접기】
이력
역사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파일:미합중국 해병대 마크.svg파일:uscg__emblem.png파일: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마크.svg
2000년~현재
생산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
생산년도2000년~현재
사용국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기종
원형SR-25
파생형Mk.11 Mod.1~2
제원
탄약7.62×51mm NATO
급탄10, 20발 상자형 탄창
작동방식가스 직동식
노리쇠 회전식
총열길이508mm
전장1,153mm
중량6.9kg
유효사거리800m
1. 개요
2. 상세
2.1. 역사
2.2. 특징
3. 종류
3.1. Mk.11 Mod.0
3.2. Mk.11 Mod.1
3.3. Mk.11 Mod.2
4. 출처
5. 등장매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MK.11 SWS(저격소총, Sniper Weapon System)는 미군의 제식 저격소총이다.


2. 상세[편집]



2.1. 역사[편집]


파일:mk11mod0_usmc 0.jpg

2000년 미 해병대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에서는 미 해군 네이비 씰의 시범 운용을 거쳤던 나이츠(KAC) 사의 SR-25를 Mk.11 Mod.0의 제식명으로 정식 채택하여 곧이어 발발한 테러와의 전쟁에 투입시켰으며, 2008년 이후에는 동사의 보다 발전된 M110 SASS로 서서히 대체해 나가고 있다.


2.2. 특징[편집]


파일:mk11mod0_package 0.jpg
Mk.11 Mod.0 SWS

파일:mk11mod1_main 0.jpg

기본적으로 20인치 유동총열이 적용된 SR-25이기 때문에 최대 0.75에서 1 MOA 가량의 높은 명중률을 보이는 반면, 한 정당 단가가 민수용 기종을 기준으로 약 7,500달러에 달할 정도로 매우 높고 약실 내부에 탄매가 많이 남는 가스직동식의 고질적인 단점을 가진다.


3. 종류[편집]


파일:mk11mod0_sheet 0.png파일:mk11mod1_sheet 0a.jpg파일:m110 0.jpg파일:sr25mr_sheet 1.jpg
제식명
제품명
Mk.11 Mod.0Mk.11 Mod.1Mk.11 Mod.2SR-25 MR
운용처USSOCOM
USA
USN
USMC
USCG
USSOCOM
USMC
USSOCOM
USMC
USSOCOM
연도2000년~현재2006년~현재2006년~현재1995년~현재
제품번호98169256922412398029
재고번호1005-01-475-79801005-01-475-79801005-01-551-62821005-01-473-1404
도색흑색흑색진흙색흑색
총열오버마이어 20인치KAC 20인치KAC 20인치레밍턴 24인치
총열덮개KAC FF RASKAC URX2KAC URX2KAC FF RAS
소염기없음KAC M110KAC M110없음


3.1. Mk.11 Mod.0[편집]


파일:mk11mod0_usa 0.jpg

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를 시작으로 2000년부터 미 육군, 미 해군, 미 해병대, 미 해안경비대에도 소량 도입된 SR-25 경량특수작전형(SpLW) 기반의 전기형으로, 나이츠(KAC) 사의 1세대 FF RAS 총열덮개와 SR-25 소음기 전용 탈착식(QD) 가스마개가 적용되었다. 대한민국 해군 UDT/SEAL 특수임무대대에서도 운용 중이다. 함상 사격훈련에서의 Mk.11 Mod.0


3.2. Mk.11 Mod.1[편집]


파일:mk11mod1_usmc 2.jpg

이라크 전쟁이 진행 중인 2006년 미 해병대의 160정 긴급 조달요청에 맞추어 추가된 과도기형으로, 당시 미 육군에 제시된 SR-XM110 SASS의 윗총몸으로 대체됨에 따라 동사의 2세대 URX2 총열덮개와 새로 추가된 M110 소염기가 다른 기종과의 식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3.3. Mk.11 Mod.2[편집]


파일:mk11mod2_usa 0.jpg

2006년 미 해군미 해병대를 포함하여 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에서의 M110 SASS 제식 채택 이전에 추가된 후기형으로, 아랫총몸 오른편에 새겨진 제식명 레이저 각인을 제외하면 전반적인 사양과 구성품은 물론 기본 도색이 진흙색(FDE)인 점까지도 동일하다.


4. 출처[편집]



4.1. 웹사이트[편집]




4.2. PDF[편집]




5. 등장매체[편집]



5.1. 영화[편집]


  • 캡틴 필립스(2013) - 미 해군 네이비 씰 대원이 Mk.11 Mod.0을 사용한다.
  • 아메리칸 스나이퍼(2014) - 크리스 카일(브래들리 쿠퍼 분)이 Mk.11 Mod.0을 사용한다.
  • 용의자(2013) - 북진회 블랙 요원 SA1(원진 분)이 MK.11 Mod.0을 쓴다
  • 이차원의 저격수에서 티모시 헌터[1]와 케빈 요시노[2]가 사용한 것으로 나온다.[3]


5.2. 게임[편집]


Mk.11 SWS 외에도 KAC SR-25M110 SASS을 포함한 비교 영상이다.




  • Bullet Force - 150,000크레딧이 넘는 가격에 판매중. 성능은 영 좋지 않다. 그나마 사거리는 길다.

  • Phantom Forces - 3랭크에 해금되는 지정사수소총으로 나온다. 연사력이 영 좋지 않아서 굳이 ACOG나 VCOG 6×를 달지 않는 이상 써먹기가 좋지 않다.그냥 근접을 노리거나 sks에다가 ACOG를 끼는걸 추천.


6. 둘러보기[편집]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 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현대의 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돌격소총M4, M4A1, XM7, M16A2, M16A3, M16A4, M27, M231, GUU-5/P, XM29, XM8
지정사수소총M14, M21, M21A5, M38, M39, M110, M110A1, M110A2, Mk.11, Mk.12, Mk.14, SAM-R, SDM-R, SIG716, MSG90
저격소총M24, M40, M82A1, M82A1M, M82A3, M107, M2010, Mk.13, RC-50, XM109
산탄총M26, M500, M590, M870, M870 MCS, M1014, M1200, AA-12
기관단총M3A1, MP5A3, MP5A5, MP5K, MPX, M635, APC9K, P90 TR
권총리볼버M15, GS32N
자동권총M9, M9A1, M11, M17, M18, M007, P229R DAK, KP95D, SP2022
지원화기기관총경기관총M249, XM250, LSAT
다목적기관총M60, M134, M240
중기관총M2HB, M2A1, M85, GAU-19, XM312, XM806
유탄발사기M32, M203, M320, Mk.19, EX-41, XM25, XM307
로켓발사기M72, M141, M202, Mk.153, Mk.777, RAW
미사일발사기BGM-71, FGM-77, FGM-148, FGM-172, FIM-43, FIM-92, SB LMAMS
무반동총M3, M67, M136
박격포M120, M224, M252, M327, Mk.2, Mk.4, XM905
곡사포M102, M119, M198, M777
특수전 화기소총돌격소총M723, M727, M733, M4A1 URG-I, Mk.16, Mk.17, Mk.18, HK416, MCX, SG552, SR-47
지정사수소총M14 DMR, Mk.1, Mk.20, HK417, OBR, RECCE, SR-25
저격소총M25, M91, Mk.15, Mk.21, Mk.22, LRP-07, RPR, TAC-338
기관단총MP5-N, MP7A1, UMP45
권총M1911, M45, M45A1, M66, M686, Mk.2, Mk.23, Mk.24, Mk.25, Mk.27, G22, HDM, P9S-N, P11, P239, PPK/S, OHWS, USP45CT
기관총Mk.43, Mk.44, Mk.46, Mk.48, HK21, HK23E, LAMG, Ultimax 100, MG338
유탄발사기M79, Mk.13, Mk.14, Mk.47, XM148
폭발물수류탄살상탄M67, Mk.3, Mk.21, ET-MP
섬광탄M84, M7290, Mk.13, Mk.20, Mk.141
화학탄M7A3, M8, M14, M18, M25A2, M34, M83
총류탄M100
지뢰M4A1, M7, M15, M18A1, M19, M86, MM-1
폭약M1, M1A2, M1A3, M2A4, M3A1, M039, M112, M118, M183, M303, Mk.7, TNT
냉병기총검M1, M6, M7, M9, M1905, OKC-3S
단검M11, Mk.3 Mod.0, AFSK, ASEK, KA-BAR, Mark II, MPK-Ti, SEAL-2000, SMF
예도M1840, M1852, M1859, M1860, M1902
도끼R&D Hawk, Shrike, VTAC
비치사성무기M5, M37, M39, M104, M234, FN 303, X26, 532P-M, LA-9/P
의장용 화기M1903, M1917, M1, M14, M16A1, M16A2, M16A3, M16A4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현대의 대한민국 국군 / 경찰 보병장비




돌격소총M16A1, K2, K2C1, K11
저격소총K14
기관단총K1A
산탄총M4 슈퍼 90EOD, 스트라이커EOD, M3 슈퍼 90BAT, M1200BAT, 베레타 686BAT, M1897, M1912, USAS-12

자동권총M1911A1, K5, KP-52P, DH-380P
리볼버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CAL-38, M10P, M64P, M15P, M67P, M19P/M66P, M60P, M36P, STRV9P
총검KM7, M9P





경기관총K3, K15
다목적 기관총M60, K16, M134, PKT
중기관총M2, K6, NSVT
유탄발사기M79, M203, K201, K4
대전차화기M72 LAW, 판처파우스트 3, 90mm 무반동총, 106mm 무반동총, BGM-71, 메티스-M, 현궁, 스파이크
박격포KM181, KM187, KMS114, KM30
견인포M101A1, M101A2, KH179
맨패즈재블린, 스팅어, 이글라, 미스트랄, 신궁
수류탄K75, K400, K413, MK3A2
지뢰M14, M15, M16, M18A1, M19




소총돌격소총HK416, HK416A5, SCAR-L, SIG516, SIG556P, CAR816, M4A1P, M4A3P, G36CP, DD Mk.18P, SR-16P, K2C, M6P, ARADP, AK-47C, 56식 자동소총C, AK-74C
저격소총SSG 69, SSG 3000, M700 AICS, AW, AWSM, AW50, APR308, TRG M10, LRT-3, PSG1, MSG90, Mk.11 SWS, M110 SASS, G28E, DD5V1, MARS-HP, M107A1, PSLC
기관단총K7, K13, MP5A5, MP5SD6, MP5K, MP7A1P, MP9, APC9K PRO, UMP45P, 커스텀 9mm ARP, DSMG9P, DSAR-15PC, X95 9mm SMG, Vz.61C
산탄총M870P, M870 MCS, KSG, UTS-15, M590P, M4 슈퍼 90P
권총G17, G19, G26, 베레타 92SB, 베레타 92F, P7M13P, USP9T, P2000P, P226, P229P, CZ75 P01Ω, 제리코 941FL, Px4 스톰P, TT 권총C
특수화기APS, KSPW, M32 MGL
총검KCB-77
의장M1 개런드, M16A1, K2C1, M14US
※ 윗첨자P: 경찰/해양경찰/대통령경호처에서만 운용
※ 윗첨자BAT: 공군 B.A.T 팀에서 일부 사용
※윗첨자EOD: 군 폭발물처리반에서 제한적으로 사용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윗첨자US: 한미연합사 의장대에서 무상대여로 운용
※ 윗첨자C: 적성화기
K1A, DSAR-15PC는 국방규격 상 기관단총으로 분류









[1] 군에 있을 당시 사용[2] 작중에서 티모시에게 저격 훈련을 받을 때와 복수대상을 저격할 때 사용[3] 케빈 요시노의 가게에 모델건이 전시되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03:59:27에 나무위키 Mk.11 SWS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