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 Edge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2020년 1월 15일에 출시된 크로뮴 기반의 Edge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전에 존재한 EdgeHTML 기반의 구 Edge에 대한 내용은 Microsoft Edge/레거시 문서
Microsoft Edge/레거시번 문단을
Microsoft Edge/레거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파일:Microsoft Edge 로고.svgMicrosoft Edge
마이크로소프트 엣지[1]
||
개발사Microsoft
분류웹 브라우저
엔진Blink · V8 · WebKit[2]
플랫폼별
최신 버전
[3]
Microsoft Windows[4] | macOS | Linux
118.0.2088.76[5]
Android
Galaxy Store: 117.0.2045.65[6]
Google Play: 118.0.2088.66[7]
Xbox One |
117.0.2045.34[8]
iOS | iPadOS
118.0.2088.68[9]
한국어 지원지원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약력
3. 데스크톱 버전
3.1. 주요 특징 및 기능
3.2. Insider Preview
3.3. 구글 관련 문제
4. 모바일 버전
5. Xbox 버전
6. 의의
7. 문제점
8. 고급 기능
9. EdgeHTML 기반(구 버전)
10. 기타
1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Microsoft에서 자사의 Internet Explorer를 대체하기 위해 만든 웹 브라우저.


2. 약력[편집]


크게 2014년에 IE11의 트라이던트 엔진을 포크하여 개발하던 EdgeHTML 버전과 이후 새로 개발한 크로뮴 버전으로 나뉜다. Windows 10 개발 초기에 본격적인 브라우저 현대화를 위해 트라이던트에서 비표준적이고 도태된 기능을 최대한 배제하고 좀 더 표준에 가까운 EdgeHTML 엔진을 개발한 것이 본래의 엣지이며, 이에 대한 내용은 별개의 문서로 분리되었다.

이후 EdgeHTML이 윈도우 커널에 묶인 부분이 많아 업데이트 주기가 연 2회로 제한되고 많은 개발자들이 Chrome에만 최적화된 웹사이트를 개발하고, 구글측에서 유튜브, Gmail, 구글 검색 등 자사가 서비스하는 부분에서 노골적으로 비표준적인 방법을 동원해 Chrome에만 최적화를 하면서[10] 아예 기존 개발 인력을 크로뮴으로 전부 옮기고 크로뮴 기반으로 브라우저를 완전히 전환했다. 본 문서는 후자의 크로뮴 기반 데스크톱용 브라우저 및 iOS, 안드로이드 버전을 다룬다.

EdgeHTML 버전은 2015년 1월 21일에 처음 발표되어 Windows 10 일반 사용자 공개와 함께 정식으로 배포되었으며, 크로뮴 버전은 2018년 12월 3일에 발표하여 2019년 4월 9일에 인사이더 프리뷰를 시작, 개발 및 테스트를 하였다. 동년 11월 5일 Microsoft Ignite 2019에서 새 로고와 함께 RC 버전이 공개되었고, 2020년 1월 15일에 크로뮴 버전이 정식 공개되었으며 20H1 빌드 배포 전후로 구 버전을 완전히 대체했다.

Microsoft에서 과거의 Internet Explorer의 명성을 되살리기 위함인지, 점유율 상승에 굉장히 많은 공을 들이고있다.

Microsoft에서 적극적으로 점유율을 늘리려는 것인지, Windows 10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켜지면서 엣지가 소개되고, 큰 업데이트를 하면 또 자동으로 켜지며 업데이트를 소개하고, Bing에서 Chrome이나 Firefox 등 다른 브라우저를 검색하면 검색창에 Edge를 사용하기를 권장한다고 띄우고, 기본 사용 브라우저 앱을 Microsoft Edge 브라우저가 아닌 다른 브라우저로 바꾸려고 시도하면 또 한번 재확인하고, 이외에도 제발 자신을 써달라는 듯 수시로 켜지며 Edge 브라우저를 사용하지 않는 Windows 10/11 사용자를 괴롭히고 있다. 다른 소프트웨어는 기본 앱을 바꿔도 재확인하지 않는다. 또한 Microsoft Edge는 Windows 기본 앱이라 정상적인 방법으로 제거할 수 없다.

거기다 Bing의 AI 검색 기능을 사용하려고 하면 Edge를 기본 브라우저로 해야하는 괴랄한 행동까지 서슴치 않는다.

심지어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제거로 지우려해도 복구/재설치만 있을 뿐 삭제 버튼 자체가 없어서 삭제가 불가능하며 완전히 삭제하려면 명령 프롬프트를 사용하는 복잡한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 더 골 때리는 것은 이 방법을 써서 완전히 삭제를 해도 다시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면 어느 순간 또 재설치가 되어있다는 것. 당신이 Windows를 쓰는 이상 실질적으로는 삭제는 불가능하다고 보는 것이 맞다.

이는 사실 브라우저에 자사의 온라인 서비스를 접목시켜 수익성 향상을 시키려는 전략 중 하나이다. 크롬을 개발하는 구글과 엣지를 개발하는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미 검색, 이메일, 오피스, 클라우드 등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경쟁하고 있는데 브라우저에 이를 내장시키면 사용자가 자연스레 따라오기 마련.

초창기에는 호환성 문제가 있었지만 현재 Edge와 Chrome은 동일한 엔진을 사용하고 있어 어느 사이트를 방문하더라도 원칙적으로는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3. 데스크톱 버전[편집]


파일:엣지win10.jpg
파일:엣지메인.jpg
Windows 10에서 Edge를 띄운 모습
파일:엣지_win11_107.0.1418.52_1.png
파일:엣지_win11_메인.png
Windows 11에서 Edge를 띄운 모습
파일:엣지_macOS Ventura_나무위키.jpg
파일:엣지_macOS Ventura_메인.jpg
macOS Ventura에서 Edge를 띄운 모습

2018년 12월 6일, Microsoft는 크로뮴 기반으로 Edge를 새로 개발하겠다고 발표했다.[11]

2018년 들어서 Microsoft가 브라우저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던 추세라 상당한 충격이 있었으나, 그간 엣지가 겪었던 호환성 문제와 낮은 점유율의 악순환을 감안할 때 어찌 보면 당연한 선택이라는 평가가 주류를 이루었다. 또한 Microsoft가 GitHub을 인수한 이후 크로뮴을 사용하는 일렉트론이 Microsoft의 몫이 된 만큼 크로뮴으로 노력을 모으는 게 낫다는 의견도 많았다. 거기에 리액트까지 주력 지원 플랫폼에 추가가 되면서 사실상 개발 방향에 쐐기를 박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EdgeHTML 시절에는 Windows 7에서 Edge 브라우저의 사용이 불가능했으나 크로뮴으로 전환한 이후 사용이 가능해졌다. 해당 시점까지 설치가 되지 않은 윈도우 7의 경우, 6월 말 선택 Windows 업데이트로 제공해주었다. 다만 2023년부터는 윈도우 10 이전 운영체제에서의 지원이 중단될 예정.

macOS[12], Linux[13]에서도 지원한다. macOS는 크롬과 마찬가지로 인텔맥과 애플실리콘맥 설치파일이 따로 존재하고 모두 .pkg 파일로 제공되며 Linux는 .deb 패키지와 RPM 패키지를 제공하며 Flatpak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3.1. 주요 특징 및 기능[편집]


전반적인 부분은 Chrome와 유사하나 약간의 차이가 있다.


정식 공개 이후 반응은 매우 호의적이다. 똑같은 크로뮴 기반 웹 브라우저인데도 크롬보다 빠르고 가볍다는 평가가 주류를 이루는데, 구글 서비스 API 삭제 및 Windows 10 통합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11월 중순 처음 카나리로 공개한 AArch64 버전이 Surface Pro X의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켰다는 호평을 받았다.


3.2. Insider Preview[편집]


채널 구분
아이콘파일:Microsoft Edge 베타 채널 아이콘.svg파일:Microsoft Edge 개발자 채널 아이콘.svg파일:Microsoft Edge 카나리 채널 아이콘.svg
구분베타 채널개발자 채널카나리아 채널
업데이트
주기
4주매주매일
현재
버전
크로뮴 113크로뮴 113크로뮴 114

파일:Microsoft Edge 실행 화면.png
Windows 11에서 엣지를 띄운 모습

2019년 4월 8일에 공식적으로 인사이더 프리뷰를 시작했다. 64비트 Windows 10에서 크로뮴 74 기반의 개발자 빌드와 75 기반의 카나리아 빌드로 시작했고, 이후 32비트 Windows 10, 구형 Windows, macOS, ARM64 Windows 10, Linux 순으로 프로그램을 확장했다. 현재는 모든 플랫폼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개발자 브랜치는 한 주 간 공개된 카나리아 빌드 중 가장 안정적인 빌드를 선정해 일부 버그를 수정해 빌드를 배포하며, 베타 브랜치는 다시 개발자 빌드 중 가장 안정적인 빌드를 선정해 공식 빌드를 준비하는 역할을 맡는다. 카나리아는 공식 기술 지원도 받지 못하는 공인 텔레메트리 셔틀이므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3.3. 구글 관련 문제[편집]


크로뮴으로 다시 개발을 시작한 이후 Microsoft Edge에서 구글 서비스가 깨지는 사태가 계속 발생하고 있어 구글의 견제가 아니냐는 의혹이 증대되고 있다.









4. 모바일 버전[편집]


파일:엣지메인.png파일:엣지구글.png파일:iOS_엣지1.png파일:iOS_엣지2.png
안드로이드용 앱에서 엣지를 띄운 모습iOS용 앱에서 엣지를 띄운 모습

2017년 10월 5일에 iOS 및 안드로이드 버전이 처음 발표되었다.[21] 아직 EdgeHTML이 살아있던 시절에 공개되었지만 진작에 다른 엔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iOS의 경우 정책상 다른 브라우저들과 동일하게 웹킷을 사용하지만, 안드로이드에서도 크로뮴(블링크+V8)을 사용한다는 의외의 선택을 했다. 당시로서는 정말로 의외였다. 블링크까지는 그렇다 쳐도 최소한 차크라코어라도 쓸 줄 알았고, 장기적으로는 EdgeHTML로 대체하겠거니 생각하던 사람들이 많았다. 이때만 해도 EdgeHTML을 버릴 줄은 아무도 몰랐기 때문이다. 개발자들에 따르면 EdgeHTML 포팅이 엄청나게 복잡한 작업인 반면 지향하는 바는 블링크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크롬과 동일한 버전의 렌더링 엔진으로 계속 업데이트하며 사용하기로 했다고 한다.

2017년 10월 5일 iOS로 프리뷰가 처음 공개되었으며, 안드로이드 프리뷰는 2017년 10월 12일 공개되었다. 이후 2017년 말에 두 버전 모두 정식으로 격상되었다. 한국의 경우 한동안 지원하는 국가가 아니었던 탓에 검색해도 나오지 않고, 링크를 통해 들어가도 '거주 국가에서 다운하실 수 없습니다'라고 떴다. 이후에는 검색과 다운로드가 가능해짐과 동시에 한국어로 번역되었다.

모바일용 Edge 브라우저는 Windows 10과의 연동 기능과 애드블락 플러스 등 크롬 모바일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앞세워 조금씩 세를 불려 나가고 있다. 암호나 즐겨찾기 동기화를 넘어 Windows PC로 웹 링크를 전송하는 기능도 있으며, 2018년 11월에는 PC에서 지원하는 타임라인 기능을 모바일 브라우저에 통합하기도 했다. 안드로이드 버전에는 암호관리자 기능이 추가되어 다른 앱에서도 Edge에서 암호를 불러오거나 저장할 수 있다.

PC에서 Edge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경우 연동으로 인해 상당히 편하고, UI나 기능성면에서도 심플함을 추구하는 Chrome과 다르게 의외로 꼼꼼히 챙겨서 편리하다.


5. Xbox 버전[편집]


Xbox에서도 크로뮴 버전 Edge를 개발 중이라는 소식이 들려왔고 2021년 9월, Xbox 시스템 업데이트를 통해 설치되었다. 크로뮴 버전에서는 기존 콘솔용으로 포팅된 브라우저의 한계를 넘어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고 밝혔다.

키보드와 마우스를 완벽하게 지원하며 기존에 PC에서 같은 계정으로 엣지를 이용하고 있었다면 자동으로 연동된다. 인터페이스는 PC용 Edge 버전과 별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보안 상의 이유로 다운로드와 관련된 서비스는 이용할 수 없으나 그 외에는 PC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자사 웹 서비스인 Microsoft 365나 Xbox 클라우드 게이밍 역시 가능하며 심지어 Stadia 역시 완벽하게 호환된다. 비록 다운로드 등은 못하지만 유튜브 등의 프로그램도 볼 수 있다.


6. 의의[편집]


기존의 EdgeHTML도 많은 부분이 현대화되었지만, 현대 브라우저의 사실상 표준이라 할 수 있는 크롬과 그 뿌리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여러 자잘한 문제가 대두되었다. 크로뮴을 사용하면 이 모든 문제가 한 방에 해결된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및 트라이던트 엔진과 완전한 단절을 이루어내고, 이론적으로는 Chrome과의 호환성 문제라는 것 자체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EdgeHTML은 Windows 10 커널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따라서 EdgeHTML에 손을 대기 위해서는 Windows 10 자체에 손을 대야 하기 때문에 업데이트 주기도 Windows 10을 따라 연 2회로 제한되었다. 그러나 크로뮴으로 전환한 지금은 베타 6주 주기, 개발자 1주 주기, 카나리 1일 주기를 칼같이 지키면서 경쟁 제품들과 동일한 주기를 따르고 있다.

Microsoft는 엔진 전환 이전부터 크로뮴에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었다. 모바일용 엣지 이외에도 2010년대 Microsoft 최대의 히트작으로 평가받는 Teams와 Visual Studio Code가 의존하고 있는 일렉트론 때문이다. 일렉트론은 GitHub이 개발하는 프레임워크로서 상술한 두 프로그램 이외에도 슬랙, 디스코드, 스카이프 등 오늘날 사용되는 수많은 프로그램들의 기반이 되는데, 이 일렉트론이 프론트엔드로 크로뮴을 사용한다. 게다가 일렉트론을 개발하는 GitHub을 Microsoft가 인수한 만큼, 이제 Microsoft는 일렉트론 및 그 제반이 되는 크로뮴을 직접 유지, 관리, 발전시켜야 할 의무와 동기 모두를 갖게 된 것이다.

앞으로 Windows도 점진적이지만 자연스럽게 크로뮴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Edge를 어떤 엔진 기반으로 만들지의 문제는 Windows 10 개발 초기부터 대두되던 문제다. 당시에도 웹킷 기반으로 아예 새로 만드는 안과 기존 트라이던트 엔진을 뜯어 고치는 안이 경쟁했는데, 후자가 결국 이기게 된 것은 트라이던트가 Windows 자체의 코드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탐색기, 제어판, 각종 내장 프로그램들까지 굉장히 많은 부분들의 제반에 트라이던트가 앉아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때문에 어차피 Windows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트라이던트에 손을 대야 했고, 그 과정을 가속화하여 엔진을 대폭 개선하고 새 브라우저를 만드는 방향으로 가기로 한 것이다. 진작에 크로뮴으로 옮겼어야 한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Windows 10의 기획이 한참 진행중이던 2013~14년은 웹킷과 블링크가 이제 막 갈라섰기 때문에 둘 중에서 뭘 선택하는지도 난제인 시절이었다. 더욱이 2018~19년에 와서야 Microsoft가 크로뮴 개발에 뛰어들어도 그러려니 하는 거지, Windows 10을 기획하던 시절은 사티아 나델라가 CEO로 이제 막 취임하고 iOS용 Office를 공개하던 시절인 걸 감안할 때 지금과는 모든 것이 달랐다고 봐야 할 것이다. Windows 10의 발매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OS와 웹 렌더링 엔진의 상호 의존성은 더욱 심화되었다. 따라서 트라이던트와 EdgeHTML이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지지는 않겠지만,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버려진 코드 위에 OS가 앉아 있을 수는 없기에 결국 장기적으로는 크로뮴 위로 옮겨와야 한다. 당장 빌드 2019에서 새로 발표한 WebView2 API가 크로뮴 기반으로 운용되고 있어 각종 Windows용 앱이 EdgeHTML 대신 크로뮴 기반의 WebView2를 이용하게 될 예정이며, 장기적으로는 크로뮴이 Windows에 깊숙히 자리잡아 더 빠른 성능과 현대적인 개발 방식을 담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Edge가 크로뮴 기반으로 다시 만들어진다는 소식이 나왔을 때 구글의 크로뮴 개발진 중에서도 개발 인력이 늘어났다고 이를 환영하는 사람들을 자주 찾아볼 수 있었다. 비록 크로뮴이 시장의 절대적인 주류 브라우저이기는 하지만, 구글이 그간 크로뮴의 렌더링 엔진으로 사용하던 웹킷을 블링크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포크하면서 Apple의 개발 인력을 잃어버리는 바람에 여러 제약이 생겼기 때문이다. 크로뮴 엣지의 공개를 전후하여 The Verge에 올라온 기사[22]를 보면 MS의 엔지니어들이 뛰어들면서 그간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손 대지 못하던 과제들, 시작만 해 놓고 오랜 시간동안 끝내지 못하던 작업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크로뮴의 윈도우 ARM64 버전 개발도 Microsoft가 자원을 투입해서 가능해졌고, 터치 입력 개선을 위한 작업 또한 Microsoft 주도로 진행 중이다. 특히 이러한 작업은 엣지 뿐만 아니라 크롬을 포함한 크로뮴에 기반을 둔 모든 브라우저들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7. 문제점[편집]


인터넷 등에 알려진 여러 방법들로 제거를 해도 윈도우 업데이트를 할 경우 다시 복구된다.
큰 용량을 차지하지 않고 설치된 것만으로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사용자에게 제거를 할 선택권 자체를 주지 않는 건 문제 아니냐는 반응이 있다.
Windows 10 LTSB/LTSC는 기본으로 Microsoft Edge가 없으므로 수동으로 설치했어도, 원하면 그냥 제어판이나 설정에서 제거할 수 있다. 2021 (IoT 포함) 버전은 불가능하다.
Windows 78, 8.1에서도 마찬가지로 Microsoft Edge가 기본으로 없어서 수동으로 설치했어도 원하면 제거할 수 있다.

8. 고급 기능[편집]


주소창에 edge://about 또는 edge://edge-urls 를 입력하면 더 많은 고급 기능 링크 목록이 나열된다.


9. EdgeHTML 기반(구 버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Microsoft Edge/레거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레거시 로고.svg

EdgeHTML 시절의 로고

Internet Explorer에 사용된 트라이던트 엔진을 대대적으로 개조해 개발하던 브라우저로, 현재 버전과는 완전히 다르다. 보안성 유지를 제외한 개발 노력은 2018년 상반기를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

이 버전에서만 지원하던 PDF 리더, eBook 리더, 원노트 연동, Cortana 연동 등 사용자 대상의 주요 기능은 차례대로 크로뮴으로 재개발을 완료하고 적용되었다. 단, 이 중 eBook 리더는 예정에 없다고 하며, Edge 88 버전 이후부터 앞서 설명한 eBook 리더를 제외한 모든 기능의 이전이 완료되었다.

2021년 4월 13일 배포된 정기 업데이트(KB5001330)를 설치하면 제거된다. 이로써 Microsoft의 자체 엔진 브라우저는 완전히 끝을 맺게 되었다.

Microsoft Edge 레거시 지원은 2021년 3월 9일에 종료됐다. #


10. 기타[편집]



























11. 둘러보기[편집]


파일:Internet Explorer 아이콘.svgInternet Explorer
관련 문서
||
문제점 · 버전
Microsoft Edge(레거시)


[1] 한국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엣지'가 아닌 '에지'이지만 '엣지' 쪽이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된다.[2] Apple 기기 버전[3] Stable(안정화) 버전 기준[4] EdgeHTML 기반 버전은 Windows 10 전용이며, 2019년에 공개된 크로뮴 버전은 Windows 7, Windows 8.1도 지원한다. 단, Windows 10 Enterprise LTSC 버전과 서버 2016, 서버 2019에는 내장되지 않아, 직접 설치가 필요하며, Windows 7을 기반으로 한 서버 2008 R2, Windows 8.1을 기반으로 한 서버 2012 R2는 지원되지 않는다.[5] 2023년 10월 27일 기준 릴리즈 노트[6] 2023년 10월 19일 기준[7] 2023년 10월 24일 기준[8] 2023년 9월 28일 기준[9] 2023년 10월 24일 기준[10] # #[11] 사용자 대상 발표문 개발자 대상 발표문[12] 10.12 Sierra 이상[13] 우분투 18.04 이상이지만 다른 배포판에서도 커널 버전이 5.x 이상이면 잘 된다.[14] 이는 기존 EdgeHTML의 Edge에서 한 글자를 뺀 것이다.[15] 참고[16] 관련 글 참고[17] 참고[18] #[19] #[20] #[21] #[22] #[23]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기다리는 동안 게임을 플레이하세요. 라는 문구 아래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플레이 가능하다.[24] #[25] #[26] #[27] #[28] #[29] 예를 들면 시크릿 모드가 IE와 동일한 Ctrl+Shift+P(해당 단축키는 변경후로 인쇄에 사용.)에서 크롬과 같이 Ctrl+Shift+N으로 변경된 것이나, 즐겨찾기 관리가 Ctrl+I에서 Ctrl+Shift+O로 변경된 것 등. 물론 백스페이스의 뒤로가기 삭제도 마찬가지라지만 이건 원래 있다가 크롬 52에서 막힌거라.[30] #[31] 정확히는 서식 무시하고 텍스트만 붙혀넣는다. 그런데 의외로 주소 변환도 안한다.[32] 참고로 파이어폭스 캡처 단축키는 Ctrl+Shift+S로 엣지와 같다. 웹페이지를 우클릭한 뒤 '스크린샷 찍기(T)'를 클릭해도 된다.[33] Chrome용 확장이기 때문에 Chrome과 Edge를 비롯한 크로뮴 기반 브라우저에서도 작동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Project Spartan
Project Spartan
문서의 r2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02:17:38에 나무위키 Microsoft Edge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