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무경

덤프버전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한무경
韓茂景 | Han Moo-gyeong
출생1958년 5월 20일 (66세)
대구광역시
거주지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태왕아너스아파트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 한남
현직제21대 국회의원
국민의힘 원내부대표
국민의힘 중소기업위원장
국민의힘 탈원전피해및국토파괴대책특별위원회 위원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학력경북여자고등학교 (졸업)
효성여자대학교[1] (도서관학 /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도서관학 /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 / 박사)
가족1남 8녀 중 막내
배우자 , 슬하 1남
종교천주교 (세례명: 안젤라)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비례대표
의원 선수1
의원 대수21
소속 위원회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경력이화여자대학교 강사
효림그룹 회장
제4대 경북여성기업인협의회 회장
제8대 한국여성경제인협회 회장


1. 개요
2. 생애
3. 정치 활동
4. 논란
4.1. 땅 투기 논란
4.2. "한일합방은 우리가 힘이 없어 당했다"
5. 소속 정당
6. 선거 이력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기업인 출신 정치인이다. 한국여성경제인협회 제8대 회장이었으며 미래한국당 비례대표 3번으로 제21대 국회에 입성했다.


2. 생애[편집]


대구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효성여자대학교 도서관학과[1]와 이화여대 대학원을 졸업하고 석사 졸업 후인 1983년부터 20년간 대학 강사로 강의하였다. 1998년에는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퇴직한 은행원이었던 아버지가 1998년 쌍용자동차 부품사업부를 1억원에 샀다. 8명의 딸 중 유일하게 직장생활을 했기에 아버지의 믿음이 컸고 아버지는 그녀에게 사업제안서를 읽게 하였다. 이를 토대로 남편과 함께 효림산업을 창업하고 매출 수천억대의 회사로 키우게 된다.


3. 정치 활동[편집]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 비례대표 3번이라는 높은 순번에 배정받고 무난하게 당선되었다. 이후 본인이 그동안 기업인으로 활동했고, 비례대표에도 그러한 특수성 때문에 당선된 것으로 보여져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의정활동을 하게 되었다.


4. 논란[편집]



4.1. 땅 투기 논란[편집]


평창군청에서 한 의원 농지를 현장 조사한 결과, 한 의원이 농지법을 위반했다고 최종 결론 내렸다. 실제로는 농사를 짓지않았다는 것이다.

8월 24일 국민의힘 최고위에서 제명 처분을 받았고, 의원총회에서 제명이 확정되면 당적이 박탈된다.

그러나 이후 국민권익위원회는 한무경의원의 농지법 위반의혹에 대해 경찰로부터 불입건 통지서를 받았다.

한무경의원의 농지법위반의혹이 무혐의 처분되면서 최고위의 제명처분도 취소되었다.


4.2. "한일합방은 우리가 힘이 없어 당했다"[편집]




3월 24일 국회 상임위 회의에서 한무경 의원이 2023년 한일정상회담윤석열 대통령을 두둔하며 "1910년 한일합방은 우리나라가 힘이 없어서 당했다"고 발언했다. 또한 "한일합방이 누구의 잘못이냐. 이제는 우리나라도 이런 '예스와 노'의 이분법 사고에서 벗어나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이제는 우리나라가 일본 못지않게 힘을 키웠고, 또 일본보다 어떤 분야에서는 더 강하기 때문에 우리 윤석열 대통령께서 통 크게 한일 정상회담에서 손을 먼저 내민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주장했다. #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b30647d4f1b33ba4b4fb54151252d794[[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6 - 2017정계 입문

ta-hash-start=w-b8fce3c702e762d4ca4395d64edd1378[[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 - 2020당명 변경

ta-hash-start=w-c4c32f6c24ee9c91d8debbd72cce2a22[[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합당[2]

무소속

2020비례대표 출마를 위한 탈당

ta-hash-start=w-cb389d202584d0ca7193967cf2bf06eb[[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입당

ta-hash-start=w-4311359ed4969e8401880e3c1836fbe1[[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합당[3]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 - 현재당명 변경

6.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20제21대 국회의원 선거비례대표
ta-hash-start=w-905669063311d8a17bd6958cd353eedd[[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9,441,520 (33.84%) 당선 (3번)초선[4]


7. 둘러보기[편집]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중앙당 지도부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최고의결기관 · 수임기구 (전국위원회)
전국위원회
의장
이헌승전국위원회
부의장
이달곤
박형수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당무심의 · 의결기구 (비상대책위원회)
비상대책위원장
한동훈
원내대표윤재옥정책위원회 의장유의동
비상대책위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당무집행기구 (중앙당 사무처 · 비상대책위원장 자문보좌기관)
사무총장이만희
전략기획부총장
배준영조직부총장함경우
홍보본부장송상헌
비상대책위원장 비서실장
김형동
상황실장김용환수석대변인박정하
대변인윤희석 (선임)
김예령
김민수
정광재
김정식 (청년)
부대변인황규환 (수석)
김온수 (상근)
김근태 (상근)
문종형 (상근)
배윤주 (상근)
신주호 (상근)
이민찬 (상근)
최현철 (상근)
정우영 (상근)
강사빈 (상근)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독립기구 (윤리위원회 등)
황정근
당무감사위원장
신의진
중앙연수원장최춘식김성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상설위원회
국책자문위원장
이주영중앙위원회
의장
김학용
국가안보위원장
성일종
인권위원장
이창수
법률자문위원장
전주혜
실버세대위원장
이춘식
중앙여성위원장
손인춘
디지털정당위원장
김영민
중앙장애인위원장
이종성중앙청년위원장장예찬
중앙대학생위원장
공석
홍보위원장
송상헌
지방자치위원장
송주범대외협력위원장정동만
재외동포위원장
김석기
노동위원장
김형동
통일위원장
정양석재해대책위원장정희용
중소기업위원장한무경소상공인위원장홍철호
중산층·서민경제위원장
김선동
국민의힘보좌진위원장
김민정
국민통합위원장
이용호
약자와의동행위원장
이용
북한인권 및 탈·납북자위원장
하태경
재정위원장
강중구
국제위원장
이재영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특별기구 (특별위원회)
외교안보특별위원장
박진
경제혁신위원장
공석
저출생대책특별위원장
공석
미래산업일자리특별위원장
조명희
코로나19대책특별위원장
공석
디지털자산특별위원장
윤창현
반도체산업경쟁력강화특별위원장
양향자[1]
뉴시티프로젝트특별위원장
조경태
파일:국회휘장.svg 원내기구 (의원총회 · 정책위원회)
원내대표윤재옥
원내수석부대표
이양수
원내부대표김영식 · 백종헌 · 서범수 · 서정숙 · 엄태영 · 이인선 · 임병헌 · 정경희 · 조명희 · 지성호
원내대표
비서실장
정희용원내대변인전주혜
장동혁
정책위원회
의장
유의동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
이태규
정책위원회
부의장
송석준 · 유경준 · 최승재
정책조정
위원장
송언석 (정무·기재·예결) · 이달곤 (농해수·산중·국토) · 김용판 (운영·법사·행안) · 김석기 (외통·국방·법사) · 강기윤 (복지·환노·여가) · 이태규 (교육·과방·문체)
정책조정
부위원장
박형수 · 서일준 · 하영제 · 권명호 · 양금희 · 안병길 · 유상범 · 김형동 · 정희용 · 태영호 · 서정숙 · 백종헌 · 김승수 · 이용
파일:국민의힘 로고.svg
역대 당대표
파일:국민의힘 로고.svg
상임고문
[1] 한국의희망 당대표 겸 원내대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2:30:41에 나무위키 한무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학과. 한무경이 입학을 한 1977년 당시 도서관학과가 신설되었고 1990년대 이후 모든 도서관학과는 문헌정보학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다만 대구가톨릭대학교는 도서관학과라는 명칭을 고수하고 있다. 2023년 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학과는 문헌정보학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2]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3] 미래통합당에 흡수 합당.[4] 2020년 5월 19일 미래통합당 흡수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