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사날 볼키아

덤프버전 :

파일:Personal_Emblem_of_the_Sultan_of_Brunei.svg
브루나이 술탄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rowbgcolor=#f7e017><rowcolor=#cf1126><width=25%> 초대 ||<width=25%> 제2대 ||<width=25%> 제3대 ||<width=25%> 제4대 ||
|| 무하맛 샤 || 압둘 마지드 하산 || 아흐맛(브루나이) || 샤리프 알리 ||
||<rowbgcolor=#f7e017><rowcolor=#cf1126>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술라이만(브루나이) || 볼키아 || 압둘 카하르 || 사이풀 리잘 ||
||<rowbgcolor=#f7e017><rowcolor=#cf1126>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샤 베루나이 || 무하맛 하산 || 압둘 자이르 아크바 || 압둘 자이르 자바 ||
||<rowbgcolor=#f7e017><rowcolor=#cf1126>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무하맛 알리(브루나이) || 압둘 하클 무빈 || 무히딘(브루나이) || 나스루딘 ||
||<rowbgcolor=#f7e017><rowcolor=#cf1126> 제17대 || 제18대 || 제19대(복위) || 제20대 ||
|| 후신 카마루딘 || 무하맛 알라우딘 || 후신 카마루딘 ||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1세 ||
||<rowbgcolor=#f7e017><rowcolor=#cf1126>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무하맛 타즈딘 || 무하맛 자마르 아람 1세 || 무하맛 칸줄 아람 || 무하맛 아람 ||
||<rowbgcolor=#f7e017><rowcolor=#cf1126>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2세 || 압둘 모민 || 하심 자이르 아람 아카마딘 || 무하맛 자마르 아람 2세 ||
||<rowbgcolor=#f7e017><rowcolor=#cf1126>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 아흐맛 타즈딘 ||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 || 하사날 볼키아 ||




브루나이 다루살람 제29대 술탄
브루나이 다루살람 초대 총리
하사날 볼키아
حاج حسن البلقیة معز الدین والدولة| Hassanal Bolkiah
파일:external/enugalasunilreddy.files.wordpress.com/image.png
이름하사날 볼키아 무이자딘 와자울라
(حسن البلقية, Hassanal Bolkiah Muiz'zadin Wad'daulah)
출생1946년 7월 15일 (77세)
영국 보호령 브루나이 반다르브루나이 이스타나 다루살람 궁
(現 브루나이 반다르스리브가완)
국적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재위기간브루나이 다루살람 술탄
1967년 10월 5일 ~ 현재
서명
파일:하사날 볼키아 서명.svg
[ 펼치기 · 접기 ]

자녀알-무타디 빌라 왕세자 포함 5남 7녀
아버지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
어머니다밋 왕비
학력{{{-1 빅토리아 학원 (졸업)
영국육군사관학교 }}}

1. 개요
2. 생애
3. 술탄
4. 평가
4.1. 긍정적 평가
4.2. 부정적 평가
5. 가족
6. 기타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www.celebfamily.com/Sultan-Hassanal-Bolkiah.jpg

Sultan Haji Hassanal Bolkiah Mu'izzaddin Waddaulah ibni Al-Marhum Sultan Haji Omar Ali Saifuddien Sa'adul Khairi Waddien

브루나이술탄 겸 국무총리, 재무장관, 외무장관, 국방장관, 브루나이군 총사령관, 브루나이 다루쌀람 대학교 총장, 브루나이 공과대학교 총장, 술탄 샤리프 알리 이슬람 대학교 총장.(...)

외세로부터 나라를 지켜내고 국민들의 의식주를 개선한 국부라는 긍정적 평가가 있으나 폭군이라는 부정적 평가도 있어 평가가 엇갈리는 인물이다.


2. 생애[편집]


1946년 반다르브루나이(오늘날의 반다르스리브가완)에서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와 시티 아민 다밋의 장남이자 맏자식으로 태어났다. 쿠알라룸푸르의 빅토리아 학원에서 수학했으며 이후 영국으로 건너가 영국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67년에 졸업했다.


3. 술탄[편집]


1967년 귀국하자마자 아버지 오마르가 사임하면서 술탄직을 물려받았다. 당시 브루나이는 좌익세력들의 반발 등과 말레이시아와 합병 문제 등 나라가 혼란스러운 상태였고, 무엇보다도 영국의 식민지배를 받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는 강력한 리더쉽을 발휘하여 반대파들과 정적들을 숙청했고, 나라의 자주권을 지켜내기 위한 투쟁을 벌인 결과 1979년 사실상 독립하였으며 이후 1984년 완전한 독립을 쟁취했다.

하지만 이 때까지는 오마르의 수렴 청정을 받았으며, 위에서 서술한 바와는 달리 실제로 그는 강력한 권한을 발휘하지는 못했다. 그러다가 1986년 아버지 오마르의 사망 뒤에는 모든 권력을 장악했으며 이후 그 누구도 건드릴 수 없는 절대권력자로 등극했다. 또한 위에서 보다시피 본인이 국왕이면서 국무총리에 각종 장관에 대학교 총장들까지 겸임하는 상황이다. 물론 제2 재무장관 식으로 실무를 담당하는 장관들이 있기는 하다...

1991년 말레이이슬람왕정(MIB)을 나라의 공식 이념으로 제정했는데, 이는 왕, 즉 술탄의 권한을 대폭 강화함으로서 절대왕정으로서 모습을 본격적으로 보여주었다. 이후 2004년 술탄의 권한을 한층 더 강화시킴으로서 그 누구도 건드릴 수 없는 1인자가 되었다. 한편으로는 1962년부터 정지되어 있던 국회의 기능을 다시 부활하는 등 제한적으로나마 완화 조치를 취했다.

장남이자 왕세자 알무흐타디 빌라는 총리실 선임장관 등을 맡고 있다.

4. 평가[편집]



4.1. 긍정적 평가[편집]


브루나이는 산유국이라 중동의 산유국처럼 자금이 어마어마한 나라다. 석유를 거래해서 벌어들인 막대한 자금으로 나라를 떠받치는 여러 제도들을 정립하고 복지 제도를 향상시켰다. 브루나이의 복지 제도는 타국으로부터 여러모로 칭찬을 받는데, 일단 그것들을 몇 가지 모아두자면 다음과 같다.

  • 어린이와 경찰관은 병원비가 무료이며, 군 병원이나 정부 병원은 치료비 자체를 낼 필요가 없다. 그 외 다른 경우가 있어도 아주 조금만 내면 된다.

  • 의학 수준이 선진국 못지않게 높은데, 의사 1인당 949명을 치료할 수 있는 수준이다. 평균 수명은 남자 74.2세, 여자 77.3세.

  • 노약자와 장애인의 편의를 위한 각종 시설들을 마련해 두며, 특히 은퇴한 노인들을 위한 연금은 빼놓지 않는다.

  • 매년 국민들에게 1,000,000원 상당의 세뱃돈을 나눠준다.

사실 이 외에도 더 많지만 그걸 다 적기에는 공간이 부족하며 손가락이 아플 지경이다. 그리고 한국에서도 TV 프로그램 등을 통해 브루나이의 뛰어난 복지 시스템들이 보도된 바가 있으며, 이 정도 쯤은 조금이나마 알 것이라고 믿는다. 물론 과장되거나 허위도 다소 있으나, 그래도 브루나이의 복지 시스템은 "세계적인 복지국가"라고 칭송받는 스웨덴에 뒤지지 않는 수준, 아니, 어쩌면 스웨덴을 뛰어넘는 수준일 지도 모른다.


4.2. 부정적 평가[편집]


브루나이의 복지 시스템은 스웨덴을 비롯한 각 선진국에 비하면 상당한 결함이 많은데, 국가 반역자라던가 아니면 중범죄를 저지른 일명 인간 쓰레기에게도 공평하게 돌아가는 서구의 복지 시스템과는 달리 브루나이에서는 오로지 일부에게만 돌아가고 있다. 이 혜택의 수혜자는 단연 주민의 다수를 차지하는 말레이인이다. 중국인도 이들 못지 않게 상당하지만, 이들에게는 그 어떠한 혜택도 돌아가지 않으며 궁극적으로 여러모로 세금 폭탄을 매긴다.

브루나이의 빵빵한 복지제도를 찬양하면서 자국 혐오적 태도를 취하는 외국인들이 많은데, 당연하겠지만 외국인은 꿈 깨야 한다. 자국민들도 말레이인이 아니면 상당수가 저런 혜택을 받지 못하는 판에, 외국인에게는 돌아갈 리가 없다. 그러나 진짜 문제는 저렇게 복지가 빵빵한 것은 다름아닌 오일머니 때문이다. 애초에 브루나이는 산유국으로서 모든 것이 자원빨이다. 자원이 하나도 나지 않거나 혹은 거의 없는 대한민국 또는 서구와 비교하는 것은 명백한 오류다. 서구권의 경우는 천연자원 이외에도 기본적으로 상공업이 크게 발달했기 때문에, 자원 덕을 보기 이전에도 이미 경제 부국이었던 나라들이 대부분이다[1]. 그리고 그런 관계로 상당히 오래 전부터 복지제도를 구축한 바 있으며, 이 노하우를 살려서 복지제도를 저소득층의 빈곤 구제와 이를 통한 경기 부흥 및 근로 의욕 증진에 기여하도록 잘 다듬어 놓기도 했다. 그냥 석유로 부를 얻은 왕실이 선심쓰기로 베푸는 수준에 불과한 것을 제대로 된 복지제도라고 할 수 없는 셈이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브루나이가 석유가 바닥나거나 잘 안팔리는 상황이 오게되면 브루나이는 순식간에 경제가 망할 수도 있으며 실제로 유가에 따라 브루나이의 경제는 위협을 받고 있다.

가장 비난받고 있는것은 볼키아가 철저한 이슬람 근본주의에 기반해 통치하는 사람으로서 악명높은 샤리아 폭정을 저지르고 있어 종종 타 종교인들과 인권 단체들의 비난을 받고 있는데, 안그래도 2014년에는 공식적으로 샤리아를 도입하면서 타 종교인들과 인권운동가들의 반발에 직면하고 있다. 물론 브루나이는 이슬람 국가로서 이전부터 샤리아가 존재했으나, 그동안은 멀리 갈 것도 없이 이웃나라인 말레이시아처럼 영미법이 샤리아보다 위에 있어 엄격하게 적용하지 않았으나 이번에는 샤리아가 영미법보다 위에 서게 된 것이다. 이로서 투석형, 태형 등이 공식적인 형벌이 되었는데, 범죄자는 말할 것도 없고 이슬람에서 금기하는 행동들을 저지르면 얄짤없이 적용된다. 더큰 문제는 일각의 폭로에 따르면 정작 볼키아 본인은 전혀 지키지도 않으며 대놓고 어겼단다(...). 그리고 2019년 4월 3일부터 브루나이는 샤리아법을 시행하면서 온갖 인권탄압이 벌어지고 있어 비난을 받고 있다.

그리고 브루나이를 겉으론 세속국가라고 표하면서 실제로는 아랍국가보다 더 심하게 이슬람 규율을 지키게 한다. 볼키야는 현재 브루나이 내에서 기독교인의 활동을 제한하는데, 일단 선교는 금지사항이며 성경에서 하나님을 "알라"라고 칭할 수 없게 한다. 그러나 그가 진짜로 반기독교인 이유는 다름아닌 크리스마스에 대한 반감 때문인데, 1992년 크리스마스를 공식적으로 금지시켰으며 최근에 이를 한층 더 강화시켰다. 물론 기독교인에 한해서 집에서 아주 제한적으로만 기념할 수 있으며 크리스마스를 법정공휴일로 지정하고 있으나, 공공장소에서 대놓고 기념하는 행위는 처벌의 대상이다. 또한 교회들을 이유 없이 폐쇄시키는 등 기독교인들은 강력하게 비난하고 있다.

이슬람 아니랄까봐 유대교에도 반감이 심한데, 이스라엘 국민의 입국을 엄격히 제한하며[2] 유대교 탄압도 여전하다.

게다가 석유 수입으로 나온 복지 혜택도 주류민족인 말레이계한테만 해주지 중국계를 비롯한 소수민족들에게는 그런게 없으며 각종 세금을 부과하고 있어 소수민족 차별로도 비난받는다.

무엇보다도 그는 전제군주제의 군주이며, 아무리 국민들을 먹여살리고 국민들을 위해 노력하더라도 군주는 군주일 뿐이다. 특히 볼키아가 시행하는 정책들은 명백한 폭정이다. 브루나이는 북한, 이란처럼 언론 탄압이 심각하고 표현의 자유가 없으며, 유일하게 인정된 국민연합당조차 친 왕정 성향이다. 왕실과 정부에 반대하는 것은 곧바로 코렁탕을 먹게 되는 상상 이상의 금기사항이다. 동생 제프리는 나랏돈을 잘못된 투자로 날려 나라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기도 하는데, 정작 국민들은 입 한 마디 뻥끗거리지도 못하고 있다. 이원복 교수도 <가로세로 세계사> 2권에서 가로와 세로라는 캐릭터의 입을 빌려 브루나이 국민에 대해 "배는 부르지만 자유가 없는, 그러니까 황금조롱에 갇힌 꼴"이라 평하며, 아무리 배불리 먹여 입을 막는다 해도 국민들이 언제까지 참아줄지 궁금해했다.

심지어 볼키아는 제 아버지 때 선포된 계엄령을 지금까지도 "공공의 안녕"을 핑계로 해제할 생각을 전혀 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연장하고 있는데, 이 계엄령이 1962년 이래 현재까지 무려 61년이라는 매우 긴 기간을 자랑하며 이는 세계에서 가장 긴 계엄기간 중 하나로 유명했던 대만의 38년을 훌쩍 뛰어넘는다.[3]


5. 가족[편집]


1965년 살레하 알람과 결혼하였다. 1부4처제인 이슬람의 특성에 따라 1982년 하자 마리암과도 결혼했으나 2003년에 틀어졌고, 이후 2005년 아즈리나즈 마자르 하킴과 결혼했으나 이마저도 5년만에 끝났다.

자녀로는 5남 7녀가 있는데, 이 중 장남인 1974년생 알무흐타디 빌라 왕세자는 2004년부터 군 통수권과 경찰 지휘권을 쥐고 국무총리실 수석 장관을 맡고 있다.

3명의 남동생과 6명의 여동생이 있고 이 중 제프리 볼키아는 문제를 많이 일으켜 유명하다... 제프리의 아들, 즉 하사날 볼키아의 조카인 파이크 볼키아는 현재 CS 마리티무에서 뛰고 있으며, 브루나이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이기도 하다.

2020년 10월 25일. 둘째 아들 압둘 아짐이 만 38세에 일찍 세상을 떠났다.# 원인은 전신성 혈관염 이었다.

6. 기타[편집]


  • 밀덕후들 사이에서는 약소국인 브루나이의 군사력 증강으로 유명하다. 또 본인의 포스 있는 외모와 군복을 입은 사진이 널리 퍼져 있어 이미지가 나쁘지 않다.

  • 2011년 포브스 조사 기준으로 300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고 이는 부유한 통치자로서 2등인데,[4] 개인 재산 20조원 이상의 자산가이며 취미로 자동차나 오토바이, 항공기 수집 등을 즐긴다고 한다. 맥라렌 F1을 세 대나 소장하고 있고 2015년 7월 24일자 SBS <정글의 법칙 히든킹덤>에 소개된 바에 의하면, 개인 재산은 86조 정도로 추정된다고 한다.

  • 2019년 5월 23일에 동성애자들을 투석형 제정에 반발한 여론에 밀려 옥스퍼드대에서 받은 명예학위를 반납했다.#

  • 1984년에 브루나이가 독립한 직후 대한민국과 수교협정을 맺기 위해 직접 내한한 적이 있다. 이때 밀덕답게 육군특수전사령부를 방문하여 특전사들을 시찰했으며, 한국군은 그에게 으로 도금K1 기관단총[5] 선물로 증정했다. 이후 세월이 흘러 2019년 11월 24일에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위해 다시 한번 청와대를 국빈 방문했다.


  • 웹소설 업어 키운 걸그룹 마지막 권에 볼키아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추정되는 국왕이 까메오로 등장한다. 멤버 5인 중 한 명인 알리야가 브루나이 국왕의 사생아라는 설정. 물론 소설 속 설정일 뿐이며 등장하는 이름도 '볼키' 국왕이다.

  • 과거 1990년대 들어 벤틀리가 휘청거릴때 벤틀리의 파산을 막기 위해서 벤틀리 역사상 최초의 SUV인 벤틀리 도미네이터를 6대 주문 제작했다. 이후 벤틀리가 벤틀리 벤테이가를 개발할 당시 자신들이 어떻게 만들었는지 참고하려고 이 사람에게 판 차중 하나를 빌려와서 연구후 반납했다.

7.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레소토
빌럼알렉산더르하랄 5세마르그레테 2세레치에 3세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말레이시아 모나코
벤다하라 가문
앙리한스아담 2세파항의 압둘라알베르 2세
모로코 바레인 바티칸 벨기에
모하메드 6세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프란치스코필리프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하사날 볼키아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칼 16세 구스타프
스페인 안도라 에스와티니
우르헬 주교
들라미니 왕조
펠리페 6세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에마뉘엘 마크롱음스와티 3세
영국 영연방 오만 요르단
찰스 3세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압둘라 2세
일본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노로돔 왕조
나루히토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노로돔 시아모니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태국 통가
라마 10세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아시아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공산국가의 수상
*** 대통령 권한대행
**** 사실상 군부 소속
*****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네팔 공산당 (마오주의 센터)
민주진보당
무소속
푸슈파 카말 다할 (3기)천젠런한덕수 (2기)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라오 인민혁명당
무소속
샤나나 구스망 (2기)쏜싸이 씨판돈나지브 미카티 (3기)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파일:몽골 국기.svg 몽골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인민정의당
몽골 인민당
무소속
안와르 이브라힘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민 아웅 흘라잉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무소속
아와미 연맹
베트남 공산당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셰이크 하시나 (4기)팜민찐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부탄연합당
조선로동당
무소속
로타이 체링김덕훈하사날 볼키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무소속
스리랑카 인민전선
바트당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디네쉬 구나와데나후세인 아르누스 (2기)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인민행동당
무소속
탈레반
리셴룽 (5기)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하산 아훈드 (권한대행)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파일:오만 국기.svg 오만*****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국민전체회의
무소속
무소속
마인 압둘말리크 사이드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비셰르 알카사우네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이슬람 다와당
리쿠드
압둘라 아리포프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베냐민 네타냐후 (6기)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인도 인민당
자유민주당
중국공산당
나렌드라 모디 (2기)기시다 후미오 (2기)리창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아마나트
무소속
캄보디아 인민당
앨리한 스마이을로프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훈 마넷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무소속
아르 나므스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의 장남)아킬베크 자파로프코히르 라술조다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태국인당
발루치스탄 아와미당
파타
세타 타위신안와르 울 하크 카카르 (권한대행)무함마드 이슈타이야
[ 유럽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신민주주의당
무소속
자유민주인민당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기)주소이트 콘스탄틴마르크 뤼터 (4기)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노동당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요나스 가르 스퇴레메테 프레데릭센 (2기)올라프 숄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단결
무소속
사회민주당
크리샤니스 카린시 (2기)미하일 미슈스틴마르첼 치올라쿠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민주당
무소속
애국연합
그자비에 베텔 (2기)잉그리다 시모니테다니엘 리쉬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개혁행동연대
무소속
피에르 다르투드리탄 아바조비치도린 레체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노동당
무소속
Open VLD
로버트 아벨라 (2기)피에트로 파롤린알렉산더르 더크로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무소속
독립사회민주연대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라만 할로우찬카 (2기)보랴나 크리슈토디미타르 코바체프스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국민통일당
우리는 변화를 계속한다
세르비아 진보당
위날 위스텔니콜라이 덴코프아나 브르나비치 (3기)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온건당
중도당
스페인 사회노동당
울프 크리스테르손발터 투른헤어 (2기)페드로 산체스 (2기)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방향-사회민주주의
자유운동
시민계약
로베르트 피초로베르트 골로프니콜 파시냔 (3기)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좌파녹색운동
피너 게일
무소속
카트린 야콥스도티르 (2기)리오 버래드커알리 아사도프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안도라 민주당
알바니아 사회당
아이타이라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기)에디 라마 (3기)알렉산드르 안콰브 (2기)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 개혁당
보수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카야 칼라스 (3기)리시 수낙카를 네하머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무소속
이탈리아의 형제들
조지아의 꿈
데니스 시미할조르자 멜로니이라클리 가리바슈빌리 (2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시민민주당
자결당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페트르 피알라알빈 쿠르티 (2기)안드레이 플렌코비치 (2기)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사회당
법과 정의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안토니우 코스타 (3기)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2기)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
국민연합당
청년민주동맹
엘리자베트 보른 (2기)페테리 오르포오르반 빅토르 (5기)
[ 아메리카 ]
[ 아프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파일:기니 국기.svg 기니*,**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무소속
무소속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레몽 은동 시마 (임시)베르나르 구무 (임시)제랄도 마틴스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무소속
번영을 위한 혁명
사라 쿠공겔롸 (2기)알리 라민 제인샘 마테카네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사회민주당
무소속
무소속
에두아르 응기렌테 (2기)압둘 하미드 드베이베크리스티앙 은차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무소속
독립국민연합
모리셔스 사회주의 운동
쇼겔 코칼라 마이가 (임시)아지즈 아칸누시프래빈드 주그노트 (2기)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공정당
모잠비크 해방전선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모하메드 울드 빌랄아드리아누 말레이안제르베 은디라코부차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무소속
폴리사리오 전선
독립민주행동당
아폴리네르 조아킴 키엘렘 드탐벨라 (임시)보우치라야 함무디 비요운파트리스 에메리 트루부아다 (2기)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무소속
평화개발연합당
무소속
아마두 바함자 압디 바레오스만 후세인 (권한대행)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아이멘 베나브데라마네음과과 가메체 (권한대행)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번영당
민족저항운동
무소속
아비 아머드로비나 나반자무스타파 아드불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적도 기니 민주당
연합마음운동
진보인민연합
마누엘라 로카 보테이펠릭스 몰루아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기)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민주재건국가연합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민주운동
살레 케브자보조셉 응구테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기)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공화연합
콩고 노동당
콩고의 미래
로베르 뵈그레 맘베아나톨 콜리넷 마코소장미셸 사마 루콘데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파일:토고 국기.svg 토고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탄자니아 혁명당
공화국을 위한 연합
무소속
카심 마잘리와빅투아르 토메가 도그베아메드 하차니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3:09:37에 나무위키 하사날 볼키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나마 석유 덕을 확실하게 봤던 노르웨이조차도, 석유 개발 이전에도 목재 가공업과 상업의 발달로 인해 이미 20000달러에 달하는 GDP를 기록한 선진국이었다.[2] 이스라엘 여권 소지자는 신분, 지위 관계없이 입국이 거부된다. 이 점은 이스라엘과 적대관계인 이란,시리아 등도 마찬가지.[3] 참고로 대만은 1987년 장징궈가 해제하였다.[4] 1위는 라마 9세 태국 국왕, 3위는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국왕.[5] 특이하게도 나팔형 소염기가 달린 초기형 K1이다. K1A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