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폴란드계 브라질인

덤프버전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85%, #DC143C 85%)"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aaa"
[[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폴란드
관련 문서
}}} }}}
<^|1><height=34><bgcolor=#dc143c><color=#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 흰꼬리수리 · 국호 · 국기 · 국장
역사국가역사 전반 · 폴란드 영지 · 폴란드 왕국 · 폴란드-리투아니아 · 바르샤바 공국 · 폴란드 섭정왕국 · 폴란드 제2공화국 · 폴란드 망명정부(자유 폴란드군) · 폴란드 지하국 · 폴란드 인민 공화국
사건폴란드 분할 · 포즈난 봉기 ·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 독소 폴란드 점령(카틴 학살) · 바르샤바 봉기 · 바르샤바 게토 봉기 · 포즈난 항쟁
정치정치 전반 · 행정구역 · 대통령(선거) · 의회(상원 · 하원)
외교외교 전반 · 폴란드 회랑 · 유럽연합(탈퇴 논쟁) · 비셰그라드 그룹 · 여권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 오데르-나이세 선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루블린 삼각동맹 · 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독일-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경제경제 전반 · 폴란드 즈워티
국방폴란드군 (육군 · 해군 · 공군 · 특수군) · 바르샤바 조약기구 · NATO · 윙드 후사르 · NATO vs 러시아군
FB 탄탈/Skbk wz.89 오닉스 · FB 베릴/미니 베릴 · 그롯 · RPG-76 코마르 · 팔라트 유탄발사기
문화문화 전반 · 영화 · 콘투쉬 · 요리 · 보드카 ·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 폴란드어 · Ł ł · 라틴 문자 · 매여
교통LOT 폴란드 항공(바르샤바 쇼팽 국제공항, 뱌르샤바 모들린 국제공항), 바르샤바 지하철
사회폴란드 마피아
인물카지미에시 3세 · 유제프 안토니 포니아토프스키 ·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 · 마리 퀴리 · 프레데리크 쇼팽 · 조지프 콘래드 · 요한 바오로 2세(카롤 유제프 보이티와) · 레흐 바웬사
민족폴란드인 · 카슈브인 · 독일계 · 우크라이나계 · 러시아계 · 립카 타타르 · 폴란드 유대인
디아스포라폴란드계 미국인 · 폴란드계 프랑스인 · 폴란드계 러시아인 · 폴란드계 독일인 · 폴란드계 우크라이나인 · 폴란드계 영국인 · 폴란드계 리투아니아인 · 폴란드계 브라질인 · 폴란드계 아르헨티나인 · 폴란드계 캐나다인 · 폴란드계 호주인 · 폴란드계 멕시코인 · 폴란드계 뉴질랜드인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002776 39.9%, transparent 40.1%), linear-gradient(45deg, #009C3B 20%, #ffdf00 20%, #ffdf00 80%, #ffdf00 80%, #009C3B 8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브라질
관련 문서
}}}}}}
<^|1><height=35><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기 · 국장 · 국가
역사역사 전반 · 브라질 식민지 · 브라질 독립 전쟁 · 브라질 제국
정치정치 전반 · 브라질 헌법 · 브라질 대통령 · 브라질 부통령 · 브라질 국가의회(브라질 연방상원 · 브라질 대의원)
선거브라질 대통령 선거 · 브라질 국가의회 선거
외교외교 전반 · 브라질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BRICS · G4 · G20 · TIAR
사회파벨라 · ENEM
경제경제 전반 · 크루제이로 · 헤알
국방브라질군 · 브라질 육군 · 브라질 해군 · 브라질 공군
치안·사법브라질 경찰
교통LATAM 브라질 항공 · 골 항공 · 철도 환경
문화문화 전반 · 요리 · 페이조아다 · 슈하스쿠 · 카샤사 · 리우 카니발 · 삼바 · 보사노바 · 브라질 축구 연맹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 브라질 영화 · 브라질 포르투갈어
인물펠레 · 룰라 다 실바 · 자이르 보우소나루 · 호나우두 · 호나우지뉴 · 호마리우 · 히바우두 · 네이마르 주니오르 · 지쿠 · 카카 · 소크라치스 · 카푸 · 베베투 · 호베르투 카를루스 · 둥가
지리아마존강 · 행정구역
민족브라질인(브라질 백인/파르도/브라질 흑인) · 포르투갈계 브라질인 · 브라질계 미국인 · 독일계 브라질인 · 이탈리아계 브라질인 · 스페인계 브라질인 · 프랑스계 브라질인 · 네덜란드계 브라질인 · 미국계 브라질인· 아르메니아계 브라질인 · 레바논계 브라질인 · 시리아계 브라질인 · 폴란드계 브라질인 · 리투아니아계 브라질인 · 우크라이나계 브라질인 · 그리스계 브라질인 · 한국계 브라질인 · 일본계 브라질인 · 중국계 브라질인 · 아일랜드계 브라질인 · 크로아티아계 브라질인 · 영국계 브라질인

}}}


파일:grupo-de-canto-e-danca-polono-brasileiro-1079697.jpg


1. 개요
2. 이민사
3. 유명인
4.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폴란드계 브라질인브라질에 거주하는 폴란드계 후손 또는 폴란드인이다.

폴란드계 브라질인들은 19세기 후반부터 브라질로 이주한 이후, 브라질 백인의 일부가 되었다. 1920년까지 이들의 대다수는 브라질에서 러시아인 또는 기타 국적 계통으로 분류되었다.


2. 이민사[편집]


1872년부터 1959년까지 러시아 제국 및 그 후신 소련에서 브라질로 건너온 인구는 110,243명에 달했는데, 이들은 대개 폴란드인, 아슈케나지 유대인독일계 러시아인 및 일부 리투아니아인라트비아인이었다고 한다.

20세기 초 폴란드인 대다수는 당시 중유럽에서 인지도가 낮은 브라질 대신 이미 폴란드 동포들이 대규모로 정착해서 자리잡았던 미국 이민을 희망했으나, W.A.S.P.가 중심이 된 미국 보수주의자들은 1911년부로 이민 쿼터제를 통해 폴란드인의 미국 이민을 크게 제한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근대 폴란드는 1차 대전 이전에는 프로이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제국으로 삼분되어 지배당하고 있었는데, 비교적 경제력이 높았던 프로이센의 폴란드인 농민들이 미국으로 먼저 대거 이민가고,[1] 그 다음에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폴란드인 농민들이 대거 미국으로 이민 러시가 이어졌다.

1900년대 당시 미국에는 폴란드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가 1백만여 명에 달했다. 앵글로 색슨-개신교계가 중심이 된 미국 보수층들은 가톨릭 인구가 많이 유입된다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기고, 폴란드인의 미국 이민에 제동을 걸면서 그 뒤를 따르던 러시아 제국 출신 폴란드인들은 미국 이민이 좀 더 어려워졌고 결국 러시아 제국 출신 폴란드인 일부가 미국 대신 브라질로 이민을 택했다.

같은 시기에 이민 온 우크라이나계 브라질인과 달리 가톨릭이 아닌 유대교를 믿는 폴란드 유대인도 상당수 브라질로 이민왔다. 브라질에 정착한 폴란드 유대인 상당수는 이스라엘 건국 이후 이스라엘로 재이민했지만,[2] 아직 10만여 명 정도의 폴란드계 유대인들이 브라질 남부를 중심으로 거주한다고 한다. 오늘날 브라질의 유대인 인구는 대다수가 폴란드 지역 출신이라고 한다.#[3]

이들은 브라질 남부에 주로 정착했으며, 특히 쿠리치바는 종종 시카고 다음으로 큰 폴란드계 디아스포라 집단을 가진 도시로 간주되는 경우도 있다.


3. 유명인[편집]


  • 알레산드라 앰브로시오 - 슈퍼모델.[4]
  • 엘리산드라 토마체스키 - 커머셜모델
  • 필리페 루이스 - 축구선수[5]
  • 프란시스코 라코우스키 - 패션모델, 아버지는 폴란드계 브라질인, 어머니는 독일계, 포르투갈계
  • 아리아니 립스키 - 종합격투기 선수

4. 관련 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5:03:29에 나무위키 폴란드계 브라질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프로이센은 오스트리아와 러시아보다 수십년 빨리 농노 해방 정책을 시행했다.[2] 이스라엘 사람 중 모습은 영락없는 금발벽안인데 의외로 포르투갈어를 구사 가능한 경우가 종종 있는데, 브라질에서 이스라엘로 재이민한 경우이다.[3] 대항해시대 당시 많은 포르투갈계 유대인들이 박해를 피해 가톨릭 신도로 위장해서 브라질에 정착한 역사도 있긴 하지만, 이들의 경우 수백명이 걸친 기간동안 유대교를 몰래 믿으면서 교리를 잊어버리고, 거의 포르투갈계 브라질인 가톨릭교도와 동화된 것으로 보인다.[4] 이탈리아계 핏줄도 섞였다.[5] 이탈리아계, 오스트리아계 핏줄도 섞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