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페네르바흐체 SK(여자 배구)

덤프버전 :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페네르바흐체 여자 배구
Fenerbahçe Women's Volleyball
정식 명칭Fenerbahçe Sports Club
Women's Volleyball Department
별칭Sarı Melekler (The Yellow Angels)
소속 리그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CEV 챔피언스 리그
창단1928년, 1954년
연고지이스탄불
홈구장Burhan Felek Sport Hall (수용 인원: 7000명)[1]
회장Aziz Yıldırım
감독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조란 테르지치 (Zoran Terzić)[2]
주장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에다 에르뎀 (Eda Erdem)
역대 한국인 선수김연경 (2011~2017)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우승 기록
터키 리그
(6회)
2008-09, 2009-10, 2010-11, 2014-15, 2016-17, 2022-23
터키 컵
(3회)
2009-10, 2014-15, 2016-17
터키 슈퍼 컵
(3회)
2009, 2010, 2015

CEV 챔피언스 리그
(1회)
2011-12
CEV 컵
(1회)
2013-14
FIVB 세계 클럽 챔피언십
(1회)
2010

1. 개요
2. 역사
3. 역대 명칭
4. 스쿼드
5. 역대 시즌
6. 역대 성적
6.2. FIVB 세계 클럽 챔피언십
7. 역대 감독
8. 역대 주장
9. 출신 선수
10. 홈구장
11. 여담
12. 둘러보기
1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2014-15시즌 우승.jpg
2014-15시즌 터키 리그 우승!
터키 여자 배구단. 이름 그대로 페네르바흐체 SK[3] 계열 구단으로 남자 프로 축구, 남녀 농구, 남녀 배구, 수구, 조정, 요트, 탁구, 수영 같은 여러 스포츠팀을 자매 계열사로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김연경의 소속 구단으로 유명했다.[4] 2011-12 시즌 김연경의 입단 이후 페네르바체는 역사상 첫 CEV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2. 역사[편집]


1928년 터키 공화국 첫 여성 건축가이자 사업가이던 사비하 리파트 귈레이만 (Sabiha Rıfat Gürayman, 1910~2003)이 이스탄불 대학교를 다니면서 세운 대학 여자배구팀이 유래이다. 하지만 당시 여성 스포츠는 세계적으로도 보기 어려웠고 무시당했던 시절이라 정식적인 프로구단 창단은 아니었다. 1954년에서야 이스탄불 리그 여자 배구팀으로서 창단하여 본격적인 역사가 시작된다.

1956, 1957, 1958, 1959, 1960, 1968, 1969, 1972년 터키 여자 배구 리그를 우승하며 강호로서 이름을 날렸으나 70년대 자본 문제로 어려움을 겪다가 1977년 해산하고 말았다. 이후 준실업 리그팀으로 이름을 유지하며 명맥을 잇다가 1989년에 새로운 구단주를 만나면서 다시 프로 여자 배구 리그로 올랐다. 하지만 3년도 안가서 재정난에 빠져 2부리그로 가서 지내다가 2000년대 와서야 본격적인 투자를 받으며 다시 터키 여자 배구 리그 강호로 우뚝선다.

다만 2011-12 시즌 이후 페네르바체 구단이 비리 사건에 휘말리며 투자가 대폭 줄었고, 스쿼드가 가난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3. 역대 명칭[편집]


연도이름
1928, 1954~2007페네르바흐체Fenerbahçe
2007~2011페네르바흐체 아즈바뎀Fenerbahçe Acıbadem
2011~2012페네르바흐체 유니버셜Fenerbahçe Universal
2012~2014페네르바흐체Fenerbahçe
2014~2016페네르바흐체 그룬디히Fenerbahçe Grundig
2016~2018페네르바흐체Fenerbahçe
2018~현재페네르바흐체 오펫Fenerbahçe Opet
페네르바흐체라는 이름 뒤에 스폰서를 붙인다.


4. 스쿼드[편집]


||
[ 펼치기 · 접기 ]

코칭스태프
감독
스테파노 라바리니
아웃사이드 히터9 멜리하 이스마일로루 · 10 아리나 페도로프체바 · 12 아나 크리스티나 소우자 · 16 이파르 외자이 쿠르트
아포짓 스파이커13 메리엠 보즈 · 20 멜리사 바르가스
미들 블로커5 벨리즈 바쉬크르 · 8 아슬르 칼라치 · 14 에다 에르뎀
C
· 15 에르굴 아브시
세터3 마크리스 카르네이로 · 18 부세 위날
리베로1 기젬 외르게 · 7 잔수 체틴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페네르바흐체 SK
2021-22 시즌 스쿼드
||
번호국적이름포지션생년월일신장
1파일:UEFA TUR.png하티제 기젬 외르게L1993년 4월 26일170cm
4파일:UEFA RUS.png안나 라자레바OPP1997년 1월 31일190cm
5파일:UEFA TUR.png벨리즈 바쉬크르MB1998년 1월 1일195cm
7파일:UEFA TUR.png잔수 체틴L1993년 5월 21일183cm
8파일:UEFA TUR.png디츨레 눌 바바트MB1992년 9월 15일191cm
9파일:UEFA TUR.png멜리하 이스마일로루OS1993년 9월 17일188cm
10파일:UEFA RUS.png아리나 페도로프체바OS2004년 1월 19일190cm
11파일:UEFA TUR.png나즈 아이데미르 아키욜S1990년 8월 14일186cm
12파일:UEFA BRA.png아나 크리스티나 소우자OS2004년 4월 7일192cm
14파일:UEFA TUR.png에다 에르뎀
C
MB1987년 6월 22일188cm
15파일:UEFA SRB.png미나 포포비치MB1994년 9월 17일187cm
16파일:UEFA TUR.png이파르 외자이 쿠르트OS2003년 11월 10일188cm
17파일:UEFA TUR.png투트쿠 부르주 위즈겐취OPP1999년 1월 15일192cm
18파일:UEFA TUR.png부세 위날S1997년 7월 29일188cm
20파일:UEFA TUR.png멜리사 바르가스OPP1999년 10월 26일193cm
감독
조란 테르지치


5. 역대 시즌[편집]


파일:Valeriya_Korotenko7.jpg
2007-08 시즌 페네르바흐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페네르바흐체 SK(여자 배구)/역대 시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역대 성적[편집]



6.1. 터키 리그챔피언스 리그[편집]


시즌터키 리그터키컵슈퍼컵CEV 주관 대회
경기득실률순위PO
2005-061881030370.8116위
2006-071411335132.6922위준우승
2007-082017354173.1762위준우승챔피언스 리그조별예선
2008-092014649232.1304위­우승준우승CEV컵3위
2009-102222066233.001위­우승­우승­우승챔피언스 리그준우승
2010-112221164106.4001위­우승12강­우승챔피언스 리그3위
2011-122222066106.6001위3위4강­준우승챔피언스 리그우승
2012-132215752262.0004위3위16강[A]CEV컵준우승
2013-142221162125.2502위준우승준우승[A]CEV컵우승
2014-152220263115.7272위­우승­우승준우승챔피언스 리그8강
2015-162220264134.9231위준우승­우승챔피언스 리그3위
2016-172219360212.8572위­우승­우승챔피언스 리그8강
2017-182216655311.7744위3위4강준우승챔피언스 리그조별예선
2018-192217555222.5003위3위준우승[A]챔피언스 리그4강
2019-202218460193.1573위[B][B][A]챔피언스 리그8강[B]
2020-213027383194.3682위준우승4강[A]챔피언스 리그8강
2021-22[A]챔피언스 리그


6.2. FIVB 세계 클럽 챔피언십[편집]


연도기간참가 자격장소조별예선본선결과
1차전2차전3차전준결승결승 / 3위 결정전
2010년12월 15~21일와일드카드카타르 도하3-0 승3-0 승3-0 승3-0 승우승
2012년10월 13~19일유럽 챔피언카타르 도하3-0 승3-0 승0-3 패3-0 승3위



7. 역대 감독[편집]


시즌이름 국적 비고
1954~1963Alaaddin Güneş파일:튀르키예 국기.svg이스탄불 리그 우승6회
터키 선수권 우승3회
1970~1975Deniz Esinduy파일:튀르키예 국기.svg이스탄불 리그 우승3회
터키 선수권 우승1회
1982~1984Alaaddin Güneş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987~2003Abdullah Paşaoğlu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3~2005Jesus Savigne파일:쿠바 국기.svg
2005~2008Adnan Kıstak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8~2010얀 데 브란트Jan De Brandt파일:벨기에 국기.svg터키 리그 우승2회
터키컵 우승1회 / 슈퍼컵 우승1회
2010~2012호제 후베르투 귀마레스José Roberto파일:브라질 국기.svgCEV 챔피언스 리그 우승1회
FIVB 클럽 챔피언십 우승1회
터키 리그 우승1회
슈퍼컵 우승1회
2012~2013카밀 쇠즈Kamil Söz파일:튀르키예 국기.svg시즌 후 사임
2013~2017마르첼로 아본단자Marcello Abbondanza파일:이탈리아 국기.svgCEV컵 우승1회
터키 리그 우승2회
터키컵 우승2회 / 슈퍼컵 우승1회
2017~2018Salih Tavacı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18~2022조란 테르지치Zoran Terzić파일:세르비아 국기.svg
2023~스테파노 라바리니Stefano Lavarini파일:이탈리아 국기.svg


8. 역대 주장[편집]


시즌이름 국적 등번호 포지션
1973~1977Sema Esinduy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5~2006세다 토카틀리오글루Seda Tokatlıoğlu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6~2008Özlem Özçelik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8~2011Çiğdem Can Rasna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11~2014세다 토카틀리오글루Seda Tokatlıoğlu파일:튀르키예 국기.svgOPP
2014~현재에다 에르뎀Eda Erdem파일:튀르키예 국기.svg14번MB


9. 출신 선수 [편집]


현재까지 뛰고 있는 선수는 제외. 2021-22 시즌 스쿼드는 문단 참조.
* 파일:러시아 국기.svg 나탈리아 모로조바 (2005~2006)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외즈게 크르다르 (2006~2007)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발레리아 맘마도바 (2008~2009)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에다 에르뎀 (2008~현재)
*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카테리나 가모바 (2009~2010)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앨리스 블롬 (2009~2010)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나타샤 오스모크로비치 (2009~2011)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나즈 아이데미르 (2009~2012, 2019~)
* 파일:브라질 국기.svg 엘리아 소자 (2010~2011)
* 파일:독일 국기.svg 크리스티안느 퓌르스트 (2010~2011)
* 파일:폴란드 국기.svg 카타르지나 스코브론스카 (2010~2011)
* 파일:러시아 국기.svg 류보프 소콜로바 (2010~2012)
* 파일:미국 국기.svg 로건 톰 (2011~2012)
*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비아나 클라우디노 (2011~2012)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경 (2011~2017)[5]
* 파일:브라질 국기.svg 마리안느 스테인브레혀 (2012~2013)
* 파일:폴란드 국기.svg 베레니카 톰시아 (2012~2013)
* 파일:미국 국기.svg 린지 벅 (2012~2013)
*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울라 페케누 (2012~2013)
* 파일:체코 국기.svg 아네타 하블리치코바 (2013~2014)
* 파일:미국 국기.svg 알리샤 글래스 (2013~2014)
* 파일:브라질 국기.svg 페르난다 가라이 (2013~2014)
* 파일:프랑스 국기.svg 크리스티나 바우어 (2013~2015)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마델라이네 몬타뇨 (2014~2015)
*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틴 힐데브랜드 (2014~2015)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엘레노라 로비앙코 (2014~2015)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루치아 보세티 (2014~2016)
*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타 하르모토 (2015~2016)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2015~2016, 2019~2021)
* 파일:폴란드 국기.svg 카타르지나 스코루파 (2015~2016)
* 파일:브라질 국기.svg 나탈리아 페레이라 (2016~2018)
* 파일:태국 국기.svg 눗사라 톰콤 (2016~2017)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마렛 발케슈테인 (2016~2017)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폴리나 라히모바 (2017~2018)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미아 예르코프 (2017~2018)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아나 안토니예비치 (2018~2019)
* 파일:멕시코 국기.svg 사만다 브리시오 (2018~2019)
* 파일:쿠바 국기.svg 멜리사 바르가스 (2018~2021)
* 파일:미국 국기.svg 켈시 로빈슨 (2019~2021)


10. 홈구장[편집]


시즌위치이름 수용 인원
2004~2007위스퀴다르부르한 펠렉 스포츠 홀Burhan Felek Spor Salonu7000
2007~2008카디쿄이카페라으라 스포츠 홀Caferağa Spor Salonu2850
움라니예할둔 알라가쉬 스포츠 컴플렉스Haldun Alagaş Spor Kompleksi2468
2008~2010위스퀴다르TVF 50주년 스포츠 홀TVF 50. Yıl Spor Salonu7500
2010~현재위스퀴다르부르한 펠렉 스포츠 홀Burhan Felek Spor Salonu7000
2015~현재아타세히르윌커 스포츠 아레나Ülker Spor Arena13000~15000


11. 여담[편집]




12.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4%><rowbgcolor=#00002C> 순서 ||<-2><width=40%> 우승 구단 ||<width=14%> 국가 ||<width=16%> 첫 우승 연도 ||<width=16%> 우승 횟수 ||
|| 1 || 파일:WVC 디나모 모스크바.png ||<color=#373a3c><colbgcolor=#ffd700> 디나모 모스크바 ||<colbgcolor=#eeeeef,#18181a> 파일:러시아 국기.svg || 1961년 || ★★★★★★
★★★★★

11회 ||
|| 2 || 파일:Jinestra Odessa.png ||<color=#373a3c> 부레베스트니크 오데사 || 파일:소련 국기.svg || 1962년 ||
1회 ||
|| 3 || 파일:레프스키 소피아.png ||<color=#373a3c> 레프스키 소피아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1965년 ||
1회 ||
|| 4 || ||<color=#373a3c> NIM-SE 부다페스트 || 파일:헝가리 국기.svg || 1973년 ||
1회 ||
|| 5 || 파일:PVK 올림프 프라하.png ||<color=#373a3c> PVK 올림프 프라하 || 파일:체코 국기.svg || 1976년 || ★★
2회 ||
|| 6 || 파일:SSC 슈베린.jpg ||<color=#373a3c> 슈베린 SC || 파일:독일 국기.svg || 1978년 ||
1회 ||
|| 7 || 파일:CSKA 소피아.png ||<color=#373a3c> CSKA 소피아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1979년 || ★★
2회 ||
|| 8 || 파일:우랄로츠카-NTMK.png ||<color=#373a3c> 우랄로츠카-NTMK || 파일:러시아 국기.svg || 1981년 || ★★★★
★★★★

8회 ||
|| 9 || ||<color=#373a3c> ADK 알마-알타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1985년 ||
1회 ||
|| 10 || 파일:15454840354Rdpt.png ||<color=#373a3c> 올림피아 테오도라 라벤나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1988년 || ★★
2회 ||
|| 11 || 파일:믈라도스트 자그레브.gif ||<color=#373a3c> 믈라도스트 자그레브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1991년 ||
1회 ||
|| 12 || 파일:마테라 여자 배구팀.jpg ||<color=#373a3c> 마테라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1993년 || ★★
2회 ||
|| 13 || 파일:Bergamo.png ||<color=#373a3c> 베르가모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1997년 || ★★★★
★★★

7회 ||
|| 14 || ||<color=#373a3c> OK 두브로브니크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1998년 ||
1회 ||
|| 15 || 파일:볼리 모데나.png ||<color=#373a3c> 모데나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1998년 ||
1회 ||
|| 16 || 파일:RC 칸느.jpg ||<color=#373a3c> RC 칸 || 파일:프랑스 국기.svg || 1998년 || ★★
2회 ||
|| 17 || 파일:CV 테네리페.png ||<color=#373a3c> 테네리페 || 파일:스페인 국기.svg || 2004년 ||
1회 ||
|| 18 || 파일:시리오 페루자.png ||<color=#373a3c> 시리오 페루자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06년 || ★★
2회 ||
|| 19 || 파일:VAKIFBANK.png ||<color=#373a3c> 바키프방크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2011년 || ★★★★
4회 ||
|| 20 ||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color=#373a3c> 페네르바흐체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2012년 ||
1회 ||
|| 21 || 파일:디나모 카잔.png ||<color=#373a3c> 디나모 카잔 || 파일:러시아 국기.svg || 2014년 ||
1회 ||
|| 22 || 파일:Eczacıbaşı Spor Kulübü.png ||<color=#373a3c> 엑자시바시 비트라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2015년 ||
1회 ||
|| 23 || 파일:Casalmaggiore.jpg ||<color=#373a3c> 포미 카살마지오레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16년 ||
1회 ||
|| 24 || 파일:Igor-Gorgonzola-NOVARA.png ||<color=#373a3c> 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19년 ||
1회 ||
|| 25 || 파일:Imoco.png ||<color=#373a3c> 이모코 발리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21년 ||
1회 ||





1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에다 에르뎀
에다 에르뎀
문서의 r215
, 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5:20:25에 나무위키 페네르바흐체 SK(여자 배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타 구단과 함께 쓴다.[2] 현 러시아 여자 배구 대표팀 감독[3] 한국의 SK그룹이 아니고 Spor Kulübü, 스포르 클뤼뷔, 즉 스포츠 클럽이라는 뜻이다.[4] 2018-19 시즌 터키의 타 구단 엑자시바시 비트라로 이적하였다.[A] A B C D E F 출전 자격 없음[B] A B C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대회 중단 또는 취소.[5] 2022년 현재 최장기간 계약 용병[6] 챔피언스리그 8강서 만났는데 페네 기준 1-3(원정), 3-2(홈)으로 총세트전적서 밀리며 바키프방크가 4강에 갔다. 역시 탈망버프[7] 그래도 리그에서는 보세띠와 폴렌의 각성 그리고 김연경의 엄청난 몰빵으로 챔피언을 먹는데 성공하였다. MVP는 당연히 김연경